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초음파유도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 환자에서의 유방암의 예측요소

        이성훈(Sung Hoon Lee),우상욱(Sang Uk Woo),이혜정(Hye Jung Lee),김우영(Woo Young Kim),이재복(Jae Bok Lee)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목적 : 유방의 유두상 병변은 양성 종양의 10%미만이며, 모든 악성종양의 0.5~0.2%를 차지한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방의 유두종양으로 진단된 경우 외과적 절제의 필요성에 있어서는 현재까지 논란이 있다. 이에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으로 진단되고 절제생검을 시행한 환자에서 유방암의 예측인자를 연구하였다. 대상과 방법 : 2009년 6월부터 2012년 6월까지 고려대학교 구로병원 외과에서 초음파유도하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유두종양과 비정형 유두종으로 진단되고 절제생검을 시행한 97예를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중심부바늘생검과 수술 후 조직병리 소견에서 종양의 특성 및 크기를 분석하였다. 결과 : 97에 모두 여성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45.1(16~68)세였다. 최종 조직검사결과 유두종양과 악성종양 환자의 평균 연령의 차이는 없었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이였던 71예 중 절제생검의 최종조직검사 결과는 64(90.1%)예는 유두종양, 7(9.9%)예, 4(22.2%)예 및 7(38.9%)예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증상에서는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인 경우에는 촉지성 종괴에서 유의하게 악성 종양이 많았다(P=0.03).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가 1.5cm이상일 때 유의하게 악성 종양이 많았다(P=0.005). 중심부 바늘생검에서 유두종인 경우는 최종조직검사 결과 양성과 악성종양에서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절제 후 최종조직 검사에서는 유의한 크기의 차이가 있었다(P=0.19, 0.002). 중심부바늘생검에서 비정형 유두종양인 경우에서는 초음파 측정 종양의 크기와 최종조직 크기에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03, 0.019).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유두종양인 경우 BIRAD 분류에 의한 분석결과 유의한 차이가 보였으나 (P=0.023), 비정형 유두종양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다변량 분석에서는 초음파 측정 종양크기가 1.5cm 을 초과한 경우에서만 유의한 결과를 보였으며 (P=0.45, OR=2.4 95% CI 0.16-0.95). 결론 : 중심부바늘생검 결과 비정형 유두종양의 절제생검의 필요성을 본 연구에서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었다. 중심부바늘생검에서 조직병리 결과가 유두종양이라도 1.5cm이상이거나 촉지성 병변이거나, 영상의학적 소견과 중심부바늘생검의 결과에 불일치가 있는 경우에는 외과적 절제생검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Purpose : The breast papillary neoplasm was constituted approximately less than 10% of benign breast tumor and 0.5-20% of breast malignancy. The role of excisional biopsy for papillary neoplasm was diagnosed by core biopsy has been debated yet.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predictive factors of breast cancer after the pathologic result of core biopsy revealed papillary neoplasm. Materials and Methods : We analyzed the clinical and pathologic data of 97 patients who underwent breast excisional biopsy after the pathologic result of core biopsy revealed papillary neoplasm between June 2009 and June 2012 at the Guro Hospital of the Korea University Medical Center. Results : We foun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excisional biopsy results for malignancy between papillary neoplasm and atypical papillary neoplasm diagnosed by core biopsy (P=0.001). Malignan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be palpable mass, Breast Imaging Reporting and Data System (BIRADs) when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was present in the core biopsy (P=0.03, 0.02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tumor size between benign and malignancy which was measured by ultrasonogram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Howeve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pathologic tumor size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P=002). All of pathologic and ultrasonogram tumor size were larger than in the malignancy with atypical papillary neoplasm diagnosed core biopsy. In the multivariate analysis, There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case of ultrasonogram measured tumor size more than 1.5cm (P=0.45, OR+2.4 95% Cl 0.16~0.95). Conclusion : The excisional biopsy should be considered if the core biopsy had revealed atypical papillary neoplasm. We might suggest that excisional biopsy underwent in the papillary neoplasm without atypia with the case of the ultrasonogram measured tumor size more than 1.5cm and the existence of dis-concordance between radiologic findings and core biopsy pathologic result.

      • KCI등재

        N2 Nodal Stage의 결장직장암에서 재발에 대한 위험 인자

        정주원(Joo-Won Jeong),이철민(Chul-Min Lee),이승현(Seung-Hyun Lee),안병권(Byung-Kwon Ahn),백승언(Sung-Uhn Baek) 대한종양외과학회 2012 Korean Journal of Clinical Oncology Vol.8 No.2

        배경 : 결장직장암에서 림프절 전이 여부와 정도는 근치적 수술 후 발생하는 재발 및 전이를 예측하는 중요한 인자 중 하나이다. 결장직장암의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경우에서 임상적 및 병리학적 인자에 따른 수술 후 재발 및 전이 여부를 조사하여 위험 인자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2004년 1월부터 2006년 12월까지 결장 및 직장의 원발성 선암으로 진단되어 수술을 받은 675명의 환자 중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환자 130명을 대상으로 하여 성별, 연령, 수술 전 암태아성항원, 종양의 위치, 종양의 크기 및 병기, 병리적 인자들을 조사하였다. 결과 :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인 환자 중 근치적 절제수술을 받은 환자는 총 87명이었다. 성별 분포는 남자 43명, 여자 44명이었으며, 평균 연령은 60.3세(34~86세)였다. 종양의 위치는 결장 25예, 직장 62예였으며, 종양의 크기는 평균 5.8cm(2.0~19cm)이었다. TNM 병기 중 T병기는 T2, T3, T4가 각각 1예, 80예, 6예이었으며, 수술 후 획득된 림프절 수는 평균 21.1개(7~110개)였다. 추적 관찰 기간은 평균 30.5개월(5~48개월)이었으며, 이 중 재발 및 전이를 보인 경우는 34예(39.1%)였다. 성별, 종양의 크기, 수술 전 암태아성항원, 림프절 전이 비율, 종양 세포의 혈관 침습, 림프관 침습, 신경 침습 분포에 따른 재발 및 전이 여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 림프절 전이에 대한 병기가 N2 stage인 결장직장암에서 재발 및 전이에 대한 임상적 및 병리적 위험 인자를 찾을 수 없었다. 향후 대규모 환자들을 대상으로 면역화학적 혹은 유전자적 인자의 관련 여부에 대한 연구가 더 필요할 것이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is to figure out the clinicopathologic factors associated with recurrence in colorectal cancers with four or more lymph node metastasis (N2 stage). Material and Method : From 2004, Jan to 2006, Dec, a total of 675 patients with colorectal adenocarcinoma were underwent surgery in our hospital. One hundred thirty patients with N2 stage were selected for retrospective review with medical records. Clinicopatholotic factors, such as sex, age, preoperative CEA, tumor location, tumor size, tumor differentiation, T-stage, were studied. Results : Of the 130 patients, eighty-seven patients were underwent radical surgery for colorectal adenocaricinoma. Mean age was 60.6(34-86 years). Tumors were located in the colon, 25 patients and the rectum 62 patients. Mean tumor size was 5.8 (2.0-19cm). With TNM classification, T2, T3, T4 were 1, 80, 6 patients, respectively. Mean number of retrieved lymph node was 21.1(7-110). Mean follow-up period was 30.5 (5-48 months). Recurrence was identified in 34 patients (39.1%). According to tumor differentiation, recurrence rate was 36.8% of well and moderate differentiation, 54.5% of poor differentiation (p=0.327). Recurrence rate was 37.5% in T3 stage, and 66.7% in T4 stage (p=0.267). Conclusions : Recurrence rate was not different significantly according to clinicopathologic factors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with N2 stage after radical surgery. Further study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risk factor for recurrence in colorectal adenocarcinoma with N2 sta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