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음악교육학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연구 :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중심으로

        채규조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71

        본 연구는 문헌 정보의 홍수 속에서 음악학도들에게 필요한 자료를 신속 정확하게 찾는데 느끼는 곤란함과 자료검색을 위한 2차 자료의 필요성에 부응하여 음악교육 연구의 정보자료로서 음악교육 문헌관계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이를 장르별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1993년부터 2002년 2월까지 제출된 국내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333편의 논문 총람과 내용분석을 실시하였고, 이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 333편의 장르별 연구경향은 14개의 장르 중에서 음악교육론 영역과 국악교육영역에 각각 67편(20.1%)으로 가장 많은 연구를 보였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 논문 작성자들 대부분이 초등교육에 몸담고 있는 교사로서 좀더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음악교육을 하기 위한 노력의 표출로서 음악교육학적 측면에서 음악교육방법을 연구해 보려는 시도를 엿볼 수 있다. 또한 최근 들어 서양식의 음악교육을 답습해온 이제까지의 교육에서 탈피해 우리의 것을 바로 알고자 하는 국악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는 기조를 반영하여 국악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장르별-연도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기 전인 1998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음악교육론(28편), 성악교육(14편), 국악교육(14편), 작곡교육(11편), 교육과정(10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전국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 논문이 발표되는 1999년에는 국악교육 9편, 성악교육 7편, 음악교육론 3편으로 국악교육이 가장 많이 연구되었다. 이후 2002년까지의 장르별 연구 비중을 살펴보면 국악교육(49편), 음악교육론(39편), 성악교육(30편), 교육과정(23편), 감상교육(19편)의 순으로 나타났다. 1999년 이후 국악교육의 연구논문이 가장 많이 발표된 데는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본 연구논문의 연구대상 시기인 6차 교육과정 때부터 국악교육에 많은 관심과 영역이 할애되었고 7차에 이르러 초등음악의 50% 가까이를 차지하고 있어 국악교육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여진다. 1992년부터 1998년까지 1편도 제출되지 않았던 피아노 교육관련 논문과 불과 2편만이 제출되었던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999년 이후 피아노 교육이 총 7편, 음악 교육 평가 영역이 11편으로 많이 증가되었다. 또한 어느 영역에도 소속되지 않는 새로운 영역의 논문들도 1999년 이후 10편이 발표되었다. 셋째, 장르별-학교별 연구경향의 전체적인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음악교육론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부산교육대학교, 서울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청주교육대학교였으며, 음악재능교육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진주교육대학교였다. 성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공주교육대학교, 전주교육대학교였으며, 작곡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대구교육대학교였다. 국악교육 영역에 가장 많은 논문이 제출된 학교는 광주교육대학교, 부산교육대학교, 인천교육대학교, 춘천교육대학교, 한국교원대학교였다. 이를 토대로 살펴보면 학교에 따라서 장르별로 비중을 두어 연구하는 영역이 다름을 알 수 있다. 또한 서울교육대학교와 한국교원대학교의 경우는 14개 영역 중 종교음악교육, 유아교육, 특수교육의 특수한 영역을 제외하고는 고른 연구의 경향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교원대학교에서 처음으로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연구 논문이 발표된 이래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에 초등음악교육전공이 개설되고 논문이 발표되면서 양적, 질적으로 발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is essay is to provide a general view of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education as a valuable source of music research and to analyze it according to the music genre. It is helpful for music researchers to find necessary information easily in the plethora of music materials and to resolve the difficulty of information searching. This research investigated a total number of 333 master's theses related to music subjects in elementary school, which was published in Korea from 1993 to February 2002.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 research trend by a genre showed that 14 categories among 333 thesi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music education and traditional Korean music that were composed of 67 thesis(21.1 %). This revealed that most research was done by elementary school teachers. It can be a good indication that teachers attempt to do systematic and scientific research of music education. It can be interpreted as a trend of avoiding imitating Western style of music education and higher interests in traditional Korean music. Second, the general analysis according to the genre and annual publication showed that 28 thesis were about special areas of music education with 14 being about vocal music, 11 about writing music, and 10 about music curricula before theses of music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were published in 1998. The theses relevant to music education of the elementary school at the graduate schools of education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99. Nine theses were about traditional Korean music, seven on vocal music and three on music education. The trend of genre from 1999 to 2002 showed that 49 theses were made in the area of traditional Korean music, 39 about music education, 30 on vocal music, 23 about music education, and 19 concerning how to listen to music. It is believed that much interests in Korean music started at the 6th music curriculum contributed to the abundance of theses related to traditional Korean music, which comprised of roughly 50 % of 7th music curriculum. There was no thesis at the area of piano education from 1992 to 1998 and only two thesis at the area of music evaluation. However, since 1999 seven theses of piano education were published and eleven on music evaluation. Third, general analysis of this research proved that Busan, Seoul, Inchon, and Cheong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of music education, and Ji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a lot of theses related to talented music education. Gongju and Jeonj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most theses associated with vocal music. Taegu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most theses about writing music. Kwangju, Busan, Incheon, Chunche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in order had more theses connected with traditional Korean music. This result illustrated the fact that different college explored different genre of music. Seoul and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had a tendency of studying a variety of spheres among fourteen areas except fields of religion, kindergarden, and special education. The result of this thesis demonstrated that the amount of research exploring elementary school music was increased in the aspect of quality and quality at the eleve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ince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published their first master thesis.

      • 한 초임교사의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 경험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김은지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55

        이 연구의 목적은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자문화기술지를 통해 서술함으로써 교사 재교육기관의 교육을 통한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과 그 의미를 해석하는 데 있다. 연구결과 및 결론을 간략하게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한 동기는 첫째, 교사 전문성의 신장과 학문적 욕구 해소라는 내재적 가치 실현 둘째, 자격증 취득 등을 위한 발령대기 상황의 대비책이라는 외재적 가치 실현을 위함이었다. 다음으로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의 전문성 발달에 미친 영향과 의미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교육적 경험을 하고 교육자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할 수 있었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반성적 실천가로서의 교수 전문성을 발달시킬 수 있었다. 둘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교육대학원 학습경험을 통해 학교교육에 대한 가치 변화가 일어났고, 초등학교 초임교사로서의 정체성과 역할에 대한 성찰을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는 의미관점의 발달을 겪을 수 있었다. 셋째, 초등학교 초임교사였던 연구자에게 교육대학원은 전문적 자본 발달의 장(場)이었다. 또한 연구자는 교육대학원에서 동료교사와 함께 학습하는 과정을 통해 동료교사에 대한 인식이 “함께 수업을 듣는 사람”에서 “교육에 관하여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사람”으로 전환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육대학원의 구성원들은 현장교사들이 교육대학원에서 전문적 자본을 개발 및 확장할 수 있도록 전문적 학습공동체를 지원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육대학원은 현장교사들의 학습경험이 그저 ‘학위 취득을 위한 시간 때우기’에 머물지 않도록 교사 재교육 목적과 기능에 충실한 교육과정과 수업을 전개해야 한다. 셋째, 교육대학원은 단위학교나 지역교육청의 인적 및 물적 자원을 보다 적극적으로 공유하여 교육대학원 교육프로그램의 학문성과 현장전문성을 확대 및 심화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는 한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에 연결함으로써 교육대학원의 교사 재교육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 연구의 결과는 교수 전문성 신장을 위해 교육대학원에 수학 중이거나 진학을 희망하는 현장교사들에게 교육대학원에서의 학습경험을 이해하고, 성찰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써 기여할 있을 것이다.

      •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의 초등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 논문 경향 분석

        권미경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에서는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석사학위 논문의 총람을 작성하고 각 학교별로 논문을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석사학위 논문의 경향을 학교별로 파악하여 음악교육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제시함으로써, 최종적으로는 국내 초등음악교육계의 발전에 이바지함을 목적으로 한다. 전국의 11개 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음악교육전공의 2005년 8월부터 2008년 2월까지 석사학위논문 248개를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이들 논문을 연구영역과 연구방법을 기준으로 각 학교별 논문의 경향을 분석하였다. 연구영역의 분류기준은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심리, 음악교육과정, 음악교재, 음악교수?학습방법,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평가, 음악교사교육, 음악특기적성, 국악, 다문화음악, 기타의 14개 영역이다. 그리고 연구방법은 역사연구, 기술연구, 실험연구, 문헌연구의 4가지를 기준으로 하였다. 학교별 논문을 분석한 결과 가장 많은 논문을 발표한 학교는 53편의 논문을 발표한 경인교대였으며, 모든 영역을 연구한 학교는 없었으나 11개 영역을 연구한 학교로 경인교대가 해당되었다. 연구방법에서는 경인교대, 부산교대, 청주교대에서 네 가지 연구방법을 모두 사용하였고, 나머지 학교들은 2개 이상의 방법을 사용하여 연구하였다. 가장 많이 연구된 연구영역은 음악교수?학습방법이며 가장 많이 사용된 연구방법은 문헌연구의 방법이다. 대다수의 논문들이 교육적 아이디어를 적용하여 지도안을 구안하는 형식을 취하였다.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으로는 음악교육역사, 음악교육철학, 음악미학, 음악교육평가의 영역이다. 그리고 역사연구의 방법이 가장 적게 사용된 연구방법이었다. 따라서 초등교육음악계의 발전을 위해서라도 저조한 연구를 보이는 영역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하며, 논문들의 흐름을 전체적으로 볼 수 있는 체계적인 분류기준의 정립이 필요하다. 그리고 지속적인 연구를 위해서 연구자들에게 유용한 자료를 공개적으로 제시하는 각 교육대학교의 교육적 아량이 요구된다. This study makes pandect of master these in the field of the music education of the graduated school in the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and analyzes th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understanding the tendency of theses in a master degree according to the national universities, showing useful data to the music education researchers and eventually contributing to internal elementary music education development. This thesis is based on 248 theses of the graduate schools in 11 national universities which were written from August, 2005 to January, 2008. It focuses on the theses trend in each university, using the criteria of the study scope and the study method. The study scopes use 14 areas: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music psychology, processes of music education, music textbooks, music teaching methods, learning methods, engineering of music education, evaluation of music education, education of music teachers, the special ability of music, Korean classical music, multi-cultural music and other areas. The study method uses 4 kinds: history study, skill study, experiment study and documentary records study. Findings on analysis reveals that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published the highest amount of theses. It also shows that there is no university which has a thesis covering the 14 areas. However, Kyengin Education University has the theses which cover 11 areas. Some these of the Education University of Kyengin, Busan and Cheungju use 4 study methods and the others use at least 2 and more study methods. The most popular study scopes are music teaching methods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highest used study method is the documentary records. Most of the these use the study method using educational ideas and making a guidance plan. The least study scopes are history of the music education, philosophy of the music education, music aesthetics and evaluation of the music education. The least study method is history study. All in all, the research of the least study scopes should be progressed for the purpose of the development in the field of the elementary music. It is also essential to set the systematic classified criteria in order to understand the tendency of theses. It is, moreover, required that each university shows broad mind to allow researchers to access useful materials openly.

      • 토지이용을 고려한 전주시 열환경 조사

        김영진 전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23

        지구 온난화로 인해 지구의 온도는 지난 100년간 지속적으로 상승해왔다. 특히 도시지역은 교외지역보다 기온 상승의 폭이 더 크게 나타난다. 도시에서 발생되는 열로 인하여 도시의 기온은 주변지역에 비해 더 높아지는데, 이를 도시열섬현상이라고 한다. 이러한 도시의 열환경적인 문제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여러 지점에서 장기간에 걸쳐 기상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기온상승 추이를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전주시에서 열섬현상의 심화 및 완화에 영향을 줄 것으로 예상되는 장소를 선정하고, 선정된 지점에서 온ㆍ습도와 풍속을 측정하였다. 관측은 전형적인 하절기의 특징이 잘 나타나는 8월 정오에 이루어 졌으며, 실측자료와 토지이용을 중심으로 전주시의 온열현황을 분석하고 열환경지도를 제작하였다. 열환경지도의 제작을 위해서 첫째, 현재의 복잡한 토지이용 분포도를 상업지역, 주거지역, 녹지, 수변 등과 같이 서로 다른 열특성이 나타날 것으로 생각되는 유형을 기준으로 크게 구분하여 좀 더 간략하고 단순한 형태로 만들었다. 둘째, 유형별로 대표하는 지점을 선정하여 여름철 야외관측을 하였다. 셋째, 대표지점에서 측정한 온도를 동일한 부류(유형)에 속하는 지역에 적용하는 방식으로 온도분포도를 생성하였다. 마지막 단계로, 이와 같이 실측온도와 토지이용유형을 이용하여 제작 된 열지도를 인공위성 열화상과 비교해 봄으로써 측정 장소 및 데이터값의 적합성 여부를 검토하였다. 비교 결과, 온도 측정높이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위성영상과 거의 유사한 온도분포를 보였다. 이들 토지이용이 상이한 장소인 20개소의 데이터를 기존의 방법이 아닌 토지이용에 따른 온도분포의 대입을 통한 새로운 온도분포도를 제시하였다. 이 결과가 기존의 온도분포를 나타내는 방법에 비하여 훨씬 정확한 결과를 가져왔다고 판단된다. 이에 따라 각 도시의 기존의 실측에 따른 온도분포도를 작성함에 있어 상당한 변화가 필요함을 알게 되었다. “열(Heat Index)”은 지구 온난화 현상과 함께 가장 중요한 환경인자 가운데 하나이며, 도시기후를 이해하기 위한 척도이기도 하다. 본 연구에 수록된 전주시의 열환경 정보는 전주시의 고온화 요인(열섬인자)을 이해하고 향후 열섬저감을 위한 도시계획 및 녹지계획을 수립하는 데에 활용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average temperature on the surface of Earth has been steadily rising over the past 100 years due to global warming. Especially, temperature in urban areas increases much more than suburban areas and it is called urban heat island (UHI) phenomenon. In order to approach the thermal environmental issues of the city, it is basically necessary to collect the weather data from various points over a long period of time and analyze the rise in temperature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erefore, in this study, the locations which are expected to affect the deepening and mitigation of the heat island in Jeonju City were selected and the temperature, humidity and wind speed were measured at the selected points. The observations were made at noon in August when the characteristics of the typical summer season appeared well. Next, The analysis of the thermal present in Jeonju was done. It was based on the field measurement and land use data. Also, a thermal environment map was made. For this, first, a current complex land use map is made in a more compact and simpler form by dividing it largely according to a few of types such as commercial area, residential area and green area etc. Second, typical locations were selected for each type, and field observations were made in summer. Third, by applying the temperature measured at the representative point to the area belonging to the same class(type), a temperature distribution diagram was generated. Finally, It was examined that the suitability of measurement locations and data values by comparing the map made like this with a satellite thermal image.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t was almost similar to the land surface temperature distribution by satellite despite the difference in temperature measurement height. "Heat Index"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environmental factors along with global warming, and is also a measure for understanding urban climate. The thermal environment information of Jeonju city, which is included in this study, can be used to understand factors influencing urban higher temperature(or heat island factors) in Jeonju city. And It will also be possible to use it to establish urban planning and green space plan for reduction of heat island in the future.

      • 도시관광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관계지속의도 연구

        반영해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623

        세계화 시대에 접어들면서 도시는 마케팅의 대상이 되었으며 관광의 대상으로서 많은 사람들이 방문하는 관광목적지가 되었고 도시관광은 지역발전을 위한 전략적인 수단으로 인식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도시관광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 관계지속의도에 대한 영향관계를 밝힘으로써 요인간 영향관계에 대한 학술적인 시사점을 도출함은 물론 관광지로서 전주의 지속적인 성장을 위한 효율적이고 체계적인 개선안과 관광객 유치에 필요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 도출 등 실무적 시사점 제시에 본 연구의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하여 전라북도 전주시 관광지를 지역범위로 한정하였고 전주시 이외의 지역에 거주하며 전주시 관광지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전주한옥마을에서 실증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기간은 2019년 9월 1일부터 9월 31일까지 진행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연구자 본인과 사전에 교육된 조사원에게 조사 목적 및 방법을 설명듣고 설문지를 바탕으로 자기기입식 조사방법으로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총 300부를 배포하여 불성실한 답변 등 분석에 부적합한 40부를 제외한 260부를 유의표본으로 하여 조사 분석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통계적 처리는 데이터 코딩 작업을 거쳐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에 대한 분석방법은 통계패키지 SPSS-WIN 20.0을 이용한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요인분석, 회귀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구전 요인이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에 영향을 미치며, 브랜드 구별에는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광고, 홍보, 구전이 인지적 수준에서 전주시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호소되어 전주를 관광지로 인지하고 다른 지역 관광지와 구별할 수 있는 등 브랜드 인지도를 형성하는데 관계있는 것으로 풀이된다. 특히 구전 마케팅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브랜드 인지도로 이에 대한 적극적, 효율적 활용이 필요하다. 둘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전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브랜드 이미지를 호의적으로 형성하기 위해서는 광고, 홍보, 구전을 이용하여 커뮤니케이션에 자원투자와 메시지 형태를 전략적으로 고려해야 함을 시사해 준다. 셋째,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의 광고, 홍보, 구전의 3가지 요인 모두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인지도, 브랜드 이미지와 마찬가지로 관계지속의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구전활동에 중점을 둘 필요성이 있다. 넷째,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 브랜드 구별 2가지 요인 전부 브랜드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브랜드 인지도는 브랜드 이미지 형성에 영향을 주는 요인임을 감안할 때, 꾸준한 관광지에 대한 광고, 홍보, 구전 관리를 통해 관광지에 대한 인지도 향상 및 이를 통한 긍정적인 브랜드를 형성하기 위한 전략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브랜드 인지도의 브랜드 인지, 브랜드 구별 2가지 요인 모두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를 관광지로 인지하는 것은 관광을 위해 재방문하거나 자신의 경험이 긍정적 구전으로 이어지는 인과관계가 존재하기 때문에 인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인지도 속성들에 초점을 맞춘 마케팅 커뮤니케이션과 전주에 대한 효과적인 관광정보제공이 필요함을 의미한다. 여섯째, 브랜드 이미지가 관계지속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주의 아름다운 경관, 관광인프라, 친절성, 즐길거리, 매력성, 쾌적성, 편안함, 즐거움의 이미지 구축과 홍보를 통해 관광객이 전주를 재방문하고 긍정적 구전이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여러가지 시사점을 도출하여 제시하고 있으나 연구대상의 한계,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선별적 연구, 조사지역의 한정 등의 한계점을 지니고 있다. 향후 연구대상 및 조사지역의 확대,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요인의 다양화, 온라인 사용자를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구전 등에 대한 실증 연구를 통해 더욱 다양한 시사점을 도출할 필요성이 있다. With the emergence of the globalization era, cities have become the subjects of marketing and tourist destinations that many people are visiting, with urban tourism being recognized as a strategic means of local development and growth. Therefore, this study is aimed at presenting practical implications by not only deducing academic implications o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 factors including marketing communication, level of brand awareness, brand image and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of urban tourism by also deducing proposal for efficient and systematic improvements necessary for sustained growth of and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necessary for enticing tourists to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by disclosing the influential relationships among the aforementioned factors. For the accomplishment of the research goals of this study, the tourist destinations in Jeonju City, Jeollabuk-do were limited to the regional areas, and an empirical survey was conducted on the tourists residing outside Jeonju-si visiting the tourist destinations in Jeonju-si at the Jeonju Hanok(traditional Korea houses) Villag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31, 2019 in the format of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urvey on the basis of the instructive words indicated in the questionnaire after having provided explanations on the purpose and method of the survey by the researcher and pre-trained survey administrators.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60 copies with the exclusion of 40 copies inappropriate for analysis due to reasons such as insincere answers were used as purposive samples and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survey analysis. Empirical analysis was executed on the data collected after having undergone data coding work for the statistical processing of the said data. Statistical analysis methods applied for the data collected included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etc. by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SPSS-WIN 20.0.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rom the analysis. First, factors such as advertisement and word-of-mouth of marketing communication have effects on the brand recognition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while all 3 factors,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affect the brand distinction. This can be interpreted as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are associated with establishment of brand awareness by appealing the tourists to Jeonju-si to recognize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to distinguish it from other regional tourist destinations at cognitive level. In particular, it was found that marketing through word-of-mouth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thereby needing efficient and assertive utilization thereof. Second, all 3 factors of marketing communication,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were found to affect the brand image. This result imply that infusion of resources into and forms of message contents of communication utilizing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must be considered strategically in order to establish favorable brand images. Third, all three factors of marketing communication, namely,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s of mouth,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In particular, similar to the case of level of brand awareness and brand image, it is necessary to focus on the activities for word-of-mouth that impart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Fourth, two factors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namely, brand recognition and brand distinc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brand image. When considering the fact that level of brand awareness is a factor that affects establishment of brand image,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strategy for improvement of the level of awareness of the tourist destination through continuous management of advertisement, promotion and word-of-mouth for the tourist destination, and ensuing affirmative building up of brand. Firth, two factors of the level of brand awareness, namely, brand recognition and brand distinction, were found to affect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Since there is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gnition of Jeonju as a tourist destination and ensuing revisit for tourism or affirmative word-of-mouth on the visitor’s experience, it is necessary to execute marketing communication focused on the diversified attributes of the level of awareness to enhance it and to provide effective tourism information on Jeonju. Sixth, it was found that brand image affects the intention to sustain relationship. It appears that the establishment and promotion of the images of beautiful scenery, tourism infrastructure, kindness, things to enjoy, attractions, pleasantness, comfort and enjoyment of Jeonju will lead to revisiting of Jeonju and affirmative word-of-mouth by the tourists. Although this study deduced and presented diversified implications for the purpose of research, it has several limitations including the limitation in the study subjects, selective study of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and limitation of the survey area, etc.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duce more diversified implications through expansion of the research subjects and survey areas, diversification of marketing communication factors and empirical study on online word-of-mouth with online site users as the subjects, etc. in the future.

      •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지각된 가치, 만족도 연구 : 전주시를 중심으로

        오승옥 전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623

        스마트관광이란 다양한 관광활동에 ICT가 개입되고, ICT를 매개로 다양한 정보가 상호교환되는 사회문화 및 경제적 활동이며(Buhalis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관광객에게 앱과 플랫폼서비스를 통해 실시간, 맞춤형 정보를 스마트하게 경험하게 하는 새롭게 지능화한 관광을 의미한다. 세계 각국은 개별 관광객을 유치하기 위한 ICT와 관광을 융합한 새로운 스마트관광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총력을 기울이고 있고(김경태 2015) 경험이라는 요소가 강조가 되기 때문에 경험 또는 체험을 사고 파는 관광분야에서 중요한 패러다임으로 발전하고 있다(E. Sternberg 1997). 특히 관광산업은 코로나 19로 인한 펜데믹 상황에서 지금까지와는 다른 방향과 전략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고 코로나 19 이후 관광트렌드가 소규모 비대면 관광, 언택트(비대면) 중심의 관광소비가 예상되고 있다(연합뉴스 홍인철 2020.) 즉, 모바일과 ICT를 접목해 교통, 언어, 예약, 결재까지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스마트관광 인프라를 구축하는 등 새로운 전략을 통해 적극적인 관광객 유치 방안을 마련해야 하는 현실에 직면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스마트관광에 대한 관광객들의 인식이 높아가고 있는 시점에서 이에 대응해 효율적인 스마트관광 정보를 제공하는데 있어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의 어떠한 요인들이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지, 관광객의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지각된 가치와 만족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를 위해 2020년 9월 26일부터 10월 18일까지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으며 같은 기간 SNS를 활용하여 모바일 설문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조사 대상자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 또는 최근 1년 이내 전주지역 관광경험이 있는 사람 중 만 19세~65세까지 500명을 대상으로 관광정보 웹사이트 또는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해 관광정보를 검색했거나 공유 또는 관광상품을 결재하거나 예약하는 등 스마트관광을 경험했던 관광객을 모집단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상호작용을 제외한 개인화, 접근성, 정보성은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영향력의 크기는 개인화 > 접근성 > 정보성 > 상호작용 순이다. 이는 여행계획을 하는데 있어 관광객들은 관광관련 여행 관련 웹사이트, 소셜 미디어 및 스마트폰과 같은 스마트관광 기술의 사용이 널리 확산되고 있다는 이론을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따라서 스마트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맞춤형 상품개발과 정보제공, 관광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들을 제공해야 할 것이다. 또한 관광객이 여행계획을 세우고 의사결정을 하는데 있어 기쁘고 즐겁고, 재미있는 요소에 영향을 많이 받는다는 의미여서 애플리케이션과 웹사이트에 고객의 이런 감성적이고 정서적인 만족감을 줄 수 있는 내용들이 많이 들어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이 기능적 가치에 미치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는 전주시의 관광관련 애플리케이션인 한바탕전주와 트루전주가 있는데, 접근성은 좋지만 자동결제 시스템이나 교통정보, 다양한 관광지 안내 등 정보성과 댓글, 질의 응답, 이용후기 등 이용자들과의 상호작용에서 상대적으로 부족한 부분에서 기능적 가치에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향후 전주시에서는 이런 점을 보완해 스마트 정보기술 속성 요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고려한 컨텐츠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UI)를 개발한다면 고객이 품질과 가치를 지각하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스마트관광 정보기술속성 중 정보성, 개인화, 상호작용은 만족도에 유의한 영향을 나타내고 있는데, 이에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에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고 고객별 맞춤형 서비스 제공,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이 활발할수록 관광객의 만족도를 더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아직까지는 전주시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이 고객과의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기능이 부족에 이점을 보완해야 만족도를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넷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은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의 일부요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의 영향력은 현지환대경험 > 자기유익경험 > 우연한 경험 > 독특하고 이국적인 체험 > 현지문화 > 인프라시설 순이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 가운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 현지환대 경험이 정서적 가치에 영향을 주었고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은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기능적 가치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소는 독특하고 이국적 경험, 자기유익 경험, 현지 환대 경험이며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인프라시설은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따라서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 요소 가운데 전주시민들의 관광객에 대한 환대, 관광객이 느낄 수 있는 자기만족, 전주만이 가질 수 있는 특별한 경험과 이색적인 체험 등의 프로그램들을 더 많이 기획하고 개발해야 할 것이다. 다섯째,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기억에 남는 관광경험의 요인중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과 인프라 시설, 자기유익경험이 영향을 미쳤고 현지문화,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은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 같은 결과는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들은 다른 지역에서 느낄 수 없는 독특하고 이국적인 경험이나 자기유익경험, 인프라 시설에 만족을 느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현지문화와, 우연한 경험, 현지환대 경험에는 만족을 느끼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관광객들에게는 기억에 남는 경험이 중요한 의사결정요인이라고 할 수 있고, 관광객들에게 만족스러운 경험 제공은 관광기업의 존재이유이며 지속적인 성공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열쇠(박완규·김용범·최유진, 2017; Ooi 2005)라는 선행연구를 확인할 수 있는 결과이다. 여섯째, 관광객의 지각된 가치의 정서적 가치와 기능적 가치 모두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대부분의 연구와 일치한 결과로 전주시를 방문한 관광객이 적절한 가격과 가치있는 여행을 하고 여행을 통해 즐겁고 기쁘고 편히 쉴 수 있는 기능적·정서적 가치에 만족했을 경우 전주시의 스마트관광 만족도 역시 높았다는 결과로 분석된다. 마지막으로 스마트관광 정보기술 속성 요인의 특성을 반영하여 관광 웹사이트와 모바일 애플리케이션을 새롭게 보완·개편해 모바일 숙박 및 음식점의 예약 및 결제시스템이 더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도록 전자결제시스템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여기에 가상현실(VR), 무료와이파이, 개인 맞춤형 서비스와 프로그램 제공, 스마트 교통정보 시스템 확충 등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Smart tourism is a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ctivity in which ICT is involved in various tourism activities and various information is exchanged through ICT(Buhalis & Amaranggana 2013, 2015; Gretzel et al. 2015a, 2015b), and apps and platforms to tourists. It refers to a newly intelligent tourism that enables a smart experience of real-time and customized information through services. Countries around the world are making all-out efforts to provide new smart tourism services that combine ICT and tourism to attract individual tourists(Kim Kyung-tae 2015), and as the factor of experience is emphasized, it is developing into an important paradigm in the field of tourism that buys and sells experience or experiences(E. Sternberg 1997). In particular, the tourism industry cannot help but seek different directions and strategies in the context of the fendemics caused by COVID-19, and tourism consumption centered on small-scale non-face-to-face tourism after COVID-19. In other words, it is faced with a reality tha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ctive tourist attraction plans through new strategies such as building a mobile-oriented smart tourism platform. Therefore, at a time when tourists' awareness of smart tourism is increasing, what factors of smart tourism information technology properties affect in providing efficient smart tourism information, and what constituent factors remain in the memory of tourists. It is an element of tourism experience, and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it affects perceived value and satisfaction. For this study, the survey was conducted on tourists who visited Jeonju from September 26 to October 18, 2020, and mobile surveys were simultaneously conducted using SNS during the same period. The subjects of the survey are tourists who have visited Jeonju City, or 500 people aged 19 to 65 among those who have experienced tourism in Jeonju within the last year. Search and share tourist information using a tourist information website or smartphone application, or The study was conducted as a population of people who experienced smart tourism such as reservation and payment for tourism produc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personalization,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quality, excluding interaction among smart tourism technology attributes(STTA), have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the emotional value of perceived values. The magnitude of the influence is in the order of personalization > accessibility > information > interaction. This is a result that tourists can reconfirm the theory that the use of STTA such as tourism-related travel websites, social media, and smartphones is widespread in travel plann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related to tourism and development of customized products and information on smart applications and websites. It also means that tourists are greatly influenced by happy, enjoyable and fun factors in making travel plans and making decisions, so the application and website should contain a lot of content that can give customers this emotional and emotional satisfaction. Second, it was found that STTA properties did not have an effect on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is, there are Hanbatang Jeonju and True Jeonju, which are tourism-related applications in Jeonju. But the accessibility is good, but it is relatively in the interaction with users such as automatic payment system, transportation information, and various tourist information and comments, questions and answers, and reviews. It is analyzed that the functional value was not affected in the insufficient part. In the future, if Jeonju develops contents and user interfaces(UI) that take into account the relative influence of STTA by supplementing these point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stomers' perception of quality and value. Third, among the attributes of STTA, information, personalization, and interaction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atisfaction. Accordingly, the more information is provided to mobile applications, customized services are provided for each customer, and interactions with users become more active, the more tourists You will be able to increase your satisfaction. In addition, Jeonju's mobile application still lacks the ability to interact with customers, so it will be possible to increase satisfaction by supplementing this advantage. Fourth, the memorable tourism experience(MTE) was analyzed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emotional value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and some factors of the functional value. As a result of the analysis, the influence of the elements of the MTE is in the order of local hospitality > self-interest experience > serendipity experience > unique experience > local culture > infrastructure facilities. Specifically, it was analyzed that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infrastructure facilities, self-interest experience, and local hospitality influenced emotional values and that unique experiences did not affect them. The elements of the MTE that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functional value were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local hospitality experiences,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facilities have not effect. Therefore, among the most elements of the MTE, programs such as Jeonju citizens' hospitality to tourists, the self-satisfaction that tourists can feel, and the special experience and unique experience that only Jeonju can have should be planned and developed. Fifth,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MTE on satisfaction, unique experiences, infrastructures, and self-interest experiences among the factors of the MTE were affected, and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 and hospitality experiences were satisfied. Did not affect These results mean that tourists visiting Jeonju City are satisfied with unique experiences, self-interest experiences and infrastructure that cannot be felt in other regions, and that they are not satisfied with local culture, serendipity experience, hospitality experiences. For tourists, MTE is an important decision-making factor, and providing a satisfying experience for tourists is the reason for the existence of tourism companies and the result of confirming the leading research of the most effective key to continued success(Park Wan-kyu, Kim Yong-beom, Choi Yoo-jin, 2017; Ooi 2005). Sixth, it was analyzed that both the emotional and functional values of the perceived value of tourists had a positive effect on satisfaction. As a result of most studies, it is analyzed that Jeonju City's smart tourism satisfaction was also high if tourists who visited Jeonju City were satisfied with the appropriate price and functional and emotional values to enjoy, enjoy and relax through Jeonju travel. Lastly, it is necessary to expand the electronic payment system so that the reservation and payment system of mobile accommodation and restaurants can be used more efficiently by newly supplementing and reorganizing tourism websites and mobile applications by reflecting the characteristics of STTA. It is believed that virtual reality(VR), free WiFi, provision of customizing service and programs, and expansion of smart traffic information systems are expected.

      •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에 관한 연구 : 전주대학교를 중심으로

        이혜지 전주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Campus Life Adviser(CA) client have recognized and expericened the CA and to research what and how to improve in it.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s of CA client, used Focus Group Interview(FGI) method. 14 participants who have used the CA in Jeon-Ju Univ.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2 groups had seven participants. The result of study consists of 6 subjects - Recognition of CA client, Major function of CA which they feel, Motivation of its usage, Positive changes after using the rule, What to improve in the rule and Suggestions on how to invigorate it - including 22 categories 122 concepts. Through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the present study extracted from data based on view point of CA client. By looking through discussion for perception, functions, motivations, changes, problems, vitalization on CA, the experience on CA were summarized. The study has a meaning itself that it can provide basics on approaches to graduate map studies based on experiences of CA client ever. 본 연구의 목적은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이 학사지도(CA) 제도를 어떻게 인식하고 경험하였는지 탐색하고 그들이 인식하는 문제점과 개선 방안은 어떠한지 알아보는데 있다.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탐색하기 위하여 포커스 그룹 인터뷰(Focus Group Interview) 방법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전주대학교의 학사지도(CA) 제도를 이용하고 있는 14명의 이용자를 7명씩 2그룹으로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는 ‘학사지도(CA) 이용자들의 인식’, ‘이용자들이 느끼는 학사지도(CA)의 주된 기능’, ‘학사지도(CA) 이용계기’, ‘학사지도(CA) 이용 후 나타난 긍정적 변화’, ‘학사지도(CA)이용자들이 바라본 운영의 문제점’, ‘학사지도(CA) 활성화를 위한 학생들의 제언’으로 6개의 주제가 도출 되었으며 22개의 범주와 122개의 개념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포커스 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여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시각에 근거한 자료를 추출하였고, 학사지도 제도(CA)에 대한 인식, 기능, 이용계기, 이용 후 변화, 운영의 문제점, 활성화를 위한 제언을 살펴봄으로써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의 경험을 탐색해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학사지도(CA) 제도 이용자들의 경험을 연구하여 각 대학에서 실시하고 있는 학사지도를 연구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는 것에 그 의의가 있다.

      • 傳統飮食의 觀光商品化 方案에 관한 硏究 : 전주비빔밥을 中心으로

        유경민 全州大學校 國際經營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23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transportation which enables products of a region to spread nationwide. As a result of this and the influence of western food, Our traditional foods are disappearing. We in the Jeon-ju city must try to revive a flavor for traditional food and commercialize regional tourism product. Besides we have to develop the Jeon-ju Bibimbab, we also must Spotlight Native Local food meseums and exposition sites where foreigners experience traditional culture of the ,Jeon-ju. We car expect social and economic effect through commercialiging the Jeon-ju Bibimbab. Methods t o Commercialize Jeon-ju Bibimbab. · Improving and promoting the Jeon-ju Bibimbab. · Supporting and designating the Jeon-ju Bibimbab restaurant. · Developing tourism products connecting the Jeon-ju Bibimbab with sighteeing sites. · Franchising Jeon-.ju Bibimbab. · Publishing coupons of the Jeon-ju Bibimbab. In order to effectirely commercialize the Jeon-ju Bibimbab, we need to need t o make efforts to encourage coopetition between companies, universities and the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