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집단미술치료가 소외계층 노인의 우울감소와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신혜순 원광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연구는 소외계층의 노인들을 위한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 고 그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노인의 우울 감소와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 향상 의 효과성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이다. 연구설계는 비동등성 통제군 전후설계 이며, 연구대상자는 Y군의 65세 이상 소외계층 노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실 험군 6명, 통제군 6명으로 총 12명의 노인이었다. 연구기간은 2006년 9월 11일 부터 12월 30일 까지였으며, 연구절차는 실험군과 통제군에게 일반적 특성, 노 인성 우울, 자아존중감, 생활만족도에 관한 사전조사를 실시하고, 그 후 실험 군에게 개월간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제공하였으며, 그 후 사전조사와 동일한 내용으로 사후조사를 실시하였다.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주 1회씩 총 15회기를 실시하였으며, 매 회기 치료 소요시간은 1시간 30분정도로 사회 복지사와 미술치료 연구 보조자를 두고 관찰하였다. 연구도구는 자가보고식 설문지와 집단미술치료 일지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12.0 통계패키지를 사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Kolmogrov-Smirnov, χ2- test, Fisher's exact test, t-test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은 조사 대상자의 사전 · 사후 우울검사의 변화와 생활 만족도 변화,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따 른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Paired samples t-test를 실시하였다. 또한 HTP 그림검사는 김동연 · 공마리아 · 최외선(2002)이 편역한 「HTP와 KHTP 심리진단법」과 미술치료학회(2000)의 「미술치료의 이론과 실제」, 정여주(2003)의 「미술치료의 이해: 이론과 실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따라 두 집단간 노인성 우울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t=-8.600, p=.000),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중재 전 · 후 노인성 우울 점수의 차이가 더 컸다. 그러므로 제1가설인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은 참여하지 않은 노인보다 노인성 우울이 낮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2)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따라 두 집단간 자아존중감 점 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t=-9.774, p=.000),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중재 전 · 후 자아존중감 점수의 차이가 더 컸다. 그러므로 제2가설인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은 참여하지 않 은 노인보다 자아존중감 점수가 더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3)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실시 여부에 따라 두 집단간 생활만족도 점수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어서(t=-10.614, p=.000), 실험군이 통제군보다 중재 전 · 후 생활만족도 점수의 차이가 더 컸다. 그러므로 제3가설인 “노인미술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노인은 참여하지 않 은 노인보다 생활만족도 점수가 더 높아질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4) HTP 그림검사와 프로그램 매회기마다 작품에서 질적분석을 통해 본 결과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의 표현력이 증가하였고, 집단 간 역동성이 작 용하면서 자존감과 생활만족도의 향상으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이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소외계층 노인의 우울감을 감소 시키고, 자아존중감과 생활만족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사용된 노인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은 소외계층 노인에게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evaluate and develope the effectiveness a group art therapy program decreasing depression and improving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of the disadvantaged. The study design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 and posttest. The subjects of study include 12 disadvantaged more than 65 years old in Y County. Among them, 6 disadvantaged the test group and 6 disadvantaged the control group. The period of study was from September 11 to December 30 of 2006. The study process began pretest to create a profile of each disadvantaged based on depression of disadvantaged, self-esteem, life satisfaction. The test group was then offered the chance to participate in an 15 week group art therapy program. And posttest was also conducted. The methods of study was self-questionnaire and group art therapy daily summary. The analysis of collected data was done by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including numbers, percentage, mean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χ2- test, and the Fisher's exact test, Kolmogrov-Smirnov test and t-test using SPSS WIN 12.0 program. Data analysis aimed at exploring the effects according to the subject's change in pre- and postdepression tests, the change of life satisfaction, and the change of self-esteem, which tried to test the individual effects through Paired samples t-test. Also, HTP(House-Tree-Person) Drawing Test was analyzed by the use of How to Make a Psychological Diagnosis by HTP(House-Tree-Person) and KHTP(Kinetic-House-Tree-Person) translated conveniently by Kim Dong-yun, Gong Maria, and Choi Oe-Son(2002), Theory and Practice of Art Therapy by Korean Art Therapy Association(2000), and Jung Yu-ju's(2003) Understanding Art Therapy: Theory and Practice.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points of depression by disadvantaged in the program or not(t=-8.600, p=.000)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ion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Seco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points of self-esteem by disadvantaged in the program or not(t=-9.774, p=.000)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self-esteem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Thir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on the points of life satisfaction by disadvantaged in the program or not(t=-10.614, p=.000) and showed significantly higher Life satisfaction points than the control group upon completion of the program. Fourth, They increased their expressiveness at the works in mandala, collage, HTP Drawing Test and as dynamic between groups interacted, improvement appeared by self-esteem and life satisfaction. The disadvantaged group art therapy program reduced the disadvantaged depression, and self- esteem and life satisfaction was changed positively. Therefore, disadvantaged group art therapy program that is used by this research can apply usefully to the disadvantaged .

      • 여성의 모성 원형 이론에 의한 프리다 칼로 자화상 해석

        신혜순 원광대학교 2007 국내박사

        RANK : 247647

        예술가들의 작품 중에는 확실한 이유를 댈 수는 없지만 우리 마음에 충격을 주는 것들이 있다. 프리다 칼로의 작품들 역시 그러한 부류에 속한다고 말할 수 있다. 그렇다면 그것이 우리 마음에 충격적인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것은 무슨 이유일까? 그 이유인 즉 그 작품이 내포한 어떠한 요소들이 우리 마음에 영향을 미치기 때문일 것이다. 프리다 칼로는 143여 점의 작품을 남겼는데 그 중 55 점이 자화상이다. 그 녀는 삶의 많은 시간을 작품제작에 보냈는데, 그 중에서 자화상이 많은 비중 을 차지한다. 본 논문에서는 그녀의 사실적인 표현의 자화상 40개의 해석을 통해 그녀의 심리적 변화과정을 분석 심리학적 입장에서 탐구하였다. 그 특성 들은 다음과 같다. 1) 프리다의 그림들은 개인 무의식적 내용들이면서 또한 집단 무의식적 내 용들이 담겨 있다. 2) 프리다는 그림을 그려내는 것을 통하여 삶의 원천적인 에너지를 얻었던 것으로 보인다. 3) 프리다는 충격적인 사건과 사실적인 그림을 통해서 고통스런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에서 스스로 심리적 치유의 경험을 하였다. 4) 프리다는 자신의 내적 세계를 표현함으로서 외적 세계에 대면하였다. 5) 프리다의 자화상들은 그녀의 심리적 변화과정의 표현이다. Among the works of artists are those which touch our hearts without any particular reasons. It can be said that Frida Kahlo's works belong to them. Why are our hearts touched by her works? It is, perhaps, because our unconsciousness is influenced by some elements inherent in them. The number of Frida Kahlo's works is 143, 55 of which are her own portraits. She spent a great deal of time on the production of her works, a large portion of which is taken up by her portraits. This study has examined, from the viewpoint of analytical psychology, the psychological changes of Frida Kahlo by way of interpreting 40 of her own realistic portraits. From the examination follow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Her portraits are not only concerned with her own unconsciousness, but they contain elements of the collective unconsciousness. 2) It seems that she acquired basic energy for life through drawing her portraits. 3) She experienced a psychological healing for herself in the process of transforming shocking events into painful portraits. 4) She faced up to the external world by giving expression to her internal world. 5) Her own portraits are the expression of the psychological changes she underwent.

      • 다문화가족 여성의 의사소통 유형이 결혼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자아존중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신혜순 대구대학교 2018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communication patterns an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women. This study focused on whether self-esteem plays a mediating role between the relationship of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Findings of this study provide information and knowledge base for the development of services and programs that could enhance the mari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women and suggest policies to improve the welfare of multicultural family. This data were collected using questionnaire from multicultural women living in Daegu and Gyungbuk areas between June to September 2017.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items which reflect communication patterns,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and social demography characteristics. For the analysis, total 220 sample data were applied. The common factor and hierarchial multiple regression were us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Multicollinearity between the independent variables were verified by variance inflation factor. Statistical analysis was done using SPSS/PC program. The data analysis applied in this study is as follows. Factor analysis was applied to identify the patterns of communication. Then, sever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obel test was appli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elf-esteem on marital satisfaction. In the regression analysis, final dependent variable was marital satisfaction, and self-esteem was applie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This study proceed several steps to examine either partial or complete mediation pertinent for the analyses in which several regression analyses were conducted and significance of the coefficients was examined at each step. First, confirm that there is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atterns of communication and self-esteem. Second, ensure that self-esteem has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the marital satisfaction. Third, confirm that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increase or decrease when controlling the effect of the self-esteem. As a result of factor analysis based on the communication items, it was categorized into 7 factors; critical, distributed, open, other-oriented, rigid, self-centered, and objective pattern. Those communication patterns perceived by multicultural women had cause-and-effect relationship with self-esteem as well as marital satisfaction.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the patterns of critical, distributed, open, rigid, and objective were significantly related with self-esteem. But among the patterns, other-oriented and self-centered pattern were not significant.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self-esteem was positively related with marital satisfaction at the significant level of p<0.01. This suggests that marital satisfaction of multicultural women tends to be improved as self-esteem increases. To establish that self-esteem partially or completely mediates communication patterns to marital satisfaction relationship, the effect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controlling for self-esteem should be zero.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test whether the effect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varies when controlling the effects of self-esteem. Analysis was performed in two steps. At first, only the pattern of communication, which was a predictor variable, was included as independent variable. Then, self-esteem as a mediator and communication patterns were analyzed. Based on the results, it is verified whether the β value of the communication patterns in the two models changes or not. The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patterns except other-oriented were found to be significant. This first part of the results suggests that th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and marital satisfaction was confirmed. The coefficients of open and objective pattern were positive indicating that the higher level of these factors, the more satisfied with their marriage. However, critical, distributed, rigid, and self-centered had negative relationship with marital satisfaction, suggesting that the more experienced with these factors, the less satisfied they. Once these relationships were identified, further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ether self-esteem acts as a mediator in this relationship. The important point of the results was that compare with only communication patterns were included in the analysis, β value decreased significantly when both of the communication patterns and self-esteem were included.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all of the β coefficients of communication patterns decreased significantly. Sobel's Z-values were calculate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All of the mediating effects on marital satisfaction turned out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findings of this study clearly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communication patterns on marital satisfaction vary when controlling the effect of self-esteem. These results show that in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ommunication patterns and marital satisfaction, self-esteem plays important role of mediator. Key words : women of multicultural family, communication patterns, self-esteem, marital satisfaction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여성의 의사소통 유형을 규명하여 결혼만족도와의 관계를 분석하고 두 변수 간에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하는 지를 검증하였다. 이러한 연구는 다문화가족 여성들의 결혼만족도를 높일 수 있는 서비스 및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고 다문화가족 복지를 향상시킬 수 있는 정책 방안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자료는 2017년 6월부터 9월까지 대구와 경북에 소재하는 다문화가족 여성 2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설문지는 다문화가족 여성과 배우자의 연령, 학력, 직업, 출신 등 사회 인구학적 요인과 의사소통,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등을 측정할 수 있는 문항들로 구성되어 있다. 분석방법은 의사소통 유형을 규명하기 위해 요인분석을 적용하였고 요인분석에서 나타난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 그리고 자아존중감의 매개 여부는 위계적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파악하였다. 그리고 매개효과는 Sobel test를 적용하여 검증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요인분석을 적용하여 의사소통 유형을 분석한 결과, 7개의 요인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각 요인은 비판형, 분산형, 개방형, 타인지향형, 경직형, 자기중심형, 객관형 등의 특성을 지닌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의사소통 유형들의 신뢰도를 반영하는 Cronbach α 계수는 0.55~0.88까지의 범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의사소통 유형과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비판형, 분산형, 개방형, 경직형, 객관형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지향형과 자기중심형은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자아존중감과 결혼만족도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을 매개변수로 투입한 결과 자아존중감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타인지향형을 제외한 나머지 유형들 즉 비판형, 분산형, 개방형, 경직형, 자기중심형, 객관형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자아존중감이 매개역할을 한다는 것을 말해 준다. 본 연구결과는 다문화가족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 무엇보다 가족 간 의사소통 유형에 대한 이해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점과 의사소통 유형과 결혼만족도 간의 관계에 자아존중감이란 변수가 매개역할을 한다는 점을 분명히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여성의 결혼만족도를 높이고자 하는 서비스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의사소통 유형별 속성에 대한 부분과 자아존중감이 미치는 영향을 고려 할 때 서비스 효과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주제어: 다문화가족 여성, 의사소통 유형, 자아존중감, 결혼만족도

      • 중, 고등부 성가대를 위한 발성연습과 성가지도법에 관한 연구

        신혜순 가톨릭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각 성당이나 교회 안에서 일반적으로 중, 고등부는 어린이와 청년부와 분리되어 있고, 성가대 역시 ‘중, 고등부 성가대’가 분리되어 운영되고 있다. 중, 고등부 성가대는 청소년들이 그 주인공인 만큼 청소년기에 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기의 정의와 신체적, 심리적 특징을 살펴보고 그들을 지도하기 위하여 필요한 덕목을 알아보았다. ‘성가대’는 성가를 통하여 교회에 봉사하는 단체이다. 특히 가톨릭교회는 미사전례 안에서 성가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으므로 그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지금 현재 각 본당 중, 고등부에서 사용되고 있는 성가곡의 현황에 대해서도 알아보았다. 교회 안에서 불리워지는 ‘성가’ 또한 ‘노래’이므로, 음악적으로 어떻게 이끌어야 하는가가 가장 중요한 문제이다. 따라서 노래를 부르는데 필요한 전반적인 이론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노래를 부르는 것은 우리 몸을 악기로 사용하는 것이다. 즉, 호흡을 이용하여 성대를 진동시키고 우리 몸에 있는 여러 공명강들을 울림으로써 크고 아름다운 소리를 내어 전달하고자 하는 내용을 가사로 아름답게 표현하는 작업이다. 이러한 과정을 잘 수행하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자세와 입모양, 구강구조에 관하여 알아보았다. 노래하는데 필요한 호흡은 어떤 것인지, 몸의 어떤 기관들을 통하여 그러한 호흡이 이루어지는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바른 호흡을 통하여 아름다운 소리를 내는데 필요한 기관이 발성기관이다. 후두와 그 안에서 가장 중요한 발성기관인 성대, 그리고 성대를 울린 소리를 확장시켜주는 공명강들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나오는 아름다운 소리 위에 정확한 가사를 전달하기 위하여 발음법을 살펴보았다. 중, 고등부 성가대가 주로 사용하는 가사는 한국어이므로, 한국어 구조에 따른 발음법에 관하여 간단히 정리해보았다. ‘중, 고등부 성가대’는 변성기를 거치고 있거나 막 지난 중, 고등학생들이 모여서 성가를 부르고 있으므로 변성기의 특징과 그들이 낼 수 있는 평균적인 음역을 알아보았다. 전반적인 이론을 살펴본 후에 구체적인 발성연습에 관해 연구해보았다. 먼저 들이쉬고 멈추고 내쉬는 작업이 연결되는 호흡연습에 관해 알아보았다. 소리를 아름답게 내기 위한 작업인 모음을 통한 발성연습을 살펴보고, 가사를 정확하게 전달하는 데 꼭 필요한, 자음을 이용한 발성연습에 관하여 연구하였다. 여러 형태의 성가를 잘 부르기 위하여, 다양한 리듬에 관해서도 알아보고 구체적인 연습내용을 다루었다. 또한 더 많은 성가를 잘 부르기 위해서, 변성기로 인해 좁아져 있는 중, 고등학생들의 음역을 부드럽게 넓혀가는 연습방법에 대해서도 생각해보았다. 이와 같은 발성연습과 리듬 연습, 음역 넓히기의 방법을 익힌 후, 여러 연습곡을 통하여 실용적인 연습이 되도록 하였다. 각 성가대의 인원수나 구성 비율이 다 다른 만큼, 상황에 맞게 적절한 방법을 선택하게 하고자, 단선율 연습곡, 2성부, 3성부, 4성부의 연습곡을 각각 제시하여 연습의 다양화를 모색하였다. 이러한 연습 후에, 우리가 실제 사용하는 성가 연습을 통하여, 이제까지 공부했던 여러 가지 연습 방법들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성가에서 적용되는지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성가 연습의 순서를 예시함으로써, 성가대 연습 시간을 어떻게 효율적으로 운영할 것인지에 관해서 생각해보았다. 이러한 작업을 통하여, 아직 어린이와 청년부 사이에서 명목상의 ‘중, 고등부 성가대’로 존재하며 그 특징을 존중받지 못하고 있는 많은 성당과 교회의 중, 고등부 성가대가, 노래에 관하여 바른 교육을 받고 효율적인 연습을 거쳐 아름다운 찬미를 봉헌할 수 있게 되기를 바라며 나아가 그들이 성인이 되었을 때, 성가를 더 잘 부르고 사랑하게 되기를 희망한다.

      •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 연구

        신혜순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Children’s literature has its distinctiveness in the fact that it targets children. Children are self centered, have animistic thinking, and these characteristics are similar to the fantasy world of fairy tales. Therefore, as stories that are illustrated for children, fairy tales aim to portray a world for the children and a world that is needed and can be enjoyed by children. A fairy tale can be generally classified as a fantasy fairy tale and realistic fairy tale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fantasy elements and writing technique. Therefore “Fantasy” is without question an important element of fairy tale but it is not a requirement in fairy tale composition. Korean fairy tales was born and developed over the colonial period which was a time of special circumstances in Korea’s modern history. “Bawinari Wa Agibyeol” written by Ma Hae Song in 1923 is a fantasy fairy tale and is probably Korea’s first creative fairytale. Thenceforth, with independence of Korea 1945 as the year of reference, 1908 &#8211; 1945 is classified as the first gener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and from 1945 and on is classified as the second generation of children’s literature movement. This study was conducted targeting fairy tales composed in the first generation that posses fantasy elements. During this period is when changes in perception of children and aesthetic function of fairy tale began being recognized and is also important from the perspective that it is during this period that creative fairy tales were first introduced. Even more so, because studies on early fantasy fairy tales have not been conducte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fantasy fairy t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can be considered the most fundamental and at the same time must urgent project in Korea’s literary study of fairy tales. The reason this study places its focus on fantasy fairy tales is because fantasy fairy tales are closer to universal fairy tales than realistic fairy tales with strong sense of purpose. Another reason is, there is a severe lack of fantasy fairy tales in Korean creative fairy tales written in recent times, and their characteristics are also very limited. If so, if fantasy is well suited for the nature of children and is also an important element in creative writing, why isn’t it able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n Korean fairy tales? And what characteristics do Korean fantasy fairy tales have? This study began by asking such questions. Study pieces were selected focusing on “Eorini (Children)”, the most representative magazine from the colonial period, and taking into account the large proportion of children’s novels in “Eorini”, other magazines and newspapers were used as additional reference. In the case in which no materials were released, selections from modern children’s literature were used as reference to select a total of 19 pieces. As study method, in order to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iry tales and fantasy, the concept of fantasy, characteristics of children, and fantasy in fairy tales were examined, and fantasy of creative fairy tale and traditional folk tale were distinguished. Analysis of pieces were conducted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writing technique, characters, time and space, event, theme, and abstraction based on narrative theories, and aspects and problems of fantasy fairy tales were organized. When characteristics of fantasy fairy t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are examined, first, they possess characteristics of customary introduction and sovereign intervention of the author in the method of writing. The introduction that leads into the fantasy world has poetic expressions that are suggestive, and it was discovered that there is a prescribed rule in the process where the boundary of reality and fantasy become clear. Sovereign intervention of the author signifies the way the author induces and controls the reaction of the reader while the story is being told, and even decides the emotion of the reader. Majority of characters are typically portrayed as weak characters. The main characters in the pieces are often crying, and this is similar to the attitude of children in an effort to fulfill their wants and desires. However, children were rarely used in the stories, and when children were used in the story, they were used as secondary characters rather than as main characters of the story. With time and space of the stories, movement and diversity are extremely restricted, and the timeline of the stories were limited to changes in season based on growth process of plants or night time as the stories progressed. Especially, children who are playing and the lack of magical existence are also characteristics of fantasy fairy t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As with scenarios, image of the main character maturing through the process of farewell and waiting, and authoritative actions and violence of adults could be seen frequently. The themes that were established through such scenarios were of the emphasis of giving and sharing. Although in a world of hardship, the stories showed what it is to experience happiness of helping each other. The stories correct the behavior and thoughts of wrongful people, and heal the characters that are lonely, isolated, and neglected. Also, in the historical reality, image of main characters of dreaming of freedom from oppression reveals injustice of the realities of the colonial period. This signifies that although they are fairy tales for children, they cannot steer away from historical and social realities. Last, fantasy fairy t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are rarely long pieces. When the cause of imbalance between fantasy fairy tale and realistic fairy tales are identified based on such characteristics, first, it is because of the 36 years of colonial period and the historical circumstance of the Korean War. Second is because of Korea’s traditional ideologies and Confucianism that did not consider fantasy important. Third is because of the kinship centered family system that emphasizes blood lines. Fourth is because thoughts about fantasy and fantasy writing techniques we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western world to begin with. Fairy tales have their own characteristics based on their country of origin. But characteristics of Korean fantasy fairy tales could not be recognized as Korean fantasies. By attempting a more specific and diverse approach by focusing on fantasy fairy tales of the creative fairy tales from the colonial period which are the starting point of modern fairy tales, this study aimed to revealed their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rom the historical, societal, and structural context, an effort was made to reveal aspects and problems of fantasy fairy tales and to find reasons fantasy fairy tales were not able to produce significant results in Korea. It is hoped that this will be an opportunity to make Korean creative fairy tales more abundant, and it is revealed that it was a project for preparing a foundation on which studies on Korean children’s literature can be conducted with diversity. Key Words: 아동문학은 아동을 대상으로 한다는 점에서 특수성을 갖는다. 아동은 자기중심적 사고와 물활론적 사고를 갖고 있으며 그 특징이 동화의 환상적 세계와 닮아있다. 그래서 동화는 아동을 대상으로 꾸며진 이야기로 아동의 세계, 아동에게 필요하고 아동이 좋아할만한 세계를 담아내려고 한다. 동화는 환상의 유무와 기법에 따라 환상적 동화와 사실적 동화로 나누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환상’은 동화의 중요한 요소임에는 틀림없지만 동화 창작의 필수조건은 아니다. 한국 창작동화는 한국 근대사의 특수한 상황이었던 식민지 시대를 거치면서 태동, 발전해 왔다. 1923년 마해송의 「바위나리와 아기별」은 환상적 동화로 우리나라 최초의 창작동화라고 할 수 있다. 이후 1945년 광복을 기준으로 1908년~1945년을 제1기 아동문화운동시대, 1945년 이후를 제2기 아동문학운동시대로 크게 나눈다. 이 연구는 제1기에 창작된 동화로 환상적 요소가 있는 작품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시기는 아동에 대한 인식의 변화와 동화의 미적 기능이 인정되기 시작한 시기이며 창작동화가 처음 등장한 시기라는 점에서도 중요하다. 더구나 초기 환상적 동화 연구는 이루어진 것이 없어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의 특징을 밝히는 일은 한국 동화문학 연구의 가장 기초적인 작업이며 시급한 과제라고 하겠다. 이 연구가 환상적 동화에 주목하는 것은 환상적 동화가 목적의식이 강한 사실적 동화보다 좀 더 보편적 동화에 가깝기 때문이다. 또, 한국의 근대 창작동화는 지나치게 환상적 동화가 적으며, 특징 또한 제한적이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환상이 아동의 특성과 잘 어울리고 창작의 중요한 요소인데도 한국의 창작동화에서는 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것일까. 한국의 환상적 동화는 어떤 특징을 갖고 있을까 등의 문제로부터 이 연구는 시작되었다. 대상 작품은 식민지 시대 가장 대표적인 잡지 『어린이』를 중심으로 선정하고 『어린이』가 아동소설의 비중이 큰 것을 고려하여 그 외 잡지나 신문을 참고로 하였다. 공개된 자료가 없을 경우에는 한국 근대 아동문학 선집이나 아동문학 전집을 참고로 총 19편을 선정하였다. 연구 방법은 동화와 환상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환상의 개념과 아동의 특성, 동화에서의 환상을 정리하였으며 창작동화와 전래동화의 환상을 구분하였다. 작품 분석은 서사이론에 근거하여 이야기의 서술 방식, 인물, 시·공간, 사건, 주제와 사상 등으로 나누어 특징을 분석하고 환상적 동화의 양상과 문제점을 정리하였다.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의 특징을 살펴보면 먼저, 관습적 도입과 서술자의 주권적 개입이라는 서술 방식의 특징을 갖는다. 환상적 세계로 유입되는 도입 부분은 대부분 함축성이 있는 시적 표현으로 이루어지며 현실과 환상의 경계가 분명해지는 과정에서 일정한 규칙이 있음을 발견했다. 서술자의 주권적 개입이라는 것은 이야기가 서술되는 동안 서술자가 독자의 반응을 유도하고 감정을 조절하는가 하면 독자의 감정을 결정해 버리곤 하는 태도를 말한다. 인물은 대부분은 나약한 인물 유형을 갖는다는 것이다. 작품 속에서 주인공은 대부분 눈물을 흘리고 있는데 이것은 자신의 욕구를 충족시키려는 아동의 생활 태도와도 닮은 점이다. 그러나 이야기에 아이가 직접 등장하는 경우는 극히 드물며 아이가 등장한다고 해도 주동적 인물보다는 부수적인 인물에 불과했다. 시·공간의 경우 이동성이나 다양성이 극히 제한적이어서 식물의 성장 과정을 기준으로 한 계절의 변화로 한정되거나 밤이라는 시간적 제한을 두어 이야기가 진행되었다. 특히, 노는 아이와 마법적 존재가 부족하다는 것도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의 특징이다. 사건에 있어서는 이별과 기다림의 과정을 통해 성숙되어가는 주인공의 모습과 어른의 권위적인 행위와 폭력 등이 작품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이러한 사건을 중심으로 드러난 주제는 우선 베풂과 나눔의 강조였다. 어렵고 힘든 세상이지만 서로 돕고 사는 즐거움이 어떤 것인지 보여주고 있었다. 다음으로 치유와 교정이라는 주제를 갖는다. 옳지 못한 인물의 행동과 생각을 바로 잡으며 외롭고 고독하며 소외된 인물의 내면을 치유한다. 또 역사적 현실에서의 핍박으로부터 해방을 꿈꾸는 주인공의 모습에서 식민지 현실의 억울함을 발견하게 된다. 이것은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동화라 해도 역사적, 사회적 현실에서 벗어날 수 없었음을 의미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는 장편이 극히 드물다는 것이다. 이러한 특징을 바탕으로 환상적 동화와 사실적 동화의 불균형 원인을 찾아보면 첫째, 36년이라는 식민지 기간과 6·25 전쟁이라는 역사적 상황 때문이다. 둘째, 환상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은 한국의 전통 사상과 유교적 이념 때문이다. 셋째, 핏줄을 강조하는 혈연중심의 가족 제도 때문이다. 넷째, 환상에 대한 생각이나 환상적 기법이 서구와 처음부터 달랐기 때문이다. 동화도 각 나라마다 특징이 있다. 그런데 한국 환상적 동화의 특징을 한국적 환상으로 인정하지 못했던 것이다. 이 연구는 근대 동화의 출발기인 식민지 시대 창작동화 가운데 환상적 동화를 대상으로 좀 더 구체적이고 다양한 접근 방법을 시도하여 그 특징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 역사적, 사회적, 구조적 맥락에서 식민지 시대 환상적 동화의 양상과 문제점을 밝히고 환상적 동화가 우리나라에서 큰 성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를 찾고자 노력했다. 이것이 한국의 창작동화를 좀 더 풍성하게 만드는 기회가 되기를 바라고 한국 아동문학 연구가 다양하게 발전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위한 시도였다.

      •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과 일반아동과의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

        신혜순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s of social story intervention including peer supports on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friendship with normal children. The social story is a short one which explains commonsensical responses and proper social cues in order to provide information specific to various situations. This study includes the peer supports in order to apply the social story to integrated classes. The peer supports mean the peer children's activities to increase the intervention effects in the integrated classes based on the basic principle on which it consists of various stories occurred in real life during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intervention tools: in selecting some contents applied to the social stories, the requirements of peer groups from questionnaires should be actively reflected; in producing books, some pictures suitable for the contents should be drawn; in practicing the intervention, support activities should be conducted along with researchers. Thus,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ncluding peer supports on task performance behavior of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whether the effects on task performance behavior is maintained after an end of intervention. And it also investigates the effects on friendship between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ith normal children who participate in peer supports. The subject of this study is a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enrolled in 6th grade in M elementary school in Uijeongbu, Gyeonggi-do, who was asked to achieve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 in an integrated class and participated in the study through the consent of his/her parents. The child's behaviors were observed during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by using the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between behaviors as the design of this study.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class participation as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 one person playing one role and writing of class notes, and observed. The normal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are enrolled in two integrated classes in 6th grade. The experiment group is the integrated class which includes one child with disability and 26 normal children, and the control group includes one child with disability and 26 normal childre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ocial story including peer supports is found to positively affect the task performance behaviors (class participation, one person playing one role and writing of class notes). And it also seems to positively affect the improvement of relationship with peer children through the reduction of problematic behaviors by not only the class participation of a subject but also implementation of rules that should be conformed in the integrated class. Second, positive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ncluding peer supports can be found to be maintained after an end of the intervention. This suggests that as the frequency of class participation of the subject increases, some problematic behaviors including making some irrelevant noise and out-of-seat often seen in each classes are reduced. And positive effects also seems to be maintained after the intervention in class participation, one person playing one role and writing of class notes. Effects of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including peer supports on the friendship between child with disability and normal children are specifically investigated. There i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total score of friendship with the child with disability between normal children of experiment group and thous of control group. Investigation of friendship according to each areas suggests that there a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o-social behavior, trust formation, conflict and resolution of it but the scores in each areas of experiment group are slightly higher than thous of control group.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re also found in sharing activity, intimacy, attachment and self-esteem. On the basis of results above, it can be found that the social story intervention have positive effects on task performance behavior of child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as well as friendship with normal children. 본 연구는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가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과 일반아동과의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상황이야기는 다양한 상황에 대한 특정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적절한 사회적인 단서와 상식적인 반응을 설명하는 짧은 이야기이다. 이 연구는 상황이야기를 통합학급에서 적용하기 위해 또래지원을 포함하였다. 또래지원이란, 중재 도구 개발 및 적용 시 실제 생활 속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이야기들로 구성하는 것을 기본원칙으로 하면서 통합학급에서의 중재 효과를 높이기 위하여 또래아동의 활동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황이야기에 들어갈 내용을 선정할 때 설문 조사를 통해 얻어진 또래 집단의 요구사항을 적극 반영하고, 책을 제작할 때 내용에 알맞은 그림을 그리며, 중재를 실시할 때 연구자와 함께 지원활동을 하는 것을 말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중재가 종결된 후에도 과제수행행동에 미친 영향이 유지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나아가 장애아동과 또래지원에 참여한 일반아동과의 친구 관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 아동은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한 M초등학교 6학년에 재학하는 학생으로 통합학급에서의 과제수행행동 성취가 요구되어 학부모가 연구 참여에 동의하여 참여한 지적장애아동이다. 연구 설계 방법은 행동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사용하여 기초선, 중재, 유지 기간 동안 대상 아동의 행동을 관찰하였다. 본 연구에서 측정한 종속변인은 과제수행행동으로 수업참여행동, 1인 1역 활동, 알림장 쓰기의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여 관찰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 참여한 일반아동은 같은 학교 6학년 2개 통합학급의 일반아동들이다. 실험집단은 대상 아동이 통합되어 있는 학급으로 장애아동 1명과 일반아동 26명이며, 통제집단은 장애아동 1명과 일반아동 26명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결과를 종합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는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수업참여행동, 1인 1역 활동, 알림장 쓰기)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상 아동의 수업참여행동 뿐만 아니라 중재 이후 대상 아동이 통합학급 내에서 지켜야 할 규칙들을 이행함으로써 문제행동도 감소하여 또래아동들과의 관계 개선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는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에 미친 긍정적인 영향이,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도 유지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는 대상 아동의 수업참여행동이 증가함에 따라 중재 전 수업시간마다 자주 보이던 자리이탈행동 및 부적절한 소음 내기 등의 문제행동도 감소하였음을 나타낸다. 또한 수업참여행동뿐만 아니라 1인 1역 활동, 알림장 쓰기에서도 중재가 종료된 이후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가 장애아동과 일반아동과의 친구 관계에 미친 영향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실험집단의 일반아동은 통제집단에 비해 장애아동과의 친구 관계의 전체 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 관계를 각 영역별로 살펴보면 친사회적 행동, 신의형성, 갈등 및 갈등해결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각 영역별 점수는 통제집단에 비해 약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공유활동 및 친밀감, 애착 및 자존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보면 또래지원이 포함된 상황이야기 중재는 지적장애아동의 과제수행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을 뿐만 아니라, 일반아동과의 친구 관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음을 알 수 있다.

      • Pop Art Image를 활용한 Display 연구

        신혜순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31

        현대의 Display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 일정한 목적, 기획이나 테마를 기본으로 어떤 사물을 의도적으로 관객에게 호소하여 전달하는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이다. 즉, 전시 내용물과 관객이 만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복합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이제 그 나라의 유행동향, 미적 감각, 관습, 사고방식 등을 반영하여 문화의 척도로 활발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 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현재에는 현대적 조형영역의 확대를 모색하며 공간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 20세기 현대 미술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서도 가장 급변한 시기를 대변하며, 텔레비전이나 매스 미디어, 상품광고, 거리의 교통 표지판 등의 다중적이고 일상적인 것들뿐만 아니라, 코카콜라, 만화 속의 주인공 등 범상하고 흔한 소재들을 미술 속으로 끌여 들임으로써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는 Pop Art의 표현 형식을 도입하여 독창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이는 디스플레이가 도시환경의 전체 미관에 까지 기여할 수 있는 열린 대중을 위한 디자인이며, 팝 아트가 다루는 이미지가 그 사회의 모든 대중이 공유하는 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에서 큰 공통점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팝아트의 표현 형식에서 이미지를 추출하여 본인이 설정한 백화점 Show Window, 웨딩 드레스샵 Show Window, Wine Bar, 조명전시장의 각 특성 있는 공간에 부합하는 디스플레이를 전개하였으며, 본인이 제작한 점토 유니트(unit)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표현에 있어 팝아트의 표현 형식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단순히 제품의 판매를 위한 제품의 보기 좋은 나열의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팝 아트라는 현대 미술사조의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활용한 독창적인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을 진행하는 것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공간 형성에 미적 감각을 증대시켜주고,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더욱 다양한 디자인과 공간에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확장된 의미의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로서의 디스플레이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modern times, display is a three dimensional visual formative art technique which appeals to the gallery with objects based on a certain purpose and plan or themes as an activity of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is a comprehensive production of space that the gallery and exhibition communicate together. Display is also represented as an index of culture reflecting fashion, aesthetic senses, custom and ways of thinking. Therefore, the territory of the modern formative art is required to be expanded and the display that can properly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space is needed.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I groped for a unique way of pop art expression that has positive aspects to actively accommodate reality of industrial society into art and to attenuate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pure art and pop art by brining not only ordinary but multiplex subject matters like television, mass media, advertisement, street sign, but also common matters like Coca cola, characters in cartoon into art, representing days of the most sudden changes.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common point that display is the design for the open public, making contribution to even entire aesthetics of city environment and the images that pop art deals with is expressed with the one that the public share among themselves. As for the works in this study, the display was developed that matches unique spaces of show windows in the shopping malls, wedding dress shops, wine bars, lighting exhibition halls that I selected, extracting the images from pop art expression style. The effect of pop art expression could be maximized with utilizing clay unit I designed. Through this study, the valuable lesson was learned that it is not just a good-looking display of series of product but the design process with original concept utilizing various expression styles in modern art named 'pop art' that essentially increases a sense of aesthetics and completes in-depth design in display space. Based upon this study, I hope the display as 3-dimensional visual technique that functions actively in more diverse design and space will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and persistent efforts and studies will have to be put togeth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