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를 위한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백지혜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7 유아교육학논집 Vol.21 No.2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develop a music program to enhance happiness based on character strengths f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To develop this program, a variety of studies and academic journal articles were analyzed and professional group meetings were held. The goal of this program is to recogniz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haracter strengths, to understand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music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o experience teaching methods in music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o experience musical aesthetic musical qualities applying to character strengths. The contents of this program are composed of musical activities of young children and pre-service teachers. The teaching model is creativity development method. The assessment of this program is composed of journals of pre-service teachers, the scale of the character strengths, happiness, and music teaching efficacy and anxiety. This program is expected to be utilized in various contexts for facilitating music classes for preservice and in-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유아교사들이 지닌 강점에 기초하여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유아음악 교사교육 관련 문헌 분석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강점에 기초한 행복증진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의 목표는 강점 파악하기,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내용지식 이해 및 강점활용하기, 음악교수방법 경험 및 강점활용하기, 강점활용하여 음악표현활동을 통해 음악의 심미성 경험하기이다. 프로그램 내용은 유아를 위한 음악활동과 예비교사를 위한 음악활동으로 나누어 진행된다. 교수-학습과정은 창의성 개발 접근법에 기초하였다. 프로그램 평가는 예비교사의 저널, 연구자의 일지, 강점, 행복감, 음악교수효능감 및 교수불안 검사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에서개발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은 직전교육의 유아음악교과목과 현직교사의 직무연수 등의 맥락에 적합하게 변용하여 적용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 KCI등재

        다양성영화의 관람동기 : 상업영화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백지혜,남상현,장병희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2

        Using the uses and gratification theory, the present study explores usage motivationsof diversity films and examines the influence of the usage motivations on the continuousviewing intention toward diversity films. We assume that motivation types and theireffects would be different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because of theirdifferent contents and the pursued values. In the results, a total of five usage motivations(knowledge-seeking, film-learning, leisure, appreciation-oriented, pursuing socialnorm) are extracted for both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ith the similar level ofvariance and measurement items. However, there are distinct differences in the order ofthe significance of the usage motivations between diversity and commercial films. Whilethe effects of knowledge seeking, appreciation-oriented and leisure on the continuousviewing intention of diversity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the effects ofleisure, appreciation-oriented and pursuing social norm on the continuous viewingintention of commercial film are found to be significant in order. 본연구는 수용자들이 다양성영화를 이용하는 동기가 무엇인지를 이용과 충족 이론을 적용하여 탐색하고 다양성영화의 지속관람에 미치는 영향력을 검증하였다. 내용과 추구가치의 차이로 인해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에 대한 수용자들의 관람동기 유형과 영향력도 다를 것이라는 논리 하에 두 영화의 관람동기의 유형과 지속관람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결과, 다양성영화와 상업영화 모두에 대해 유사한 문항과 설명력 수준으로구성된 총 5개의 관람동기들을(지식추구, 영화학습,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추출하였다. 그러나 각 영화 유형에 따라 지속관람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관람동기의 유형 및 영향력 측면에서는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다양성영화의 경우에는 지식추구, 감상지향,기분전환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한 반면, 상업영화의 경우에는 기분전환, 감상지향, 사회규범추구 요인의 순서로 유의미하였다.

      • KCI등재

        유아들이 경험하는 복도 공간의 의미

        백지혜,변가영,이정희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22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7 No.2

        The study examines the meaning of young children's experiences in corridor spaces to recognize the potential of using a transitional space as an important educational site in early childhood institutions.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observing, interviewing, and conducting drawing representation activities among five-year-old children and their teachers at daycare centers located in G and D cities in South Korea. The children initiated diverse relationships with others through cheerful greetings and eagerly waited for their peers in the corridor spaces. They also shared breaks and secrets, and they even discovered new things about themselves. Essentially, the corridor spaces captured exclusive stories of these young children. Furthermore, the kindergarteners were able to create their own rules in the corridor spaces where they experienced freedom away from their teachers. They also demonstrated patterns of extending their activities from inside their classrooms into the corridors or engaging in various activities inspired by the novelty offered by the corridor spaces. For the children, the corridor is a place of entanglements where the boundaries of time, space, and relationships are flexibly bent; it is an important blank space that captures the issues that children face. By serving as an open space, corridors offer abundant experiences and inspire play that could lead to learning. Ultimately, this study opens the possibility of developing a new outlook and approach toward educational spaces. 본 연구는 복도 공간에서 발현되는 유아들의 경험 양상과 의미를 살펴보고, 전이공간인 복도 공간이 유아교육기관에서 중요한 공간으로서의 역할과 교육장소로서 활용될 수 있는 잠재성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G시와 D시에 위치한 만5세반 유아와 교사를 대상으로 관찰, 면담, 그림 표상활동을 통해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아들은 복도 공간에서 반가운 인사와 설레는 기다림을 통해 다양한 관계의 시작점을 형성하였으며, 쉼과 비밀을 공유하거나 또다른 나를 만날 수 있는 공간으로 유아들만의 이야기를 담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시선을 벗어난 자유를 느끼며 동시에 우리들만의 규범을 만들고, 교실에서의 놀이가 복도로 전이되거나 복도가 주는 새로움에 감응하며 다채로운 놀이가 펼쳐지는 양상을 보였다. 유아들에게 복도는 시간, 공간, 관계의 경계가 유연한 얽힘의 장소이자 유아들이 마주치는 물질들을 담아내는 여백의 장소로서의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복도를 열린 공간으로 제공함으로써 풍부한 경험과 놀이를 가능하게 하는 배움으로 이어가는 장소임을 드러내었다. 이로써 교육공간에 대한 새로운 시선과 접근 가능성의 필요성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 KCI등재

        중국의 COVID-19 백신외교에 투영된 생명지정학

        백지혜,박준홍,김희순,정희선 국토지리학회 2022 국토지리학회지 Vol.56 No.1

        본 연구에서는 미·중 패권경쟁의 맥락 속에서 소프트파워의 확대를 노리는 중국이 지정학적·지경학적 중요성을 갖는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COVID-19 백신 공급을 주도하고 있는 상황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전 지구적 감염병 확산 상황에서 백신이 패권갈등의 양상을 변화시키는 생명지정학적 기제로 작동하고 있음을 확인하고, 소프트파워의 근간으로서 백신외교의 한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중국이 일대일로 거점국가에 COVID-19 백신을 우선적으로 공급하고, 라틴아메리카에서 백신 공급의 조건으로 대만과의 단교를 요구한 것, 그리고 다자간 협의체에서 백신 수혜국을 통해 중국에 대한 지지 기반을 공고히 한 것 등은 중국이 백신을 공공재보다는 사적 재화로 활용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인도주의적 관점에서의 백신 공급이 아닌, 지정학적·지경학적 맥락에서 백신 공급 대상국을 선별하는 것은 소프트파워의 형성과 효과 지속에 한계로 작용할 수밖에 없으며, 나아가 중국의 소프트파워가 실질적 패권으로 전환되는 과정에서도 한계를 노정할 수밖에 없다. 중국 백신외교가 전 세계적 백신 수급의 불균형 상황에서 전개되었음을 고려할 때 글로벌 보건 거버넌스를 통한 보건안보협력이 요구되며, 이것이 생명지정학과 죽음의 지정학을 통해 발현된 생명소외현상을 극복하기 위한 근본적인 방안임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how China is conducting COVID-19 vaccine diplomacy in developing countries in the context of the US-China rivalry for global hegemony. It aims to indicate that the COVID-19 pandemic and the supply of vaccines are acting as a biogeopolitical mechanism to change the pattern of hegemony conflicts. The state that COVID-19 vaccines have been used as private goods rather than public goods can be inferred from the cases of China's preferential supply of vaccines to countries based on the Belt and Road Initiative, its request to terminate diplomatic relations with Taiwan as a condition of supplying vaccines in Latin America, and the public support for China from recipient countries of vaccines in multilateral instruments. Selecting countries to supply vaccines in a geopolitical and geoeconomic context, rather than from a humanitarian point of view, will inevitably act as a limit to the formation of soft power, which also exposes limitations in the process of China's soft power being transformed into hegemony. Considering that China's vaccine diplomacy developed in connexion with the global imbalance in the supply and demand of COVID-19 vaccines, health and security cooperation through global health governance is required. It is furthermore necessary to recognize that this is a measure to overcome the alienation of life revealed by both biogeopolitics and necrogeopolitics.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