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공면역체계 기반 DDoS 공격 탐지 및 대응에 관한 연구

        유경민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47

        DDoS(Distributed DoS) attack has emerged as one of the major threats to the Internet. A Denial of Service(DoS) attack can be characterized as an attack with the purpose of preventing legitimate users from using a specified network resource such as a website, web service, or computer system. DDoS attack is a coordinated attack on the availability of services of a given target system indirectly through many compromised attackers. Therefore, it provides a much larger and more disruptive attack and it is difficult to trace the original attacker. There exist two approaches in detecting network attacks: misuse detection and anomaly detection. Misuse detection examines network and system signatures for known misuses. For example, a misuse based detection mechanism might examine all the network packets known to cause a server to crash. However, misuse based systems generally have quite low false positive rates but are unable to identify novel attacks, leading to high false negative rates. On the other hand, anomaly detection mechanism decides a normal or anomaly based on normal network or system behaviour, which is constructed using statistical or machine learning. It is able to detect novel attacks but currently produce a large number of false positives. This means that current anomaly-based mechanisms are unable to cope adequately with the fact that anomaly profile of normal behaviour also needs to be dynamic. In order to cope with a network attacks adaptively, some intelligent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neural network, genetic algorithm and immune algorithm have been applied to anomaly detection. The immune system is one such system that has recently drawn significant attention, and as a result, the Artificial Immune System (AIS), has emerged. Among several immune principles, negative selection has been applied to anomaly detection the most frequently. It can recognize and clean antigens while comparing with self set. However, there may be some normal and abnormal behaviors are closely analogous; they can give the same symptoms. It causes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which are wrong detections. Therefore, additional method is needed, which can detect potential anomaly while identifying abnormal behavior from analogous symptoms. In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compensate those problem, we design an AIS-based attack detection and response schemes and evaluate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schemes. Firstly, we present an anomaly-based attack detection approach inspired by human immune system and define immune-inspired function modules. We generate detector set and design two function modules, detection module and response module, through adopting the interaction between dendritic cells and T-cells. With the sequence of buffer occupancy, we generate a set of detectors through negative selection, which is based on self/non-self discrimination. In detection module, the network anomaly is detected by a set of detectors, alarm signal is generated. But, since normal and abnormal behaviors may give the same symptoms in real networks, it causes false positive and false negative. In order to solve these problems, we utilize fuzzy number theory which can infer the degree of threat. The degree of threat is calculated by monitoring the number of alarm signals and the intensity of alarm occurrence time periodically.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our scheme outperforms negative selection based detection scheme in terms of the detection ratio and false negative. In response module, attack path is reconstructed in order to trace the attacker and then control signal is sent to traced attacker in order to limit an attack traffic. On the other hand, an attacker spoofs its source IP address to hide its own location, we suggest a dynamic probabilistic packet marking (DPPM) scheme in order to trace the attacker. In DPPM scheme, whenever packet arrives at router, the marking probability is dynamically computed depending on the number of traversed hops. As a result of numerical analysis, since marked packets by each router arrive at the victim router fairly, attacker can be traced even though it collects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marked packets. Also, we confirm that the proposed DPPM scheme outperforms the existing PPM, in terms of the marking fairness, the number of overwriting and packets required for attack path reconstruction. And simulation results show that IP address of attacker could be reconstructed and marking fairness of each node along the path is supported.

      •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보건ㆍ복지서비스 연계에 관한 연구

        유경민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strategies to improve interdisciplinary linkage based on the factors affecting cooperation and attempted to promote understanding between social workers of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and medical care personnel in Korea. 200 employees who work at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were investigated and 175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in this study. This study focuses on the working relationship between professional in the field of health and social welfare. Based on, this study proposes a conceptual framework for linkage between medical care personnel and social workers in community rehabilitation center. This study answer major research hypothesis: relationship between cooperation and individual variable, organizational variable. The independent variables are categorized in: the individual variable(interdependence and recognition of medical care personnel); the organizational variable(approach and on-the-job training). The dependent variable in this study is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linkage.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mportant variables are interdependence, recognition of medical care personnel and on-the-job training. These influence both experience and effectiveness of linkage. Recognition of medical care personnel has two subordinate positions which are the side of capability and relationship. The side of realationship is more important than capability. Second, the factors that appear to have the strongest impact on on-the-job training; the perception of interdependence; the perception of other professionals. Third, the factors that found to have the most significant effect on level of cooperation are: the perception of the other professionals; the perception of interdependence; on-the-job training. Based on some of the findings reported, the following 'strategies' to improve cooperation between rehabilitation center social workers and medical care personnel are proposed. First,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other professionals. Seco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inter-function of environment one agency or one department. Third, it had Civil and the community network which provide the type of ordered for needs of the disable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professional case management system in community. Forth, it is requisite to provide effective professional teamwork training program for social workers and medical care personnel. 본 연구는 지역사회의 장애인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종사자와 보건의료전문직 협력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궁극적으로 이들 간의 연계 증진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조사연구는 서울시 소재 16개 장애인종합복지관에서 근무하는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기간은 2006년 9월 25일부터 10월 25일까지 실시하였다. 200부의 설문지 중 총 175(87.5%)부를 통계처리 하였다. 보건·복지 협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들을 크게 개인적 변수와 업무환경적 변수로 범주화하였다. 개인적 변수는 다시 상호의존성,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으로, 업무환경적 변수는 상호근접성과 직무교육으로 나누었다. 각 요인별 구체적 변수들은 사회복지학에서 이루어진 보건·복지 협력과 관련된 기존의 연구들을 토대 및 참조하여 선정하였다. 분석결과, 지난 1년간 장애인 대상자와 관련하여 보건서비스와의 연계경험 여부는 175명 중 총 82명으로 약 47%정도를 차지하였다. 보건·복지서비스 연계효과성에 있어서는 5점 척도결과, 평균 3.57로 보통 정도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건·복지서비스 연계효과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겠다. 보건·복지 협력의 영향요인을 규명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서비스와 보건의료서비스와의 연계 및 협력 여부를 결정하는 주요변수는 상호의존성,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 직무교육으로 3가지 변수였다. 상호의존성 인식은 연계여부를 결정하는 데에 있어서 중요한 변수였으며, 연계효과성에서 역시 중요한 변수이다.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은 능력적 측면과 관계적 측면으로 2가지 하위집단으로 나누어 측정한 결과 협력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은 관계적 측면으로 능력적 측면은 이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외 일반사항으로 공급자의 전문성(자격증 소지여부)과 상대전문직간의 상호근접성은 연계여부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장애인종합복지관 사회복지사가 대상자의 문제로 협력을 했을 때, 연계효과성에 영향을 미치는 중요변수는 상호의존성,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 직무교육으로 협력여부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와 같았다. 직무교육과 같은 경우는 많이 할수록 연계여부 뿐 아니라 연계효과성까지 높아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교육을 실시할수록 보건·복지 협력이 더 잘 되는 것이다. 이들 중요변수들을 중심으로 장애인복지 증진을 위한 보건·복지 협력증진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협력증진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대전문직에 대한 인식을 긍정적으로 바꾸는 것이 중요한데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전문직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대학 사회복지교육과정에서 보건과 관련된 교육을 통해 상호이해를 촉진할 수 있다. 둘째, 지역사회 서비스 제공자간의 상시적인 협력관계 구축을 전제로 개별 조직 내부의 업무 수행환경의 조성이 필요하다. 또한, 장애인복지 분야에 대한 창구역할을 해줄 수 있는 보건복지연계센터나 지역내 사례관리팀 구성 등과 같은 단일화된 전달체계가 필요하다. 셋째, 통합적인 서비스 전달체계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지역사회 내에 민·관 서비스 네트워크가 존재하여야 하고 장애인 당사자의 복지욕구를 연결시켜 맞춤형 서비스의 제공을 담당할 전문 사례관리 체계가 필요하다. 넷째, 기관에서 제공하는 직무교육은 사회복지 종사자 개인별 직무에 대한 교육 뿐 아니라 상호이해를 위한 교육내용을 강화하여야 할 것이다.

      • 오매광주 일본어 홈페이지 오류사례연구 : 일본어 페이지 구성과 번역문제를 중심으로

        유경민 조선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광주광역시 문화관광 포털 홈페이지인 [오매광주]의 일본어 홈페이지에서 나타난 오류를 다루는 논문이다. 본고에서는 오매광주 일본어 홈페이지의 오류를 1. 구성의 오류, 2. 언어적 오류로 분류하고, 분석된 오류를 기계번역과의 비교를 통해 인간에 의한 오류(Human Error)와 기계에 의한 오류(Machine Error)으로 구분하였다. 구성의 오류에서는 홈페이지 구성 자체의 문제와, 잘못된 번역어의 사용, 본문페이지 구성의 문제, 제목과 다른 내용이 삽입된 문제가 나타났다. 홈페이지 구성의 문제는 이러한 문제점을 서울특별시, 일본 도쿄도 관광홈페이지와 비교하고, 각각 홈페이지의 장단점에 비추러 수정제안을 하였다. 잘못된 언어사례에서는 일본어 홈페이지에서 일문으로 작성되지 않은 레이아웃과 페이지들을 소개하고, 번역문을 병기하였다. 본문 페이지의 구성에서는 본문의 디자인적인 문제를 보고, 개선사항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제목과 다른 내용과 본문의 내용이 누락된 페이지를 소개하였다. 번역사례에서는 오매광주 일본어 홈페이지에서 사례들을 선별하여 분석, 오류 유형에 따라 분류하고, 수정문을 제시하였다. 국문의 분석기준은 『표준국어대사전』, 『고려대한국어사전』, 『민족문화대백과』, 『2012 외국어 관광안내표기 용례집』을 참조하였고, 일문의 분석기준은 일본 아사히신문에서 제공하는 일본어 사전 서비스인 코토방크[コトバンク]에 기초하였다. 기계번역과의 비교는 한국에서 서비스중인 번역 사이트 「구글 번역」,「파파고」,「카카오 번역」을 이용하였고, 기계번역시 나타나는 오류와 비교하여, 본문의 오류가 인간에 의한 오류인지, 기계번역에 따른 오류인지 판별하였다. 기계번역과의 비교를 통해 오매광주 홈페이지의 번역오류문제는 기계번역의 오류(Machine Error)보다는 인간에 의한 휴먼에러(Human Error)의 비중이 높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문화재와 관광지의 번역은 기계적·사무적인 접근이 아닌, 영어, 일본어, 중국어와 같은 외국어 전공자와 국문학자, 역사학자, 5.18 학자와 같은 여러 전문가들의 체계적인 협업이 동반되어야 한다는 점을 주장하였다. 본 연구 분석 자료와 결과를 바탕으로 광주광역시를 포함한 국내 문화관광 홈페이지의 번역품질에 대한 관심이 증대하고, 불완전한 번역문에 대한 오류를 수집, 분석하여 보다 충실한 번역작업이 이루어지길 바란다. This study is a thesis of errors in the Japanese homepage of Omae Gwangju, the homepage of Gwangju's cultural tourism portal. In this thetis, errors in the Japanese homepage of Omae Gwangju are classified as 1. errors in composition and 2. Japanese translation errors, and the analyzed errors are compared with machine translation to determine human errors and machine errors. In the composition error, there were problems with the composition of the homepage itself, the use of incorrect translated words, the composition of the pages, and the problem mismatch between the title and contents. The problem of homepage composition was compared with tourism websites of Seoul and Tokyo and revised proposals were made in light of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website. In the case of the wrong language, layouts and pages that were not written in Japanese were introduced on the Japanese homepage, and translated texts were also included. In the composition of the main page, the design problem of the main body was reported and improvement items were suggested. Introduced the page where the title and other content and the content of the body were missing. In the case of translation, cases were selected on the Omae Gwangju Japanese homepage, analyzed, classified according to error type, and revised text was presented. For the analysis criteria in Korean, refer to 『Standard Korean Dictionary』, 『Korea University Korean Dictionary』, 『Encyclopedia of National Culture』, 『2012 Foreign Language Tour Guide Marking Use Case』. It was based on the in kotobank [コトバンク]. For comparison with machine translation, we used the translation sites “Google Translate”, “Papago”, and “Kakao Translation”, which are being serviced in Korea. It was determined whether it was an error due to translation. Through comparison with machine translation, it was found that the translation error problem of Omae Gwangju's homepage is more of human error caused by human than machine error. He argued that the translation of cultural properties and tourist destinations should not be a mechanical or clerical approach, but should be accompanied by systematic collaboration of foreign language majors such as English, Japanese, and Chinese, as well as various experts such as Korean literature scholars, historians, and 5.18 scholars. Based on the analysis data and results of this study, I hope that interest in the quality of translation of domestic cultural tourism homepages including Gwangju Metropolitan City will increase, and more faithful translation work will be accomplished by collecting and analyzing errors in incomplete translations.

      •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환경요인이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결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2012~2016년 행정안전부 주관 평가 지방공기업을 중심으로

        유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제도는 공정성과 형평성의 측면에서 기관의 순수한 경영개선노력보다는 기관 외적인 요인에 의해 점수가 결정된다는 회의적인 시각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오고 있다. 실제로 2017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결과를 살펴보면,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점수가 소속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력과 전반적으로 비례하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기업을 설립하는 과정에서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에 따라 출자 수준이 달라지고, 지방자치단체가 지방공기업에 대한 광범위한 재무적 통제 및 재정적 지원을 행사할 수 있는 권한을 보유하고 있기 때문에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점수가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여건에 따라 차이가 발생하고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수준이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결과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적 환경요인이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점수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하여 2012년부터 2016년까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여 경영평가를 실시한 전국 16개 광역자치단체와 96개 기초자치단체 산하 지방공기업 156개를 대상으로 일원 개체 확률효과모형(one-way random effect model)을 활용한 패널분석을 실시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변수는 1인당 지방세, 재정자립도, 부채비율로 구성하였고 기관규모, 기관유형, 기관 설립연도, 자치단체 수준을 통제변수로 포함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부채비율은 산하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결과에 1%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음(-)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자립도는 산하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결과에 10%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1인당 지방세는 산하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결과에 10% 유의수준에서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통해 관할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변수가 산하 지방공기업의 경영평가점수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환경적 요인임을 부분적으로 입증하였다. 지방자치단체의 재정변수 중 부채비율, 재정자립도와 달리 1인당 지방세가 유의미하지 않게 나타난 점은 자치단체의 소득수준보다는 산하 지방공기업에 대한 실질적인 재정적 지원으로 연결될 수 있는 관할 자치단체의 재정건전성과 여유재원이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현재 경영평가지표의 산식과 평가등급 부여 과정에서는 자치단체의 재정요인이라는 환경적 특성을 고려하고 있지 않으므로 이에 해당 기관이 소속된 자치단체의 부채비율과 재정자립도를 반영할 필요가 있다. 현행 경영평가지표에서는 평가지표에 기관의 부채비율을 포함하고 있는데 해당 지표를 자치단체의 부채비율 대비 기관의 부채비율로 수정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체 평가대상기관의 평균 재정자립도를 기준으로 평가대상기관을 하위 평가군으로 분류하여 하위 평가군 내에서 평가등급 및 순위를 부여할 필요가 있다. 넷째, 통제변수들 중에서는 총자산은 5% 유의수준에서, 설립연도는 1% 유의수준에서, 유형2는 1% 유의수준에서, 자치단체 수준은 5% 유의수준에서 경영평가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유형1 변수는 10% 유의수준에서도 경영평가결과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총자산 대비 영업수익과 총자산 대비 사업수입 지표 등의 기관의 총자산 수준을 반영한 평가지표를 신설하고 전체 지방공기업을 대상으로 워크샵을 정기적으로 개최하여 역사가 오래된 기관들의 경영평가노하우를 공유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또한 현재 광역 단위 평가군에 포함되어 있는 기초지방공기업을 기초 단위 평가군으로 옮기도록 해야 한다. 지방직영기업에 비해 지방공단의 경영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난 점은 지방공단의 평가지표가 지방직영기업에 비해 수익성 및 생산성 등을 측정하는 재무관리 및 경영효율성과 점수의 비중이 낮고 지표 구성에 있어서도 재무비율보다는 공공성을 반영한 지표들로 구성되어 있어 상대적으로 계량지표 점수에서 더 유리했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통해 도출한 정책적 시사점을 바탕으로 기관의 노력을 통해 개선되지 않는 외부 요인을 파악하여 이를 통제함으로써 경영평가제도가 기관의 순수한 경영개선노력 및 경영성과를 측정하여 이에 대한 보상 및 처벌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평가의 전반을 꾸준히 개선시켜 나가야 할 것이다. 한편, 본 연구에서는 분석기간의 시계열이 다소 짧고 자료 수집의 한계로 인해 시‧도 주관 평가 지방공기업은 분석대상에 포함시키지 못하였으며 누락변수 편의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 또 다른 재정변수가 존재할 수 있다는 한계가 있으므로 향후 이를 보완하여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 of financial factors on the resul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performance evaluation. An issue of fairness and equity of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of local public enterprises remains problematic as it is not clear whether the performance evaluation score is determined by external factors rather than organizations’ efforts to improve performance. In 2017,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were generally proportional to the financial capacity of local governments where local public enterprises were located. Also,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local public enterprises, local governments finance local public enterprises with a different amount of funds in accordance with their financial capacity. According to the Local Public Enterprises Act, local governments have a wide range of authority to control and support local public enterprises financially. In this context, it is plausible that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are greatly affected by the financial status of local governments where local public enterprises are located. This study thus aims to carry out empirical analysis to test whether the financial status of local governments affects the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Using panel data covering 156 local public enterprises that are subject to 16 regional local governments and 96 basic local governments evaluated by the Ministry of Public Administration and Security from 2012 to 2016, the relationship between financial factors and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will be examined. For methodology, the panel regression analysis using one-way random effect model is employed. Financial factors consist of local tax per capita,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debt ratio of local governments. Control variables include organization sizes, types of an organization, a year when th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and the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ebt ratio has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Second, fiscal self-reliance ratio has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Third, local tax per capita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These results partially prove that financial factors of local governments work as environmental factors that affect performance evaluation scores of local public enterprises. However, the results show that local tax per capita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reas fiscal self-reliance ratio and debt ratio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nd this suggests that fiscal sustainability and discretionary spending which can be connected to financial support play more crucial role in receiving higher scores in performance evaluation than income level of local governments. As financial factors are not considered in the current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hus factors such as debt ratio and fiscal self-reliance ratio need to be considered in the performance indicators and rating grades process. For instance, the current performance indicator which only measures debt ratio of the organization could be replaced with the ratio of debt ratio of the organization to that of the local government. In addition, this study highlights an importance of grading groups within the sub-groups after classifying evaluated organizations into sub-groups according to the average fiscal self-reliance ratio. Fourth, as regards with control variables, total assets, an year when the organization was established, type2, and the level of the local government have a significantly positive effect 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However, type1 has no significant effect on performance evaluation results. The results indicate that it is necessary to reflect the level of total assets of organizations on performance indicators such as the ratio of operating revenue to total assets and business revenue to total assets. Also, it is highly suggested that workshops for all local public enterprises be held regularly to share some knowledge and strategies of organizations which have long history. In addition, classifying local public enterprises subject to basic local governments into the same group with those subject to regional local governments should be avoided, meaning that they have to be moved in the separate group. The results that local government agencies receive higher scores than local government-managed enterprises are related to the fact that the percentage of performance indicators measuring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of local government agencies are lower than that of local government-managed enterprises and performance indicators of local government agencies mainly consist of indicators measuring publicness rather than profitability and productivity. Based on policy implications regarding research findings, we can identify and control the external environmental factors which cannot be improved by organizations’ efforts. It is also crucial to improv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continuously to mak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which can better measure management improvement efforts and business performance accurately. This will enable performance evaluation system to give local public enterprises appropriate rewards or penalties based on these results. Despite these findings, the study still has some limitations including short time series, excluding local public enterprises evaluated by metropolitan cities and provinces, and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f other financial factors which can cause omitted variable bias. Further studies that mitigate these issues should be followed in the future.

      • 전직지원프로그램을 통한 중장년층 재취업 활성화 방안

        유경민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 기업 경영에 가장 중요한 요소는 인적자원이라고 할 수 있다. 기업 인적자원 운영 측면에서 볼 때 최근의 동향은 경쟁력의 원천이 되는 핵심인재의 확보 문제와 함께 경영전략상 불가피 고용조정을 실시할 경우 그 부작용을 최소화 할 수 있는 방안이 인사조직 부서의 주요 이슈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2020년 5월 1일부터는 「고용상 연령차별금지 및 고령자 고용촉진에 관한 법률」에 의거하여 1,000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퇴직 예정근로자에게 재취업지원서비스를 의무적으로 제공해야 함에 따라 대기업을 중심으로 퇴직자에 대한 전직지원서비스는 보다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전직지원프로그램의 제도적 지원방안을 통해 고용위기에 처한 중장년층에게 노동시장 진입을 촉진할 수 있는 재취업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연리문기법을 활용한 차도구 연구 : 색채치료의 가능성을 중심으로

        유경민 경기대학교 미술ㆍ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연리문 기법을 활용한 차도구 개발을 목적으로 한다. 현대인의 바쁜 삶속에서 우리는 차를 마시는 행위를 통하여 삶의 만족감을 높이고, 삶의 여유를 찾을 수 있다. 이러한 차를 마시는 행위에 있어 중요하게 사용되는 다구 제작을 통하여, 기능적인 만족감뿐만 아니라 본질적인 삶의 행복감을 느낄 수 있도록 심미적이고 정서적인 요소까지 포함하는 다구를 제작하고자 하였다. 특히 다구를 제작함에 있어, 색채를 통한 내적 치료의 가능성 및 ‘전통의 현대화’를 추구할 수 있는 기법으로 연리문을 활용하였다. 연리문은 800년간 단절돼왔던 우리나라 전통기법이다. 최근 들어 신진· 중견 작가들에 의해 연리문의 새로운 시도가 이뤄지고 있지만 아직은 소수에 불과하다. 특히 차도구 영역에서는 연리문 기법을 이용한 작품은 더더욱 찾아보기 힘들다. 연리문은 서로 다른 색소지를 결합하는 형태로 제작과정이 매우 까다롭지만, 색이 섞이는 과정을 통하여 다양한 현대적 감각을 표출 시킬 수 있다. 특히 결과물에서 색이 가진 특징과 개성을 잘 표현해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색감을 통하여 심미적 만족감뿐만 아니라 정서적 안정 등과 같은 효과들을 도출해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제작된 다구들은 색소지 배합과 배열을 활용한 연리문 기법을 통해, 전통기법만을 사용하던 우리나라의 차도구 제작의 한계를 벗어나 전통과 현대적 기법을 접목했다. 이와 더불어 다색을 하나의 톤으로 묶음으로써 다구를 통한 심미적 아름다움에 색채의 치유 가능성까지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tea kits by making use of Yeonllimum. Modern people who are busy all the time are able to lead a more satisfactory and leisurely life when they take time to have tea. A tea kit is important for them to enjoy having tea, and it's meant in this study to produce functional, aesthetic and even emotionally appealing tea kits to bring more substantial life satisfaction as well as functional satisfaction to users. Specifically, Yeonllimun was utilized in this study, which is a technique that makes it possible to seek after "the modernization of tradition" as well as inner healing through colors. Yeonllimum is one of Korean traditional techniques that hasn't been in use for eight hundred years. In recent years, both novice and experienced artists make new attempts using this technique, but they are just a few in number. Furthermore, there are few works of tea kit to which this technique is applied. This is to mix clay of different colors, and producing a work using it is a quite complicated task, but a wide variety of modern sense can be created by combining different colors. In particular, the unique characteristics and individuality of various colors can be played up well, and it's possible to produce diverse effects such as aesthetic satisfaction or emotional stability owing to the various feelings of different colors. Existing tea kits have been produced just in a traditional way. In this study, tradition was combined with the modern technique that featured the diverse arrangements of colored clay. Different colors were grouped into a single tone in order to stress the aesthetic beauty of the tea kits that were developed in this study, and the tea kits are even expected to facilitate the healing of users by taking advantage of the possible healing effects of various colors.

      • 헌법상 균등(均等) 개념에 대한 연구 : 조소앙의 삼균주의와 관련하여

        유경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우리 헌법은 ‘균등’(均等)이라는 단어를 모두 네 차례 사용하고 있다. 우선 헌법 전문은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영역에 있어서 각인의 기회를 균등히 하고, …안으로는 국민생활의 균등한 향상을 기하고…”라고 하여 균등을 거듭 강조한다. 헌법은 “모든 국민은 능력에 따라 균등하게 교육을 받을 권리를 가진다.”고 하여 교육에 있어서의 균등을 명시하고 있고(제31조 제1항), “선거운동은 각급 선거관리위원회의 관리 하에 법률이 정하는 범위 안에서 하되, 균등한 기회가 보장되어야 한다.”고 하여 선거에 있어서의 균등 역시 강조하고 있다(제116조 제1항). 또한 경제의 장에서는 비록 균등이라는 용어를 사용하지는 않았지만 ‘균형’이라는 단어를 무려 다섯 차례나 사용하면서 경제 주체 간의 균형 및 지역 간의 균형 있는 발전과 국토의 균형 있는 개발‧이용을 거듭 강조하고 있다(제119조 제2항, 제120조 제2항, 제122조, 제123조 제2항 및 제4항). 현행헌법 전문에 명시된 핵심 가치이자 교육과 선거 조항 그리고 경제의 장에서 다시 강조되고 있는 균등 개념은 조소앙의 삼균주의에서 그 연원을 찾을 수 있다. 삼균주의가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지도이념으로 채택되었고 제헌헌법에 상당 부분 반영되어 현행헌법까지 ‘균등’이라는 문언이 이어지고 있는 점을 생각하면, 균등의 의미에 대한 정치철학, 법철학, 헌법사상적 접근이 미약했던 것은 놀라운 일이다. 이 논문은 아직까지 본격적으로 탐구되거나 적극적으로 해석된 바 없는 균등 개념을 발견하고 그 쓰임새를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조소앙이 삼균주의를 형성하고 정립하였던 일제강점기는 일본제국주의 침탈로 국권을 잃고, 국민들이 정치적 유린과 경제적 수탈 및 교육적 탄압을 당했던 시기였다. 당시 독립운동가들은 한편으로는 일본으로부터 국권을 회복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봉건주의적 관습을 혁파해야 하는 두 가지 시대적 과제를 앞에 두고 있었다. 조소앙은 이러한 시대적 과제를 개인‧민족‧국가의 세 가지 층위 및 정치‧경제‧교육의 세 가지 영역에서 발생하는 차별의 문제로 인식함으로써 독립운동과 건국의 이념을 차별의 언어, 평등의 언어로 재구성하였다. 제2장에서는 조소앙이 삼균주의를 형성‧정립한 과정을 추적하고 대한민국 건국강령 및 제헌헌법에 반영된 삼균주의의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헌법상 ‘균등’ 개념이 출현하게 된 역사적 과정을 확인한다. 그러나 삼균주의는 해방 이후 역사적 격랑 속에서 남북 어느 곳에서도 지도이념으로 구현되지는 못하였다. 비록 현행 헌법 곳곳에 남아있는 ‘균등’이라는 용어를 통해 그 흔적을 찾을 수 있지만, 이것이 원래 조소앙이 삼균주의를 통해 구현하고자 했던 실질적인 의미를 온전히 담지한 채 유지되어 왔다고 보기는 어렵다. 제3장에서는 삼균주의의 구조와 내용을 바탕으로 균등 개념에 대한 통일적 해석을 시도해보고, 조소앙이 특히 강조하였던 교육 균등에 관해서 살펴봄으로써 균등 개념이 어떻게 이해될 수 있는지 검토한다. 또한 삼균주의 균등 개념이 현시대 평등의 시대정신이라고 할 수 있는 인정적 평등과 실질적 평등의 요구를 상당 부분 담아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균등의 역사적 의미를 오늘날 되살릴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한다. 이는 원래의 의미를 잃어버린 채 현행헌법에 화석처럼 굳어져 남아있는 ‘균등’이라는 문언에 온기를 불어넣어 되살리는 작업을 하기 위한 출발점이기도 하다. 마지막으로 현행헌법을 해석함에 있어 균등 개념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시사점을 탐구해본다. 평등을 향한 열망은 가장 불평등한 시대에 가장 강해지고, 정의에 대한 요구는 가장 부정의한 시대에 가장 크게 분출된다. 조소앙이 일생을 보낸 일제강점기는 개인과 민족, 국가의 모든 차원에서, 그리고 정치와 경제, 교육의 모든 영역에서 차별받고 예속되어 자유롭게 삶을 꾸려나갈 수 없는 불행한 시기였다. 그러한 부정의의 시대에 분출했던 자유와 평등에 대한 열망이 삼균주의라는 체계적인 이론을 만들어냈던 것처럼, 세계사적으로 유례없는 불평등의 시대를 맞이한 오늘날 헌법상 균등 개념의 재발견이 시의적절한 접근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Korean Constitution uses the word “equalization” four times in all. First of all, the preamble of the Constitution reiterate the emphasis on equalization by “…Equalize the opportunities of every person in all fields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and …Inside, we are trying to equalize improvement of our lives.” The Constitution states that “all citizens shall have the right to be educated equally corresponding to their abilities” (Article 31(1)), and that “Election campaigns shall be conducted under the management of the election commissions at each level within the limit set by Act. But equalized opportunity shall be guaranteed” (Article 116(1)). In addition, the economic chapter uses the word “balance” five times, although it does not use the term “equalize,” emphasizing balanced development among economic players and balanced development and use of the land (Article 119(2), 120(2), 123(4)). The Concept of equalization that is a core value specified in the preamble of the current Constitution, and re-emphasized in education, election provisions and economic chapters, can be found in Cho So-Ang's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It is surprising that the study of political philosophy, legal philosophy, and constitutional thought about the meaning of equalization were meager considering that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was adopted as the dominant ideology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of Korea, and much of it was reflected in the first constitution, leading to the phrase “equalization” to the current constitution. This paper aims to discover the concept of equalization that have not yet been explored in earnest or actively interpreted and seek its use. Japanese colonial era, where Cho So-Ang formed and established the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is the era that we lost national sovereignty due to Japanese imperialist’s invasion, and the people were subjected to political abuses, economic exploitation, and educational oppression. At that time, independence activists faced two contemporary tasks: restoring national sovereignty from Japan on the one hand and revolutionizing feudalistic customs on the other. Cho So-Ang re-established the ideology of independence movement and foundation a country as a language of discrimination and equality by recognizing these issues as a matter of discrimination in three areas: political, economic, education and three layers: individual, ethnic, national. Chapter 2 identifies the historical process in which the concept of “equalization” emerged under the Constitution by tracking the process of forming and establishing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by Cho So-Ang and examining the contents of the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reflected in the “Principles and Plans for National Reconstruction”(1941) and Korean constitution(1948). However,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was not implemented as a dominant ideology anywhere in the North and South amid the historical turmoil after liberation. Although the term “equalization” can be found throughout the current constitution, it is hard to say that it has been maintained fully with the practical meaning that Cho So-Ang originally intended to realize through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Chapter 3 examines how the concept of equalization can be understood by attempting a unified interpretation of equalization concepts based on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and looking over the educational equalization that Cho So-ang particularly emphasized. It also explores ways to revive the historical meaning of equalization by confirming that the concept of equalization in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can capture much of the demands of recognition equality and substantive equality, which can be called the spirit of the times. This is also the starting point for the work to revive the phrase “equalization” that has been solidified like fossils in the current constitution, which has lost its original meaning. Finally, It explore the implications of interpreting the current constitution through the concept of equalization. The desire for equality becomes strongest in the most unequal ages, and the demand for justice erupts most in the most unjust ages. Japanese colonial era, where Cho So-Ang spent his life, was an unfortunate time of discrimination and subjugation in all dimensions of individual, ethnic, national, and political, economic, and education. Just as the desire for freedom and equality that erupted in such an age of negativity has created a systematic theory of Three Equalization Principle, I hope that rediscovery the concept of equalization in constitution can be taken as a timely approach today, which is the era of unprecedented inequality throughout world history.

      • 단계적 어휘지도가 초등 고학년의 독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

        유경민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의 목적은 어휘지도가 학생들의 독해 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알아보는 데 있다. 인지심리학은 독서에서 학생들의 배경지식이 중요함을 밝혀냈다. 어휘지도는 배경지식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는 방법이라 여겨졌다. 독서 전 어휘지도를 통해 학생들의 독해 능력을 향상시키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을 기반으로 편찬된 5, 6학년 교과서의 어휘지도 방법을 분석하여 어휘의 개념을 사전적 의미에서만 국한하지 않고 확장된 어휘의 개념을 알고 직접 활용해 볼 수 있는 단계적 어휘지도를 적용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단계적 어휘지도가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집단별로(연구집단, 비교집단), 성별로(남, 여), 학년별로(5학년, 6학년), 수준별로(상, 중, 하) 독해 능력에 미치는 효과에 차이가 있는가? 둘째, 단계적 어휘지도가 초등 고학년 학생들의 독해 능력에 미치는 영향에서 집단별 상호작용 효과가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본 연구에 필요한 교육용 어휘로 무엇을 선정할 것인지, 어휘지도의 방법은 무엇이 있는지, 독해 능력을 진단할 수 있는 평가도구는 무엇인지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연구 방법으로서 선정한 어휘를 바탕으로 4차시의 어휘지도를 실시하여 독해 능력 평가를 실시하였다. Ⅳ장에서는 연구 결과로서 어휘지도가 독해 능력에 어떤 변화를 주었는지 검사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실험연구 방법을 적용하였다. 연구 문제를 검증하기 위해서 광주광역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5학년 4개 학급, 6학년 5개 학급 중 각 2개 학급 168명을 대상으로 연구집단과 비교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집단의 배치는 학급별로 무선 배치하였다. 단계적 어휘지도는 4차시로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단계적 어휘지도가 초등학생 고학년의 독해 능력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다. 연구집단은 비교집단에 비해 유의도 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독해력의 향상이 있었다. 성별 분석에서는 5학년 여학생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독해력 향상이 있었고, 6학년 여학생의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평균 점수에서 높은 향상을 보였다. 학년별 분석에서는 유의도 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향상이 있었다. 수준별 분석에서는 상‧하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얻지 못했지만, 중 수준의 학생들에게는 유의도 0.05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는 독해력의 향상이 있었다. 둘째, 단계적 어휘지도는 집단과 성 변인에서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집단과 성별 변인에 따라 분석했을 때, 남학생보다는 여학생의 독해력이 의미 있게 향상되었다. 집단과 학년, 집단과 학습 수준 변인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호작용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본 연구에서 살펴본 단계적 어휘지도 활동은 전반적으로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독서 능력을 향상시켰으며, 특히 중 수준 학생들과 여학생에게 효과가 있었다. 본 연구가 3주 4회로 적용된 단기 프로그램이었다는 점을 고려할 때, 이러한 독해력 상승이 학습자의 학습된 능력으로 정착되었는지는 확인하지 못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향후 지연 검사를 포함하는 연구 설계를 통해 추가적 검증이 필요하다. 주요어 : 어휘, 독해 능력, 초등 고학년, 독서, 국어과, 단계적 어휘지도, 독서 능력 진단 평가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