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태극문양을 응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윤근희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87

        21세기의 새로운 화두(話頭)는 환경과 문화이다. 이중 환경이 순수과학이나 응용과학의 발전과 직결되어 있다면 문화는 예술과 우리 생활환경의 변화와 연관을 가진다. 세계에서 문화의 주류가 되는 것은 미래의 정신적이고 또한 물질적인 풍요로운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이 때문에 전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자국의 문화를 홍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문화의 힘을 통해 전 세계와 소통하고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문화상품을 만드는데 있어 토산품이나 관광 상품도 필요하지만 직접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요한 제품들, 인테리어 용품이나 손쉽게 접하는 여러 제품 등에서 전통적인 디자인을 접목하는 것은 우리의 디자인을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이다. 태극기와 태극은 국기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적 표상으로 이를 발전시키고 생활 속에서 가다듬는 일은 현재 가장 시급한 일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 여기에 있다. 이 논문의 본문 첫 장은 태극(太極)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기술하여 무극(無極)으로서의 태극이 가진 의미와 태극이 음양(陰陽)으로 분화된 이태극(二太極)에 대해 논의하여 태극이 가진 가치를 가늠하였다. 무극으로서의 태극은 신적인 영역이요 무의 세계이고 쉽게 말해 마음의 영역이라고 한다면 음양으로 분화된 이태극은 마음이 형상을 만들어낸 것을 뜻하는 것으로 물질적 영역을 상징한다. 이러한 태극의 사상은 우리가 단순히 보아온 태극의 형상에서도 드러난다. 중심의 이태극은 음 양을 나타내고 사괘는 사계절과 더불어 사방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극을 연구하는 것은 동양사상의 핵심을 한눈에 지켜보는 것과 같다. 태극을 먼저 디자인 모티브로 하고 조명을 작품 제작의 아이템으로 결정 하였는데 이는 우선 조명이 음양을 모두 지니고 있는 인테리어 소품이기 때문이었다. 이외에 조명은 쓸모가 있는 인테리어 소품과 전통의 접목이라는 논문연구의 목적과 연관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산업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해외제품의 모방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조명을 디자인함에 있어 독창적이고 한국적인 변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조명을 연구함에 있어 먼저 조명의 개념과 조명의 종류, 조명의 방식, 조명을 설치함에 있어 어떠한 방법으로 설치할 것인가를 우선 기술하였다. 다음으로는 조명 시장의 변화와 문제점 그리고 조명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간단한 기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을 활용한 조명등을 조사하고 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이를 조명을 디자인하는데 참고하였다. 디자인 의도로는 태극의 파장으로서의 형태(S자 도형)를 응용하였고 노자의 도덕경 42장의 기술을 또한 의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을 함에 있어 중요시 한 것은 양산이었다. 이를 위하여 금형이나 공업적인 제품 제작 방법을 사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재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전통적인 소재보다는 양산을 하기 쉽고 수급이 용이한 것을 우선 하였다. 태극을 응용하여 개발된 디자인 상품은 이미 많이 나와 있기는 하나 아직 평면적인 도안의 제안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이 논문이 태극을 입체화하여 생활 소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해주기를 바란다. 더불어 문화의 발전이 세상을 또한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통해 타 문화의 유입에 있어서는 자주적일 수 있고, 자국의 문화는 보여줄 때에는 좀더 세계인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듬어 가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평화롭고 아름다운 경쟁을 이루는 올바른 방향으로의 세계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Environment and culture are new subjects of the 21^(st) century. While environment is direct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pure science and applied science, culture is related to changes in arts our living environment. In world history the cultural mainstrea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entally and materially rich life in the future. This is why all countries in the world are exerting their utmost efforts to promote their national culture. Korea also should wield its cultural influence and spread its culture throughout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include local products and tourism souvenirs as cultural goods, but what is more essential is to develop original designs based on our traditional designs and apply them to various products that people use or contact in their everyday life like daily necessaries and interior supplies. The Taegeuk flag and the Taegeuk mark are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symbols of Korea. Thus it is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to develop and refine them in people's life and this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described the generals of Taegeuk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aegeuk, which means 'boundless,' and Dual Taegeuk, in which Taegeuk is divided into Eum and Yang, in order to fathom the value of Taegeuk. Taegeuk as boundlessness is a divine area and the world of nihility. Simply speaking it is the spiritual domain. On the other hand, Dual Taegeuk divided into Sum and Yang symbolizes the physical domain formed by our mind. The Taegeuk idea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Taegeuk that we have overlooked indifferently. The Dual Taegeuk at the center indicates Eum and Yang and the four Gwes symbolize the four seasons as well as the four directions. Probing Taegeuk is equivalent to viewing the core of Oriental philosophies at a glance. Taking Taegeuk as a design motive, this study selected lights as items to create. It was because lights were interior articles bearing both Eum and Yang. Besides, lights are related to a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hich is the integration of interior articles and tradition. Another reason for selecting lights was that lights are industrial articles that copy foreign products frequently, so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esign original Korean-style lights. In studying lighting, this study explained first the concept of lights, kinds of lights methods of lighting, and methods of light installation. Next, it briefly mentioned changes in the light market, problems in light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ghts. Lastly, it investigated lights adopting traditional designs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m in order to obtain data for light design. With regard to design intention, wave-like Taegeuk (S-shaped figure) was applied, and Chapter 42 of Lao Tze's DaoDeJing was inscribed as a part of the intention. An important point in design is mass production. For this, methods such as metal molding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tried and,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materials, we selected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mass production and easiness to supply.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articles designed after Taegeuk, they are largely confined in two-dimensional design.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aegeuk can be designed three-dimensionally and applied to articles used in everyday life. What is more, understanding that cultural development may guide the world to the right direction, we must make efforts to be more independent of foreign culture and to refine our culture to exhibit it to people in the world. Peaceful and beautiful competition is wished for globalization in the right direction.

      •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 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백혜숙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의학의 개념은 질병의 치유에서 질병의 예방, 질병의 관리에서 건강의 관리, 질환중심에서 삶의 질 중심, 의료기관 중심에서 사회중심으로 변화되어 원격의료 진단기기 발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한 지식이 없는 환자들이 그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기에 접근방법이 난해하고 효과적으로 디자인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일상생활 곳곳에서 환자 본인이 쉽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유지하는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개념적 정의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효과적인 의료행위와 실용성이 높은 고품격의 디자인을 위하여서는 유니버설디자인적 개선이 필요하다. 더구나 U-city나 홈네트워크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말미암아 주로 개인용으로 보급되어지던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공용화가 재조명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홈네트워크,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 배경 아래 국내 공공부문의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추진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하여 알아본 후, 국내외 사례조사와 원격의료 진단기기 종류를 파악하여, 원격의료 진단기기 디자인의 특징과 종류, 가전제품과의 디자인 요소별 관계정도의 비교사례 등을 통한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그 후 가이드라인을 사례조사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하고, 각각의 항목에서 유니버설디자인에의 관여도를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 관하여 논의하여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과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진단기와 도출결과로 나누어 유니버설디자인의 PPP평가에서 나타난 중요요소를 충족시키며 복합적으로 각각의 요소들을 보완하여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유니버설디자인의 측면에서 이루어진 이 가이드라인은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개념적 정의에 부합된 효과적인 의료행위와 실용성이 높은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여러 디자인 제안과 세분화되고 객관적인 평가를 돕고, 다양한 사용자층을 가진 일반 의료기기의 디자인에도 도움을 줄 것이며, 이미 이루어진 디자인의 평가를 위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서 가장 문제시되었던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접근법에 따른 문제점은 기기 본체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선택적 자동 공유(사용자가 미리 개인건강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선택한 대상과 공유정도에 한함)로 해결될 것이며, 홈네트워크와 연계함으로 외출 시 집안을 돌보거나 집안에서 외출한 환자의 상태를 살피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다양한 국내외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사례와 기기에 관한 조사와 분석은 원격의료 진단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홈네트워크의 Home Medical System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이 연구에서 주장한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디자인 진행 후 기존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비교한 사용성 평가 등 일반 제품과는 다른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의 연구가 보완,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기술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들의 적절한 균형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디자인의 평가와 조율 등의 추진방법이 필요하다. The concept of contemporary medicine has been changed from healing of illness to prevention of disease; from management of disease to management of health; from focusing on disease to quality of life; and from medical institution-centered to society-centered; so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elehealth System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However, for patients without specific knowledge about medicine, the method of access to Telehealth System is too difficult to follow through having understood the concepts thereof, and also it has not been designed in an efficient fashion. This is a matter of being not congruent with conceptual definition of Telehealth System which enables patients to check and maintain their health in every nook and cranny of society where patients carry on their every day life. In order to achieve highly dignified design with effective medication behavior and high usability, there is a necessity for further improvements by means of universal design. In the meantime, communalization of Telehealth System that has been provided for individual use is receiving spot light again on account of national supports and interests concerned about U-city or Home Network. In consideration of such trend, researcher investigated actual situation of development of Telehealth System in local public sector and problems thereof under the background related to networks between Telehealth System and Home Network, and between Patients and Hospital, then after, having conducted a survey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xamples and grasped the kinds of Telehealth System, in this paper, researcher has proposed the guidelines of universal design for Telehealth System Equipments through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Telehealth System Diagnostor and its kinds, and of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each design factor. And, after completing survey of guidelines and analysis of the results therefrom, and by reviewing the results from interviews of professionals and experts and from questionnaire as well, researcher grasped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then discussed about Telehealth System, and network between patient and hospital finall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minimum function that should be equipped with Public Telehealth System Diagnostor and also the direction of design thereof. The design guidelines that presented as the fruits of research efforts were divided into diagnostor and the results elicited, and were proposed insomuch to produce maximum efficacy having it satisfy critical factors appeared in PPP evaluation and also having complemented each of factor in a composite manner. It is expected that the guidelines come up with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would help conduct effective medication behavior that is congruent with conceptual definition of Telehealth System, and that shall be segmented from many design proposals of Public Telehealth System which features high usability, and that will be of help for performing objective evaluation, and that will provide for assistance to design of general medical tools and equipments having varied layers of users, also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factor in order for evaluation of design that already completed. The problems according to access method through personal computer and internet which were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troubles in the network between patients and hospital will be resolved by means of selective auto communalization (limited to the subject selected beforehand so much as to make the user communalize individu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communalization) through network of the main frame of the equipment. It will enable users to take care of household chars while they are out of house, and to see to the state of patients while they are out. In addition, survey on vari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xamples of Telehealth System and analyses thereof shall be a great of help for various works concerned with Telehealth System, and also further reseon Home Medical System of Home Network. As the subjects for future works, research on design in order for users of the Public Telehealth System which makes it distinguish from general products on account of evaluation of usability comparing to existing Telehealth System Equipment, etc. after having proceeded design works for varied Public Telehealth System Equipments by using the guidelines asserted in this research should be complemented and pursued further, also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 on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nterest, and also to receiv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methods to pursue design projects through means of evaluating and aligning designs in a positive manner based on proper balance to be set by the experts.

      • 제품의 표면디자인에 관한 연구 : DB구축과 UD개념의 적용을 중심으로

        송성일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국내 대기업들이 세계적인 휴대전화 업체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게 된 데는 뛰어난 '디자인'이 한몫하고 있다. 그 중에서도 소재선정과 후가공 기술, 즉 표면디자인 기술은 현대 모바일 기기의 생명이 아닐 수 없다. 이처럼 신상품 개발 시 디자인에 적용할 신소재 및 혁신적 가공법을 찾아 적합하게 디자인에 적용하는 것은 제품 개발 시 매우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이같은 신제품 개발에 있어 제품의 이미지와 성격 그리고 환경에 맞는 신소재와 가공법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정작 국내 교육기관이나 실제 실무에서도 이렇다 할 지침서나 체계적인 Data Base가 부족한 실정이다. 표면디자인 기술의 Data Base 구축은 실제로 표면디자인을 제품에 적용해야하는 디자이너들에게 방대한 양의 소재들과 그 하나하나에 적용되는 표면디자인의 지식들을 체계적으로 습득하도록 함은 물론 적절치 않은 표면디자인의 적용으로 인한 생산비용의 출혈을 미연에 방지하고 학교에서의 획일적인 재료의 선택과 후가공으로 실무와는 떨어진 비효율적인 학습능률을 개선하고자 보다 심층적인 기술습득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온·오프라인의 정보공유와 습득의 목적을 두고 있다. 또한 기존의 표면디자인 영역이 심미적인 부분을 통한 외형 디자인의 충족이었다면 이번 연구는 유니버설디자인 개념을 적용하여 보는 것에서 더 나아가 표면디자인을 통한 사용성 및 감성기술로의 영역까지 확대해 보고자 DB구축과 UD개념 적용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A superior 'design'takes an important role in recent mobile phone industry of large companies in Korea that they stand comparison with internationally well-known mobile phone companies. Among them, selecting materials and after processing technology, in other words, surface design is essential partof modern mobile machinery. Thus, a proper application of new materials and innovative processing method to design is very important part in developing a new product. However, although it is important to have new materials and processing methods that are proper for the image, characteristics, and environment of a new product, not sufficient guide books or databases are available in educational institutions or in practical businesses in Korea. The purpose of constructing database for the surface design technology is to let designers who actually are responsible for adapting surface designs to products to learn massive amount of materials and surface design knowledge for each and every material, to prevent occurring of production cost wasting that can be incurred from adapting improper surface designs, and to improve inefficient school education system that has an uniform material and after processing method selection which is far different from practical business so that they can have opportunities to get technology in depth using on-offline information sharing and acquisition. Likewise, focusing on DB construction and adoption of UD concept, this study did not stop at the stage where existing surface design satisfies only external design through aesthetic point of view, but it also adopted universal design concept and expanded into usability and emotion technology field using surface design.

      • Pop Art Image를 활용한 Display 연구

        신혜순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현대의 Display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 일정한 목적, 기획이나 테마를 기본으로 어떤 사물을 의도적으로 관객에게 호소하여 전달하는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이다. 즉, 전시 내용물과 관객이 만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복합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이제 그 나라의 유행동향, 미적 감각, 관습, 사고방식 등을 반영하여 문화의 척도로 활발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 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현재에는 현대적 조형영역의 확대를 모색하며 공간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 20세기 현대 미술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서도 가장 급변한 시기를 대변하며, 텔레비전이나 매스 미디어, 상품광고, 거리의 교통 표지판 등의 다중적이고 일상적인 것들뿐만 아니라, 코카콜라, 만화 속의 주인공 등 범상하고 흔한 소재들을 미술 속으로 끌여 들임으로써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는 Pop Art의 표현 형식을 도입하여 독창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이는 디스플레이가 도시환경의 전체 미관에 까지 기여할 수 있는 열린 대중을 위한 디자인이며, 팝 아트가 다루는 이미지가 그 사회의 모든 대중이 공유하는 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에서 큰 공통점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팝아트의 표현 형식에서 이미지를 추출하여 본인이 설정한 백화점 Show Window, 웨딩 드레스샵 Show Window, Wine Bar, 조명전시장의 각 특성 있는 공간에 부합하는 디스플레이를 전개하였으며, 본인이 제작한 점토 유니트(unit)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표현에 있어 팝아트의 표현 형식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단순히 제품의 판매를 위한 제품의 보기 좋은 나열의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팝 아트라는 현대 미술사조의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활용한 독창적인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을 진행하는 것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공간 형성에 미적 감각을 증대시켜주고,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더욱 다양한 디자인과 공간에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확장된 의미의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로서의 디스플레이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modern times, display is a three dimensional visual formative art technique which appeals to the gallery with objects based on a certain purpose and plan or themes as an activity of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is a comprehensive production of space that the gallery and exhibition communicate together. Display is also represented as an index of culture reflecting fashion, aesthetic senses, custom and ways of thinking. Therefore, the territory of the modern formative art is required to be expanded and the display that can properly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space is needed.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I groped for a unique way of pop art expression that has positive aspects to actively accommodate reality of industrial society into art and to attenuate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pure art and pop art by brining not only ordinary but multiplex subject matters like television, mass media, advertisement, street sign, but also common matters like Coca cola, characters in cartoon into art, representing days of the most sudden changes.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common point that display is the design for the open public, making contribution to even entire aesthetics of city environment and the images that pop art deals with is expressed with the one that the public share among themselves. As for the works in this study, the display was developed that matches unique spaces of show windows in the shopping malls, wedding dress shops, wine bars, lighting exhibition halls that I selected, extracting the images from pop art expression style. The effect of pop art expression could be maximized with utilizing clay unit I designed. Through this study, the valuable lesson was learned that it is not just a good-looking display of series of product but the design process with original concept utilizing various expression styles in modern art named 'pop art' that essentially increases a sense of aesthetics and completes in-depth design in display space. Based upon this study, I hope the display as 3-dimensional visual technique that functions actively in more diverse design and space will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and persistent efforts and studies will have to be put together.

      •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연구

        김형식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이 감소하고 경제발전이 한계에 부딪히는 등 많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인간은 노화가 진행되면서부터 여러 가지 퇴행성 질환을 수반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노인의 독립적 생활이 제한되는 것은 건강한 노인사회를 위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라도 계속적인 자립 보행을 유지시켜 준다면 고령화 사회가 안고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술발달이 가속화되고 있는 로봇기술 등 새로운 기술의 발달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연구를 위해서는 제품디자인, 노인의학, 노인생리학, 마케팅, 공학 분야의 전문가와 제조업체 관계자에 의한 다 학제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 보행보조기기들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는 로봇기술 등을 접목하여, 다양한 특성을 지닌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o 이론적 고찰 미국, 일본, 유럽의 실버시장 동향을 조사하고 보행보조기기의 주사용 대상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의 보행 특성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고제인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의 개념을 정의 하였다. o 노인의 행동특성 관찰 노인의 관찰 및 인터뷰를 통해 노인들에 일상생활속의 불편한 상황, 개호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파악된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실버 층을 위한 케어 로봇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o 보행보조기기의 분석 신 개념의 보행보조기기 연구를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는 실버케어로봇과 보행보조기에 대한 국내외 개발동향을 분석, 기술개발로드맵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 보행보조기기 산업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o 보행보조기기의 디자인 개발 노인층의 신체측정 값을 구하기 위해 Size Korea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고령자의 인체치수 및 기능설정 보고서”의 자료에서 신체 부위를 선정하여 보행보조기기디자인에 인체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유니버설디자인 원칙과 부칙의 가이드라인에 부합되는 보행보조기기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the aged in the population,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decrease of labors and limit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re emerging. With the age, human beings suffer from various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it is not desirable for healthy community if we leave those degenerative diseases to threat the independent life of the aged. If we can help the aged walk by themselves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perfect mobility, we can reduce the risks that the community should endure with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Relating with this issue, new technology such as robot suggests many things. For the study of design of walkers utilizing new technologies, multi discipline approach including product design, medical science for the aged, physiology for the aged, marketing and engineering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walkers, we grafted new technology such as robot technology and aimed to design a walker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for the silver age. o Theoretical Review We investigated silver markets in USA, Japan and Europe and performed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alking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dditionally, the concept of the walker for the silver age, which is the issue of this article, was defined. o Observation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aged, we identified their uncomfortable situations and individually different statuses in details. Based on the data, we induced design guideline that can be referred in the process of care robots for the silvers. o Analysis of Walkers We analyzed the development trend of silver care robots and walkers in and out of Korea to get an idea for a new concept walker and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to have a technology development road map. Additionally, we executed SWOT analysis on domestic walker manufacturing industry. o Design Development for Walkers To get the body dimension of the silver age, we referred to the data in "Human body size and function configuration report for the universal design" of Size Korea. We selected human body parts and applied them to model for walkers. We designed a walk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guidelines of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supporting principles.

      • 녹색구매 활성화를 위한 환경라벨링 디자인

        이인걸 서울산업대 IT 디자인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인류는 지구의 자연환경에 도전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순응하는 역사를 반복해왔다. 산업혁명 이후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진전으로 인류는 물질적 풍요로움을 만끽하게 되었고, 풍요로운 소비생활은 ‘인간의 삶’에 대해 질적 · 양적인 향상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물질적 풍요로움은 자연파괴를 심화시켰고, 우리인간은 자연 속에서 우리의 위치를 재확인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지금까지 자연의 재앙은 인간이 조절하기 힘든 것이었으나,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산업 활동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과거에 발생한 자연재해와는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국제기구들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체를 만들고, 의정서를 통한 협정문을 발표하는 등 전 지구적인 차원의 문제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각국의 정부 또한 친환경상품 의무구입제와 경제적 인센티브제를 도입하여 기업의 녹색생산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가하고 있다. 녹색구매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로하스(LOHAS :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족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단순히 상품과 자연을 소비하는 존재를 벗어나 소비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높이고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환경문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좋은 수단은 환경라벨링제품의 생산과 사용을 늘리는 것이다. 환경라벨링은 소비자 환경의식을 제고하고 이에 따라 생산자들이 환경친화적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차원 나아가 지구차원의 환경개선 및 자원절약에 공헌한다. 환경라벨링은 국제협의의 의미에서 ISO 분류에 따라 Type Ⅰ(제3자 인증), Type Ⅱ(자기주장), Type Ⅲ(정보공개)로 분류되어 지며, 광의로 해석할 경우 재활용, 에너지절약 등 제품의 특정측면만을 고려한 단일속성(Single issue)라벨링을 포함한다. 국내에서는 1992년 도입된 ISO Type Ⅰ환경라벨인 「환경마크제도」가 대표적이며 에너지절약마크제도, 에너지효율등급제도, GR마크제도 등의 환경라벨링이 있다. 2000년부터는 제품의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라벨링 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공개하는 방식인 ISO Type Ⅲ환경라벨인 「환경성정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ISO Type Ⅲ 환경라벨링은 전과정평가(LCA)라는 복잡한 분석기법을 요하므로 일부 소수의 국가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아직 시행 초기단계이므로 인증제품 수가 적고 시장지배력이 크지는 않다. 그러나 LCA가 환경영향을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제품 환경성과 개선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널리 인식되면서, 선진기업들에게 자사제품의 환경적합성을 홍보하는 수단으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환경성적표시제도」의 환경성적표지 표시방법 개선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올바른 인식을 가지게 하고자 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국내 · 외 환결라벨링의 자료조사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올바른 「환경성적표지」의 라벨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환경성적표지」의 라벨디자인은 환경부에서 정하고 있는 3가지 형식에 대해서 수정된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선행 연구되어진 논문과 단행본, 국가정부기관의 보고서, 설문조사 등을 통한 객관적인 지표를 함께 나열해 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를 통한 환경라벨링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논문에서 연구되어진,「환경성적표지」에 대한 문제점, 개선방향, 디자인의 수정안을 정부부처에서 참고하여 「환경성적표지제도」가 환경 친화적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효율적인 지표로서 활용되어져서, 소비자들이 올바른 녹색구매를 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 질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Mankind have been repeating history of challenging natural environmentandadapting tothechangesofnature.Aftertheindustrial revolution,man were able to enjoy materialistic abundance thanks to great impro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and progresses in industrialization, and richness in consuming apability lead to improvements of'human life'in both quality and quantity.However, these materialistic abundance destroyed our nature,and we human confronted with necessity of relocating our position in the nature itself. Unlike previous natural disasters that we cannot control, the fact that globalwarming was caused by human's industrialactivity makes it reasonable to interpret it differently than previous naturaldisasters. Internationalorganizations have created assemblies and resolutions to alleviate the nvironmental problem in global perspective. Also, Each countries are obligating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and giving economic incentives for company's green-production in order to give social pressure.The number of green-purchaser is increasing. LOHAS (Life 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people are more than just consumers of product and nature but contributors to both enhancemen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 responsibility and social change by the means of consumption. The best way to promote more companies and consum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problem is the increase the production and use of Eco-Labeling product. Eco-labeling will improve consumer's conception aboutnature and this willinduce producers to pro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This will contribute to alleviation of nature and savings of energy in global sense. Eco-labeling is categorized upon ISO in international standards. There are Type1(The third person confirmed), Type2(personal opinion), and Type3 (publicization of information). In broader aspects it can be involved with Single issue labeling that concernson specific parts of the product such as recycling, and energy saving. In domestic field, the ISO type 1 Eco-label 「Eco labelling」is representative and there are Eco-labeling such as energy saving marking system, energy efficiency grading system, and GR mark. Starting from theyear2000,weareperforming Lifecycleassessment(LCA) and the result of it is being publicized by ISO type 3「EnvironmentalDeclaration」which use either labeling or data sheet format. Largelybecause,ISO Type3Eco-label「EnvironmentalDeclaration」necessitates complicated analyzing process such as LCA,it is performed in only few countries. Also, because itis only on starting point of progression, the number of certificated products is small and proportion in the market is not noticeable. However, as LCA calculates environmental effects in scientific and fixed quantity, it is being recognized as a usefultools forsetting up product's adaptability and alternative plans for improvement for advanced companies as away to seek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he irproduct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hoping to guide rightful conception to the consumers by the currently operating「EnvironmentalDeclaration」. This essay willsuggestrightful「EnvironmentalDeclaration」try and 's Eco-label with the analyzation of date of Eco-label from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surveys from the general publics. 「Environmental Declaration」suggest improvised alternative design for 3 different form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offering. It also categorize objective data by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 preceded essays and books, government organization's report, and surveys. From this information, a new Eco-labelling design can be suggested along with 'DesignThinking'. The possible problems, rooms for improvements, and design improvision aboutthe「EnvironmentalDeclaration」which was dealt in the essay can be referenced to setting up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ing atmosphere. And this would hopefully be made as a guideline for rightful green-purchase of the consumers.

      •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개발 연구 : 흥부전 스토리를 중심으로

        정다운 서울산업대학교 IT 디자인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사회 전반에 걸쳐 흐르고 있는 화두는 감성(感性)이다. 감성은 사람의 마음을 움직이는 요체(要諦)이며 그러한 감성을 촉발시키는 것 중에는 이야기가 있다. 이야기는 인간이 세계를 인식하고 표현하는 기본적인 생활 방식이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인간의 모든 일상적인 의사소통은 바로 담화(discourse) 즉, 이야기로 구현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이야기에 관심을 갖게 되는 이유도 자신의 생활 자체가 하나의 이야기가 될 뿐만 아니라 그런 이야기들을 다른 사람과 주고받을 때 비로소 자신의 삶이 의미 있다고 여기게 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야기를 창조하고 향유함으로써 자신의 삶을 가치 있게 창조해 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을 어떻게 하면 문화콘텐츠의 개발에 접목할 수 있을 것인가 하는 데서 출발하였다. 문화콘텐츠 개발의 구체적인 방법으로서 본 논문에서 제시한 장신구 개발은 이처럼 스토리텔링을 통한 소비자의 감성을 겨냥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스토리텔링을 적용한 장신구 디자인 개발은 장신구가 보여주는 외적인 아름다움 뿐 만 아니라 그 안에 담겨져 있는 이야기를 제시함으로 장신구의 조형미와 문학적 감성을 함께 향유할 수 있게 하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본 연구에서 장신구 제작을 위해 적용한 스토리텔링의 자료는 우리의 고전소설 중의 하나이며 누구나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는 ‘흥부전(興夫傳)’이다. 이를 위해 흥부전 스토리를 중심으로 만행(蠻行), 애통(哀痛), 박대(薄待), 재화(財貨), 보은(報恩), 보화(寶貨), 징악(懲惡)이라는 7개의 스토리를 설정하였다. 이 스토리는 소설의 이야기를 구성하는 핵심적인 소재나 사건을 바탕으로 선정하였고, 이와 관련된 주요 장면은 일러스트로 재구성 하였으며, 각 장면마다 특징적인 요소를 찾아 디자인하여 장신구로 제작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장신구의 외적인 아름다움에 인간 본연의 문학적 감수성을 자연스럽게 관련지음으로 단순한 사치품의 구매가 아니라 삶을 풍요롭게 하는 질 높은 구매 행위라는 인식을 줌으로써 하나의 장신구 문화 코드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아울러 우리의 고전문학 속에 담긴 해학과 신명과 같은 요소들이 소비자의 감수성을 자극시키는 장신구 디자인에 담아낸다면 독창적인 한국 장신구의 새로운 장을 열 수 있을 것이다. Nowadays, the leading topic of conversation in society is sensibility. It is the cardinal point that moves our hearts and stories stimulate this emotion. Stories are basic methods to cognize and portray how we view the world. This is because all mutual communications of human beings are built around discourse, in other words, stories. Generally, people are interested in stories, because our lives themselves are stories, and also because we believe that our lives have meaning only when we share it with others. This research starts how human's desire could be add to culture content's developing with one's life valuable creative and enjoyment story. A specific development method of culture contents presented in this thesis is targeted at consumers emotions by using the effects of storytelling, mentioned above. In other words, storytelling applied ornaments offer an internal story in addition to its exterior beauty. Thus, the fundamental goal is to provide both the exterior beauty and the literature sensibility of the ornament. The storytelling material used in this research for creating the ornament is 'Heung-bu Story', which is one of our very own classical tales that is easy to understand. Based on the 'Heung-bu Story', seven stories, Brutality, Grief, Inhospitality, Wealth, Gratitude, Treasure, and Punishment, were created. These stories were selected, based on the key topics or events of the classical tale and important scenes related to the stories were recreated through illustrations. Unique factors of each scene were found and designed into ornaments. Therefore, the storytelling method of this research can become a cultural code of ornaments by giving the impression that buying these ornaments is high quality consuming, not just buying luxurious items, through naturally linking the exterior beauty of the ornament with the essential literature sensibility of people. Moreover, a unique ornament culture of Korea can be created by stimulating the emotions of the consumers with the traits of our classical literature, humor and merriment.

      • 치미 형태를 응용한 향꽃이 디자인 개발 연구

        연현주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50671

        물질문명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 정신적인 여유를 앗아가고, 많은 스트레스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에 따라 현대인은 최근 건강과 함께 정신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향 문화가 명상과 함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향을 단순히 종교나 제례의식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삶 속에서도 널리 애용해왔으며, 근래에 들어 명상과 함께 향 문화가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향의 사용이 종교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일반인들에게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향로의 의미도 각별해지고 그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로부터 향(香)은 나쁜 기운을 쫓는 액막이와 방향(芳香) 이외에 정서적 공간을 제공해주었으며, 복잡 다양해진 현대 사회구조 속의 인간에게 있어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을 올바로 재인식하는 계기의 마련과 함께 우리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의 치미를 알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목조 건축물의 장식기와 중 치미의 형태미와 액막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살리고 이를 향과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디자인 방향은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을 중심으로 치미를 사실적인 것에서 단순화하는 방법을 통해 기하학적인 형태미를 살려주어 현대 생활공간에 어울리는 장식적이면서도 실용적인 향꽂이를 제작하였다. 먼저 우리 향 문화의 일부인 향꽂이를 제작하는데 있어 우리의 전통목조 건축물의 일부인 치미의 형태별, 문양별로 역사적 의미를 조사 분류 하고, 향의 역사적 의미와 종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기존의 제품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우리의 정서와 정체성을 찾고자 전통가옥의 치미 형태를 응용하였다. 치미의 기원은 봉황으로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전통문화이며, 이를 살려 향꽂이를 제작하였다. 향꽂이를 제작하는데 있어 소재는 금속재를 사용하였으며, 향후 대량생산을 위해 기계제작을 위주로 하였고 이를 일반인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향꽂이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향을 꽂는 부분과 재받이를 분리해 제작하였으며, 선향, 각향, 권향을 중심으로 현대 공간에 어울릴 수 있게 디자인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시도가 새로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대안으로 제 역할을 하기를 바라며 향후 우리 삶의 정신건강을 향상 시키고 더 나아가 새로운 향 문화로 태동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deprived contemporary people of mental peace and brought heavy stress on them. With the increase of stress, people are getting more interested not only in physical health but also in mental health and, as a result, incense culture is being spotlighted together with meditation. Our ancestors used incense not only in religious and memorial services but also widely in everyday life. Recently as incense culture together with meditation draws people's attention, the consumption of incense is increasing among the public for non-religious uses. Accordingly, incense burners are being specialized and their designs are being diversified as well. Since old times, incense has provided emotional spaces in addition to its roles of exorcism and fragrance. To human beings in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cial structures of today, it is giving composu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give an opportunity to review incense and to explain Chimi as a part of Korean culture. That is, it was focused on the formative beauty of Chimi among ornamental roof tiles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nd its symbolic meaning of exorcism, and associated them with incense. As for the direction of design, this study manufactured decorative and practical incense holders well-matched with contemporary living space by simplifying realistic Chimis from the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hilla) and emphasizing geometric formative beauty. In manufacturing incense holders, which are a part of Korean incense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lassified the historical meanings of Chimis used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ccording to form and pattern, analyzed the historical meanings and kinds of incense and, furthermore, analyzed existing products to look for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cense and to wide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incense culture. In order to find Korean sentiment and identity in designing the incense holders, we applied the form of Chimi in traditional houses. The origin of Chimi is the phoenix for expelling evil spirits. It 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is formatively splendid and magnificent. Thus, designing after Chimi, we manufactured incense holders. Incense holders were made of metallic materials mainly using mechanical processes for mass production in the future. They were also designed to be assembled easily even by ordinary people. Moreover, in consideration of user' taste and the functionality of incense holders, the part of holding incense was made separately from the ashtray. In addition, incense holders were designed for the use of line-shaped, horn-shaped and spiral-shaped incense, and in harmony with today's living space. The design attempt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advertise the superiority of our culture,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ment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cense culture in the future.

      •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 연구

        윤지훈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오늘날 사회는 유가상승, 에너지 고갈에 따른 환경파괴 등 자동차 중심적 교통정책을 지적하고 철도 및 대중교통 수단 활성화 등 녹색교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환경적인 지속가능한 녹색성장 교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그에 따른 무동력, 무공해, 친 환경 운송수단의 하나인 자전거의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 조사한 국내 교통별 분담률에 따르면 2009년 자전거는 1.2%의 교통 분담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향후 2012년까지 5%의 교통 분담률을 목표로 자전거 도로확충과 자전거의 보급률을 높여가고 있다. 그래서 최근 들어서는 여가를 즐기거나 건강을 위해서 자전거를 운동수단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한 Life style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그런 소비자의 욕구를 크게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 중에서도 자전거를 쉽게 타지 못하는 노약자들을 위한 자전거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약자들이 쉽게 균형을 잡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단순히 기능적인 부분만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제품사례 비교분석, 요구사항 및 행동 관찰을 통하여 도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통해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가 가져야할 형태나 기능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와 기능, 조작 등을 통해 차별화를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도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노약자들 중에서도 여성과 노인을 위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 하였다. • 이론적 고찰 노약자 중에서도 그 범위를 여성과 노인으로 하여 그들의 특성과 신체적 특징과 자전거의 종류 및 특징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 방향에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 국내외 자전거 사례분석. 국내외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의 시장동향의 문헌 조사를 하고 기존 판매, 출시되고 있는 제품사례들의 특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 자전거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분석 자전거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행동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자전거 이용 시 균형성, 운반성, 안전성, 승차감, 편의성, 거치성 등 항목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 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 하였다. •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 컨셉 제안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시장동향, 제품사례 분석, 사용자의 요구사항 조사 및 사용자들의 행동관찰 등을 통해 도출된 사용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Nowadays there are many problems in transportation policy such as oil price hike, deprivation of natural resources or energy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So, there are also a lot of suggestions for necessity of green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railway, and mass transit. In this circumstance,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s on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transportation, particularly on a bicycle which is one of the non motor-powered, no contaminating, but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study released by a government agency, the bicycles share 1.2% of transportation needs in Korea. The bicycle’s transportation share is expected to increase to 5% by 2012 along with the increased construction of the bicycle lanes. Recently more people are using bicycle as one of their exercising equipment for enjoying leisure and physical fitness. Even though there is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who pursue the various life styles, there is not enough system to meet the increasing desires of consumers. Among them, there is little research for developing a bicycle which is proper for the old and the infirm. So, this study focuses on helping the old and the infirm to use bicycles by making them in a way that bicycles are easily balanced and safety ridden by senior citizens and female consumers. It puts emphasis on the satisfaction of users by suggesting not only the functional parts of the bicycles but also researching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us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s, requirements and observation of actions of users. In addition, I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bicycles for the old and the infirm are to be developed to meet the consumers’ needs in terms of shape and function, showing how the new bicycles are to be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ones in terms of function, shape and operation.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bicycle which is easy to ride for female and senior citizens among the old and the infirm. • Theoretical study I have focused on the design of bicycle for the females and senior citizens among the old and the infirm by studying their physical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bicycles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the manufacture of bicycles. •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bicycles. By studying the books and documents on the market trend of domestic and foreign bicycles, I hav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many bicycles available in the market. • Analysis of consumers for bicycle design By studying the requests and behavioral analysis of bicycle users, I have found out what is required of bicycles such as balance, transportation capability, safety, ride sense, convenience and storage and then derived the needs of users by analyzing the derived contents. • Suggestion of bicycle design for senior citizens and females Based on the needs of users by conducting the theoretical study,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trend, analysis of products cases, study on user’s requests and observation of user’s behavior, I have suggested the desirable bicycle design for the old and the infirm.

      • 도시환경적 Superillustration 연구 : 서울시 구조물을 중심으로

        강재신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50671

        도시환경은 도시인의 삶 속에서 나타나는 여러 필요욕구를 충족시키고자, 도시의 각 기능과 활동을 위한 공간과 시설을 조직화하고 합리적이고 조형적으로 배치하여 보다 풍요로운 삶을 유지할 수 있는 아름다운 공간을 추구하는 과학이자 종합예술인 것이다. 인간과 사회는 이러한 환경에 의해서 그들의 질 높은 지식과 정보를 취득할 수 있지만, 사회의 일반적인 산업, 경제, 문화적 전반적 질의 척도를 가늠할 인류과제라고 할 수 있다. 왜냐하면 한 시대의 의미와 상징을 그 속에서 이루어지는 인간의 몸놀림으로 인류사회의 한 장을 이을 수 있기 때문이다. 인간은 환경을 지각적 사고라고 하는 시각적 자극을 통하여 이해하고 있다. 환경심리학자인 John Brebner도 인간이 환경과의 교감에 있어서 최우선적인 통로가 시각이라고 하였다. 즉, 인간의 감각기관 중 학습이나 정보 수용의 비중을 살펴보면 시각이 전체의 83%를 차지하여 인간의 정신과 사고는 결국 절대적으로 시각의 영향을 받고 있으며, 시각의 중요성을 말하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도시의 시각환경은 인간의 정서적 사고환경이 되어 점점 황폐화되어지는 도시민에게 정신적 보탬이 되어져야 한다. 그러나 현대도시의 풍요로운 시각환경이 세련미를 더하여 가지만 보고 난 후의 시각적 체험이 우리의 삶과 정신의 의의를 높이지 못하고 문제점으로 남아 있다. 시각적 체험은 미적 체험으로 우리들 시각환경의 질을 좌우한다. 슈퍼일러스트레이션은 도시의 미적 환경 조성을 위해 잘 이용되어야 하며 이로서 환경디자인 분야에 도움을 줄 수 있어야 한다. 동일한 소재의 연속적인 균일성에서부터 탈피하여 고층도시의 거대한 중압감을 해소시켜 주어야 한다. 도시환경이 생동감 있고 아름다운 환경을 이루려면 새로운 이미지를 지녀야 하고 항상 인간이 생활함에 있어 쾌적함을 느낄 수 있도록 창조되어져야 한다. Urban environment is a form of science and composite art to systemize as well as to rationally and formatively arrange spaces and facilities for each function and activity of urban communities in order to achieve a beautiful space where city dwellers can experience more affluent lives and to have their various demands satisfied. Human and society can obtain high-quality knowledge and information for them through such environment. This is the task of entire human race to measure levels of industrial, economic and cultural qualities in our societies. It is because, with the symbol and significance of the time, we can continue on another chapter in the history of human society in urban environment through the activities and movements carried out within it. Human understands environment through visual stimulation, which is also referred to as conceptual thought. John Brebner, an environmental psychologist, also said that the foremost channel for human in communication with environment was vision. In terms of the information reception or learning capacities by sensory organs of a human being, 83% of the capacities are practiced by vision. It signifies the importance of vision that, in the end, the thoughts and mentality of human are absolutely influenced by it. Therefore, visual environment of a city must be the emotional environment of human, therefore must enrich the gradually devastated mentality of urban dwellers. However, while the affluent visual environments of the cities add to their sophisticated beauty, it is being raised as a problem that the visual experience afterwards does not successfully enhance our quality of lives and significance of mentality. Visual experience, as the experience of beauty, influences the quality of our visual environment. Super illustration must well be used for creation of beautiful urban environment and, through this, must provide assistance in the areas of environmental design. By escaping from the continuous uniformity of the same materials, it must relieve the gigantic oppression of urban high-rises. In order for urban environment to become animated and beautiful, it must bring out a new image and must be created to constantly offer a sense of pleasantness for humans to live within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