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사회적 공분(公憤) 유발범죄의 특성과 사회적 영향에 관한 연구

        김주만 중앙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modern society, media reports on crime occupy one of the negative experiences that are too easily accessible. It would also mean that there are so many crimes around us. The side effects of crime on our society are serious. According to a study, the cost of crime victimization in 2008 was estimated to reach 36.5 trillion won, and the Korean Institute of Criminology and Justice announced that the social cost of crime in 2008 exceeded 158 trillion won. The bigger problem is that crime is presumed to be a medium of a vicious cycle that leads to another crime. Many previous studies believe that crime and media reports on crime lead to negative perceptions and distrust of judicial authority and life, breaking the community ties, increasing crime. In order for crimes to have a psychological impact to break trust in legal order and community ties, It should not be a general crime that is easily forgotten after seeing it in the media, but a crime with a ripple effect that leads to social outrage. And there seem to be a lot of crimes in our society that cause social outrage.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also means that members of society have experienced a lot of anger about the crimes that occurred. This means that many members of society have similar perceptions and judgments, at least in the area of experience with crime. In fact, 124 participants who participated in the paper’s perception survey also recognized that there were many crimes that caused outrage in Korea, and said that the more crimes that caused social outrage, the harder it was to trust the legal order. As such, social outrage against crime leads to distrust in the safety system of society that prevents and punishes crime. This means a decline of trust in legal order. Since society with low trust in legal order also lowers the authority of public power, which has led to the side effects of trying to exercise public functions such as investigation and punishment directly by private individuals. The spread of private sanctions and self-rescue can be seen as a representative form. Of course,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are not always negative. This is because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have institutional changes related to crimes that triggered outrage, and have institutional improvement effects such as making our society aware of areas that need to be improved and reinforced for safety. Nevertheless, since the negative impact of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has a very large impact, the continued decline in trust in legal order must be improved. This is because it sends the wrong message to society that not following the legal order is more effective than following the legal order. Someone receives the message. This is the process of spreading distrust in legal order, and this is also the process of “a favorable definition to the violation of the law exceeds an unfavorable definition to violation of the law” in Sutherland’s differential association theory. In such a process, the likelihood of crime is bound to increase. In fact, as of 2019, the total crime rate in Korea has increased by an average of 217,873 cases compared to 20 years ago. The recidivism rate of ex-convicts has also been maintained between 40% and 50% for 20 years, and among the six violent crimes such as murder, robbery, sexual violence, theft, assault⋅injury, and arson, the proportion of ex-convicts in all five crimes excluding sexual violence crimes was greater than non-convicts. Many studies have shown that crime leads to distrust in society and consequently increases crime, which is the same as referring to the negative effects of social outrage-causing crimes noted in this study. And such a vicious cycle must be cut off. As a result of analyzing media reports on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was found through this study that many members of society have a particularly prominent common needs for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was the disclosure of criminals’ personal information, strong punishment, and improvement of the appropriate legal system. In order to lower the negative effects derived from crimes that cause social outrage,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the legal system in a way that satisfies the needs of members of society. It may be a natural result for society members to distrust our country’s legal order, who have experienced repeated frustration of their demands whenever a crime that causes social outrage occurs. The way to resolve such distrust and build trust in legal order is communication, and communication basically begins with a listening attitude. Effective crime prevention can begin with a shift in awareness of the cause of the crime. 현대사회에서 범죄에 관한 언론보도는 너무 쉽게 접할 수 있는 부정적인 경험 중 하나를 차지하고 있다. 그만큼 우리 주위에 범죄가 많이 발생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도 할 것이다. 범죄가 우리 사회에 미치는 부작용은 심각하다. 국내 한 연구에 따르면 2008년 한 해 동안 발생한 범죄피해 비용이 36조 5천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추정되었고, 한국형사⋅법무정책연구원에서는 2008년 범죄로 인해 발생한 사회적 비용이 158조가 넘어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더욱 큰 문제는 범죄가 또 다른 범죄를 불러오는 악순환의 매개체로 추정된다는 점이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범죄와 범죄에 대한 언론보도가 사법권한과 삶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과 불신을 초래하여 사회공동체의 유대를 깨트려 범죄를 증가시킨다고 보고 있다. 범죄가 법질서에 대한 신뢰와 공동체의 유대를 깨트릴 정도로 심리적인 영향을 미치려면, 언론에서 한번 보고 쉽게 잊혀지는 일반범죄가 아닌 사회적인 공분을 이끌어낼 정도의 파급력을 가진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여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는 우리 사회에 결코 적지 않은 듯하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많다는 것은 사회구성원들이 발생한 범죄에 대하여 분노의 감정을 많이 경험했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것은 최소한 범죄에 관한 경험의 영역에서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유사한 인식과 판단을 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이 논문의 인식조사에 참여한 124명의 참가자들 또한 우리나라에서 공분을 유발하는 범죄들이 많이 발생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그러한 범죄로 인해 분노의 감정을 가장 많이 느꼈고, 사회적 공분을 일으키는 범죄가 많을수록 법질서를 신뢰하기가 힘들다고 답했다. 이렇듯 범죄에 대한 사회적 공분은 범죄를 예방하고 처벌하는 사회의 안전체계에 불신을 초래한다. 이는 곧 법질서에 대한 신뢰의 하락을 의미한다. 법질서에 대한 신뢰가 낮은 사회는 공권력의 권위 또한 낮아지기 때문에 수사와 처벌 같은 공적 기능을 사인이 직접 행사하려는 부작용을 불러왔다. 사적제재와 자력구제의 확산이 대표적인 형태라고 볼 수 있다. 물론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언제나 부정적인 것만은 아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는 공분을 촉발한 범죄와 관련된 제도적 변화를 이끌어내고, 우리 사회가 안전을 위해 개선 및 보강해야 할 부분을 인지하도록 하는 등 제도개선 효과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의 부정적인 영향은 그 파급력이 매우 크기 때문에 법질서에 대한 신뢰의 하락이 계속되는 현상은 반드시 개선되어야 한다. 법질서를 지키는 것보다 지키지 않는 것이 더욱 효과적이라는 잘못된 메세지를 사회에 발신하기 때문이다. 누군가는 그 메세지를 수신한다. 법질서에 대한 불신이 확산되는 과정이며 이것이 서덜랜드의 차별교제이론 중 ‘법위반에 대한 우호적인 정의가 법위반에 대한 비우호적인 정의를 초과’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그러한 과정에서 범죄의 발생 가능성은 높아질 수밖에 없다. 실제 우리나라의 전체범죄율은 2019년 기준으로 20년 전에 비해 평균 217,873건이 증가해있다. 전과자들의 재범률도 20년간 40%~50%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살인, 강도, 성폭력, 절도, 폭행⋅상해, 방화 등 6개의 강력범죄 중 성폭력 범죄를 제외한 5개 범죄에서 모두 전과자의 비중이 비전과자의 비중보다도 컸다. 범죄가 사회에 불신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범죄를 증가시킨다고 본 많은 연구 결과들은, 이 연구에서 주목한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의 부정적인 영향을 말하는 것과도 같다고 본다. 그리고 그런 악순환의 고리는 반드시 끊어야 한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에 대한 언론보도를 분석한 결과 많은 사회구성원들이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에 대해 유독 두드러지는 공통된 욕구를 갖고 있음을 이번 연구를 통해 알게 되었다. 그것은 바로 범죄자의 신상공개, 강력한 처벌, 그리고 적절한 법제도의 개선이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로부터 파생되는 부정적인 영향을 낮추기 위해서는 사회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하는 방식으로 법제도의 개선 방향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사회적 공분 유발범죄가 발생할 때마다 바래왔던 요구들이 반복적으로 좌절되는 것을 경험한 사회구성원들이 우리나라의 법질서를 불신하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도 모른다. 그러한 불신을 해소하고 법질서에 대한 신뢰를 구축하는 길은 소통이며, 소통은 기본적으로 듣는 자세로부터 시작된다. 효과적인 범죄의 예방은 범죄의 원인에 대한 새로운 인식의 전환에서 시작될 수 있다.

      • 주취폭력성 범죄의 원인분석 및 효과적 예방방안 연구

        김주만 중앙대학교 심리서비스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Korea now consumes a lot of alcohol around the world. According to Korean culture, Alcohol is used in various ways that forming of social relations, having a good manners between old and young people and signifying faith. So many Koreans are inclined to condone drinking and resulted case by drinking. Because of high level of alcohol consumption and this generous perception of alcohol fuelled behavior, Many violent crimes that frighten people are committed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And also alcohol fuelled offenders have a very high rate of recidivism. In a high-drinking area, frequency and rate of occurrence of drunken violent crime is also high. Alcohol effects on the frontal lobe of the brain, making person more violent. All the results can show a link between alcohol and drunken violent crime. drunken violent crimes that cause anxiety to people and pay social costs is an important factor in social confusion. Nowadays, Violent crime after drinking has entered a chronic phase because of people’s awareness of drinking and tolerant public responses. This is based on the high recidivism rate of alcohol fuelled violent crimes and the high frequency of occurrence for a long time. The touchy problem with drinking culture that is a part of our lives cannot be solved by using extreme methods, such as the nation’s full control or prohibition of drinking alcohol. Therefore, Rather than proposing extreme methods, I suggests three measures which basis on problem with public response to drinking alcohol and psychological nature of human. First of all, There are no special laws that can actively respond to drunken violent crimes. So the special law on drunken violent crimes as the basis for distinguishing alcohol related crimes from ordinary crimes should be enacted to raise awareness of crime. Secondly, It should be considered the system of selling liquor flexibly or being limited basis in areas where crime is more frequent. This is because drunken violent crime rates are high in areas where alcohol consumption is high. Thirdly, For drunken violent crimes, there should be a system of quick and accurate sanctions by setting certain criteria. This is based on psychological coercive action that like ‘If responsibility for their actions is bound to follow, the next action will be done with awakening’. Sanctions which is not penalty by criminal law but administrative measure such as mandatory detention over 48 hours or fine for same sort of criminal record should be imposed on alcohol related criminals who meet the criteria such as three strikes and be out about getting DUI(Driving Under the Influence) of alcohol. Obviously, Social discussions must be advanced to fulfill those three suggestions. And a more reasonable alternative system may be came up in the course of social discussions. I hope that the problems caused by excessive drinking and violent crimes will be solved more effectively and that the other social problems faced by our society will be further alleviated. 현재 우리나라는 세계적으로도 최상위군에 꼽힐 정도로 많은 알코올소비량을 보이고 있는 술 소비 국가이며, 음주문화의 특성상 술이 원만한 사회관계 형성의 매개체 또는 윗 사람과 아랫 사람간 예의를 다지는 수단 및 방법, 또는 음복주(飮福酒)와 같이 신앙적 의미를 가지는 다양한 용도에 활용되면서 음주 및 이로 인해 발생하는 사건‧사고에 관용적으로 허용하려는 문화가 형성되어 있다. 이런 높은 알코올소비량과 음주행동에 대한 관대한 인식이 작용한 듯, 실제 우리 사회에서 발생하고 있는 다양한 사건‧사고, 그 중에서도 국민을 불안에 떨게하는 강력범죄들이 주취상태에서 발생하는 빈도가 상당히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이런 주취 상태에서의 폭력성 범죄는 단발성에 그치기보다는 제2범, 제3범으로 이어지는 재범현상이 매우 높았다. 주취상태에서 발생하는 폭력성 범죄의 발생빈도 뿐만 아니라, 음주가용성이 높은 지역에서는 알코올소비량도 높아지고 이러한 지역에서는 폭력성을 수반한 범죄발생률이 더욱 높아진다는 지역특성을 반영한 연구결과 및 알코올이 우리 뇌의 전두엽에 작용하여 폭력성이 높아진다는 연구결과 등을 종합하여 알코올과 폭력성 범죄 사이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도 있었다. 결국 이런 주취폭력성 범죄의 발생은 국민들에게 큰 불안감을 안겨주며 많은 사회비용을 초래하고 결과적으로 사회 혼란의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게 되는데, 음주행동에 대한 인식과 사법판결과 같은 공적대응이 관용적으로 작용하는 사회분위기로 인해 음주 이후의 폭력성 범죄가 만성화되는 단계에 진입되었다고 판단된다. 이는 폭력성 범죄의 재범률과 꾸준한 높은 수치의 발생빈도 및 이를 기록한 긴 기간 동안의 통계가 그 근거이다. 사회 혼란을 초래하는 원인을 알았다면 이에 대한 진단을 내려 문제를 극복해야 할 것이다. 음주문화란 결국 음식문화와도 관련되는 것으로우리 생활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기 때문 술을 없애 버린다거나 국가가 전면적으로 통제하는 등 극약처방이 나오기는 쉽지 않은 문제이다. 그만큼 민감한 문제이기도 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모든 상황을 한 번에 뒤엎을 수 있는 혁신적인 방법을 제안하기 보다는, 음주에 대한 공적대응 실태의 문제점과 사람의 심리적 본성에 기반하여 몇 가지 제언을 제시하였다. 그 첫 번째가 주취범죄에 보다 적극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개별화 된 법률이 미비하다는 점에 근거하여 음주범죄에 대한 특별법을 도입해, 음주범죄를 일반범죄와 달리 구분하는 인식근거를 마련하고 법집행을 보다 적극적으로 진행하여 음주범죄 행동에 대한 경각심을 제고 하고자 하는 것이며, 두 번째로는 음주가용성이 높은 지역이 주취폭력성 범죄발생률이 높다는 점에 근거하여 주취범죄 발생빈도가 높은 지역에서는 시간이나 사람의 수에 따라 술 판매량을 제한하는 등 위험군 지역에 따라 탄력적‧제한적인 주류판매 제도방안을 검토해보자는 것이며, 세 번 째로는 자신의 행동에 반드시 책임이 따를 경우 다음 행동에 있어 경각심을 갖게 되는 심리적 강제작용에 근거하여, 주취폭력성 범죄에 대하여는 음주운전 3진 아웃제도와 같은 특정한 기준을 만들어 해당 기준을 충족하는 주취폭력성 범죄자들은 48시간 이상의 의무적 보호처분, 즉 구금에 준하는 효과에 처하도록 하고 그 전력에 따라 과태료를 병과하는 등 형벌에 의존하지 않는 행정 강제처분 성격으로서의 제재가 신속‧정확하게 발동되는 시스템을 두자는 것이다. 물론, 위 세 가지 대책들은 어디까지나 사회적인 논의가 전제되어야 할 것이며 이런 논의 과정에서 보다 합리적인 대안이 제시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한 과정을 거치며 과도한 음주 및 음주로 인해 발생되는 많은 범죄 문제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해결되어 우리 사회가 안고 있는 고질적인 문제가 한층 완화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한나 아렌트의 '생각하기'의 정치

        김주만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한나 아렌트는 오늘날 가장 주목받는 정치사상가 중 한 사람이다. 그의 주요 저작들은 이미 현대 정치사상 연구에서 중요하게 읽히고 있으며, 특별히 공공영역(public realm)에서의 ‘행위’(action)나 공통감(common sense)에 근거한 ‘판단’(judgment) 등 아렌트의 주요 개념들은 이미 널리 알려졌다. 또한 전체주의, 유대인 문제, 이야기하기(storytelling)의 방법 등에 관한 아렌트의 연구와 철학자 하이데거와의 지적(혹은 개인적) 연관 등은 많은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왔다. 이렇게 풍부한 아렌트에 대한 연구 중에서, 유독 ‘생각’에 대한 아렌트의 논의는 그다지 중요하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많은 이들은 ‘생각’에 대한 아렌트의 논의를 단순히 ‘철학적인 관심’으로 간주하거나, 매우 제한적인 의미에서 그 정치적 함의를 이끌어 내고 있다.$$a$$a본 논문은 ‘생각’에 대한 아렌트의 특별한 논의(이하 ‘생각하기’로 칭함)가 그의 정치 기획에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한다고 주장한다. ‘생각하기’ 자체는 분명 다수와 함께 하는 정치활동이 아닌 홀로 수행하는 정신활동이지만, 근대 사회에서 ‘정치적’인 의미를 갖는다는 것이 본 논문이 밝히고자 하는 것의 요지이다. 2장의 초반부에서는, 아렌트가 말하는 ‘정치적인 것’을 ‘행위’(action)와 ‘판단’(judgment)이라는 그의 핵심 개념을 중심으로 살펴본다. ‘행위’는 공공영역(public realm)에서만 수행 가능한 활동이며, ‘판단’은 공동체의 공통감(common sense)에 근거한다. 아렌트에게 ‘정치적인 것’이란, ‘행위’와 ‘판단’의 주체들이 다원적인 공동체에서 자신만의 독특한 정체성과 개별성을 드러내는 것을 말한다. 2장의 후반부에서는, 아렌트의 근대 사회 비판을 소개하며 앞서 논의한 아렌트의 ‘정치적인 것’이 근대 사회에서 발현 불가능하다는 점을 밝힌다. 아렌트의 관점에서 볼 때, 근대 사회는 ‘공적인 문화’를 양산하기는커녕 공공영역을 말살하고 공적인 삶의 방식을 소멸하는 특징을 지닌다. 이곳에서 모든 사람은 동질적인 개체로 간주되고, 공동체는 그러한 동질적인 개체의 산술적인 집합이 된다. 아렌트의 근대 사회 비판을 염두에 두었을 때, 근대 사회에서 아렌트 식의 정치활동의 수행을 요청하는 것은 모순된 것처럼 보인다.$$a$$a이러한 인식 하에, 3장에서는 ‘생각하기’에 집중한다. ‘생각’이라는 활동에 대한 기존의 철학적 접근을 먼저 살피게 되는데, 그 까닭은 아렌트의 논의가 이러한 입장에 대한 비판으로 정립되기 때문이다. 전통적인 철학과 형이상학에서는 보통 ‘생각’을 명확한 진리를 향하는 수단적 정신활동으로 개념화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생각’의 본질은 ‘앎’ 혹은 ‘인식’이 된다. 또한 이렇게 개념화 된 좁은 의미의 ‘생각’은 소수의 전문가(철학자 혹은 형이상학자)만이 잘 수행할 수 있는 고차원적인 지적 능력이 된다. 이러한 설명과는 달리, 아렌트가 새롭게 조명하는 ‘생각하기’는 모든 사람이 수행 가능한 독립적인 정신활동이다. ‘생각하기’는 ‘앎’과 ‘인식’을 위한 활동과 달리 진리의 획득을 추구하지 않으며, 어떤 특정한 목적 하에 수단적으로 행해지는 활동이 아니다. 간단히 말해서, ‘생각하기’는 ‘자기’와 ‘자기 자신’ 간의 내면적 대화이다. 대화 즉 말(speech)의 핵심 목적이 이해와 의미 생성이듯이, ‘생각하기’ 역시 의미를 추구한다. ‘생각하기’는 주어진 개념, 관념, 고정된 편견 등 모든 것을 새롭게 돌이켜 보고 의미를 생성하는 과정이다.$$a$$a개인들을 동질적인 개체로 간주하며 그들을 이데올로기나 체계적인 관념의 틀로 포섭하려는 경향이 강한 근대 사회에서, ‘생각하는 개인’이 된다는 것은 스스로 고정된 시스템으로부터 물러서서 그것을 돌이키고 검증해 본다는 것을 의미한다. ‘자기’가 절대적으로 알고 있고, 믿고 있는 모든 것들은 ‘생각하기’가 구성해 내는 내면의 다원성에 의해 상대화 된다. ‘생각하기’는 곧 다원성을 자의식적으로 생성해 내는 것이다. 이에 더하여, ‘생각하는 개인’이 단지 홀로 있음만을 추구하지 않는다는 것이 중요하다. 아렌트가 꼽는 ‘이상적인 생각하는 자’가 소크라테스라는 점을 기억할 필요가 있다. 소크라테스의 대화에서 보는 것처럼, 아렌트의 ‘생각하기’도 특정한 결과를 산출하지 않고 아포리아의 연속을 낳을 수 있다. 아렌트에게 아포리아가 주는 당혹감과 혼란에 대한 대안은 개인의 내면에 특정한 신조(creeds)나 교리(dogmas)를 세우는 것이 아니라 아포리아를 타인과 함께 공유하는 것이다. 여기서 내면의 대화(inner speech)와 실제 대화(speak out)가 상호 연계 된다. 실제 대화라고 해서 최종적인 답변을 보장해 주는 것은 아니지만, 각 관점에서 형성된 의견을 상호 검증할 수 있다. ‘생각하는 개인’은 일률적인 패턴, 획일화 된 관념으로부터 탈피하여 이렇게 의미를 창출하는 존재이다. 결론적으로, ‘생각하기’를 요청하는 것은, 다원성이 파괴된 근대 사회에서 다원성을 개인 차원에서부터 재생성하고자 하는 아렌트의 정치 기획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이 반-정치적인 근대적 조건에서 ‘생각하기’가 가지는 ‘정치적’인 의미이다.$$a$$a Hannah Arendt is one of the most studied political thinkers today. No doubt, her major writings are classics in contemporary political theory. Arendt''s emphasis on political action in public realm and reflective judgment based on common sense are very popular. In addition, Arendt''s works on totalitarianism, Jewish question, the method of storytelling, and her intellectual or personal relationship to Heidegger have increasingly illuminated by her commentators. Among literature on Arendt, however, there is an omission. Her considerations on thinking faculty remained relatively marginal. Many think that her studies on thinking are mere philosophical works, or they get the marginal political implications from those studies.$$a$$aI argue that ?rendt''s notion of thinking?(hereafter thinking) are more than important for her whole political project. My thesis is thinking has very important political relevance to modern society although it is not political activities per se. First of all, in early part of chapter two, I crystallize Arendt''s basic ideas on the political into two concepts. Action which can be operated only in public realm and judgment which is based on common sense of community. With acting and judging, every agent can show one''s unique identity and individuality in plural community. Then, I juxtapose Arendt''s radical critiques of modern society in end of chapter two in order to argue that Arendtian political activities are not possible simply because of Arendtian critiques of modern society. In Arendt''s view, modern society(in her diction) cannot usher public culture. Instead, it assimilates the public realm and destroys the way of the public life. Everyone is regarded as homogeneous individual and every community is just group of these individuals, i. e. mass. Therefore, to insist Arendtian political activities in modern society is not Arendt''s own word lest she is na?ve utopian or self-contradictory thinker.$$a$$aIn chapter three, I focus on thinking. First, I describe the notion of traditional western philosophy and metaphysics on thinking activity. They usually conceptualize thinking as instrumental mental activity which aims for certain truth. In this sense, thinking is mere knowing or cognition. And it is regarded as highly intelligent faculty which only few, such as professional philosophers and metaphysicians can do it well. In contrast, Arendt newly illuminates thinking faculty as independent activity for everyone. Thinking, unlike knowing and cognition, does not desire to obtain truth. It escapes from means-ends chains. In short, thinking is a inner speech(dialogue) between me and myself. Like the main purpose of speech is to understand and to create meaning, what thinking does is just to seek meaning. It unfreezes given concepts, ideas, and fixed prejudices.$$a$$aSince modern society has strong tendency to fit individuals into ideologies or systematic ideas, thinking person withdrawals oneself from fixed system and examines it through inner dialogues. They consciously makes and maintains inner plurality(two-in-one). In addition, thinking person is not just solitary man even though thinking itself is solitary business. In this sense, Socrates is the ideal thinker for Arendt. Like Socrates, Arendtian thinking person has urge to speak out because unending thinking process usually results in aporia. Their solution is ?haring the aporia? together. They meet each other and talk about aporia from each one''s own perspectives. There will be no final answer but they can cross-examine their own opinions. This is the only way to evade dogmatism(absolutism) on the one hand and skepticism(nihilism) on the other at the same time. In conclusion, calling for thinking is political project of Arendt which first re-makes plurality in each individual and then makes them meet each other as different beings. These are political meaning of thinking in anti-political modern condition.$$a$$a

      • AM-FM-TDMB-GPS 수신을 위한 통합형 전장 안테나 제작

        김주만 순천향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paper, a vehicle shark antenna for AM-FM-TDMB-GPS systems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AM antenna that is loaded into small space of shark tail shape was designed by ferrite turn style antenna. For the FM and TDMB antenna, folded helical monopole antenna was applied. For achieving characteristics both bandwidth and gain improvement, GPS antenna was designed by the microstrip patch that has air substrate with fractal structure. FM, TDMB and GPS signal were amplified by each low noise amplifier with proper bandpass filter. Receiving signal strengths by the measurement were presented for the AM, FM and TDMB antenna. AM signal strength was -65.7 dBm, this strength is almost as same conventional pole antenna as -63.4 dBm. It can be replaced conventional pole or glass antenna by the studied antenna. Signal strengths for FM and TDMB were -55.66 and -43.50 dBm at center frequency, they are 5 ~ 10 dB higher than conventional shark antenna. Measurements of bandwidth and gain for the GPS antenna showed 135 MHz under VSWR 2 : 1 and 4.31 dBi, gains over GPS band were 3 ~ 5 dB higher than ceramic patch antenna. 본 논문에서는 AM-FM-TDMB-GPS 수신을 위한 통합형 전장 안테나를 설계하고 기존 상용화된 전장용 안테나와의 수신특성을 비교 분석하였다. AM, FM/TDMB, GPS 수신용 안테나를 각각 설계, 제작하여 샤크 테일 안테나 구조물에 탑재하였다. AM 수신용 안테나는 턴 스타일 이론의 투자율이 높은 페라이트 코어를 이용한 루프 안테나를 제안하였고, FM/TDMB 수신용 안테나는 피치를 달리한 헤리컬을 이용하여 2중 공진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GPS 수신을 위한 안테나는 공기층을 사용한 사다리꼴 패치 안테나를 제안하였다. 제작한 샤크 테일 안테나의 전체 크기는 70 x 164 x 75 mm(폭 x 길이 x 높이)이다. 샤크 테일 안테나의 수신특성 측정 결과 AM 수신용 안테나는 기존의 외장형 폴 안테나에 비해 소형이면서도 수신특성이 거의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FM/TDMB 수신용 안테나는 기존 상용 샤크 테일 안테나 보다 수신특성이 5~10 dB 높게 측정되었다. GPS 수신용 안테나는 세라믹 안테나의 이득보다 3~5 dB 높은 방사이득을 얻었다.

      • 분산 및 병렬 시스템에서 통신 비용과 부하 균등을 고려한 타스크 할당

        김주만 忠南大學校 2003 국내박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we study the static task assignment problem in a distributed computing systems, i.e., given a task composed of a number of interacting modules comprising a distributed program to be executed on a multiple computer system, to which processor should each task module be assigned. The assignment problem deals with the question of assigning task modules to processors so as to minimize the cost of running a program. The cost may be time, money or some other measure of resource usage. We consider two major problems on task assignment in multiple computer systems. The first problem is how to map task modules of a parallel program to a hypercube multicomputer so as to minimize the total communication cost during the execution of the task. The second one is how to minimize inter-processor communication while balancing the processors' load. The first problem, the problem of finding an optimal mapping, has been proven to be NP-complete in its most general version. We first show that the mapping problem in a hypercube multi-computer can be transformed into the problem of finding a set of maximum cutsets on a given task graph using a graph modification technique. We then propose a repeated mapping scheme, based on the heuristic for graph bipartitioning in [11], for the effective mapping of task modules onto the processors of a hypercube multicomputer. The repeated mapping scheme is shown to be highly effective on a number of test task graphs; it increasingly outperforms the greedy and recursive mapping algorithms as the number of processors increase. The proposed algorithm is shown to be very effective for regular graphs, such as hypercube-isomorphic or 'almost' isomorphic graphs and meshes; it finds optimal mappings on almost all the regular task graphs considered. The second problem is much more intractable because of the constraints on load balance. Since these two optimization criteria conflict each other, one has to make a compromise between them according to the given task type. Most of the existing approaches minimize IPC subject to constraints on the degree to which the processors' load are balanced. Since they consider the minimization of IPC as the only objective while using load balancing just as a constraint, it is difficult to make a tradeoff between IPC and load balancing. However, it is desirable to simultaneously balance loads and minimize IPC by making an optimal tradeoff between the two conflicting goals. We therefore propose a new cost function to evaluate static task assignments, explicitly describing the tradeoff between the two goals. The variance statistics of load distribution are used to represent the degree of load balancing among the processors for a gived assignment. Also suggested is a policy which enables the system designer to make a tradeoff between the two goals by systematically adjusting a weighting factor. It is shown that the task-assignment problem can be transformed into the minimum N-cut problem using a graph modification technique. We propose a heuristic algorithm for solving the transformed problem.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approach outperforms an existing representative approach for a variety of task and processing systems.

      • 水處理用 活性炭 製造에 관한 硏究

        金周萬 밀양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에서는 석탄을 이용한 활성탄 제조시 공정특성을 규명하기 위해서 무연탄과 유연탄을 원료로 이용하여 탄화온도와 활성화 조건에 따른 활성탄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고 상업화된 활성탄과 비교함에 목적을 부여하고 연구를 수행하였다. 유연탄과 무연탄을 콜타르 피치로서 혼합하기 위해 스테인레스 통에 150℃의 열을 가하여 일정량의 coal tar pitch를 완전히 녹인후 sieving한 원료인 유연탄과 무연탄의 무게비 1:1로 배합하고 콜타르 피치와 점결수를 첨가하고 적절한 배합비로 균일하게 혼합한 후 지금 5.5mm 성형치구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 혼합하였다. 압출된 성형체를 cutter를 이용하여 길이 10mm인 pellet 형으로 절단하고 건조하여 활성탄을 제조하였다. 유연탄을 사용한 활성탄 제조결과 탄화온도 600℃에서 140분, 활성화온도 90℃에서 200분, 수증기공급량 6ml/min·100g coal의 제조조건에서 요오드가 925mg/g이상, 비표면적 1,034㎡/g이상, 경도 74% 이상의 특성을 갖는 활성탄을 제조 할 수 있었고 무연탄과 유연탄을 혼합한 원료를 사용한 성형 활성탄을 제조한 결과 탄화온도 600℃에서 180분, 활성화온도 950℃에서 210분, 수증기 공급량 6ml/min·100g coal의 제조조건에서 요오드가 1,032mg/g이상, 비표면적 1,084㎡/g이상, 경도 95%이상의 특성을 갖는 혼합 활성탄을 제조할 수 있었다. BET 흡착등온선에서 구한 비표면적은 P사의 활성탄이 가장 크고, Anthracite + Bituminous 및 C사 활성탄, S사 활성탄은 거의 비슷하였으며, 전체적으로 4가지 활성탄의 세공분포를 비교하면 무연탄 및 유연탄을 혼합하여 제조한 활성탄이 세계적으로 상업화된 활성탄에 비하여 흡착특성이 떨어지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었다. 주제어 : 활성탄, 유연탄, 무연탄, 혼합활성탄, 유기물질, 탄화온도, 활성화온도, 요오드가, 비표면적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disclose manufacturing process of activated carbon using coal, it is investigated influences for physical properties of manufactured activated carbon by use anthracite coal, bituminous coal and coal blend with carbonization temperature and activation condition, and compared with commercialized activated carbon. The adsorption capacities of organic matter was superior when ash content was lower, and iodine number was about 1,000mg/g when ash content was 5-10% and decreased rapidly when ash content was over 15%. The result made activated carbon by use coal blend, can made mixed activated carbon have characteristics such as iodine value is over 1,031mg/g, specific surface area is over 1,032㎡/g and harness over 95% under manufacture condition carbonization temperature is 600℃(180 minute), activation temperature 8s 950℃(210 minute) and steam weight 6ml/min·100g coal. The results of BET analysis indicated that specific surface area of P Co. activated carbon was larger than the others, and C Co. activated carbon. S Co. activated carbon and anthracite + bituminous was similar. Therefore, adsorption capacities and breakthrough time of anthracite + bituminous regarded similar to C Co. activated carbon.

      • Multiple antenna system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

        김주만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is thesis, a multiple antenna system for mobile handset application is proposed and implemented. The overall dimensions of the substrate are 48 mm × 108 mm × 0.8 mm, which are suitable for simulating a practical mobile handset. The proposed multiband antenna consists of a PIFA for mobile operation and a MIMO antenna with a decoupling network for WLAN operation. Additional resonance is generated in the 2-GHz band by adding a λ/4 open stub to the PIFA, thus improving the impedance matching characteristics of the antenna. In order to improve the isolation between the PIFA and MIMO antenna elements, each element is placed at the corner of the ground plane. In addition, a decoupling network is added to the feeding line of a shorted monopole antenna element. The measured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ntenna can cover GSM/DCS/PCS/UMTS and WLAN bands, simultaneously. The fabricated antenna has the isolations of about 15 dB at 2 GHz and 5.8 GHz band while over 18 dB at 5.2 GHz band. The peak gains of the two antennas are 5.31 dBi and 4.44 dBi at 2.44 GHz band, 5.55 dBi and 4.92 dBi at the 5.25 GHz band, respectively. The ECC of the two antennas is maintained below 0.05 over the entire frequency bands of interest. Experimental results show that the proposed antenna can be used in future wireless applications such as mobile handsets and smartphon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