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도제실내벽장식 제작에 관한 연구

        윤근희 단국대학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인간은 자신이 생활하는 환경의 변화를 끊임없이 추구하고 있다. 그 변화는 시대적으로 많은 변화와 세대간의 차이를 나타내기도 한다. 그 중 도제벽장식은 고대 인류와 함께 발전되어 왔다. 서양에서 점토가 최초로 이용된 것은 BC 5000년경 벽돌공들이 진흙벽돌을 덮개 없는 화덕에 구워 강화시키면서 시작되었다. 동양의 벽장식이 나타난 때는 중국의 주시대로 한국과 일본으로 전래되었으며 벽장식의 종류로는 전(傳)과 와(瓦)가 있다. 현대에 와서는 거의 모든 생활 공간에 도제벽장식이 환경적인 측면에서 그 영역이 확대하고 있다. 작품제작시 원, 사각형, 삼각형등의 기하학적 조형을 모티브로 다양하고 입체감 있는 도자벽화를 연구하여 현대인의 생활환경을 위해 만들어진 벽장식이다. 또한 흙이 가진 자연스런 질감과 입체적인 표현으로 조형미를 살려 실내공간연출을 위한 장식적 특성을 부각시켰다. 실내공간의 분위기는 공간을 구분하는 벽, 바닥, 천장으로 나뉜다. 그중 벽은 실내공간의 분위기를 좌우하는 큰 요소로 작용하는데, 벽의 구조와 색상에 따라 시각적 자극을 주며, 공간을 지각하고 느끼는 과정을 통해 인간의 감성에 큰 영향을 끼친다. 본 연구는 도제벽장식의 역사적 배경과 도제벽장식의 유형을 통해 작품을 제작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서는 일반적인 평면에서 탈피해 입체적으로 부조화시켜 다양함을 주고자 하였고, 형태는 기하학적 요소를 응용해 조형성을 부여하였다. 속파기를 하여 다양한 형태의 변화와 시각적 재미를 주었으며 소지는 석기질 조합토를 사용하였고, 색화장토와 안료를 써 색채를 다양하게 나타내었다. 이 연구를 바탕으로 도제벽장식 제작이 더욱 새로운 시각으로 모색되어지고, 환경예술로 거듭나기를 바라며 실내생활의 벽장식품으로서 사용되기를 그 목적으로 한다. Man, as for the environment where they live, through the unceasing effort, they develop and improve the circumstances. Especially, arriving in modern times, owing to the prosperous life and leisure time prolonged, the aesthetic character, the environmental art raised as the one side of the culture. This paper is concerned about the pottery-wall-decoration for interior space which has a deep relation to our life, and it gives us the emotional stability and the aesthetic value. Expressing the natural touch of the soil and the three-dimensional expression, the decorative character impressed for the layout of the interior space. The atmosphere of the interior space is divided by the wall, the bottom and the ceiling according to the spaces divided. Among these, the wall, which takes part a great element of the air of the interior space. The wall, by the structure and the colour, it gives us the visual impression and by the process of the perceiving and feeling, it gives a great influence to the emotion of the human being. This paper is focused on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the type of the pottery-wall-decoration and based upon it, this paper is made. As for the production of the piece, escaped from the general plane, with the three-dimentional-disharmony, we tried to give the abundance. As for the shape, apply the geometrical element, we try to give the formative shape. With the inner-carving method, we also try to give the various change of the various shapes. As for the materials used, ceramic-mixed-soil used. And also, coloured soil and the paints also used for the various expression of colour. Based upon this work, we hope, the new state of the making of the pottery-wall-decoration would be groped and also hope it would be developed as the enviromental art. Finally, we hope, the pottery-wall-decoration would be used in real life.

      • 태극문양을 응용한 조명디자인 연구

        윤근희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의 새로운 화두(話頭)는 환경과 문화이다. 이중 환경이 순수과학이나 응용과학의 발전과 직결되어 있다면 문화는 예술과 우리 생활환경의 변화와 연관을 가진다. 세계에서 문화의 주류가 되는 것은 미래의 정신적이고 또한 물질적인 풍요로운 삶과 직접적으로 연관이 있으며 이 때문에 전 세계의 모든 국가들이 자국의 문화를 홍보하는데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대한민국도 문화의 힘을 통해 전 세계와 소통하고 문화를 확산시켜 나가야하는 과제를 안고 있다. 문화상품을 만드는데 있어 토산품이나 관광 상품도 필요하지만 직접적으로 생활하는데 필요한 제품들, 인테리어 용품이나 손쉽게 접하는 여러 제품 등에서 전통적인 디자인을 접목하는 것은 우리의 디자인을 발전시키는데 필수적이다. 태극기와 태극은 국기라는 이름으로 존재하는 한국의 가장 대표적인 문화적 표상으로 이를 발전시키고 생활 속에서 가다듬는 일은 현재 가장 시급한 일 중 하나라 할 수 있으며, 이 논문의 연구목적이 여기에 있다. 이 논문의 본문 첫 장은 태극(太極)에 대한 일반적인 고찰을 기술하여 무극(無極)으로서의 태극이 가진 의미와 태극이 음양(陰陽)으로 분화된 이태극(二太極)에 대해 논의하여 태극이 가진 가치를 가늠하였다. 무극으로서의 태극은 신적인 영역이요 무의 세계이고 쉽게 말해 마음의 영역이라고 한다면 음양으로 분화된 이태극은 마음이 형상을 만들어낸 것을 뜻하는 것으로 물질적 영역을 상징한다. 이러한 태극의 사상은 우리가 단순히 보아온 태극의 형상에서도 드러난다. 중심의 이태극은 음 양을 나타내고 사괘는 사계절과 더불어 사방을 뜻하는 것이다. 이러한 태극을 연구하는 것은 동양사상의 핵심을 한눈에 지켜보는 것과 같다. 태극을 먼저 디자인 모티브로 하고 조명을 작품 제작의 아이템으로 결정 하였는데 이는 우선 조명이 음양을 모두 지니고 있는 인테리어 소품이기 때문이었다. 이외에 조명은 쓸모가 있는 인테리어 소품과 전통의 접목이라는 논문연구의 목적과 연관이 된다. 그리고 무엇보다 산업적으로는 우리나라에서 해외제품의 모방이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소품 중 하나이기 때문에 조명을 디자인함에 있어 독창적이고 한국적인 변형이 반드시 이루어져야 한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이다. 조명을 연구함에 있어 먼저 조명의 개념과 조명의 종류, 조명의 방식, 조명을 설치함에 있어 어떠한 방법으로 설치할 것인가를 우선 기술하였다. 다음으로는 조명 시장의 변화와 문제점 그리고 조명의 발전방향에 대하여 간단한 기술을 하였다. 마지막으로 전통을 활용한 조명등을 조사하고 이의 문제점을 살펴보아 이를 조명을 디자인하는데 참고하였다. 디자인 의도로는 태극의 파장으로서의 형태(S자 도형)를 응용하였고 노자의 도덕경 42장의 기술을 또한 의도로 하여 디자인하였다. 디자인을 함에 있어 중요시 한 것은 양산이었다. 이를 위하여 금형이나 공업적인 제품 제작 방법을 사용하고자 노력하였으며 재료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전통적인 소재보다는 양산을 하기 쉽고 수급이 용이한 것을 우선 하였다. 태극을 응용하여 개발된 디자인 상품은 이미 많이 나와 있기는 하나 아직 평면적인 도안의 제안 수준에서 크게 벗어나지는 못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때문에 이 논문이 태극을 입체화하여 생활 소품으로 응용할 수 있는지에 대한 하나의 해답을 제시해주기를 바란다. 더불어 문화의 발전이 세상을 또한 올바른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하는 것을 통해 타 문화의 유입에 있어서는 자주적일 수 있고, 자국의 문화는 보여줄 때에는 좀더 세계인에게 다가갈 수 있도록 다듬어 가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평화롭고 아름다운 경쟁을 이루는 올바른 방향으로의 세계화가 이루어지기를 바라는 바이다. Environment and culture are new subjects of the 21^(st) century. While environment is directly linked to the development of pure science and applied science, culture is related to changes in arts our living environment. In world history the cultural mainstream is directly connected to the mentally and materially rich life in the future. This is why all countries in the world are exerting their utmost efforts to promote their national culture. Korea also should wield its cultural influence and spread its culture throughout the world. It is necessary to manufacture include local products and tourism souvenirs as cultural goods, but what is more essential is to develop original designs based on our traditional designs and apply them to various products that people use or contact in their everyday life like daily necessaries and interior supplies. The Taegeuk flag and the Taegeuk mark are the most representative cultural symbols of Korea. Thus it is one of the most urgent tasks to develop and refine them in people's life and this i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The first chapter of this paper described the generals of Taegeuk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aegeuk, which means 'boundless,' and Dual Taegeuk, in which Taegeuk is divided into Eum and Yang, in order to fathom the value of Taegeuk. Taegeuk as boundlessness is a divine area and the world of nihility. Simply speaking it is the spiritual domain. On the other hand, Dual Taegeuk divided into Sum and Yang symbolizes the physical domain formed by our mind. The Taegeuk idea is manifested in the form of Taegeuk that we have overlooked indifferently. The Dual Taegeuk at the center indicates Eum and Yang and the four Gwes symbolize the four seasons as well as the four directions. Probing Taegeuk is equivalent to viewing the core of Oriental philosophies at a glance. Taking Taegeuk as a design motive, this study selected lights as items to create. It was because lights were interior articles bearing both Eum and Yang. Besides, lights are related to an objective of the present study, which is the integration of interior articles and tradition. Another reason for selecting lights was that lights are industrial articles that copy foreign products frequently, so it was considered necessary to design original Korean-style lights. In studying lighting, this study explained first the concept of lights, kinds of lights methods of lighting, and methods of light installation. Next, it briefly mentioned changes in the light market, problems in lights and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lights. Lastly, it investigated lights adopting traditional designs and identified problems in them in order to obtain data for light design. With regard to design intention, wave-like Taegeuk (S-shaped figure) was applied, and Chapter 42 of Lao Tze's DaoDeJing was inscribed as a part of the intention. An important point in design is mass production. For this, methods such as metal molding and industrial manufacturing processes were tried and, instead of using traditional materials, we selected materials in consideration of mass production and easiness to supply. Although there have been many articles designed after Taegeuk, they are largely confined in two-dimensional design. Thus this study is expected to give an answer to the question of whether Taegeuk can be designed three-dimensionally and applied to articles used in everyday life. What is more, understanding that cultural development may guide the world to the right direction, we must make efforts to be more independent of foreign culture and to refine our culture to exhibit it to people in the world. Peaceful and beautiful competition is wished for globalization in the right dire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