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다양한 연출과 유희성을 가지는 장신구 디자인 연구

        김태훈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는 장신구에 가변성을 부여해서 다양한 연출을 할 수 있게 하고 손으로 조작하는 촉각적, 감성적 유희를 통해 사용자와의 교감을 확대하여 현대 장신구의 또 다른 가능성을 탐구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과거에는 제품의 기술, 성능, 내구성 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작용했으나 점점 디자인이 상품을 선택하는 최고의 가치결정 기준이 되어 저마다 좋은 디자인하기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하지만 디자인에서 형태적인 차별화에는 한계가 있고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요소를 찾게 되었다. 현대사회는 고도의 지식정보화로 인해 가치관이 다양해지고 전문화되면서 개인의 개성과 생활방식에 따른 차별화가 중요시 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장신구를 구매하고 사용하는데 있어서도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런 흐름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장신구의 기능 확대 및 디자인적 의미부여를 첨가하고 장신구의 구조를 다각도로 구성하여 착용자의 취향에 맞게 여러 연출이 가능하고 감성표현의 수단으로서의 새로운 장신구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한 방법으로 가변성과 상호작용성을 조형적 소재로 삼는 키네틱아트의 특징과 작가들의 표현 방식에 대해 알아보고 현대장신구의 특성 및 흐름에 대입시켰으며 가변성의 용이함을 위해서 기하학적인 형태로 디자인 하였다. 이러한 장신구의 표현은 장신구의 작은 구조 안에서도 충분히 흥미와 관심을 연장시키는 요소로 작용 할 수 있게 한다. 현대인의 장식 개념이 개성적 표현에 강한 특성을 지니고 있으므로 본연구의 장신구 제작은 이에 많은 가능성을 두고 있다. 이 연구를 통해 사용자 자신이 직접 디자인, 연출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서 개성추구와 합리성에 많은 도움이 될 것 이라 기대한다. The study is for finding an alternative potential of the modern practical accessories by increasing consensus with the user through sensible and emotional hands play to give the accessories an alterability for various directions. In the past, technique, performance and durability are the most important elements for the product. More efforts are made for better designs since design becomes the most important judgemental factor for selection of the product. However, the common distinction for design reaches to the limit and other value additive factors are to be created for the purpose. As the values of the modern society have become diversified and specialized due to the high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differentiation based on individual's uniqueness and life style becomes important. The phenomenon affects the pattern of accessory purchase and use. As per the current trend, the study adds the functional vitality and the design value to accessories, and conducts various directions to meet the user's satisfaction and restructures the structure of the accessories as tools for emotional expression. For the above method, characteristic of Kinetic art which has variability and mutual co-efficiency, and the expression methods of the artists have been studied for substitution with character and trend of the modern accessories. As the decoration concept of the modern people consists of strong and unique characters, the accessory making based on the study reflects the identical prospects. The study shall help in seeking uniqueness and rationality through direct designing and directing by the user himself.

      • 캘리그래피 표현과 조형성에 관한 연구 : 국내 단행본 베스트셀러 표지를 중심으로

        이예진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간은 이성적 동물이자 감성적인 동물이다. 과거 산업사회의 경우, 제품에 대한 마케팅은 주로 소비자의 이성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졌으나 현 시대는 소비자의 감성적인 측면에 초점이 맞춰진 감성 마케팅 시대이다. 이러한 감성마케팅은 최근 출판업계에서도 마케팅 수단으로서 이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감성마케팅의 표현수단으로 캘리그래피(Calligraphy)가 등장하게 된 것도 이 때문이다. 표지 디자인에서 캘리그래피의 사용은 상당히 오랜 기간 선명하게 각인되어 독자의 머릿속에 남게 된다. 이러한 캘리그래피는 한글의 미학적 기능을 상승시키고 그 활용범위를 확대하는데 큰 기여를 했으며, 우리의 미적 정서에 부합되는 형태로 한국적 디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창출해냈다. 이에 본 논문은 캘리그래피 표현을 활용한 단행본 표지를 연구대상으로 하여 표현방법과 조형성을 분석하고, 실제 적용사례를 분석하여 캘리그래피의 보다 효과적인 사용과 표지디자인에서 새로운 표현영역으로서 캘리그래피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캘리그래피의 나아갈 방향을 모색하였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점차 그 표현 영역이 확대된 캘리그래피가 표지디자인에서 뿐만 아니라 시각적 차원에서 캘리그래피를 이용하기 위한 전략을 세우는데 작은 기초가 되길 바란다. Man is an animal that has both rational and emotional characters. In the past, during the industrial society, product marketing was focused on the rational aspect of consumers. But the present era is one of emotional marketing which is focused on the emotional aspect of consumers. Such emotional marketing is being used as a marketing tool for the publishing industry, and that is the background of the advent of Calligraphy as means of the expression of emotional marketing. If calligraphy is used for the design of the cover, it will be clearly engraved for a long time to remain in the brain of the readers. Calligraphy has greatly contributed to the strengthening of the aesthetic function of Hangeul (Korean alphabet) as well as to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its usage, and created a new paradigm for Korean designs to such types that match Korean aesthetic emotion. In this regard, this study analyzed the methods of expression, shapes and actual cases of application of the covers of books that used the expressions of calligraphy in an attempt to use calligraphy more effectively and correctly understand calligraphy as a new sphere of expression and seek for the direction of calligraphy.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such researches could lay a decent groundwork for the establishment of a strategy to use calligraphy, which has been gradually expanded its sphere of expression, not only for the design of covers but in a visual dimension.

      • 녹색구매 활성화를 위한 환경라벨링 디자인

        이인걸 서울산업대 IT 디자인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류는 지구의 자연환경에 도전하고 변화하는 환경에 순응하는 역사를 반복해왔다. 산업혁명 이후 눈부신 과학기술의 발달과 산업화의 진전으로 인류는 물질적 풍요로움을 만끽하게 되었고, 풍요로운 소비생활은 ‘인간의 삶’에 대해 질적 · 양적인 향상을 가져다주었다. 하지만 이러한 물질적 풍요로움은 자연파괴를 심화시켰고, 우리인간은 자연 속에서 우리의 위치를 재확인할 필요성이 생겨났다. 지금까지 자연의 재앙은 인간이 조절하기 힘든 것이었으나, 지구온난화는 인간의 산업 활동으로 발생한다는 점에서 과거에 발생한 자연재해와는 다르게 해석할 수 있다. 국제기구들은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논의체를 만들고, 의정서를 통한 협정문을 발표하는 등 전 지구적인 차원의 문제로 환경문제를 해결하려고 노력하고 있다. 각국의 정부 또한 친환경상품 의무구입제와 경제적 인센티브제를 도입하여 기업의 녹색생산에 대한 사회적 압력을 가하고 있다. 녹색구매 소비자들도 늘어나고 있다. 로하스(LOHAS : Life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족이라고 불리는 이들은, 단순히 상품과 자연을 소비하는 존재를 벗어나 소비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환경적 책임을 높이고 사회의 변화를 이끌어내고 있다. 더 많은 기업과 소비자들이 자발적으로 환경문제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가장 좋은 수단은 환경라벨링제품의 생산과 사용을 늘리는 것이다. 환경라벨링은 소비자 환경의식을 제고하고 이에 따라 생산자들이 환경친화적 제품을 생산하도록 유도함으로써 국가차원 나아가 지구차원의 환경개선 및 자원절약에 공헌한다. 환경라벨링은 국제협의의 의미에서 ISO 분류에 따라 Type Ⅰ(제3자 인증), Type Ⅱ(자기주장), Type Ⅲ(정보공개)로 분류되어 지며, 광의로 해석할 경우 재활용, 에너지절약 등 제품의 특정측면만을 고려한 단일속성(Single issue)라벨링을 포함한다. 국내에서는 1992년 도입된 ISO Type Ⅰ환경라벨인 「환경마크제도」가 대표적이며 에너지절약마크제도, 에너지효율등급제도, GR마크제도 등의 환경라벨링이 있다. 2000년부터는 제품의 전과정평가(LCA)를 수행하고 그 결과를 라벨링 또는 데이터시트 형식으로 공개하는 방식인 ISO Type Ⅲ환경라벨인 「환경성정표시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ISO Type Ⅲ 환경라벨링은 전과정평가(LCA)라는 복잡한 분석기법을 요하므로 일부 소수의 국가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아직 시행 초기단계이므로 인증제품 수가 적고 시장지배력이 크지는 않다. 그러나 LCA가 환경영향을 과학적이고 정량적으로 판단하여 제품 환경성과 개선방안을 수립할 수 있도록 하는 유용한 도구라고 널리 인식되면서, 선진기업들에게 자사제품의 환경적합성을 홍보하는 수단으로서 최근 각광받고 있다. 환경부에서는 현재 시행중인 「환경성적표시제도」의 환경성적표지 표시방법 개선을 통하여 소비자들이 올바른 인식을 가지게 하고자 하고 있으며, 본 논문에서 국내 · 외 환결라벨링의 자료조사와 국민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바탕으로 하여, 올바른 「환경성적표지」의 라벨디자인을 제시하고 있다. 「환경성적표지」의 라벨디자인은 환경부에서 정하고 있는 3가지 형식에 대해서 수정된 디자인 안을 제시하고 있으며, 선행 연구되어진 논문과 단행본, 국가정부기관의 보고서, 설문조사 등을 통한 객관적인 지표를 함께 나열해 주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디자인적 사고(Design Thinking)를 통한 환경라벨링디자인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논문에서 연구되어진,「환경성적표지」에 대한 문제점, 개선방향, 디자인의 수정안을 정부부처에서 참고하여 「환경성적표지제도」가 환경 친화적 소비문화 정착을 위한 효율적인 지표로서 활용되어져서, 소비자들이 올바른 녹색구매를 할 수 있는 길잡이가 되어 질수 있기를 바라는 바이다. Mankind have been repeating history of challenging natural environmentandadapting tothechangesofnature.Aftertheindustrial revolution,man were able to enjoy materialistic abundance thanks to great improvements in science technology and progresses in industrialization, and richness in consuming apability lead to improvements of'human life'in both quality and quantity.However, these materialistic abundance destroyed our nature,and we human confronted with necessity of relocating our position in the nature itself. Unlike previous natural disasters that we cannot control, the fact that globalwarming was caused by human's industrialactivity makes it reasonable to interpret it differently than previous naturaldisasters. Internationalorganizations have created assemblies and resolutions to alleviate the nvironmental problem in global perspective. Also, Each countries are obligating the purchase of environmentally-friendly product and giving economic incentives for company's green-production in order to give social pressure.The number of green-purchaser is increasing. LOHAS (Life styles of Health And Sustainability) people are more than just consumers of product and nature but contributors to both enhancements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environment responsibility and social change by the means of consumption. The best way to promote more companies and consumers to voluntarily participate in environmental problem is the increase the production and use of Eco-Labeling product. Eco-labeling will improve consumer's conception aboutnature and this willinduce producers to produce environmentally friendly products. This will contribute to alleviation of nature and savings of energy in global sense. Eco-labeling is categorized upon ISO in international standards. There are Type1(The third person confirmed), Type2(personal opinion), and Type3 (publicization of information). In broader aspects it can be involved with Single issue labeling that concernson specific parts of the product such as recycling, and energy saving. In domestic field, the ISO type 1 Eco-label 「Eco labelling」is representative and there are Eco-labeling such as energy saving marking system, energy efficiency grading system, and GR mark. Starting from theyear2000,weareperforming Lifecycleassessment(LCA) and the result of it is being publicized by ISO type 3「EnvironmentalDeclaration」which use either labeling or data sheet format. Largelybecause,ISO Type3Eco-label「EnvironmentalDeclaration」necessitates complicated analyzing process such as LCA,it is performed in only few countries. Also, because itis only on starting point of progression, the number of certificated products is small and proportion in the market is not noticeable. However, as LCA calculates environmental effects in scientific and fixed quantity, it is being recognized as a usefultools forsetting up product's adaptability and alternative plans for improvement for advanced companies as away to seek environmental adaptability of the irproducts.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hoping to guide rightful conception to the consumers by the currently operating「EnvironmentalDeclaration」. This essay willsuggestrightful「EnvironmentalDeclaration」try and 's Eco-label with the analyzation of date of Eco-label from in and out of the country, and surveys from the general publics. 「Environmental Declaration」suggest improvised alternative design for 3 different format the ministry of environment is offering. It also categorize objective data by the information collected fro preceded essays and books, government organization's report, and surveys. From this information, a new Eco-labelling design can be suggested along with 'DesignThinking'. The possible problems, rooms for improvements, and design improvision aboutthe「EnvironmentalDeclaration」which was dealt in the essay can be referenced to setting up environmentally friendly consuming atmosphere. And this would hopefully be made as a guideline for rightful green-purchase of the consumers.

      •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 연구

        윤지훈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오늘날 사회는 유가상승, 에너지 고갈에 따른 환경파괴 등 자동차 중심적 교통정책을 지적하고 철도 및 대중교통 수단 활성화 등 녹색교통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있다. 이런 환경적인 지속가능한 녹색성장 교통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고, 그에 따른 무동력, 무공해, 친 환경 운송수단의 하나인 자전거의 가치가 점점 높아지고 있다. 정부에서 조사한 국내 교통별 분담률에 따르면 2009년 자전거는 1.2%의 교통 분담률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으며, 향후 2012년까지 5%의 교통 분담률을 목표로 자전거 도로확충과 자전거의 보급률을 높여가고 있다. 그래서 최근 들어서는 여가를 즐기거나 건강을 위해서 자전거를 운동수단의 하나로 이용되고 있으며, 이런 다양한 Life style을 추구하려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는 반면 그런 소비자의 욕구를 크게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현실이다. 그 중에서도 자전거를 쉽게 타지 못하는 노약자들을 위한 자전거 개발에 대한 연구가 미흡한 현실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약자들이 쉽게 균형을 잡고 안전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데 있으며, 단순히 기능적인 부분만 제안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의 신체적 특징과 제품사례 비교분석, 요구사항 및 행동 관찰을 통하여 도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의 만족을 이끌어 내는데 중점을 두었다. 또한 사용자들의 니즈를 통해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가 가져야할 형태나 기능에 대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 이를 반영하여 새로운 형태와 기능, 조작 등을 통해 차별화를 제시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런 도출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노약자들 중에서도 여성과 노인을 위해서 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자전거 디자인 개발을 목적으로 진행 하였다. • 이론적 고찰 노약자 중에서도 그 범위를 여성과 노인으로 하여 그들의 특성과 신체적 특징과 자전거의 종류 및 특징에 관한 문헌조사를 통해 디자인 방향에 반영할 수 있도록 했다. • 국내외 자전거 사례분석. 국내외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의 시장동향의 문헌 조사를 하고 기존 판매, 출시되고 있는 제품사례들의 특징을 비교분석을 하였다. • 자전거 디자인을 위한 사용자 분석 자전거 사용자의 요구사항과 행동분석을 통해 사용자가 자전거 이용 시 균형성, 운반성, 안전성, 승차감, 편의성, 거치성 등 항목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파악 하였으며, 도출된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에 참고할 수 있는 사용자의 니즈를 도출 하였다. • 노약자를 위한 자전거 디자인 컨셉 제안 이론적 고찰과 국내외 시장동향, 제품사례 분석, 사용자의 요구사항 조사 및 사용자들의 행동관찰 등을 통해 도출된 사용자의 니즈를 바탕으로 디자인 방향을 설정하였다. Nowadays there are many problems in transportation policy such as oil price hike, deprivation of natural resources or energy and environmental contamination. So, there are also a lot of suggestions for necessity of green transportation means such as railway, and mass transit. In this circumstance, there are increasing interests on the sustainable green growth transportation, particularly on a bicycle which is one of the non motor-powered, no contaminating, but eco-friendly transportation means. According to the study released by a government agency, the bicycles share 1.2% of transportation needs in Korea. The bicycle’s transportation share is expected to increase to 5% by 2012 along with the increased construction of the bicycle lanes. Recently more people are using bicycle as one of their exercising equipment for enjoying leisure and physical fitness. Even though there is increasing number of consumers who pursue the various life styles, there is not enough system to meet the increasing desires of consumers. Among them, there is little research for developing a bicycle which is proper for the old and the infirm. So, this study focuses on helping the old and the infirm to use bicycles by making them in a way that bicycles are easily balanced and safety ridden by senior citizens and female consumers. It puts emphasis on the satisfaction of users by suggesting not only the functional parts of the bicycles but also researching on the physical features of the users, the comparative analysis of products, requirements and observation of actions of users. In addition, I suggest the direction in which the bicycles for the old and the infirm are to be developed to meet the consumers’ needs in terms of shape and function, showing how the new bicycles are to be differentiated from conventional ones in terms of function, shape and operation. The study has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bicycle which is easy to ride for female and senior citizens among the old and the infirm. • Theoretical study I have focused on the design of bicycle for the females and senior citizens among the old and the infirm by studying their physical features and the characteristics and kinds of bicycles so that they can be reflected in the manufacture of bicycles. • Case studies of domestic and foreign bicycles. By studying the books and documents on the market trend of domestic and foreign bicycles, I have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many bicycles available in the market. • Analysis of consumers for bicycle design By studying the requests and behavioral analysis of bicycle users, I have found out what is required of bicycles such as balance, transportation capability, safety, ride sense, convenience and storage and then derived the needs of users by analyzing the derived contents. • Suggestion of bicycle design for senior citizens and females Based on the needs of users by conducting the theoretical study, domestic and overseas market trend, analysis of products cases, study on user’s requests and observation of user’s behavior, I have suggested the desirable bicycle design for the old and the infirm.

      • Pop Art Image를 활용한 Display 연구

        신혜순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의 Display는 일종의 커뮤니케이션 행위로서 일정한 목적, 기획이나 테마를 기본으로 어떤 사물을 의도적으로 관객에게 호소하여 전달하는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이다. 즉, 전시 내용물과 관객이 만나 커뮤니케이션이 이루어지는 공간의 복합적인 연출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는 이제 그 나라의 유행동향, 미적 감각, 관습, 사고방식 등을 반영하여 문화의 척도로 활발하게 표현되고 있으며, 또한 도시 공간의 중요한 구성요소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현재에는 현대적 조형영역의 확대를 모색하며 공간의 성격을 잘 나타낼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를 토대로 디스플레이 함에 있어 20세기 현대 미술의 다양한 양상 가운데서도 가장 급변한 시기를 대변하며, 텔레비전이나 매스 미디어, 상품광고, 거리의 교통 표지판 등의 다중적이고 일상적인 것들뿐만 아니라, 코카콜라, 만화 속의 주인공 등 범상하고 흔한 소재들을 미술 속으로 끌여 들임으로써 순수예술과 대중예술이라는 이분법적, 위계적 구조를 불식시키고, 산업사회의 현실을 미술 속에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한 긍정적인 측면을 지니고 있는 Pop Art의 표현 형식을 도입하여 독창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하였다. 이는 디스플레이가 도시환경의 전체 미관에 까지 기여할 수 있는 열린 대중을 위한 디자인이며, 팝 아트가 다루는 이미지가 그 사회의 모든 대중이 공유하는 이미지로 표현된다는 것에서 큰 공통점을 가지고 진행하였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는 팝아트의 표현 형식에서 이미지를 추출하여 본인이 설정한 백화점 Show Window, 웨딩 드레스샵 Show Window, Wine Bar, 조명전시장의 각 특성 있는 공간에 부합하는 디스플레이를 전개하였으며, 본인이 제작한 점토 유니트(unit)를 활용하여 디스플레이 표현에 있어 팝아트의 표현 형식을 극대화 할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통하여 단순히 제품의 판매를 위한 제품의 보기 좋은 나열의 디스플레이가 아니라 팝 아트라는 현대 미술사조의 다양한 표현 형식을 활용한 독창적인 컨셉을 가지고 디자인을 진행하는 것이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공간 형성에 미적 감각을 증대시켜주고, 디자인의 완성도를 높여주는 것을 경험하게 되었다. 본 연구를 계기로 더욱 다양한 디자인과 공간에서의 기능을 발휘하는 확장된 의미의 3차원의 시각적 조형기술로서의 디스플레이가 진행되기를 바라며, 이를 위해서 지속적인 연구와 노력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 modern times, display is a three dimensional visual formative art technique which appeals to the gallery with objects based on a certain purpose and plan or themes as an activity of communication. In other words, it is a comprehensive production of space that the gallery and exhibition communicate together. Display is also represented as an index of culture reflecting fashion, aesthetic senses, custom and ways of thinking. Therefore, the territory of the modern formative art is required to be expanded and the display that can properly represent characteristics of space is needed. Based on the mentioned above, I groped for a unique way of pop art expression that has positive aspects to actively accommodate reality of industrial society into art and to attenuate dichotomous and hierarchical structure of pure art and pop art by brining not only ordinary but multiplex subject matters like television, mass media, advertisement, street sign, but also common matters like Coca cola, characters in cartoon into art, representing days of the most sudden changes. This study was developed on the basis of a common point that display is the design for the open public, making contribution to even entire aesthetics of city environment and the images that pop art deals with is expressed with the one that the public share among themselves. As for the works in this study, the display was developed that matches unique spaces of show windows in the shopping malls, wedding dress shops, wine bars, lighting exhibition halls that I selected, extracting the images from pop art expression style. The effect of pop art expression could be maximized with utilizing clay unit I designed. Through this study, the valuable lesson was learned that it is not just a good-looking display of series of product but the design process with original concept utilizing various expression styles in modern art named 'pop art' that essentially increases a sense of aesthetics and completes in-depth design in display space. Based upon this study, I hope the display as 3-dimensional visual technique that functions actively in more diverse design and space will be studied and discussed more than before. In order to do so, continuous and persistent efforts and studies will have to be put together.

      •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연구

        김형식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로 인해 노동력이 감소하고 경제발전이 한계에 부딪히는 등 많은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다. 인간은 노화가 진행되면서부터 여러 가지 퇴행성 질환을 수반하게 되는데, 그렇다고 해서 이러한 질환으로 인해 노인의 독립적 생활이 제한되는 것은 건강한 노인사회를 위해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몸이 불편한 노인이라도 계속적인 자립 보행을 유지시켜 준다면 고령화 사회가 안고 있는 리스크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문제와 관련하여 전 세계적으로 기술발달이 가속화되고 있는 로봇기술 등 새로운 기술의 발달은 시사하는 바가 크다. 새로운 기술을 활용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연구를 위해서는 제품디자인, 노인의학, 노인생리학, 마케팅, 공학 분야의 전문가와 제조업체 관계자에 의한 다 학제적 접근이 요구된다. 본 연구는 기존 보행보조기기들의 한계를 극복하기위해 빠른 속도로 발전해가는 로봇기술 등을 접목하여, 다양한 특성을 지닌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 디자인개발을 목표로 진행되었다. o 이론적 고찰 미국, 일본, 유럽의 실버시장 동향을 조사하고 보행보조기기의 주사용 대상인 노인의 일반적 특성과 노인의 보행 특성에 대해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의 고제인 실버층을 위한 보행보조기기의 개념을 정의 하였다. o 노인의 행동특성 관찰 노인의 관찰 및 인터뷰를 통해 노인들에 일상생활속의 불편한 상황, 개호상황 등을 구체적으로 파악하였으며, 파악된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실버 층을 위한 케어 로봇개발 시에 참고할 수 있는 디자인가이드라인을 도출하였다. o 보행보조기기의 분석 신 개념의 보행보조기기 연구를 위해 참고가 될 수 있는 실버케어로봇과 보행보조기에 대한 국내외 개발동향을 분석, 기술개발로드맵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또한, 국내 보행보조기기 산업에 대한 SWOT분석을 실시하였다. o 보행보조기기의 디자인 개발 노인층의 신체측정 값을 구하기 위해 Size Korea의 “유니버설 디자인을 위한 고령자의 인체치수 및 기능설정 보고서”의 자료에서 신체 부위를 선정하여 보행보조기기디자인에 인체모형을 적용하였으며, 유니버설디자인 원칙과 부칙의 가이드라인에 부합되는 보행보조기기의 디자인을 전개하였다. With the rapid increase of the aged in the population, va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decrease of labors and limitation in economic development are emerging. With the age, human beings suffer from various degenerative diseases. However, it is not desirable for healthy community if we leave those degenerative diseases to threat the independent life of the aged. If we can help the aged walk by themselves even though they do not have perfect mobility, we can reduce the risks that the community should endure with the increase of the aged population. Relating with this issue, new technology such as robot suggests many things. For the study of design of walkers utilizing new technologies, multi discipline approach including product design, medical science for the aged, physiology for the aged, marketing and engineering is need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conventional walkers, we grafted new technology such as robot technology and aimed to design a walker with various characteristics for the silver age. o Theoretical Review We investigated silver markets in USA, Japan and Europe and performed literature review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walking related characteristics of the aged. Additionally, the concept of the walker for the silver age, which is the issue of this article, was defined. o Observation of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the Aged Through the observation and interviews with the aged, we identified their uncomfortable situations and individually different statuses in details. Based on the data, we induced design guideline that can be referred in the process of care robots for the silvers. o Analysis of Walkers We analyzed the development trend of silver care robots and walkers in and out of Korea to get an idea for a new concept walker and reviewed the previous literature to have a technology development road map. Additionally, we executed SWOT analysis on domestic walker manufacturing industry. o Design Development for Walkers To get the body dimension of the silver age, we referred to the data in "Human body size and function configuration report for the universal design" of Size Korea. We selected human body parts and applied them to model for walkers. We designed a walker which is consistent with the guidelines of the universal design principles and supporting principles.

      •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 디자인을 위한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 연구

        백혜숙 서울산업대학교 IT디자인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의학의 개념은 질병의 치유에서 질병의 예방, 질병의 관리에서 건강의 관리, 질환중심에서 삶의 질 중심, 의료기관 중심에서 사회중심으로 변화되어 원격의료 진단기기 발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으나 특수한 지식이 없는 환자들이 그 개념을 이해하고 사용하기에 접근방법이 난해하고 효과적으로 디자인되어 있지 않다. 이는 일상생활 곳곳에서 환자 본인이 쉽게 자신의 건강상태를 체크하고 유지하는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개념적 정의에 부합되지 않는 것으로 효과적인 의료행위와 실용성이 높은 고품격의 디자인을 위하여서는 유니버설디자인적 개선이 필요하다. 더구나 U-city나 홈네트워크에 대한 국가적인 지원과 관심으로 말미암아 주로 개인용으로 보급되어지던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공용화가 재조명을 받고 있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홈네트워크,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 관한 이론적 배경 아래 국내 공공부문의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추진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하여 알아본 후, 국내외 사례조사와 원격의료 진단기기 종류를 파악하여, 원격의료 진단기기 디자인의 특징과 종류, 가전제품과의 디자인 요소별 관계정도의 비교사례 등을 통한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유니버설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안한다. 그 후 가이드라인을 사례조사 분석과 전문가 인터뷰 결과, 설문조사 결과를 통하여 하고, 각각의 항목에서 유니버설디자인에의 관여도를 파악한 후 최종적으로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 관하여 논의하여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가 갖추어야 할 최소한의 기능과 디자인의 방향을 제안하는 것을 연구목표로 한다. 연구의 결과로서 제시된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진단기와 도출결과로 나누어 유니버설디자인의 PPP평가에서 나타난 중요요소를 충족시키며 복합적으로 각각의 요소들을 보완하여 최대의 효과를 낼 수 있도록 제안되었다. 유니버설디자인의 측면에서 이루어진 이 가이드라인은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개념적 정의에 부합된 효과적인 의료행위와 실용성이 높은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여러 디자인 제안과 세분화되고 객관적인 평가를 돕고, 다양한 사용자층을 가진 일반 의료기기의 디자인에도 도움을 줄 것이며, 이미 이루어진 디자인의 평가를 위한 요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환자-병원 간 네트워크에서 가장 문제시되었던 개인용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한 접근법에 따른 문제점은 기기 본체의 네트워크를 통한 정보의 선택적 자동 공유(사용자가 미리 개인건강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선택한 대상과 공유정도에 한함)로 해결될 것이며, 홈네트워크와 연계함으로 외출 시 집안을 돌보거나 집안에서 외출한 환자의 상태를 살피는 일이 가능해질 것이다. 또한, 본 연구의 다양한 국내외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사례와 기기에 관한 조사와 분석은 원격의료 진단기기에 관련된 다양한 연구와 홈네트워크의 Home Medical System의 연구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과제로는 이 연구에서 주장한 가이드라인을 이용한 다양한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디자인 진행 후 기존 원격의료 진단기기와 비교한 사용성 평가 등 일반 제품과는 다른 공용 원격의료 진단기기의 사용자를 위한 디자인의 연구가 보완,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보다 효율적이고 신뢰할 수 있는 정부차원의 기술 연구와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전문가들의 적절한 균형을 바탕으로 한 적극적인 디자인의 평가와 조율 등의 추진방법이 필요하다. The concept of contemporary medicine has been changed from healing of illness to prevention of disease; from management of disease to management of health; from focusing on disease to quality of life; and from medical institution-centered to society-centered; so that the necessity of development of Telehealth System has been gradually increased. However, for patients without specific knowledge about medicine, the method of access to Telehealth System is too difficult to follow through having understood the concepts thereof, and also it has not been designed in an efficient fashion. This is a matter of being not congruent with conceptual definition of Telehealth System which enables patients to check and maintain their health in every nook and cranny of society where patients carry on their every day life. In order to achieve highly dignified design with effective medication behavior and high usability, there is a necessity for further improvements by means of universal design. In the meantime, communalization of Telehealth System that has been provided for individual use is receiving spot light again on account of national supports and interests concerned about U-city or Home Network. In consideration of such trend, researcher investigated actual situation of development of Telehealth System in local public sector and problems thereof under the background related to networks between Telehealth System and Home Network, and between Patients and Hospital, then after, having conducted a survey on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xamples and grasped the kinds of Telehealth System, in this paper, researcher has proposed the guidelines of universal design for Telehealth System Equipments through comparisons of characteristics of design for Telehealth System Diagnostor and its kinds, and of the degree of relationship with electrical household appliances according to each design factor. And, after completing survey of guidelines and analysis of the results therefrom, and by reviewing the results from interviews of professionals and experts and from questionnaire as well, researcher grasped the degree of involvement, and then discussed about Telehealth System, and network between patient and hospital finally. This research aims to propose minimum function that should be equipped with Public Telehealth System Diagnostor and also the direction of design thereof. The design guidelines that presented as the fruits of research efforts were divided into diagnostor and the results elicited, and were proposed insomuch to produce maximum efficacy having it satisfy critical factors appeared in PPP evaluation and also having complemented each of factor in a composite manner. It is expected that the guidelines come up with from the perspective of universal design would help conduct effective medication behavior that is congruent with conceptual definition of Telehealth System, and that shall be segmented from many design proposals of Public Telehealth System which features high usability, and that will be of help for performing objective evaluation, and that will provide for assistance to design of general medical tools and equipments having varied layers of users, also that it will be able to be used as an factor in order for evaluation of design that already completed. The problems according to access method through personal computer and internet which were regarded as the most serious troubles in the network between patients and hospital will be resolved by means of selective auto communalization (limited to the subject selected beforehand so much as to make the user communalize individual health information and the degree of communalization) through network of the main frame of the equipment. It will enable users to take care of household chars while they are out of house, and to see to the state of patients while they are out. In addition, survey on varied domestic and foreign cases and examples of Telehealth System and analyses thereof shall be a great of help for various works concerned with Telehealth System, and also further reseon Home Medical System of Home Network. As the subjects for future works, research on design in order for users of the Public Telehealth System which makes it distinguish from general products on account of evaluation of usability comparing to existing Telehealth System Equipment, etc. after having proceeded design works for varied Public Telehealth System Equipments by using the guidelines asserted in this research should be complemented and pursued further, also it is required to conduct researches on techn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national interest, and also to receive financial supports from the government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devise methods to pursue design projects through means of evaluating and aligning designs in a positive manner based on proper balance to be set by the experts.

      • 공공 공간 도어 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

        남현우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공공 공간의 도어 시스템을 계획하는데 있어서 다양한 사람들의 요구를 만족시켜주는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를 전제로 도어시스템을 계획하는데 중점을 두고, 디자인 방향을 모색하기 위해 도어에 관한 사례를 구조적, 기능적인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 문헌 및 사례에서 나타나고 있는 도어시스템이 공공 공간을 이용하는 모든 사람들에게 미치는 영향을 유니버설 디자인 관점아래 파악하였다. 도어시스템 각 요소별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공공 공간을 계획함에 있어서 지침이 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라 할 수 있다. 도어 유형을 구분하여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① 회전도어는 반드시 스톱 클로우저를 작동 가능하게 하고, 도어 폭 확대와 사용인원을 제한하는 것이다. ② 스윙도어는 3초 이상의 도어 체크를 설치하고, ③ 폴딩도어는 반 자동 센서를 설치하여 도어 개폐를 쉽게 유도한다. ④ 여닫이 도어는 도어 폭 확대와 수직바 형 핸들과 도어 밴드를 설치하며, ⑤ 미닫이 도어는 문에 끼이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스토퍼를 설치한다. 또한 회전도어, 스윙도어, 폴딩도어, 여닫이 도어, 미닫이 도어에서 공통적으로 사용되는 장치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은 도어 유효 폭을 1200mm로 확대하고, 손잡이는 수직 막대 형으로 부착하는 것이다. 또한 도어 재질은 가볍게 하고, 3초 이상의 닫히는 시간을 확보하며, 문턱을 없애는 것이다. 결론으로는 공공 공간 도어 시스템의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과 더불어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을 제안하였다. ① 회전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휠체어, 쇼핑카트, 신체가 부자유한 사람들이 용이하게 이동할 수 있는 OVAL STAR 회전도어를 사용하는 것이다. ② 둘째, 여닫이 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한 손에 짐 든 사람, 노인, 목발 이용자를 고려하여 지지형 도어 손잡이를 설치하고, 문틈에 손이 끼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어 밴드를 부착하며 장애인, 휠체어 이용자를 위해 180도 반자동 스윙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다. ③ 미닫이 도어의 유니버설 디자인 도어시스템 제안은 문에 끼이는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스토퍼를 설치하고, 휠체어 이용자, 장애인, 양손이 사용 불가능한 사람을 위해 무 전원 자동도어, 하이브리드 도어, 광전식 도어, 적외선 자동도어, 자동 슬라이딩 도어를 설치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기대효과로는 공공 공간 도어시스템을 계획할 경우 장애인, 비 장애인, 고령자, 노약자, 아동 등의 다양한 수용자를 만족 시켜줄 수 있는 디자인 원리를 고려할 것으로 기대 한다. 향후 연구 과제로는 유니버설 디자인을 고려한 도어시스템, 손잡이 설계는 제도적 측면에서 법령을 만들 필요가 있고, 이는 모든 건축가 및 디자이너들이 공간을 계획할 경우 필수적으로 적용해야 한다. 본 연구는 공공 공간의 도어시스템 계획에 대한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한 것으로, 본 연구대상의 범위 외에 계단 및 타 공간과의 관계까지 고려한 디자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focuses on planning a door system based on universal design principles, which satisfy people's various needs, and analyzing structure and function of door with examples for better design. Also, effect on people using public space is examined with existing documents and examples of door system from universal design point of view. This study's purpose is to show a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planning public space by applying universal design principles on each element of door system. Guidelines for each door type are as follows: ① For rotating door, a stop closer must be activated, and width of door is limited as well as number of users at once. ② For swing door, a door check with more than 3 seconds is installed. ③ For folding door, a semi-automatic sensor is installed for each opening and closing. ④ For hinged door, width of door is increased, and a vertical bar shaped handle and door band are installed. ⑤ For sliding door, a stopper is installed to prevent being stuck in a door. Also, general guidelines for rotating door, swing door, folding door, hinged door, and sliding door are increasing the valid width of door to 1,200mm and attaching vertical bar shaped handle. In addition, using light-weight wood for door and 3 seconds or more of closing time are needed as well as eliminating a threshold. For conclusion, universal design door systems are presented as well as universal design guidelines of door system in public space. ①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rotating door suggests using Oval Star rotating door for wheelchair users, handicapped persons, and people with shopping carts. ②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hinged door suggests installing support-type door knob for a person with baggage in one hand, a senior, and a crutch user. Also, door bands are attached for preventing finger hurt by a door, and 180 degree semi automatic swing doors are installed for wheelchair users and handicapped persons. ③ Universal design door system on sliding door suggests installing a stopper to prevent being stuck in a door. Also, powerless automatic doors, hybrid doors, photoelectric doors, ultra-red automatic doors, and automatic sliding doors are set up for wheelchair users, handicapped persons, and persons who cannot use both hands. Hopefully, this study will influence that design principles, which satisfy various users, such as handicapped persons, non-handicapped persons, seniors, and children, are considered while planning door system in public place. For next research assignment, a law is needed for designing a door system and a door handle based on universal design, and it has to be applied when those architects and interior designers plan public place. This study shows a universal design guideline for door system in public place. In addition, a new design guideline has to be provided with consideration of stairs and other space's relation as well as the subject range of this study.

      • 기하학적인 전통 문양을 응용한 Pill-box 디자인에 관한 연구

        허정윤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현대의 풍요로움은 현대인들에게 많은 삶의 질을 향상 시켜, 평균수명은 늘어났으나 건강수준이 전반적으로 악화 되고 있는 것인 현실이다. 그러함에 있어 의료과학의 여러 분야 중에서도, 특히 의약품 부분이 더욱 발전되고, 연구 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의약품들은 질병과 동시에 현대인의 생활에 깊이 파고들고 있는데, 이는 보다 편안한 삶을 위해 질병을 발생 전 예방하고, 발생 후에도 지속적인 약물과 치료를 병행하기 때문이다. 그러함에 본 논문에서는 의약품을 휴대할 수 있는 Pill-box를 연구, 제작하였다. 본문의 'Pill-box' 상품개발의 주요 요소로는 휴대성, 장식성을 필수 요소로 전개하여 디자인 하였으며, 또한 문화의 시대를 맞이한 자국의 전통과 의식이 담긴 문화상품 개발에 부응하기 위하여 한국의 전통문양 중 '기하학적인 문양'을 패턴화하여 새로운 형태의 문화상품으로 개발하였다. 'Pill-box'의 전체적인 디자인 형태는 직선과 곡선을 조합한 형태를 기본으로 구상하고, 대량생산이 가능하며, 장신구적인 기능과 약을 보관하는 기능을 최대한 살린 제품으로 제작하였다. 사용되는 표현재료는 92.5% 은을 주재료로 하며, 금속 또는 플라스틱 재질이라는 기존제품의 재료 한계를 극복하여 아크릴, 나일론(아세탈) 등을 사용해 생산성에 있어 보다 효과적인 방법과 구조로 현대인의 개성창출과 미적인 아름다움을 제시할 수 있도록 제작 하였다. 이와 같이 '기하학적인 전통 문양'을 응용하여 'Pill-box'를 현대디자인 감각에 맞게 새롭게 개발, 디자인하여 사용자에게 보다 더 나은 실용성, 휴대편이성과 미적인 즐거움을 줄 수 있는 동시에 연구자의 상품개발이 문화산업에 있어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서 발전하는데 하나의 계기가 되기를 기대해본다. The contemporary richness improved the quality of life of the moderns a lot and increased the average man's life span but in general, the level of health is aggravated. In the above connection, medical science, particularly medical supplies are more developed. The medical supplies are deeply rooted in the life of the moderns as well as diseases. This is based on the fact that prevention of diseases prior to occurrence and consistent drugstuffs and treatment have been performed simultaneously even after occurrence. Therefore, this study is going to inquire the Pill-box to carry medical supplies. Portableness as the main factor and decoration as the essential factor of 'Pill-box' product development are developed and designed. In addition, As the age of culture is faced, a new typed cultural products are going to be developed by making 'geometric patterns' as set patterns among traditional patterns in order to gratify the development of cultural products which contain our country's tradition and consciousness. The overall design shape of the 'Pill-box' is planned based on a shape combined with straight lines and curved lines and designed to make proper carrying and maximize the aspect and functionality of accessories. The expression materials used are mainly composed of Sterling silver and it is produced by considering mass production using fabrication techniques and corrosion techniques and acryl and nylon (acetal) are used to suggest an efficient method and structure in productivity and individuality creation and aesthetic beauty of the moderns by overcoming the existing products's material limits such as metal or plastic. As the above, it is expected that 'Pill-box design' is newly developed and designed in compliance with the sense of the modern design to provide better practicability, convenience of portableness and aesthetic pleasure to users after application of 'geometric traditional patterns' and researcher's product development can be a chance to develop the cultural industry as a high value added industry.

      • 청각장애인을 위한 communication system 디자인에 관한 연구

        조한진 서울産業大學校 IT디자인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청력손실로 인한 언어의 표현능력이나 수용능력이 부족한 청각장애인은 이러한 결함으로 인하여 상대방의 의도된 구두메세지를 이해하는데 빈번한 실패로 이어져, 비장애인은 물론 청각장애인간에도 의사소통의 붕괴(communication breakdown)를 유발시키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한 청각장애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는 유니버설 디자인 원리를 전제로 한 communication system을 계획하는데 중점을 둔다. 이에 대한 가이드라인의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 communication 기기들에 대한 사례를 유니버설 디자인 7가지 관점에서 분석, 접근하였다. 또한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의 욕구를 설문을 통하여 디자인 요소들을 분석하고 communication 기기개발 시 주요 분석사항 별로 유니버설 디자인의 원리를 적용함으로써 communication 기기개발의 지침이 될 수 있는 유니버설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선진국 청각장애인의 의사소통 보조기기 개발의 동향을 분석하여 유니버설디자인 원리에 입각한 기기개발 시 고려사항을 도출하였고, 둘째 설문조사를 통하여 청각장애인들의 의사소통 시 문제점과 요구사항을 도출, 통합하여 기기개발 시 주요 분석요소를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의 결과로는 사례연구에서 유니버설디자인 7가지 가이드라인 관점에서의 분석결과 ① 공평한 사용 : 모든 사용자들에게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심미성을 충족 ② 사용상의 융통성 : 기능들의 단순화 ③ 간단하고 직관적인 사용 : 모든 사용자가 이해하기 쉬운 Ul&GUI 개발 ④ 쉽게 인지할 수 있는 정보 :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복합적 정보 전달 ⑤ 오류에 대한 포용력 : 오류를 줄이기 위한 형태의 특징이나 오류에 대한사전 경고 ⑥ 적은 물리적 노력 : 휴대하기 용이한 형태의 특징을 갖추어 최소의 피로감을 제공 ⑦ 접근과 사용을 위한 크기와 공간 : 크기와 무게를 줄여 휴대를 용이하게 제공 추가적으로 다양한 연결 가능성과 심리적 요소 추가로 의사소통의 욕망을 충족시켜야 함이 요구되었다.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요구사항은 다음과 같다. ① 의사소통 보조도구의 기능상의 단순화와 형태의 특징으로 사용상의 간편성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② 모든 사용자들이 접근할 수 있고, 보조도구의 사용으로 장애인이라는 의식의 불평등을 주지 않기 위한 심미성과 기기들의 통합이 요구되어 진다. ③ 효과적 정보전달을 위한 복합 정보의 전달을 제공하여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요구되어 진다. 사례조사와 설문조사 결과를 통합하여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제시하면 ① 복잡한 기능 제거와 이해하기 쉬운 UI&GUI로 사용성을 높인다. ② 심미성을 갖추어 사용자들의 쉬운 접근 유도와 기기 사용으로 인하여 차별성을 주지 않도록 한다. ③ 시각, 청각, 촉각적 복합정보 전달로 효과적인 정보 전달을 유도, ④ 다양한 확장성과 기기의 통합으로 각각의 기기를 가지고 다녀야 하는 번거러움을 제거하여 접근과 사용성을 높여야 함을 제시하고자 한다. 앞선 결과를 통하여 청각장애인들도 비장애인과 마찬가지로 사회활동 욕구가 강하지만 실생활에서는 의사소통의 어려움으로 청각장애인들이 차별 아닌 차별을 받고 있어서 현실적으로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전문적인 의사소통 보조기기의 개발이 시급히 고려되어야 함에 타당성 여부를 활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앞선 가이드라인 외에도 청각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필요한 기능 혹은 요구사항을 정확히 파악하여 좀 더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디자인 지침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who lack the capability to express language or capability of accommodation for hearing loss frequently fail to understand the verbal message intended for the other party due to such a defect to provoke the communication breakdown of the non-disabled persons as well as the hear impaired persons. In order to improve such a problem, the focus is on planning the communication system that has the prerequisite in universal design principle to satisfy the demand of hearing impaired persons. For seeking the way of guideline, the cases on communication equipment are approached and analyzed in 7 points of view of universal design. In addition, when analyzing the design elements and developing the communication equipment through the questionnaires for the desire of communication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the principle of universal design is applied for each major analysis matters tha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esent the guideline for universal design to have the guideline to develop the communication device. For a research method, first, the trend of developing the auxiliary device for communication of hearing impaired persons in advanced country is analyzed and formulate the matters to consider when developing the devices, and second, by formulating and integrating the problems and requirements in communicating for hearing impaired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the major analysis elements are presented in developing the devices. For the result of research, and the followings are the analysis outcome in 7 guideline points of universal design in the case study: ① Fair use: Satisfy the aesthetics for all users to easily approach ② Flexibility in use: Simplification of functions ③ Simple and intuitive use: Develop UI&GUI for all users to easily understand ④ Information easy to recognize: Multiple information delivery for effective information conveyance ⑤ Generosity on error: Advance warning on characteristics or error on types for reducing error ⑥ Less physical efforts: Providing the minimal fatigue with the features that are easy to carry ⑦ Size and space for approach and use: Reduce the size and weight and provide for easy carriage. In addition,. the various possibility of connection and addition of psychological. addition to fulfill the desires. The requirements shown in the questionnaire survey are as follows. ① There is a need of providing the simplicity of function for auxiliary tool for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of use with the features in shapes. ② There is a demand of integration of equipments and aesthetic looks for all users to easily approach and not to cause any inequality of impression as a disabled person. ③ Provide the conveyance of complex information for effective information delivery and it is required for easy recognition. The followings are the proposals of design guideline by integrating the case studies and questionnaire survey results. ① Heightens the usability with removing the complicated functions and easily understandable UI&GUT. ② With the aesthetic look, it should not give a sense of discrimination by the use of equipment and easy approach for users. ③ Attract effective information conveyance with the delivery of visual, hearing and sensible information delivery. ④ With the diverse expandability and integration of equipment, it removes the inconvenience of carrying different equipment that it heightens the approach and usability. Through the earlier outcome, the hearing impaired persons also have strong desire for social activities just like the non-disabled persons, but they have the difficulty of communication in real life that they are under the discrimination that there has to be a consideration for early development of auxiliary equipment for communication that is easily and realistically approached. However, in addition to the earlier mentioned guideline, there is a need to accurately find out the necessary functions or requirements to undertake the ordinary living of hearing impaired persons, and prepare more detailed and realistic design instru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