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형태재인과 스캠퍼를 활용한 특성화고등학교 심벌마크디자인 교육 프로그램 연구

        홍지현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31

        과거를 통해 현재까지 시각언어는 우리의 생각과 사상을 표현하고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이 되어 왔다. 특히 시각언어 가운데서도 심벌마크는 효과적인 커뮤니케이션의 한 방법으로서 중요한 존재의의를 가지고 있다. 심벌마크는 의사소통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즉각적이고 정확한 이미지로 의미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공공기관이나 단체, 그리고 개인을 위한 차별화된 시각적 표현으로 대내외적으로 빼놓을 수 없는 홍보매체의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시각은 인간이 가장 예민하게 반응하는 감각기관중 하나이며, 눈으로 본 이미지는 인간의 지식과 기억, 경험 등의 잠재의식과 반응하여 재해석된다. 즉, 시각형태의 구성은 인간의 심리와 밀접한 관련성을 맺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시각 디자인 중에서도 심벌마크 디자인 수업에 인지심리학의 한 영역인 형태재인의 개념을 아이디어를 시각적 형태로 구성하는 스케치 단계에 접목함으로써 사물의 형태를 구조적으로 볼 수 있는 안목을 키우고, 이를 통하여 창의적 디자인 형태로 발전시킬 수 있는 교육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학습자들의 체계적이고 창의적인 아이디어 표현능력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고자 하였으며 연구의 진행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의 필요성과 내용, 방법 및 연구의 제한 점을 제시하였다. 둘째, 심벌마크 이론과 형태재인 및 스캠퍼 기법 이론을 문헌자료와 논문을 통해 살펴보았다. 셋째, 특성화 고등학교에서 실시하고 있는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의 실태를 파악하고 이를 분석하여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의 문제점을 도출하였다. 넷째, 형태재인 및 스캠퍼 이론의 분석 및 활용방안을 연구하여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 프로세스를 제안하였다. 다섯째, 앞서 살펴본 이론과 현재 디자인 교육 상황을 고려하여, 종합적으로 형태재인이론과 스캠퍼를 활용한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는 형태재인 이론 중 RBC 이론과 스캠퍼 기법을 연관시킨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였고, 각 단계별 학습내용은 크게 "이론-형태재인 학습-디자인소재 형태분석-스캠퍼를 활용한 형태변환-발표 및 평가"의 5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 이론학습 단계는 심벌마크 디자인 실습에 앞서 관련이론 학습으로 구성하였으며, 2단계 형태재인 학습단계는 형태재인 및 RBC 이론을 학습하고 이를 활용한 형태구조화 실습으로 이루어졌다. 3단계 디자인소재 형태분석단계는 본격적인 디자인과정에 앞서 디자인 소재를 선정하여 형태를 분석하는 형태구조화 실습의 응용과정이며, 4단계 스캠퍼를 활용한 형태변환단계는 실제적인 디자인과정으로 앞서 분석한 소재를 스캠퍼 기법을 활용하여 창의적인 형태로 변환하여 심벌마크 디자인을 완성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5단계는 발표 및 평가 단계로 자신의 디자인 결과물을 발표하고 상호의견을 교류하여 사고를 확장할 수 있는 단계로 구성하였다. 특성화 고등학교의 심벌마크 디자인 교육에 있어서 본 학습지도 방안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진다면, 학습자들의 인지기억 속에 재인된 형태를 구조적으로 시각화하는 기초적인 형태감각 뿐만 아니라 디자인 아이디어 전개능력 및 표현능력을 향상시키고, 창의적인 심벌마크 디자인 형태표현에 관한 문제해결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홍지현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이 연구의 목적은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현직 교사들의 인식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을 중심으로 조사하여 경기혁신교육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여 향후 경기 혁신교육 정책 및 운영 방향을 제언하는 것에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혁신교육과 경기 혁신교육의 개념, 철학, 특징, 성과와 관련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으며, 경기도 초·중·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 총 122명을 대상으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등학교 교사 중 혁신학교 경험자들의 혁신학교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교사들의 혁신학교 재직 경험은 교사의 교육과정 역량을 제고하고, 학교 생활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기 때문에 혁신학교의 확대는 필요하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가장 큰 변화로 혁신교육의 가장 중요한 학교교육과정의 방향(목적) 공유, 학교 교육 철학(비전)을 교육 주체들 간 공유하고 논의하게 되었으며,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대한 학생 의견 반영 정도, 학부모 참여 활성화 정도, 교사 교육과정 권한 위임에 대한 인식 수준이 보통 수준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학교 안 전문적 학습공동체의 활성화와 자발적 참여 정도를 높이고, 교육과정과 연계하여 운영함으로써 학교 내 교사 간 교육활동 중심의 수업 개방 및 나눔의 문화를 정착시킨 점은 매우 의미가 크다. 둘째, 혁신교육의 인식 차이는 학교급별로는 크게 다르지 않았지만, 혁신학교와 일반학교 간에는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학교 내 교사 간 소통하고 협의 하는 문화 조성, 교육활동에 학생 의견 반영 정도, 지역사회와의 소통 문화 활성화,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에의 자발적 참여,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육과정 연계 운영, 학교 안 전문적 학습 공동체의 교사 간 수업 나눔 연계 운영 및 교육과정 공동 연구 등에 혁신학교가 일반학교에 비해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났다. 즉, 경기혁신교육의 실시로 구성원 간의 소통과 참여의 학교 문화로 민주적인 학교 운영이 이루지게 되었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한 교육과정의 운영으로 학교교육과정 편성 ·운영시 지역 자원 활용 정도, 지역사회와 함께 하는 교육과정(프로그램) 운영, 학교 철학의 학교(혹은 학교) 교육과정 반영 여부, 교사 간 학년(혹은 교과) 교육과정 재구성의 지속적 운영 차이가 나타났으며, 역시 혁신학교가 일반학교 보다 점수가 더 높게 나타탔다. 교사들의 교육활동은 교사 개인 역량 보다, 학교 공동체 문화에 의해 더 많이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교사들이 혁신학교의 경험을 많이 공유하여 혁신학교 문화를 더 확산할 수 있도록 혁신학교의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경기혁신교육 실시 후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대한 교사, 학생, 학부모의 인식의 획기적인 변화가 나타났다.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교사, 학생, 학부모 등 교육공동체 모두가 참여하여 학교 철학을 만들고 이를 공유하고 있다. 경기혁신교육 전 학교교육과정은 교육부에서 내려오는 top-down방식이었고, 학교 내에서도 담당 부장 중심으로 편성 운영되었다. 경기혁신교육 실시 이후, 교사, 학생, 학부모 등 모든 교육 주체가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에 참여하여, 지역별로 학교별로 교육 주체들의 요구가 반영되어 모두가 함께 만들어가는 bottom-up 방식의 학교교육과정 편성·운영으로 변화하고 있다.

      • J.S.Bach-F.Busoni의 Chaconne in d minor BWV.1004에 관한 연구 : A study about Chaconne in d minor Bwv.1004 of J.S.Bach-F.Busoni

        홍지현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631

        Ferruccio Benvenuto Busoni(1866~1924), born in Italy,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pianists, composers and arrangers as well as of the greatest neo-classic musicians in Germany. He was brilliant enough to produce numerous works and at the same time various genres such as vocal pieces, operas, and, instrumental and orchestral pieces. There is no doubt Busoni is a great figure in the history of piano arrangement, who worked some masterpieces of great virtuosos in the past to reclothe them with arrangement in a creative way. Having arranged, especially, the pieces of Johann Sebastian Bach, he was competency of arrangement has highly been recognized as the competent arranger. The piece analyzed in this study is the Chaconne arranged for piano by Busoni in 5th movement of Partita No.2 in D minor, BWV1004 originated by J. S. Bach. His significant work for this is in two aspects. First, some limitations of techniques and textures from contrapuntal polyphony in which violin solo takes the part as melodic instrument in the origin are alternated into the piano which makes each part of its voices distinct. Second, not only faithfulness to the origin, but also enlargement by adding another counter-part into it presents new sound world. Us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piano, fingering, pedaling, articulation and pedal point, he puts various expressions into the Chaconne with the piano instrument. In oder to know the intension to overcome some limitation of instrument in terms of techniques through the arrangement by Busoni, this study the Chaconne by Bach and arranged Chaconne by Busoni. Besides, it also studied the techniques in order to be helpful for performance, understand the intention of the composer and express properly which is required to any performers. 부조니(Ferruccio Benvenuto Busoni, 1866-1924)는 이태리 태생으로 독일에서 활동한 신고전주의(Neo-Classicism)의 대표적인 피아니스트이자 작곡가, 편곡가이다. 그는 성악곡, 오페라, 관현악곡, 기악곡 등 다양한 장르의 많은 작품을 남겼다. 또한 그는 과거 많은 대작곡가들의 작품을 창의적인 시도로 편곡하여 피아노 편곡 역사에 있어 큰 업적을 남긴 인물이다. 그는 특히 바흐(Johann Sebastian Bach, 1685-1750)의 작품들을 편곡함으로써 그 기량을 널리 인정받고 있다. 본 논문에서 분석한 곡은 바흐의 <무반주 바이올린 Partita No.2 in d minor BWV.1004> 중 5악장인 샤콘느(Chaconne)를 부조니가 피아노용으로 편곡한 것이다. 작곡가로서 편곡에 대한 그의 큰 업적은 바흐 원곡의 선율악기인 바이올린 독주가 감당해야 했던 대위법적 폴리포니(polyphony)의 양식적, 기술적 한계성을 피아노로 대체하여 성부의 구분을 명확하게 해 주었다는데 있다. 또한 편곡을 함에 있어 원곡에도 충실할 뿐만 아니라 원곡을 더욱 더 확장하여 다른 대선율을 첨가하기도 하였으며 새로운 음향세계를 보여 주고 있다. 이러한 시도를 위해 곡의 형식(form)과 조성(tonality), 화성(harmony), 리듬(rhythm), 음역의 확대와 축소, 빠르기(tempo), 세밀한 악상 표현, 연주를 위한 손가락번호(fingering), 페달(pedal), 아티큘레이션(articulation), 지속음(pedal point) 등을 사용하여 피아노의 특성을 잘 살려 피아노라는 악기가 지닌 다양한 음악적 표현을 가능하게 하였다. 부조니의 편곡을 통하여 악기의 기술적 한계성을 극복하려는 의도를 알고자 먼저 바흐의 샤콘느를 살펴보고, 부조니가 편곡한 샤콘느를 연구 분석하였다. 또한 피아니스트들에게 요구하는 작곡가의 연주 의도를 올바르게 인지하고, 표현, 연주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그 연주기법에 대하여 연구하였다.

      •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남녀노인의 혈압과 기능체력의 차이 -국민체력100을 이용하여

        홍지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국민체력 100에 참가한 65세 이상의 남녀노인 중 2015~2019년도 데이터로 노인의 연령별 체질량지수에 따른 혈압과 기능체력을 분석하였다. 체질량지수, 수축기혈압, 이완기혈압, 맥압, 평균동맥압을 측정하였으며, 악력, 상대악력, 앉아 윗몸 앞으로 굽히기(유연성), 의자에 앉았다 일어서기(하지근력), 2분 제자리 걷기(심폐지구력), 의자에 앉아 3m표적 돌아오기(평형성), 8자보행(협응력)을 측정하였다. 통계는 SPSS로 이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고, 유의수준(α)은 .05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노인남성은 이완기 혈압(F=4.296, p<.001), 수축기 혈압(F=3.868, p<.001), 평균동맥압(F=5.146,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이완기 혈압(F=1.968, p<.05), 수축기 혈압(F=2.645, p<.01), 맥압(F=2.079, p<.05), 평균동맥압(F=2.421, p<.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노인남성은 유연성(F=2.637, p<.01), 하지근력(F=2.147, p<.05), 평형성(F=3.609, p<.001), 협응력(F=3.89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노인여성은 악력(F=17.618, p<.001), 상대악력(F=16.047, p<.001), 유연성(F=13.576, p<.001), 하지근력(F=5.931, p<.001), 심폐지구력(F=7.247, p<.001), 평형성(F=7.564, p<.001), 협응력(F=5.702, p<.001)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연령과 체질량지수가 높을수록 혈압이 높고 기능체력은 낮았으며, 저체중의 경우에도 기능체력이 낮은 것으로 나타나 노인에게서 적정체중을 유지하는 것은 중요하다. 이를 위해 노인의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후속연구로 신체활동량과 영양소섭취량을 고려한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age-related differences in blood pressure and functional fitness among BMI in elderly men and women. This study included male and female who participated in the National Fitness Award from 2015 to 2019. SBP, DBP, PP, and MAP was measured. Functional fitness test included hand grip strength, sit-and-reach, chair stand, 2-min steps, timed up-and-go, and 8-foot up & go. The results indicate that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f age and BMI groups was found on SBP, DBP, and MAP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SBP, DBP, PP, and MAP in elderly women.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were observed in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balance, and coordination by age and BMI groups in elderly men, and significant interaction effect on hand grip strength, relative hand grip strength, flexibility, lower body strength, aerobic endurance, balance, coordination in elderly women.

      •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우울과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홍지현 호서대학교 여성문화복지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임신과 남편의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하여 아산시보건소를 이용하는 임산부 120명, 정상대조군으로 일반 주부 1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을 위한 도구로는 개인이 얼마나 정서적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하는가를 알기 위하여 김정희(1991)가 제작한 검사로 하였다. 자아존중감 척도는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Self-Esteem Scale: SES)를 백혜원(1993)이 번안하여 표준화시킨 척도로 하였다. 우울증 척도는 Zung(1970)의 우울증 자가 측정표를 가지고 우울 정도를 측정해 보았다. 자료 분석에서는 임신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대해 독립표본 t-검증을 하였고, 임신 여성 집단과 비임신 여성 집단 각각의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의 상관분석을 하였고, 그 결과 각 집단에 따라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과의 상관계수가 차이가 있음을 알아보기 위하여 Fisher의 z 값으로 변환해 상관차이를 검증하였다. 그리고 각각의 인구 통계학적 변인과 사회적 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를 독립변인으로하는 이원변량분석(Two-Way ANOVA)를 실시하고 그에 따른 상호작용효과를 분석하였다. 이상의 연구방법과 절차를 통하여 임신과 사회적 지지가 여성의 자아존중감과 우울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결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임신과 사회적지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임신은 여성의 사회적 지지와 자아존중감, 우울정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자아존중감과 사회적지지의 경우에 정적상관관계가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사회적 지지는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친다. 셋째, 임신유무와 직업유무, 소득정도, 결혼기간의 사이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그 결과, 임신 중에는 전업주부로 생활하는 여성이 자아존중감이 높고, 우울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임신 중일 경우에는 소득이 적다고 하여 더 우울하거나 자아존중감이 낮아지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임신한 경우 가장 높은 자아존중감을 가지며 낮은 우울정도를 지닌다. 그러나 비임신의 경우 결혼 1년차 여성들이 자아존중감에는 차이가 없으나, 우울정도 경우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120 pregnant women who used the Asan Health Center, with 120 common housewives as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empirically determine effects of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The tool used for data collection was the test manufactured by Kim (1991) to determine how much individuals perceive emotional support given to them. As for a self-esteem scale, the translation and standardization of Rosenberg's (1965) Self-Esteem Scale (SES) by Baek (1993) was used. And as for a depression scale, Zung's (1970) Depression Self-Assessment was used to measure the level of depression. For data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was carried out to measur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relation to pregnancy; correlation analysis was implemented to determine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in each of pregnant and non-pregnant women groups; and correlation differences were tested after the transition into Fisher's value of z in order to determine if correlation coefficients vary in terms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in each group. Besides, two-way ANOVA was carried out with each of demographical variable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as independent variables to analyze resultant interactive effects. After the procedure mentioned above, an analysis was made for the effects of pregnancy and social support on women's self-esteem and depression, consequently obtaining the following results. First, there is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pregnancy and husband's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and depression. That is, pregnancy has no effect on women's social support, self-esteem, and depression. Second, there is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elf-esteem and social support; thus, social support affects self-esteem.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among pregnancy, employment, income level, and length of marriage; so interactions were considered among them. As a result, women as a housewife showed high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during pregnancy while lower income never resulted in higher depression or lower self-esteem during pregnancy.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one year showed the highest self-esteem and low depression. In case of non-pregnancy,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esteem of those women who have been married for a year but they showed the highest depression.

      • 슈만의 『교향적 연습곡』 Op.13 작품 분석과 연주법 연구

        홍지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631

        This study has begun with the purpose to attain some valuable ideas in performing "Symphonische Etuden" by understanding inner order of the structure of the work. This work consists of a theme which makes use of variation form and twelve etudes, thus having composite function. Thus, this study begins with the analysis of the function of the variation and that of the etude separately with the emphasis on form, melody, harmony, rhythm and musical effect. After this, the author tries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two func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s as follows. Among the twelve etudes of this work, nine employ the variation form and three are pure etudes. And the theme of this work has in the aspect of variations, a thematic function and has, in the aspect of etudes, composite function. On the other hand, twelve etudes exemplify the construction which fulfills the general notion of an etude : the musical piece whose characters are focused on to overcome the technical difficulties by the succession of simple motives. Accordingly, the nine variation-like pieces are not made up of style which elaborates the thematical elements but show tendency to progress by motives whose formation depends on the harmonious, melodical elements of a theme : these pieces lare as pure variations, inappropriate irrespective of motivic variation or character variation. That is, these pieces show that the variation style is somewhat changed in order to possess the characteristics of an etude. Etude III and IX which are pure etudes in character require performance training which is hard to obtain in an etude of variation form. They are formed of the tendency of an interlude which acts as the bridge between different functional etudes. The last Finale is an etude which synthesizes every function that is previously represented. Namely, the variation function of this work is secondary to that of an etude and show a phase of character variation to satisfy the conditions of an etude. The function which are treated in etudes are arpeggiated chords, simultaneous harmonies of wide range pedalling, sustained sounds, legato, staccato, that are used to a great extend, non-legato and etc. As a result, the function of an etude is emphasized throughout the work but that of a variation can not be emphasized because the variation is limited to the nine pieces. This work focuses on the dramatic musical elements which are different from the general etude, and the scope of the last Finale is large and also much larger as an etude for performance. Thus the title "Symphonische etuden in form van variation" is named properly from the synthetic view of these elements. Therefore, "Symphonische Etuden" introduced the variation form into etudes and combined them successfully is an important work that elevated the nature of Pianist art in the field of an etude by applying orchestral effect to piano music.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o represent the real meaning of the "nature of Romantic" by studying the personality and originality of schumann which are represented in "Symphonishe Etuden".

      • 임대주택 거주기간과 자활사업 참여가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 : 서울특별시 사례를 중심으로

        홍지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se the effects of public rental housing duration and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on residents' working behavior in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and to demonstrate whether the supply of public rental housing is moving toward a "independent housing welfare policy" to help residents stand on their own feet. In the analysis data, the results of the "Panel Survey of Occupants in Public Rental Housing" were used in 2016 and 2017.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the study were designated as 'the residence period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and the dependent variable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working behaviour of residents of rental houses into 'work hours', 'work days' and 'work status'. In order to mitigate endogenesis of variables, the independent variables established a clear pre- and post-conferenc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using data from 2016 and the dependent variables from 2017. In addition, only those aged 15 to 63 were used for the analysis in the first year of the survey in order to analyze only the productive population in both the 1st and 2nd years. First, an analysis of nine models of the effect of the length of public rental housing on residents' working behavior showed that in all models, the length of public rental housing residence h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impact on the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and working days of residents, and as the length of rental housing increases, the probability of working relative to the probability of not working is reduced. Next, the analysis of nine models of the effects of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on residents' working behaviors showed that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average number of working days of residents, and that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reduced the likelihood of working relative to the probability of not working. However, the average working time of residents did not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Finall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Heckman's Heckit Model showed that the dur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was having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verage weekly working hours and working days of resident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irically analyze that the dura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has a negative effect on residents' working behavior and that participation in self-support programs has some positive effects on residents' working behavior, and the policy implications from this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rather than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public rental housing, various housing policies should be considered to prevent the exclusion of rental housing residents by inducing a mix of income classes for social integration. Second,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the types of public rental housing and establish an integrated standby system to make it easier for low-income people to explore public rental housing and, furthermore, enable flexible housing movements. Third, as the length of rental housing increases, it is important to provide various types of residential welfare services, including self-support programs, to encourage residents to participate in the most necessary work activities to support themselves. Fourth, it is important to ensure that people in need of a policy can utilize the various residential welfare services that suit them in parallel, as well as develop various housing welfare-related policies. Now is the time to improve the quality of public rental housing along with the quantitative expansion. It is expected that efforts to encourage residents of rental houses to participate in self-support programs, address social isolation, and improve negative perception of public rental housing will help residents of rental houses truly stand on their own feet. 본 연구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거주자를 대상으로 임대주택 거주기간과 자활사업 참여가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공공임대주택 공급이 거주자의 자립을 돕는 ‘자립형 주거복지정책’으로 나아가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밝히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자활사업 참여가 참여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분석하여 임대주택 거주자의 자립을 돕는 정책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분석 자료는 「서울시 공공임대주택 입주자 패널조사」자료 중 2016년, 2017년 시행된 조사결과를 사용하였으며, 연구의 독립변수는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과 ‘자활사업 참여’로 설정하였고 종속변수는 임대주택 거주자의 근로행태를 ‘근로시간’, ‘근로일수’, ‘근로 여부’로 나누어 설정하였다. 변수의 내생성 완화를 위해 독립변수는 2016년 자료를 종속변수는 2017년 자료를 사용하여 변수 간 명확한 선후관계를 설정하였다. 또한, 1·2차 년도 모두 생산가능인구만을 대상으로 분석하기 위해 조사 1차 년도에 만 15∼63세인 조사대상자만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먼저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이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9개의 모델로 분석한 결과, 모든 모델에서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은 거주자의 주 평균 근로시간과 근로일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임대주택 거주기간이 증가할수록 근로하지 않을 확률 대비 근로할 확률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활사업 참여가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9개의 모델로 분석한 결과, 자활사업 참여는 거주자의 주 평균 근로일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고 있었으며, 자활사업 참여시 근로하지 않을 확률 대비 근로할 확률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거주자의 주 평균 근로시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마지막으로 헤크만(Heckman)의 2단계 추정법(Heckit Model) 분석을 통해 자활사업 참여자의 선택편의를 해소하여 분석을 진행한 결과에서도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은 거주자의 주 평균 근로시간과 근로일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공공임대주택 거주기간이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고, 자활사업 참여는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일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실증적으로 분석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으며, 이러한 분석을 통해 얻은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공임대주택의 획일적인 양적 확대보다는 사회통합을 위한 소득계층의 혼합을 유도하여 임대주택 거주자의 배제를 막을 수 있는 주택정책이 다양하게 고려되어야 한다. 둘째, 임대주택의 유형을 통합하고, 통합대기시스템을 구축하여 저소득층이 보다 손쉽게 임대주택을 탐색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서는 유연한 주거이동을 가능하게 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임대주택 거주기간이 늘어날수록 거주민의 근로행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데, 거주민의 자립을 위해 가장 필요한 근로활동에의 참여를 독려하기 위해서는 자활사업 등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주거복지 서비스를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다양한 주거복지 관련 정책들을 개발하는 것뿐만 아니라 이에 대한 홍보 및 수요자와의 연계도 병행하여 정책을 필요로 하는 사람들이 자신에게 맞는 다양한 주거복지서비스를 활용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제는 우리나라 공공임대주택의 양적 확대와 함께 질적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임대주택 거주자의 자활사업 참여를 독려하고 사회적 격리 현상을 해결하며, 임대주택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개선하는 노력을 통해 임대주택 거주민의 진정한 자립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는 자료의 시계열이 짧아 2016년과 2017년을 각각의 횡단면 자료로 이용할 수밖에 없었다는 점, 변수간 선후관계 설정을 통한 내생성 완화에 한계가 있었다는 점, 서울특별시 임대주택 거주 가구에 한정하여 분석을 시행하여 전체 공공임대주택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는 점, 어떠한 요인이 거주자의 근로행태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검증은 불가능하였다는 점이 연구의 한계로 남는다.

      • 슈만가곡 시인의사랑 op.48에 대한 반주 기법 연구

        홍지현 경북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In the 19th century, German lieder had become main current in the field of music on the basis of romanticism and the establishment of a genre of art, according to the predominant view on the subjective emotion. One of the typical composers of romanticism, Robert Schumann (1810 – 1856) wrote most of his lieder after his marriage to Clara in 1840 and this period of time is now called “The Time of Lied” The arrangement of <Love of a Poet> by Schumann is not only the piano arrangement for vocal, but also the pieces with independent lines as a duet piece for piano and vocal. With the full understanding of the poem, players should recognize the tonality, chord progression, impression and express the pieces with the vocalist. <Love of a Poet> is the piece with beautiful and lyrical melodic line, well balanced with Heine’s poem, using various tonalities that technically intended by Schumann, and the vital piano arrangement in interlude and postlude describes creativity and artistry of Schumann in romanticism.

      • 生産 工程 시스템에서 殘滓 損失率을 줄이기 위한 遺傳子 알고리즘의 適用

        홍지현 成均館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7631

        GPSS is Grating Processing Scheduling System which produces metal items called a Grating automatically. A cutting plan stage is a part of processing stages for making the gratings through the GPSS, basically it arranges gratings using the Knapsack Algorithm for decreasing the rate of remains loss. Then it compares the rate of remains loss using the merge of tasks or groups which is a standard unit of the cutting plan stage. But the cutting plan using the merge of tasks or groups doesn't guarantees that its remains loss is lower than without the merge of tasks or groups. As a result of this, GPSS's operator has inconvenience which has to compare the rate of remains loss for many cases repeatedly. This paper proposes the application of genetic algorithm for solving the problems which is basic on the evolution mechanism of the nature using the survival of the fittest, selection, crossover, mutation and so on. Generally Genetic algorithm is known as global optimization algorithms. Chromosome possessing excellent existence viabilities is generated many offsprings from among the chromosomes and developed average life viabilities of each generation going through the many alternation of generations is Genetic algorithm's distinguish mark. Moreover, what the more superior chromosomes is born by selection, crossover and mutation by chance is a specific important character of Genetic algorithm. After GPSS's given tasks or groups is encoded each gene, they are created the cutting plan of much less therate of remains loss using the selection, crossover and mutation. We can free from comparing the rate of remains loss over and over again to make the cutting plan of lower the rate of remains loss on several occasions. Finally, in view of this we can produce good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