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열린 敎育의 實態 및 改善方案에 관한 硏究

        손병기 建國大學校 社會科學大學院 199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has researched in the theoretical concept of the open education through literatures and analyzed the effect and problem of the school practicing the open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researching the improvement step for the diffusion of the open edcation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At the school practicing the open education First : Respect the difference of individual capacity and develop diverse learning activities through self-study Second : Learn at the liberal and abundant atmosphere by supplying various data Third : Investigate the interesting subjects according to the interests and talents Fourth : Minimize the fixed and detailed curriculum and manage it integratively and extensivcly Improvement step for the diffusion of the open education to the traditional schools is as follows ; First, The proper concept of the open education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iffusion of the effect on the open education to the traditional schools Second, Teachers should teach with a firm faith on the open education Third, Improve the system of classroom management and develop and supply the diverse learning material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open education Fourth, Parents' reform of consciousness on the open education should be done and the improvement of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evaluation method should be carried out together It would say that the open education will succeed when many teachers dedicate their efforts and sacrifices to the students without regarding the teaching job as laborious, troublesome and wasting-time things

      • 조세소송에 있어서 증명책임과 증명의 정도

        손병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639

        과세관청의 위법한 조세부과처분과 징수에 의하여 국민의 재산권이 침해된 경우 국민의 기본권 보호를 위해 입법·행정·사법적 통제, 여론에 의한 통제 등이 필요한데 그 중 최종적이고도 실효적인 통제는 사법적 통제 특히 조세소송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조세소송의 경우 과세관청과 납세의무자는 소송에서 승소하기위하여 여러 사실을 주장하고 증거를 제시하는 등 증명활동을 하게 된다.조세소송에서 증명과 관련하여 요증사실의 존부와 진위가 밝혀지지 아니한 경우 그 불이익을 누구에게 부담시킬 것인가라는 증명책임의 문제와 어느 정도 증명이 있으면 증명되었다고 볼 것인가 하는 증명의 정도의 문제가 제기되고 소송과정에서 누가 주로 증명활동을 하여야 하는 것인가 문제된다.요증사실의 증명이라는 측면에서 볼 때 과세요건사실에 대한 대부분의 자료를 지배하고 있는 납세의무자에 대하여 과세관청이 직접 체험하지 않은 영역에 대하여 계속적, 반복적, 대량적으로 과세처분을 하여야 하는 특징이 있으므로 과세관청이 부담하는 증명의 정도를 완화시키고, 모든 증거를 지배하고 있는 납세의무자로 하여금 반증을 하도록 하는 것이 조세행정의 실효성과 조세의 중요성, 공평의 원칙에 부합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조세법률주의와 헌법상 국민의 재산권 보장의 측면에서 일정한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조세법은 조세법률주의에 입각하여 공평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나아가 국가의 재정수입확보와 납세자의 권리보호라는 두 명제를 동시에 달성하여야 할 사명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따라서 공평의 원칙에 부합하는 법률요건분류설에 따라 원칙적으로 조세채권의 요건사실은 과세관청이 증명책임을 부담하고, 예외적으로 조세채무를 조각, 소멸시키는 사실은 납세의무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한다. 그리고 법률상 추정이 되는 경우 그 반대사실은 납세자가 증명책임을 부담한다.조세소송에서의 증명도는 일반 민사소송, 행정소송과 마찬가지로 법관이 확신을 가질 정도의 심증을 형성할 것을 요한다. 다만 조세법률관계는 대량적·반복적으로 일어나고 과세자료의 대부분이 납세의무자가 지배하는 생활영역에 있으므로 과세관청의 증명이 상대적으로 쉽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여 증명의 정도를 완화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필요경비 등의 과세요건사실에 관하여 어떤 간접사실을 증명하면 요건사실이 존재한다는 일응의 추정을 할 수 있고 납세자는 일응의 추정을 복멸시키기 위하여 반대사실을 증명하여야 한다.그러나 조세법률관계는 국가가 공권력을 발동할 수 있는 우월적 지위에 있고 법치행정과 조세법률주의가 적용되는 특수성이 있으므로 공평의 원칙에 입각하여 증명책임의 완화·감경에는 반드시 일정한 한계가 있어야 한다. 우리 대법원 판례도 구체적 사안마다 공평의 원칙에 근거하여 증명도가 완화되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도 있고, 조세법률주의에 근거하여 조세법규가 규정하는 불확정개념을 이루는 사실에 관하여 엄격한 증명도가 요구되는 경우로 판단한 경우도 있다.조세소송에 있어서 증명의 정도는 일반 민사소송이나 행정소송에서처럼 엄격한 증명을 원칙으로 하되 개별적·구체적 사건에서는 예외적으로 증명의 정도를 완화 내지 경감하여야한다. 그리고 조세소송 당사자들의 증명활동에 예측가능성을 부여하여 법적안정성을 기하기 위하여 개별 과세요건에 관한 증명도의 유형화가 필요하고 이와 관련하여 대법원 판례의 유형화 작업이 필요할 것이다.

      • 和齋 卞相壁의 繪畵 硏究

        손병기 충북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thesis aims for the better understanding of painting in the late Joseon period through the study of Byeon Sangbyeok(卞相璧)'s life and paintings. Byeon Sangbyeok(卞相璧)'s life was recorded in Jeong Geugsun(鄭克淳)'s writings Yeongnoiyugo(淵雷遺稿). Chapter Ⅱ examines Byeon Sangbyeok's personal life. His family history and his relationship with his contemporaries are illuminated through Yeongnoiyugo and other literary evidence. In Chapter Ⅲ, Byeon's paintings are classified into two subjet: portrait paintings and bird-and-animal paintings. This chapter examines the stylistic relation of Byeon's painting with early painters. Byeon's portrait painting style was formed through the study of early and contemporary court painter's works. Byeon's bird-and-animal painting style was formed through the study of drawing and manuals of painting such as The Mustard Seed Garden Manual of Pinting(芥子園畫傳). Chapter Ⅳ examines the stylistic character of Byeon's extant works. From this study the describe relation of Byeon's portrait paintings, bird-and-animal paintings and his contribution to the late Joseon bird-and-animal painting will be clarified.

      •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연구 :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환경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병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국문초록> 공동주택 단지 내 환경조형물 설계의 경향성 연구 대구시 달서구 S아파트 조형물 설계를 중심으로 손 병 기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환경설계학과 도시 및 조경설계 전공 지도교수 박 찬 용 건축은 단지 현실적 공간으로만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정서적인 부분이 통합적으로 작용하여 새로운 공간을 만들어 내는 것임을 말한다. 환경조형물은 공간, 건축물, 심리적 요소 속에서 공간의 질을 높이는 매우 중요한 요인이다. 환경조형예술품은 분리되어 건축의 형태를 단순히 장식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 아니라 건축과 통합하여 공간의 창출내지는 기능의 완성을 이루는 것이다. 환경조형물은 건축의 의미로 뿐만 아니라 심리적 측면에서도 인간에게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공간의 의미와 역할을 바꾸고, 공간의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공동주택의 개인성에 대한 문제는 공동주택이 시작된 이래로 논란의 대상이 되어왔다. 외부공동공간의 설계는 공동주택의 교류단절 이라는 단점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그 대안은 단지 그 자리에 있는 조형물이라거나 공간을 장식하기 위한 조형물이 아니라 공간의 성질을 대표하고 만들어가며 공간의 의미를 주민들에게 전달하고 그들의 일상을 변화 시키는 역할을 하는 조형물을 만듦으로서 조형의 형식적 물리적 의미뿐 아니라 예술적 인간적 심리적인 가치에 접근하여 보다 적극적으로 주민들의 삶을 이끌어 갈 수 있는 조형물의 설계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대상지로 대구시 달서구 공동주택을 선정하여 주거단지 내 환경조형물의 일반적 현황과 조형물 유형 주변 환경과의 조화, 조형물의 형태, 재료, 색채, 규모 등을 분석한 뒤 이러한 조형물의 기본적 의미를 고려하여 커뮤니티와 사회 심리적 의미로 공간의 특징에 맞게 작품을 설계 하였다. 사례 대상지에 연구의 목적과 방법에 맞는 환경조형물을 설계함으로써 공동주택에 적합한 환경조형물의 성격, 설치방향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환경조형물의 역사, 기능, 법안 등을 연구하였고 대안 설계 대상지를 선정하기 위해 대구시 환경조형물의 경향을 사례 조사 하였다. 조사결과는 법안상의 문제, 행정상의 문제, 건설사 위주의 작품 선정, 의무 비용과 법안에 맞추기 위한 억지공사, 예술가의 자질 등의 문제가 있었다. 사례 조사는 2003년 이후 건설된 대구광역시 공동주택의 환경조형물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그 결과로 달서구의 S아파트를 선정하였다. 연구조사 후 나타난 문제들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선정된 대상지의 현황과 배치도, 공간 분석에 따른 조형물의 재료, 색상, 형태, 규모를 제시하고 조형물의 컨셉과 테마, 조형물의 전통적 의미와 유래를 반영한 시공방법과 도면을 여러 측면으로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의 결과는 기존의 설계방식에 비해 심리적인 소통의 의미를 계획함으로써 보다 더 적극적인 의미의 조형물과 공간을 만들 수 있었다는 것이다. 설치에 급급한 현 조형물들의 상황을 앞서 주도할 수 있는 조형물을 설계하였으며 이로서 공동주택의 단점을 보완하고 주민들의 삶의 질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지역사회를 윤택하게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다시 현 시대는 환경 친화적이며 공동체적인 삶으로 가고 있다. 그에 따라 정신적인 풍요로움을 요구하며 삶의 질에 관한 문제가 공동의 과제가 되었다. 주거환경에 있어서도 아름다움, 미관은 절대적으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아름다운 미관의 조성은 삶의 질을 향상 시킬 뿐 아니라 공간의 매력을 향상시켜 그 공간을 즐기게 함으로써 생활을 활성화 시키는 힘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환경조형물은 단순히 기념비적, 상징적인 소극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 문화 창출이라는 적극적인 의미로 거듭나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에 따른 제도 개선 역시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공동의 공간을 만드는 일은 결국 삶을 디자인 하는 일일 것이다. 본 연구는 대구시의 2003년 이후 공동주택을 대상으로 하였고 대상지는 달서구의 S 아파트 이므로 본 연구의 결과를 전체 환경조형물의 영향에 적용 시키는 데에는 일반화에 따른 문제가 있을 수 있을 것이다. 앞으로 더 많은 작품 위주의 실 사례적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또한 공공의 미술에 대한 광의의 연구가 아닌 실제 공동 주거공간의 한 사례만을 대상으로 언급하였다. 단지 주거단지 안에서 공유되는 조형물로서 만이 아니라 담장 허물기 사업과 같이 지역주민들과 단지 내 조형물을 공유할 수 있는 범위로 확대된 연구를 제안한다. MS. Thesis A Study on Tendency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Design in Multi-Housing Complex -Centering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S Apartment, DalSeo-gu, DaeGu- Son, Byung-Ki Majoring in Urban Landscape Design Department of Environmental Design Graduate School of Environmental Health, YoungNam University (Supervised by Professor Park, Chan-Yong) (Abstract) The architecture is not just existence of real space but is creation of new space that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art is interactively reflected.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is very important factor for raising the quality of space in space, structure, and psychological part. The environmental plastic art product is not just for ornamenting shape of structure separately but is for creating new space or completing the function in integrative way.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affects people not only in structural meaning but also psychological aspects, and it can change meaning and role of the space and create a new meaning for it. The problem about individuality of multi-housing has been thought as controversial since the start of multi-housing. The group-space is one of the result that came out through the effort to overcome disconnection between residents. The alternative can be suggested when structure can give meaning of space to residents and take a role as changing people's life so that it can provide artistic, humane, and psychologic effect on people. Then it will actively lead residents' life. This research chose multi-housing complex in DalSeo-gu, DaeGu, and analyzed general status, shape, material, color, scale etc.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in the complex. Then based on these basic meaning of the structure, I design the product to be appropriate for features of community and social-psychological meaning. I intended to suggest features, installation guide, etc. that are decent for multi-housing complex by designing structure that harmonizes with goal and method of this research. For this, I researched history, function, bill of environmental shape object, and case-studied the trend of structures in DaeGu to select the alternative designing area. Through the research, I found some problems in bill, administration, construction investor oriented structure, forced construction to fit cost and bill, ability of architect. The object of study is environmental shape object that is constructed after 2003 and as a result S apartment in DalSeo-gu has been selected. To minimize the problem that can appear as result of the research, I suggested status, layout drawing of the area and material, color, shape, scale of the structure. Also, the construction method and sketch that reflects traditional meaning and origin is provided. The result we got from this research is that we could make more active meaning of structure and space through planning more psychological connection than existing designing method. I design the structure that can lead existing structures so that weak point of multi-housing complex can be overcome and quality of life can be raise. Eventually, local community will prosper. The present age is wanting environmental friendly and communal life. Therefore, it demands spiritual richness, and the quality of life has became a problem of all. Beauty takes important role in residential environment. Making beautiful sights makes better quality of life and has a force to vitalize life by have people enjoy charming space. So the environmental shape object should not stay in its monumental, symbolistic, passive meaning but reborn as active meaning of creation of new space and culture. And the institutional improvement has to be carried out. To make common space is to design life. This research might have problem to be generalized because it is only related to multi-housing complex that has constructed after 2003 and the case object was S apartment in DalSeo-gu. So the more case study is needed in the future. Also, this research is just about one actual multi-housing complex, not broad sense of public art. I suggest that we should not limited to structure that is shared in complex but broaden our research to structure that can be shared with local residents such as 'breaking down the fence' project.

      • 利益圖表의 活用方案에 관한 硏究

        손병기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1 국내석사

        RANK : 248639

        Ⅰ. INTRODUCTION Enterprises, undergoing industrial fluctuation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has become to request an adequate and new management technique for the economical situation of the time. According to the request of the times, the profit graph has been utilized for actual industrial societies as general management tools of enterprise and also a certain analysis technique. Since such existing profit graph was depicted under the various precondition,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became so unified that the actual utility is limited to a part.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utilizing method of the various profit graph to be adequate t the each purpose of profit management. Expecially in the management accounting, the actual utilizing method is being attempted to present through theorical study. Ⅱ. THE BASIC CONCEPTS OF PROFIT GRAPH 1. Definition of Profit Graph In the management of enterprise, the profit graph is defined as a tool to be analyzed for utilization of various managements according t the form of graphical representation for the information in relation to the profit. That is, (1) For the purpose of profit management (2) In conducting profit analysis (3) In relation to profit (4) The form of graphical representation. Firstly, the profit management means the conduction of management of enterprise by planning and control all the profit factors of the enterprise os that the established profit may be achieved efficiently. As a result, it involves the contents of profit planning and control. Secondly, profit analysis is not only meaning the static analysis of profit in C.V.P. analysis or C.V.P.I. analysis, but also involving dynamic analysis of profit. Thirdly, the profit that is to be considered in this analysis for the purpose of profit management should not be the net profit which is to be computed finally deducting all the expenses from the income, but the contribution profit which was computed to be adequately for the purpose of management of each stage dividing the expenses gradually according to the character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Forthly, the graphical representation depicts the related informations on profit on the graph, and generally orthogonal coordinates are mostly used. Especially the line-forms that are represented on the grap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2. The profit and profit change factor to be presented on the profit graph For the C.V.P. analysis and C.V.P.I. analysis, as a direct change factors which gives influence to profit, limiting to sale price, production mix, volume, variable cost, fixed cost, and capitals, these are represented on the graph. But the independent variable on the profit graph should not be limited to only sale or expenses but necessary to be of variety. And in order to use the profit graph for the purpose of each profit management adequately, the character of the profit which are represented on the profit graph should be taken into consideration. Ⅲ. UTILIZING METHOD OF THE PROFIT GRAPH As mentioned above, through the careful view of the various factor that are related to the profit graph, the utilizing method of the profit graph may be presented as follows. 1. The break-even point of one point on he existing straight lined profit graph should not be represented but should be utilized for the purpose of profit management by representing various break-even point gradually. That is, not only the break-even point of the current term, but also the operating profitless point, the business profit point as the compensation point of financial expenses excluding interest to be paid, the crisis point that compensate even for the interest to be paid, the danger point that enables the dividend of preferred stocks, the unhealthy point that enables dividend of common stocks, the dead point that enables the capital profit rate of the lowest maintaining, the budget point that represents the current budget, the budget point that represents the cash income and out-go and also the added value break-even point that represents the social contribution degree of the enterprise should be represented on one graph. 2. In order to represent C.V.P.I. relationships dynamically according to change of all the factors not depicting statically the C.V.P.I. relationships of enterprise at a certain point, the curve line profit chart should be used. For this purpose, by dividing individually the business precondition of the profit grapt, it should be used as a variable. 3. It is the method to use as the profit chart to represent the C.V.P.I. relationships of enterprise according to analysis of L.P. Because, in the event there is various restrictions in the establishment of profit planning, the profit chart in L.P. analysis is the most effective. 4. In order to study profitability of enterprise, the existing capital profit graph should be improved and used. That is, by representing the break-even point and the capital profit graph on the same graph, the quantity analysis and ratio analysis should be shown to be of mutual relation. 5. In order to manage segment performance, the kinked line profit chart that can be represented business results of operating division on the one graph should be used. Especially, for the management of operating division by step, it is recommendable to use the kinked line profit chart that represents contribution profit by step. 6. In order to decide and select the replacement plan in the project profit planning, the incremental profit chart should be used. Because, the differential analysis of the replacement plan can be clearly visioned through the incremental profit chart that represents the marginal revenue and expense on the graph. Ⅳ. CONCLUSION As mentioned as above, in order to utilize the profit graph reasonablly, a general study in the following points should be conducted. Firstly, review of profit character that is representing on the profit graph. Secondly, variety of the profit change factor on the profit graph. Thirdly, reviewing the line-forms for the purpose of profit management. Especially, the use of capital profit graph which is combined with straight lined profit graph and curve line profit graph is expected to be the problem of study in the future.

      • 생명보험회사의 한계세율이 변액보험특별계정의 유가증권매매에 미치는 영향

        손병기 강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39

        Variable insurance separate account held by life insurers can be said to be a sort of trust fund of the policyholders, but its occurring income in variable insurance, as an exception of taxation on trust fund are added intogeneral account of life insurance company before being taxed, so profit and loss occurring in transaction is considered as taxable income, but profit and loss on valuation is treated as unrealized profit and loss and not taxed. Such corporate tax system creates an opportunity for life insurers to adjust transaction timing of trading securities, a major investment under separate account of variable insurance, to lesson burden on corporate tax on their general account. But the problem here is that there arises a possible conflict of interest among variable policy holders.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whether or not adjustment of transaction timing of trading securities under separate account of variable insurance depending on change in marginal tax rate and taxable income creates a possibility of the conflict of interest among investors (i.e. variable insurance policyholders), with substantial evidence. To do this, the study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all life insurers operating in Korea from the period of 2003 – 2007. Summary of the study results is as follows. First, the univariate analysis t-test showed that life insurers with higher marginal tax rate (when deficit carried over remains) saw meaningful changes in an average discretionary profit and loss ratio on valuation of trading securities at the year-end variable separate account. Second, the regression analysis found that marginal tax rate of life insurers (whether or not they have deficit carried over) significantly affected discretionary profit and loss ratio on valuation of trading securities at the year-end variable separate account. Third, the regression analysis result did not find evidence that growth in fiscal income has a meaningful impact on discretionary profit and loss ratio on valuation at the year-end variable separate account. However, the study assumes that that outcome was due to a possible error in the research methodology. Taking all these into consideration, life insurers make timing adjustment for trading securities transaction, a major investment under variable insurance separate account, to reduce their corporate tax burden on general account. But it does not necessarily mean that such adjustments made by life insurers directly lead to creation of a conflict of interest among variable insurance policyholders. At least, the study found that there is a possibility for it. In the meantime, this study has limitations as follows. First, number of this study sample is just 85,although it surveyed all life insurers operating in Korea from the period of 2003 – 2007, which can affect reliability of the study. However not enough the number of samples may be, the study targeted all life insurers in the Korean market for the period when sales of variable insurance have activated, so the research had inevitably go on. Second, the study failed to find significant evidence that shows growth in taxable income affects timing of transaction of trading securities under variable insurance separate account. It might be because of incomparability of change in taxable income and fiscal income, which should be dealt with possibly in next research. Third, the study presumed that life insurers with fiscal income growth,but no carried-over deficit have higher marginal tax rate. In the meantime, Grahan (1996a, 1996b) and Jong Kwon, Ko (2002) assumed that the past time-series taxable income follows randomwalk model with trend component, and used taxable income forecast of the next 5 years in simulation to measure marginal tax rate. If this study used this sophisticated methodology for obtaining marginal tax rate, it could increase its reliability furthermore. Fourth, the research and survey of this study was conducted when many life insurers had their deficit carried over deducted for their corporate tax income. Therefore, these companies could have made more active selective transactions for variable insurance securities than those with deficit carried over in tax deduction period. However, the study looks into impact of deficit carried over on transaction of variable insurance securities only as the study could not obtain many samples. The study results could be more interesting and compelling when it draws on many samples and surveys.

      • 아연도금 후 후처리(화성처리)변화에 따른 전착도막 부식에 대한 연구

        손병기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39

        자동차의 차체 뿐만 아니라 자동차부품에도 전착도장의 쓰임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자동차부품 소재에 따라 인산염 피막이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인산염 피막의 상태에 따라 전착도장의 영향을 연구하였다. CR강판에 전기 아연도금을 한 소재, GA강판, GI강판에 따라 인산염 피막을 시간과 온도에 따른 실험을 하였고 이후 전착 도장하여 염수분무실험을 하였다. 동일한 인산염피막 액 조건상에서 각 소재를 실험한 결과 CR강판에 전기 아연도금의 소재가 가장 우수한 피막을 형성하였다. 인산염피막은 50℃, 3min에 가장 고르고 치밀한 피막 입자가 나타났다. GA, 아연도금 소재는 hopeite 결정구조를 가지며, 전체적으로 고르게 피막이 형성되었지만 GI강판의 경우는 Phosphophyllite 결정구조를 형성하여 장방형 입자를 가진다. 염수분무실험의 결과 피막이 조밀하고 고른 소재들이 그렇지 못한 소재들에 비해 내식성이 우수하게 나타났다. 이는 인산염 피막의 형성이 치밀할수록 전착도장과의 밀착성이 좋아져서 제품의 내식성을 좋게 만든다.

      •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

        손병기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과 집단응집력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연구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인수 합병된 C기업의 구성원 430명을 대상으로 온/오프라인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총 316부의 설문지를 유효 자료로 활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고 요인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상의 분석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실증적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요인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피드백, 리더십 순으로 집단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참여적 의사결정과 개인개발은 집단응집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과제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변인 중 공유된 비전과 협력, 리더십 순으로 과제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은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사회응집력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조직학습 역량구축요인의 하위 변인 중 피드백, 공유된 비전과 협력 순으로 사회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기반으로 결론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은 강화된다. 둘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과제응집력이 강화된다. 셋째, 인수 합병된 C기업의 조직학습 역량을 향상시키면 집단응집력의 하위변인인 사회응집력이 강화된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의해 본 연구는 인수 합병된 C기업에 몇 가지 실천적 함의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and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a survey was conducted of 430 employees in C corporations, and finally 316 valid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PSS 18.0(Korean version) was used to analyze collected data. Factor analyses, correlation analyses,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used to address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group cohesion. Secon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task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Third,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in merged C corporations had sta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social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the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Second, the task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Third, the social cohesion which is a sub󰠏variable of group cohesion in merged C corporations can be enhanced by organizational learning capacity. Finally, this study suggested some practical implications for the merged C corporations.

      • 평생교육기관 구성원이 인식한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 팀 학습 행동, 집단효능감,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 분석

        손병기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평생교육기관 구성원이 인식한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과 구성원의 팀 학습 행동, 집단효능감, 비판적 성찰업무행동 간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공 평생교육기관인 국가‧시‧도 평생교육진흥원, 지자체(시‧군‧구) 평생학습관 및 평생교육팀을 대상으로 설정하고 편의표집 방법을 활용한 설문조사 방식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35부의 설문 응답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이 중 대상 기관에 맞지 않거나 불성실하게 응답한 32부를 제외하고 40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수집된 설문자료를 분석하기 위해 SPSS 23.0,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 변인의 기술통계, 변인들 사이의 상관관계,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고, 구조모형 검증을 수행하였다. 분석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 구성원이 인식한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팀 학습 행동, 집단효능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평생교육기관 구성원이 인식한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은 구성원의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팀 학습 행동은 집단효능감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하며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넷째, 구성원의 집단효능감은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참여적 리더십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의 관계에서 팀 학습 행동과 집단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간접효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팀 학습 행동과 집단효능감은 참여적 리더십과 비판적 성찰업무행동 간의 관계를 완전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여섯째, 참여적 리더십이 매개변인인 팀 학습 행동과 집단효능감을 순차적으로 거쳐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이중 매개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된 이론적 시사점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본 연구는 참여적 리더십과 팀 학습 행동, 집단효능감, 비판적 성찰업무행동의 구조적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였다. 둘째, 참여적 리더십과 결과 변인을 설명하는 메커니즘으로 사회인지이론과 조직학습이론의 관점에서 학습 메커니즘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셋째, 과정적 관점에서 접근하는 팀 학습 행동의 선행요인과 팀 학습에 영향을 받는 결과변인을 실증적으로 검증함으로써 팀 학습 행동 연구를 확장하였다. 넷째, 국내 평생교육기관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이 팀 구성원의 학습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여 국내 평생교육기관 리더십 연구를 확장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를 토대로 제시한 실천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기관의 수평적 조직문화 조성을 위해 팀장을 중심으로 팀 전체가 함께하는 학습이라는 관점에서 팀원들 모두가 의견을 공유하고 업무 개선에 대해 피드백을 해주는 방식의 팀 학습 및 학습조직 활동을 촉진할 필요가 있다. 둘째, 팀장의 참여적 리더십 역량과 직무역량을 높이기 위한 개인, 기관, 시도 평생교육진흥원 차원에서 교육과정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셋째, 공공 평생교육기관 구성원들은 평생교육 현장에서 비판적 성찰을 통해 평생교육 담당자로서의 정체성과 전문성을 높이고 최적의 업무방식을 찾고자 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이를 위해 평생교육 종사자 보수교육과 평생교육사 자격 과정의 실습을 비판적 성찰 역량을 함양할 수 있는 내용으로 마련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he team leader's participative leadership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and the team learning behavior, collective efficacy,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of the member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the NILE and provincial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local government lifelong learning centers, and lifelong education teams were set as an object of study. A total of 435 responses were collected. Responses of 403 were used for analysis. Responses of 32 were excluded due to insincere responses and inconsistency with the target institutions. To analyze the collected questionnaire data, descriptive statistics of variables,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model were verified using SPSS 23.0 and AMOS 23.0 statistical programs. The research findings derived from the analysi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perceived by the members of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team learning behavior and the collective efficacy of the members. Second,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of the team leader perceived by the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members showe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on the members'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Third, the team learning behavior was confirm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positive effect on the collective efficacy and the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Fourth, the collective efficacy of members was showed to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Fifth,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the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rect effect on the team learning behavior and the collective efficacy. Therefore, team learning behavior and the collective efficacy each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variables. Sixth, team learning behavior and group efficacy sequential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m leader's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Therefore, the double mediating effect of team learning behavior and group efficacy was verified empirically. Based on the findings, theoretical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participative leadership, team learning behavior, group efficacy, and critically reflective work behavior. Second, the learning mechanism was empirically confirmed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cognitive theory and organizational learning theory as a mechanism to explain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dependent variables. Third, the research on team learning behavior was expanded by empirically verifying the antecedent variable of team learning behavior approached from a process point of view and the dependent variables affected by team learning. Fourth, it is meaningful in that it expanded the leadership research of domest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by empirically analyzing the effects of the participative leadership of team leaders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on the behavior of members. The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ed based on the results deriv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foster a horizontal organizational culture of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from the perspective of learning together with the team leader as the whole team, it is necessary to promote team learning and learning organiz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 curriculum at the level of provincial institutes for lifelong education to enhance the team leader's participative leadership and job competency. Third, members of public lifelong education institutes should make efforts to improve their identity and professionalism as lifelong educators through critical reflection in the field of lifelong education, and to find optimal practice.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develop contents that can improve critical reflection through the recurrent training of lifelong educators and the practice of the qualification course for lifelong educators.

      • 미쉘 푸코(M. Foucault)의 주체화 이론 연구

        손병기 한국교원대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셸 푸코(M. Foucault)의 주체화(主體化) 이론의 특징을 고찰하고, 그의 주체화 이론이 현재의 윤리교육에 대해 지니는 윤리교육적 의의를 도출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윤리적 인간의 양성’은 윤리교육이 지향하는 본질적 목표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윤리적 인간은 ‘윤리적 가치와의 적절한 관계 속에서 이를 인식하는 인지적 능력, 타인을 배려하고 공감하는 정의적 능력, 그리고 윤리적 가치를 자신의 행동 의지에 따라 윤리적 실천으로 승화시키는 행동적 능력이 조화를 이룬 존재’로 상정된다. 또한 윤리적 인간은 ‘자기 자신’을 윤리적 행위의 주체로 완성시킨 인간을 뜻하기도 한다. 이 때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는 자신의 윤리적 완성과 더불어 타인과 더불어 사는 윤리적 실천까지도 행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주체(主體)이다. 따라서 이러한 윤리적 주체로서의 인간을 길러내는 것이 윤리교육의 본질적 목표임을 감안한다면 인간이 윤리적 존재로 완성되는 주체화 과정에 대한 연구는 윤리교육학의 측면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미셸 푸코의 주체화 이론에 대한 내용을 고찰함으로서 위 문제에 대한 유의미한 답을 도출해보고자 하였다. 미셸 푸코는 권력(pouvoir)과 지식(savoir) 개념의 의미와 특징을 치밀하게 분석한 후 인간이 권력 관계에 갇혀 있으며, 이러한 권력 관계가 인간의 주체화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밝혀내었다. 또한 그는 지식을 권력의 의도가 반영된 것으로 보아, 지식이 권력관계와 독립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권력과의 밀접한 관계 아래에서 권력의 의도에 의해 활용되는 것이라고 보았다. 그래서 그는 이러한 권력과 지식 개념의 속성에 근거하여 주체화를 ‘능동-주체화(auto-subjectivation)’와 ‘타동-주체화(trans-subjectivation)’의 두 가지 의미로 구분하고, 서양 중세 시기 이후의 인간이 그 시기에 따라 모습은 다르지만 ‘타동-주체화’의 형식에 의해 일률적으로 주체화되어 왔다는 것을 밝혀낸다. 또한 푸코는 중세 기독교 시기 이후의 인간이 ‘타동-주체화’라는 보편적이고 일률적인 방식에 의해 주체화된 것에 의문을 품고, 인간이 고대 그리스․헬레니즘 시기의 윤리적 실천을 탐구함으로서 인간이 능동-주체화의 방식을 통해 주체로서 형성되는 과정을 밝혀낸다. 푸코는 고대 그리스․헬레니즘 시기의 윤리적 실천인 ‘자기 배려(epimeleia heautou)’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이 윤리적 가치와의 관계 맺었음을 설명한다. 그리고 그는 타인에 의한 권력 작용에 대해 ‘인간이 저항하는 방식’ 또는 ‘자신의 내부에서 추동된 자기 자신에 대한 지배력이 확립된 상태’로서 자유의 의미를 설명하고, 자기 배려가 바로 이러한 자유의 실현을 위해 실천되었음을 강조한다. 또한 그는 이 시기의 윤리적 실천이 자기 자신에 의해 활용되는 모든 것에 대한 요체(要體)인 ‘영혼(Ame)’을 인식하는 ‘자기 인식(connaissance de soi)’, 자기 자신에게 생기는 과도한 쾌락을 절제할 수 있는 생활의 태도를 내면화하는 ‘양생술(養生術, diététique)’, 인생을 항구적인 시련의 과정으로 보아 시련을 극복하는 경험을 축적함으로서 시련으로부터 생기는 부정적인 감정들로부터 자기 자신의 평정심을 보호하는 자기 수련의 형식 등으로 실천되었음을 설명한다. 위와 같은 푸코의 설명은 윤리교육의 주요한 대상이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이어야 하며, 이때의 ‘자기 자신’은 인간의 생각과 행위를 주관하고 제어하는 주요한 요체로서 자신의 감정과 생각 등의 상태에 따라 타인에 대한 윤리적 행위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존재를 뜻하는 것임을 잘 보여준다. 따라서 윤리교사는 학생들이 스스로를 ‘윤리적 행위의 당사자’로 인식할 수 있게끔 그들이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에 대해 적극적인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또한 푸코가 설명한 자유의 의미를 바탕으로 윤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외부에 존재하는 윤리규범을 타율적으로 수용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자신의 윤리적 선택과 판단에 따라 외부의 윤리규범을 자율적으로 지킬 것을 결단하고 실천할 수 있도록 격려해야 한다. 더불어 푸코가 설명한 자기 수련으로서의 삶은 입시 위주의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현재의 교육 상황과 비교하면 맞지 않는 부분이 존재하지만, 이것이 윤리교육의 본질적인 목적을 지향하는 측면에서 의의가 있고, 우리의 역사에서도 윤리적 선각자들에 의한 수양과 수행의 문화가 있으며, 윤리 교과가 인간의 태도와 가치관의 형성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특수한 성격을 지닌 교과라는 점을 인식한다면, 자기 수련으로서의 삶을 학생들에게 강조하는 것은 윤리교육이 감당해야 할 마땅한 책임이라 볼 수 있다. 또한 학생들에게 자기 수련으로서의 윤리적 삶을 강조하기 위해 윤리 수업의 방법적 변화와 학생들을 둘러싸고 있는 윤리적 환경의 변화, 특히 푸코가 설명한 ‘스승과 제자 간의 진실한 말하기’를 뜻하는 parrhêsia 등이 학생들로 하여금 자기 수련으로서의 삶을 결단하게 만들 수 있는 좋은 계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윤리교육의 본질적 목표가 학교 현장에서 실현되기 위해서는 교수기법의 측면에서 학생들을 윤리 수업에 더욱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만들 수 있는 다양한 아이디어의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