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치미 형태를 응용한 향꽃이 디자인 개발 연구

        연현주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8639

        물질문명의 발달은 현대인들에게 정신적인 여유를 앗아가고, 많은 스트레스를 가져왔으며, 이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에 따라 현대인은 최근 건강과 함께 정신건강에 많은 관심을 가지게 되었으며 그로인해 향 문화가 명상과 함께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우리 선조들은 향을 단순히 종교나 제례의식 뿐만 아니라 일상생활 및 삶 속에서도 널리 애용해왔으며, 근래에 들어 명상과 함께 향 문화가 관심의 대상이 되면서 향의 사용이 종교적인 의미에서 벗어나 일반인들에게도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더불어 향로의 의미도 각별해지고 그 형태도 다양해지고 있다. 예로부터 향(香)은 나쁜 기운을 쫓는 액막이와 방향(芳香) 이외에 정서적 공간을 제공해주었으며, 복잡 다양해진 현대 사회구조 속의 인간에게 있어 안정감을 주는 역할을 지니고 있었다. 본 연구는 향을 올바로 재인식하는 계기의 마련과 함께 우리 문화의 한 부분으로서의 치미를 알리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전통목조 건축물의 장식기와 중 치미의 형태미와 액막이라는 상징적인 의미를 살리고 이를 향과 접목시키고자 하였다. 디자인 방향은 삼국(고구려, 백제, 신라)을 중심으로 치미를 사실적인 것에서 단순화하는 방법을 통해 기하학적인 형태미를 살려주어 현대 생활공간에 어울리는 장식적이면서도 실용적인 향꽂이를 제작하였다. 먼저 우리 향 문화의 일부인 향꽂이를 제작하는데 있어 우리의 전통목조 건축물의 일부인 치미의 형태별, 문양별로 역사적 의미를 조사 분류 하고, 향의 역사적 의미와 종류에 대해 분석하였으며, 더 나아가 발전방향을 모색하고자 기존의 제품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향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하였다. 그리고 디자인을 하는데 있어 우리의 정서와 정체성을 찾고자 전통가옥의 치미 형태를 응용하였다. 치미의 기원은 봉황으로 벽사의 의미를 지니고 있으며 형태적으로는 화려하면서도 웅장한 조형성을 가지고 있는 우리의 전통문화이며, 이를 살려 향꽂이를 제작하였다. 향꽂이를 제작하는데 있어 소재는 금속재를 사용하였으며, 향후 대량생산을 위해 기계제작을 위주로 하였고 이를 일반인도 쉽게 조립할 수 있도록 제작하였다. 또한 사용자의 취향에 맞게 향꽂이의 기능성을 고려하여 향을 꽂는 부분과 재받이를 분리해 제작하였으며, 선향, 각향, 권향을 중심으로 현대 공간에 어울릴 수 있게 디자인 하였다. 이러한 디자인 시도가 새로이 우리 문화의 우수성을 알릴 수 있는 대안으로 제 역할을 하기를 바라며 향후 우리 삶의 정신건강을 향상 시키고 더 나아가 새로운 향 문화로 태동하기를 기대해 본다. The development of material civilization has deprived contemporary people of mental peace and brought heavy stress on them. With the increase of stress, people are getting more interested not only in physical health but also in mental health and, as a result, incense culture is being spotlighted together with meditation. Our ancestors used incense not only in religious and memorial services but also widely in everyday life. Recently as incense culture together with meditation draws people's attention, the consumption of incense is increasing among the public for non-religious uses. Accordingly, incense burners are being specialized and their designs are being diversified as well. Since old times, incense has provided emotional spaces in addition to its roles of exorcism and fragrance. To human beings in complicated and diversified social structures of today, it is giving composure. The present study purposed to give an opportunity to review incense and to explain Chimi as a part of Korean culture. That is, it was focused on the formative beauty of Chimi among ornamental roof tiles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nd its symbolic meaning of exorcism, and associated them with incense. As for the direction of design, this study manufactured decorative and practical incense holders well-matched with contemporary living space by simplifying realistic Chimis from the three kingdoms (Koguryo, Baekje and Shilla) and emphasizing geometric formative beauty. In manufacturing incense holders, which are a part of Korean incense culture,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lassified the historical meanings of Chimis used in Korean traditional wooden buildings according to form and pattern, analyzed the historical meanings and kinds of incense and, furthermore, analyzed existing products to look for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cense and to widen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incense culture. In order to find Korean sentiment and identity in designing the incense holders, we applied the form of Chimi in traditional houses. The origin of Chimi is the phoenix for expelling evil spirits. It is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at is formatively splendid and magnificent. Thus, designing after Chimi, we manufactured incense holders. Incense holders were made of metallic materials mainly using mechanical processes for mass production in the future. They were also designed to be assembled easily even by ordinary people. Moreover, in consideration of user' taste and the functionality of incense holders, the part of holding incense was made separately from the ashtray. In addition, incense holders were designed for the use of line-shaped, horn-shaped and spiral-shaped incense, and in harmony with today's living space. The design attempt in this study is expected to advertise the superiority of our culture, and to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people's mental health and the development of new incense culture in the future.

      • 韋莊 詞 硏究

        연현주 漢陽大學校 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639

        花間派 詞人인 韋莊(836-910)은 溫庭筠과 더불어 溫.韋라고 병칭될 만큼 晩唐五代詞壇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字는 端己이며, 長安 杜陵사람이고 中唐詩人 韋應物의 4世孫이다. 黃巢의 亂을 직접 목격한 후 쓴 長篇敍事詩 <秦婦吟>이 當時에 대단히 유행하여 ‘秦婦吟秀才’라고 칭해지기도 했다. 韋莊이 살았던 晩唐은 唐王朝가 衰亡해가던 混亂期였다. 不安定한 政局 속에서 文人들은 社會나 政治보다는 자신의 生活周邊과 人間의 內面情緖에 關心을 기울이기 시작했다. 따라서 이 시기 詞의 題材는 비교적 狹小하였으며, 奢侈와 享樂의 風潮로 인해 詞風 역시 浮美華艶하였다. 韋莊은 독특한 개성으로 花間派 內에 나름대로의 독자적인 영역을 구축하고 있다. 또한 지나친 修飾과 雕琢을 하지않고 平易한 言語로 感情을 솔직하고 진지하게 쓰고 있어 其他의 花間詞보다 意境이 깊고 抒情性이 뛰어났다. 現存하는 詞작품은 모두 54首로,《花間集》에 48首,《尊前集》에 5首,《草堂詩餘》에 1首가 散在되어 있으며, 전해지는 詞集은 없다. 韋莊詞의 內容은 크게 네 부분, 즉 離別의 恨, 鄕愁, 享樂의 追求, 及第의 喜悅 등으로 나누어 진다. 詞의 題材가 男女間의 離別之事에 偏重되었던 시기였으므로, 韋莊은 狹小했던 題材의 폭을 다소 넓혔다고 할 수 있다. 言語運用面에서 韋莊은 感情語, 否定語, 口語, 重疊語를 많이 쓰고 있으며, 表現技巧로는 주로 直說法, 反問法, 對比法,을 사용하고 있다. 이것으로써 우리는 韋莊이 詞를 씀에 있어서 感情傳達에 주력하였고 다른 花間詞人들과 달리 直說的이며 쉽고 분명한 표현을 하였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는 黃巢의 亂을 피해 오랜 기간동안 江南지역을 流浪했었는데, 이 시기에 民歌를 접한 것이 詞作에도 영향을 주어 眞摯한 感情을 토로하면서도 平易하고 분명하게 詞를 쓸 수 있었던 것이다. 韋莊詞는 花間派의 普遍的인 風格, 즉 婉約詞風을 지니고 있었지만 기타 花間詞처럼 濃艶하지 않은 淸疏淡雅한 氣風이 느껴진다. 또한 韋莊은 抒情이 直說的이고 詞句가 質樸하며 意致가 蕭疏한 점 등 어느 정도 豪放한 個性을 표출하고 있으며, 聯章體나 和答式 표현, 口語, 疊語 등 民間詞의 氣風을 수용하여 塡詞하였다. 大部分의 花間詞 風格이 艶麗했으므로, 韋莊詞가 갖춘 이러한 다양한 면모는 홀시할 수 없다. 결론적으로, 韋莊은 詞를 통해 內面의 깊은 情緖를 표출하는데 힘을 쏟아 단지 應歌하는 문학장르가 아닌, 抒情의 手段으로서의 詞의 지위를 확립했다고 할 수 있겠다.

      • 색채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감정반응과 배색 이미지 연구 -드라마 캐릭터의 헤어,의상,메이크업 중심으로-

        연현주 건신대학원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현대인은 자신의 효과적인 첫인상 연출을 위해 셀러브리티(Celebrity) 의 헤이스타일, 의상, 메이크업을 모방하고, 동조하는 경향이 있다. 그 중에서도 시각적인 언어인 컬러는 가장 큰 영향을 미치며, 아주 중요한 요소로 알려져 있다. 본 논문에서는 드라마 캐릭터 이미지에 관한 헤어, 의상, 메이크업의 컬러 이미지 분석을 통하여, 색채의 감정반응과 배색 이미지를 색채 심리학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은 동백꽃 필 무렵, 도깨비, 태양의 후예, 사랑의 불시착, 사 생활, 거짓말의 거짓말, 부부의 세계, 싸이코지만 괜찮아 등의 드라마를 선정하여 작품 속에 나오는 케릭터 인물 분석과 이미지에 따른 색상을 분석하였다. 색상은 헤어, 메이크업, 의복색상을 위주로 선행연구를 토 대로 순수이미지, 네추럴 이미지, 도시적인 이미지, 섹시 이미지, 개성 이미지, 럭셔리 이미지의 사진을 토대로 색상이 주는 감정반응과 이미 지를 분석하였다. 순수 컬러 이미지의 감정반응은 깨끗하다, 수수하다, 시골풍이다, 와 같은 느낌을 받았으며, 밝고 깨끗한 청색계열의 맑은 색으로 산뜻한 느 낌을 나타내었다. 네추럴 컬러 이미지는 감정반응으로, 소박하다, 평화 롭다, 안락하다, 가정적이다, 친밀하고 평화롭다 등 다양하게 표현되었 으며, 색상의 이미지 배색은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보편적으로 회색이 많이 표현된 중명도가 사용되었다. 도시적인 컬러 이미지의 감정반응 은 차갑다, 시크하다, 멋스럽다, 모던하다와 같은 반응과 함께 회색빛이 도는 도시를 연상시킨다. 청보라 계열의 컬러를 주로 사용하여 차가운 이미지와 세련된 이미지를 연출한다. 도시 컬러 이미지의 감정반응은 요염하다, 에로틱하다, 충만하다, 원숙하다, 예쁘장한, 원만한, 향기롭다, 어른스럽다, 황홀하다 등 다양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컬러가 사용되었 다. 개성 컬러 이미지의 감정반응은 독특하다, 창의적이다. 반미학적이다, 멋스럽다, 같은 감정은 느낀다. 개성이미지 컬러배색은 과감한 색채 로 암울한 이미지를 만들거나 퇴폐적인 분위기, 강한 개성, 유니섹시한 스타일을 만들기에 스트롱, 비비드와 저채도의 무채색을 사용한다. 럭 셔리 컬러 이미지의 감정반응은 우아하다, 고상하다, 품위가 있다, 기품 이 있다는 감정반응을 일으킨다. 컬러배색은 다크 그레이쉬, 다크한 저 명도와 저채도로 세월이 오래 흐른 듯 기품과 멋이 풍기는 스타일이다. 색채심리학적 접근을 통한 감정반응과 배색 이미지를 드라마 케릭터 를 통해 분석한 본 연구는 이미지 연출을 위해 셀러브리티의 의복이나 메이크업, 헤어스타일을 추구하는 현대인의 욕구를 반영하고자 하는 미 용업의 마케팅전략의 기초 자료와 교육 자료 등으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 색채심리, 감정반응, 배색이미지, 드라마 케릭터

      • 온라인 마켓의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플랫폼(SPFBD) 구축

        연현주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5 국내박사

        RANK : 248639

        컴퓨터 기술의 발달은 인터넷과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생활양식 전반에 걸쳐 변화를 가져왔으며 특히 온라인 쇼핑은 확고한 유통채널로 자리 잡고 있다. 온라인쇼핑은 시·공간의 제약 없는 장점과 결제방식이 간편화되면서 PC뿐만 아니라 모바일을 통해서 이용자 수가 증가하고 국내뿐 만 아니라 해외 직구로 확대되어 온라인쇼핑은 지속적인 성장을 이루고 있다. 그러나 패션주얼리 산업은 주요 브랜드를 제외한 다수의 낮은 인지도 브랜드들로 인해 매출 부진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마케팅 능력 및 자금력을 갖춘 업체보다는 소규모 영세업체들로 경쟁력 있는 브랜드를 찾아보기가 어려워 경쟁력 강화를 위한 대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따라서 시장의 무조건적 확장보다는 업계의 변화와 시장 흐름을 파악하고 브랜드 경쟁력을 강화하는 브랜드디자인의 전략적 접근을 우선시하며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전략적 플랫폼 구축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의 개념과 패션주얼리 산업 및 온라인 마켓의 현황을 선행 연구를 통해 살펴보고 패션주얼리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와 소비자 쇼핑성향을 설문 조사하여 소비자 요구조건을 파악하여 연구문제를 도출하였다. 연구문제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행연구에서 개념화단계, 구조화 단계, 실현화 단계, 응용확산 단계로 요인을 추출하여 브랜드디자인 전략플랫폼 모형을 기반구축 구성요인과 실행체계구조의 관리 및 운영 구성요인으로 구성하여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 플랫폼을 구축하였으며 구축된 체계를 검증하기 위해 패션주얼리 관련 업계 종사자와 전문가를 대상으로 선정하여 온라인 및 오프라인 업체 총 246개를 설문 조사하였다.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플랫폼(SPFBD) 체계구조의 타당성과 신뢰도 검증으로 자료 분석은 SPSS 20.0을 이용하여 기술 통계분석, 빈도분석, 요인분석, 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 교차분석을 시행하였으며 수거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현황으로는 온라인 판매는 오픈 마켓> 종합 쇼핑몰> 블로그> 기타 사이트(자사 사이트) 순이며 온라인을 운영하지 않는 이유로 온라인 운영인력 부족, 마케팅 능력 부족, 정보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쇼핑몰 운영 시 가장 필요한 것은 유통과 마케팅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SPFBD의 브랜드디자인 전략 기반구축을 위한 전략 요인과 실행체계구조 관리 및 운영 요인은 유의 확률 0.05이하로 요인과정을 충족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SPFBD의 체계구조는 표준 적절성이 0.5 이상으로 신뢰할 수준으로 나타났다. 셋째, 브랜드디자인 전략 기반구축을 위한 전략 요인이 실행체계구조의 관리 및 운영 요인에 미치는 영향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정(+)의 영향으로 기반 구축 전략요인이 중요할수록 실행체계구조의 관리 및 운영 요인이 중요하게 나타났다. 넷째, 직종별 SPFBD의 중요도 인식을 교차 분석한 결과 기반구축 전략 요인에서는 비전, 브랜드, 디자인에서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였으며 실행체계구조에서는 디자인 상품개발과 온라인 운영에서 유의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다섯째, 기반구축의 중요도 순위를 통해 브랜드와 디자인의 인식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이는 브랜드디자인의 인식이 낮음을 나타내며 브랜드디자인 인식을 향상하기 위한 지속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여섯째, 타당도와 신뢰도를 통해 SPFBD의 수직단계로 최적화된 체계구조를 제시하였으며 직종별 기반구축의 구성요인별 단계에 구조모형을 구축하였다. 일곱째, 체크리스트를 활용하여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점검하고 응용확산 단계의 전략 구현 모형 체계를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플랫폼의 체계를 검증하여 타당성을 부여하였으며 이렇게 구축된 SPFBD 기반구축과 실행체계구조의 체계구조는 적용 가능성과 구축의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는 패션주얼리 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브랜드디자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도록 디자인중심의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도입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마켓의 패션주얼리 브랜드디자인 전략 플랫폼을 구축하고 실행하여 패션주얼리 산업이 온라인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확보하고 브랜드디자인 가치를 창출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가 갖는 한계 및 제언을 다음과 같이 제안한다. 첫째, SPFBD의 체크리스트로 체계구조를 점검하여 업체 간의 협력을 통해 소규모 패션주얼리 업체의 경쟁력 강화가 필요하다. 둘째, 패션주얼리 산업은 소규모 영세업체로 온라인 마켓을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전문 인력과 정보, 마케팅 등의 투자가 쉽지 않으므로 분야별 체계화된 전략구조와 협업을 통한 체계구조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셋째, 온라인 유통 마켓의 확대를 위한 전략구현 제시하였으나 차후 직종별 세분화된 시나리오별 평가 및 검증이 요구되며 이와 연관된 심층적 연구가 필요하다. The penetration of the Internet and smart phones, driven by the development of computer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our overall life style. Online shopping sites in particular are emerging as a robust distributing channel. With no limitations on time and space, coupled with simplification of payment methods, online shopping is drawing more users on computers and mobile phones, and is continuously growing through not only domestic purchases but also direct overseas purchases. However, except a few major fashion brands,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is struggling to increase sales due to the presence of several brands with low brand recognition. Unlike fashion brands with marketing skills and resources, it is hard to find small businesses that have competitive brands, and this is the reason why they are making efforts to come up with solutions. There should be more focus on finding strategic solutions that help understand the market flow and strengthen competitiveness rather than on expanding the market. Accordingly, this study looks at ways to build strategic platforms. While choosing the topic of research,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 of fashion jewelry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and online markets by conducting preliminary research. The study also attempted to understand the consumer requirements through a survey on the paradigm shift in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and consumer shopping tendencies. In order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 and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 a strategic platform for fashion jewelry brand?design (SPFBD) was structured. This involved extracting factors of conceptualization, structuralization, realization, and expansion of application, and dividing the model for brand?design’s strategic platform into two factors: establishment of foundation,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the execution system structure. In order to verify the structured system, a total of 246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mployees and professionals of online and offline companies in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SPSS 20.0 was used for data analysis to verify the validity and credibility of SPFBD, and technology statistics analy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distribution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and cross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analyses from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the ranking of online sales was as follows: open market> shopping mall> blog> other sites (company sites). The reasons behind not running an online shopping site were lack of online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rketing abilities, and information. The components needed most for running an online shopping mall were distribution and marketing. Second, the strategic factor for building SPFBD and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factors of the execution system structur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ce probability of less than 0.05, which satisfies the factor process. As for the system structure of SPFBD, it had a credible standard appropriateness of more than 0.5. Third, after analyzing the correlation of the effect of brand?design strategic factor for strategic foundation establishment on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factor of the execution system structure, it was found that they had a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The more important the strategic factor for establishment of foundation, the more important the management and operational factor of the execution system structure. Fourth, after analyzing the perception about the level of importance of SPFBD according to job category, for the strategic factor of foundation establishmen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bserved in the perception of vision, brand, and design, and for the operation system structur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noted in the perception about design product development and online operation. Fifth, by looking at the prioritized list of importance of foundation establishment, it was found that there i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perception about brand and design. This means that the perception about brand?design is low, and there is a need to find a long-lasting strategy to enhance the perception about brand?design. Sixth, the most idealized system structure deduced by the vertical stages of SPFBD through validity and credibility was presented, and a structure model was established at the components stage of foundation establishment by job category. Seventh, examples of application were presented and examined using a checklist, and the strategic implementation model at the expansion of the application stage was presented. Conclusively, validity was given to the strategic platform system of fashion jewelry brand?design by making verifications. The foundation establishment of the hence-established SPFBD and the system structure of the execution system structure can be said to have potential for application and significance in establishment. This study sought to acknowledge and implement the significance of design-based strategy of fashion jewelry brand?design in order to strengthen the competitiveness of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and create value for brand?designs. This would allow fashion jewelry brand?designs to establish and operate a strategic platform for the online market, which would lead to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gaining the upper hand in competing in the online market and creating brand?design value. The recommendation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mpetitiveness of small scale fashion jewelry companies needs to be strengthened by evaluating the system structure of SPFBD using a checklist and through collaborations of companies. Second, because the fashion jewelry industry is an industry composed of small-scale enterprises, it finds it difficult to make investments in objects such as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marketing to establish and

      • 폐경후 당뇨병 환자의 영양소 섭취수준과 골밀도와의 관련성 : 강원지역 폐경후 여성을 대상으로

        연현주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39

        최근의 여러 연구에서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정상인에 비해 골 손실이 더 심하다는 보고가 있었으며, 당뇨병 환자 중에서 골 소실이 있는 환자와 없는 환자사이에 당뇨병의 조절상태는 별 차이가 없었다는 보고도 있었다. 골다공증은 하나의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 것이 아니며 여러 위험인자가 관련되어 있어, 조절 가능한 위험인자의 경우는 생활 습관 등을 교정하여 골다공증의 발생 위험도를 줄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제2형 당뇨병 환자 중 폐경 후 여성을 대상으로 영양소 섭취 수준을 포함한 식생활 내용과 골밀도와의 관련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강원도 원주시 원주기독병원 내분비대사내과를 내원하는 폐경 후 여성 당뇨병 환자 5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였고, 이 중 갑상선기능 항진증, 조기폐경, 간경변증이 있는 환자를 제외하여 최종적인 대상자수는 40명이었다. 식생활에 관한 분석은 예비조사에서 개발한 반정량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를 이용하여 자주 섭취하는 식품의 섭취 빈도와 영양소 섭취수준을 산출하였으며, 생화학적 검사와 골밀도 검사를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사용한 반정량 식품 섭취 빈도 조사지의 타당도 및 신뢰도를 분석한 결과, 타당도는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relation이 열량, 단백질, 지방, 회분, 칼슘, 인, 철분,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레티놀, 카로틴, 비타민 B_1, 비타민 B_2, 나이아신에서 상관성이 0.4이상이었고, 신뢰도는 모든 영양소에서 Pearson correlation, Spearman cor elation 모두 상관성이 0.4이상 높게 나왔다. 2. 대상자들의 열량을 포함한 각종 영양소의 섭취 수준을 분석한 결과, 1일 평균 열량 섭취수준은 1,800kcal, 단백질 65g, 지방 33g, 탄수화물 309g, 칼슘 498mg, 인 1080mg이었으며, 열량 섭취수준은 RDA의 94%, 단백질 118%, 인 154%로 나타났으나, 칼슘 섭취수준은 RDA의 71%이었으며, 총열량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 섭취 백분율은 69 : 14 : 17로 이상적인 당뇨병 식의 에너지구성비인 55-60% : 10-20% : 20- 5%(대한당뇨병학회 1999)과는 차이가 있었다. 3. 척추골의 골밀도는 연령 및 중성지방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고, 제지방 체중과 HDL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대퇴부의 골밀도는 연령과는 음의 상관관계를, 제지방 체중과 칼슘 섭취량, 인의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여주었다. 4. 연령은 정상군이 골결핍군과 골다공증군보다 유의적으로 낮았고, 신장과 제지방 체중은 정상군이 골다공증군에 비하여 높았으나 골결핍군과는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체중, 체질량지수(kg/㎡), 당뇨병유병기간, 폐경연령, 체지방량(kg), HbA 1c는 세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 영양소 섭취수준의 차이를 분석해 보면 식물성 단백질과 인은 골다공증군에서, 정상군과 골결핍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지만, 열량, 총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총칼슘, 동물성칼슘, 식물성칼슘, 나트륨, 칼륨, 비타민 A, 레티놀, 카로틴, 비타민 B_2, 나이아신, 비타민 C, 비타민 D 그리고 콜레스테롤의 섭취수준에는 각 군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6. 곡류, 어류, 육류, 난류, 두류, 야채류, 해조류, 과일류, 우유류 등 각 식품군 월 섭취횟수는 정상군, 골결핍군, 골다공증군 등 세 그룹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7. 월 식품 섭취횟수는 잡곡밥, 조기, 검정콩이 정상군에서 골다공증군보다 유의적으로 섭취횟수가 많았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의 대상자들은 1일 칼슘 섭취수준이 498mg으로 RDA의 71%로 적었으며, 총열량 섭취량에 대한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열량 섭취 백분율은 69 : 14 : 17로 탄수화물의 섭취비율이 높았다. 척추부의 골밀도는 연령, 중성지방과는 음의 상관관계, 제지방 체중과 HDL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냈으며, 대퇴부의 골밀도는 연령과는 음의 상관관계, 제지방 체중과 칼슘, 인의 섭취량과는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연령, 신장과 제지방 체중은 정상군, 골결핍군, 골다공증군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고, 체중, BMI, 유병기간, 폐경연령, 체지방량, HbA1c는 세 그룹간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대퇴부의 골밀도가 칼슘과 인의 섭취량과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영양소 섭취수준은 식물성 단백질과 인이 골다공증군에서 정상군과 골결핍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열량, 총단백질, 동물성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총칼슘, 동물성칼슘, 식물성칼슘 섭취수준에는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강원도에 사는 폐경후 당뇨병 여성환자들의 주요 칼슘 급원식품은 검정콩과 잡곡밥이었으며, 우유, 유제품, 멸치 및 뼈채먹는 생선의 섭취는 적은 편이었다. Some studies currently suggest that the patients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have an increased incidence of osteoporosis, and glycemic control i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osteopenic and nonsteopenic patients. The prevalence of osteoporosis is associated with many risk factors. We investigated the correlation between bone mineral density and nutritional statu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fifty postmenopausal women with type 2 diabetes mellitus.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 1. The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FFQ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r>0.4(p<0.05) in energy, protein, fat, carbohydrate, ash. calcium. phosphorus. iron, sodium, potassium, vit A, retinol, carotene, vit. B_1, vit, B_2 niacin, 2. Energy intake rate was 94% of RDA, protein 118%, phosphorus 154%, and but calcium was 71% of RDA. 3. The BMD of spine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triglyceride level, positive correlation with LBM and HDL. The BMD of femur had negative correlation with age and positive correlation with LBM, calcium and phophorus intake. 4.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age, height, LBM among WNL, osteopenia, osteoporosis groups. 5. Vegetable protein and phosphorus intake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WNL osteopenia, osteoporosis groups 6. There were significantly difference in the intake frequencies of boild rice and cereals, yellow corvina and black soybean among WNL, osteopenia, osteoporosis groups. In conclusion, the calcium intake was 498mg and it was short by 71% of RDA Bone mineral density was negative correlated with age and positive with lean body mass. And boiled rice and cereals, yellow corvenia and black soybean were significantly derived in group with osteoporosis.

      • (The) effect of a variance shift on the Breusch-Godfrey's LM test

        현주 Graduate School, Yonsei University 2006 국내석사

        RANK : 248607

        In this paper, we study the impact of a particular type of heteroscedasticity on the LM test for autocorrelation. It is demonstrated by Monte Carlo simulations that an abrupt break in variance can generate spurious rejections of the null hypothesis of no serial correlation.

      •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

        현주 호남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07

        본 연구의 목적은 5세 유아를 대상으로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어휘력 향상에 효과를 주는지 밝힘으로써 유아교육현장에서의 유아의 어휘력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방법 모색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하였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유아의 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 한가?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유아의 수용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유아의 표현어휘력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광산구에 위치한 K유치원 만5세 두 학급 유아 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한 학급 유아 26명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한 학급 유아 26명을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실험집단의 유아들은 총16회 동안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을 진행하였다. 검사 도구는 김영태, 홍경훈, 김경희, 장혜성, 이주연(2009)의 수용·표현 어휘력 검사(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방법은 SPSS.18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증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 보다 어휘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 보다 수용어휘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 유아들이 비교집단 유아들 보다 표현어휘력 점수가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 결과를 종합해보면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꾸미기활동이 만 5세 유아의 어휘력 향상 및 어휘력 발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의미한다.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baseline data needed to seek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n order to improve children's vocabulary in kindergarten by verifying whether an effect was produced on the improvement of vocabulary by 5-year-old children's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According to the above-mentioned purpos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1. what effect is produced on children's vocabulary by a story making activity that utilizes a picture book? 2. what effect is produced on children's receptive vocabulary by a story making activity that utilizes a picture book? 3. what effect is produced on children's expressive vocabulary by a story making activity that utilizes a picture book?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52 children of 2 classes for 5 year olds in K kindergarten located in Gwangsan, Gwangju Metropolitan City. Among them, 26 children in one class were selected as experimental group and 26 children in the other class were selected as comparison group.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in the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a total of 16 times. Receptive & Expressive Vocabulary Test instrument of Youngtae Kim, Gyunghun Hong, Kyunghee Kim, Haeseong Chang and Juyeon Lee (2009) was used as test instrument. With regard to data processing method, an analysis was made through t-test using SPSS.18 program. Study results regarding this are presented as follows. First, it was shown that a score in vocabulary significantly improved in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as compared with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Second, it was shown that a score in receptive vocabulary significantly improved in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as compared with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Third, it was shown that a score in expressive vocabulary significantly improved in children of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ing in the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as compared with children of comparison group. Putting the above-mentioned results together, these mean that a positive effect was produced on 5-year-old children's vocabulary improvement and vocabulary development by the story making activity which utilized a picture book.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