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김은지의 내적풍경 이야기

        김은지 부산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63

        Memory in my youth makes me paint friendly nature(hill, sky, mountain, ocean, river and field) on canvas. I prefer naturally and soft abstract to artificial sight. I love calm and ease place. We do need Oxygen, wind, love, joy, wish and hope out of sight. To express abstract feeling I often use flower, star, dust and bud. Flower to be star also star to be flower and also shining dust to be star. All the three things are expressed round light. Dust cannot shine itself but can be bright in effect of absorbing and reflecting light.  Because All mans can be shining soul, dust means equal love for humanity thought I like dust have dream and light and shine important light. Abstract light invite to supernatural world. Light don't make to escape reality but to overcome reality and hope. Bud means hope and affirmative possibility. Flower makes me much thinking. It is really difficult to thank for and bear unhappy matter. When I paint flower, flower trunk of heart grow up well. Someone tell me that what to be is more important and sooner than how to live. I think what painter to be sooner than how to paint. I want to be a painter who shine someone like sunshine which shine dust. I want to be a painter giving and sharing like flower throwing away petal and producing fruit. To hopeless persons and my near persons I want to be a painter who give a good thing. I really want to be a painter to heal hurted minds. 나는 ‘육체에 깃들어 마음의 작용을 맡고 생명을 부여한다고 여기지는 비물질적 실체’로서의 ‘영혼’을 위한 작업을 연구한다. 나의 작품관을 한마디로 표현하면 ‘빛나는 영혼의 소망’이다. 지인들의 죽음을 통해 수명의 한계를 가진 육체와 함께 ‘영원히 사는 혼’인 영혼도 가치 있음을 알았다. 또한 살아있는 오늘을 귀히 여기며 헛되이 살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를 고뇌했다. ‘죽음’에 대한 간접적인 경험은 ‘빛나는’이나 ‘영혼’, ‘소망’이란 단어를 중요하게 여기게 했다. 나는 눈으로 볼 수 없는 ‘소망’을 추상적인 ‘빛’이미지와 자연풍경으로 그려낸다. 그것에는 내 인생의 전환점이 되었던 날에 보았던 빛났던 자연물과 어둠에 갇힌 내게 다가왔던 빛이 담겨져 있다. 빛나는 영혼의 소망을 '햇빛은 먼지도 빛나게 한다'와 '꽃은 꽃을 버려야 열매를 맺는다'는 주제로 표현해낸다. ‘꽃’, ‘별’, ‘먼지’ 이 세 가지 소재는 소망을 담은 ‘빛’으로 변형된다. ‘빛’의 형태는 작은 점이나 동그란 원으로 나타나며, 리듬과 변화를 주기 위해 색채나 크기에 변화를 주었다. 또한 소재들의 특성에서 연상된 영감으로 소재의 형태를 변형시켜 표현되기도 했다. ‘꽃’이 별로 변형되고 ‘별’이 꽃이 되고 ‘먼지’가 별이 되기도 한다. 공간을 연구하며 가장 어려웠던 것은 눈으로 볼 수 없는 공간을 그려 내는 것이었다. 내면의 풍경은 눈을 감고 마음으로 느낄 수 있는 이미지 며 사진처럼 보고 그릴 수 없다. 따라서 내면의 풍경을 캔버스 위에 이미지화하는 것은 친숙하면서도 어려운 과정이다. 캔버스에서는 무한하고 영원한 세계로 초청하는 공간을 표현하고자 했다. 이 공간은 인간의 육체로 도달할 수 없는 영적인 공간이자 신을 향해 나아가는 영적통로로 재해석된다. 석사청구전에 나타난 ‘공간’은 예전보다 맑아진 색채와 곡선의 드로잉으로 포근해진 느낌이다. 작품에 사용된 색상은 대부분 3가지를 넘지 않게 하여 안정감과 질서를 추구했다. 한 작품에서 쓰인 색상은 보통 3단계의 채도 변화를 주되 전체적으로 부드러운 느낌이 들도록 채도의 차이를 은은하게 했다. 석사청구전과 논문은 작업에 대한 개인적인 소명을 깨닫는 좋은 기회였다. 누군가에게서 ‘어떤 일을 하느냐보다 어떤 사람으로 사느냐가 중요하다’는 말을 들었다. 먼지를 빛나게 하는 햇빛처럼 나도 누군가를 빛나게 하며, 꽃이 꽃잎을 버리고 열매를 맺듯이 나누고 베푸는 작가가 되고 싶다. 에너지를 가진 덩어리이기에 스스로 운동하는 ‘빛’처럼 나의 작업이 다른 사람을 빛나게 하는 것이 되길 원한다. 어두운 공간일수록 밝게 빛나고, 높이 있을수록 멀리까지 밝혀주는 ‘빛’ 같은 작가가 되어 빛으로 살아가는 동안 ‘빛’을 표현하는 그림을 그리고 싶다. 살아있지만 마치 죽어있는 것 같은 괴로움을 경험 중인 사람이 있다면 내 영혼의 빛을 줘서라도 죽은 영혼을 살려내고 싶다. 나는 세상의 빛이라(요한복음 8:12)고 말씀하신 내 영혼의 치료자처럼 말이다.

      • 싱어송라이터 NAO 음악적 경향 연구 : -혼합 장르 Wonky Funk를 중심으로-

        김은지 상명대학교 천안캠퍼스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647

        ABSTRACT An Analysis of the Music Style of Singer-Songwriter NAO: With a focus on the mixed genre of Wonky Funk Kim, Eun ji Dept. of New-Media Music The Graduate School Sangmyung University The ‘British Invasion' began in the 1960s, initiated by diverse artists from the United Kingdom, starting with The Beatles, who exerted their influence as artists in the conservative American music market. Subsequently, as disco music, which was the mainstream music in the United States, waned, a style of music emerged in the UK that incorporated elements of synth-pop, offering a sense of novelty to the masses. Furthermore, the advent of MTV, a 24-hour music channel, brought about a shift in the trend towards music as a visual experience, presenting the fusion of music and visuals. In the 1980s, British R&B soul musicians made their mark on the American Billboard charts, continuing the trend of the ‘British Soul Invasion.' This paper aims to explore the musical techniques of singer-songwriter NAO, who has consistently entered the Billboard charts over the past decade and led the ‘British Soul Invasion.' NAO herself has coined her music style and genre as ‘Wonky Funk.' Accordingly, this study delves into the types of Wonky Funk and the genres that constitute it. Additionally, the analysis focuses on five popular songs from NAO's debut album ‘For All We Know,' selected based on their high streaming numbers on Spotify, ranging from a minimum of 8 million to over 25 million plays. The analysis covers the formal structure, melody and harmony characteristics, rhythmic features, arrangement traits, and vocal aspects of these five songs. All five selected songs fall under the same genre of Electronic/Dance and have a medium tempo. The dominant use of synthesizer sounds, typical of EDM, distinctly demarcates the song forms. Furthermore, the 7instrumental composition is straightforward, with recurring primary melodies, rhythmic patterns, and lyrical structures. The songs employ the characteristics of the Funk genre, such as the use of one chord, a rhythm section, and stop time, to create dramatic effects. Given the nature of Wonky Funk, NAO maximizes the powerful sound and movement of synthesizers and bass while utilizing vocal effects to enhance spatiality. For vocals, she employs suitable techniques such as Marcato and Chant, which complement this style. NAO establishes her own musical identity by combining the advantages of the Wonky, Funk, and Neo-Soul genres to create the hybrid genre called ‘Wonky Funk.' This paper highlights singer-songwriter NAO, who has presented a unique musical style by utilizing the trend of genre fusion and providing innovative musical techniqu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on NAO will serve as valuable research material for future scholars. Keywords: Singer-songwriter NAO, Wonky Funk, British Invasion, Hybrid Genre 국 문 요 약 싱어송라이터 NAO의 음악적 경향 연구 - 혼합 장르 Wonky Funk를 중심으로 -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뉴미디어음악학과 뉴미디어음악학전공 김은지 비틀즈로부터 시작된 영국 출신의 다양한 아티스트들이 보수적인 미국 음반시장에서 아티스트로서 영향력을 발휘하며 1960년대에 “British Invasion”이 시작되었다. 이후, 미국의 주류 음악이었던 디스코 음악이 주춤하게 되면서, 영국의 뉴웨이브 뮤지션들이 선보인 신스 팝(Synth-Pop)의 요소가 접목된 스타일의 음악은 대중들에게 새로움으로 다가왔다. 또한 24시간 음악방송 전문 채널 MTV를 통해 듣는 음악만이 아닌 보는 음악으로의 변화 흐름에 따라 음악과 비주얼의 결합을 선보였다. 1980년대 영국 R&B Soul 뮤지션들이 미국 빌보드 차트를 차지하며 “British Soul invasion”으로 이어진다. 본 논문은 최근 10년 동안 꾸준히 빌보드에 진입하며 “British Soul invasion”을 이끌어 온 아티스트인 싱어송라이터 NAO의 음악 어법을 탐구하고자 한다. NAO는 본인 스스로 자신의 음악 스타일 및 장르를 “Wonky Funk”라 명명함에 따라, 본 연구는 Wonky Funk의 유형과 Wonky Funk를 구성하는 장르를 탐구한다. 또한, 2016년 발매한 NAO의 데뷔 앨범인 <For All We Know>의 18곡 중 Spotify 기준 음원 재생 횟수 최소 800만, 최대 2,500만 이상의 높은 기록 순으로 대중적인 5곡의 형식, 선율 및 화성적 특징, 리듬적 특징, 편곡적 특징, 보컬적 특징에 대해 분석한다. 본 논문에 선정된 5곡 모두 동일한 Electronic / Dance이며, Medium Tempo(미디엄 템포)이다. EDM의 구성 악기인 Synthesizer Sound의 주도적인 변화로 Song-form이 명확히 구분된다. 또한, 악기의 구성이 단순하고, 주선율과 리듬 패턴, 가사의 구조가 반복되며, Funk 장르의 특징인 One Chord의 사용, Rhythm Section, Stop Time을 활용해 곡의 극적 효과를 창출한다. Wonky Funk 장르의 특성상 신디사이저와 베이스의 강렬한 사운드 및 움직임과 공간감을 최대한 활용하는 보컬 이펙팅을 적용함으로 보컬의 경우, 이에 적합한 창법인 Marcato(마르카토)와 Chant(챈트) 가창 기법을 사용한다. NAO는 Wonky와 Funk, Neo-Soul 각각의 장르적 이점들을 결합하여 ‘Wonky Funk’라는 혼종 장르를 만들어 냄으로써 그녀만의 음악적 정체성을 형성한다. 시대적 추세인 “장르의 혼합”을 활용하여 독창적인 음악어법을 제시한 싱어송라이터 NAO에 관한 본 논문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가치 있는 연구 자료가 되길 바란다. 주제어 : 싱어송라이터 NAO, Wonky Funk, British Invasion, 장르의 혼종

      • BaTiO₃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및 강유전 특성 연구

        김은지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647

        BaTiO3 박막의 구조적, 광학적 특성 및 강유전 특성 연구 김은지 지도교수 이호선 물리학 석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본 연구에서는 Si(111) 기판에 300 ℃이하에서 RF magnetron sputtering을 이용하여성 장한 강유전체 BaTiO3(BTO) 박막의 광학적, 구조적 특성들을 확인하였다. XRD분석을 통해 박막의 결정성이 정방정계(tetragonal)인 것을 확인하고 SEM, AFM 분석을 통해 박막의 표 면과 단면 특성을 확인하였다. Ellipsometry분석을 통해 Optical gap energy를 구한 결과 두께가 얇을수록, 주입 가스의 산소 유량 비율이 늘어날수록 4.58 eV에서 4.42 eV까지 optical gap이 감소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위의 측정을 통하여 확인한 BaTiO3 박막의 성장 조건을 바탕으로 Pt/BTO/Pt 구조의 MFM (metal-ferroelectric-metal) 커패시터를 제작하여 박막의 강유전성을 확인하였다. O2가스의 유량의 변화에 따른 강유전체의 잔류분극 값의 변화를 확인해본 결과 Ar:O2 = 1:1(10sccm:10sccm)에 해당할 때 5.150μC/cm-2으 로 가장 큰 값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고 PFM 측정을 통해 전압 인가 영역에 따라 도메 인 형성을 나타내는 위상 사진을 확인하였다. 또한 두께가 얇아질수록, 산소 유량이 높을수 록 BTO 박막에서 더 강한 강유전성을 확인하였다.

      • Application of Curcumin for Targeting Tumor Receptor: Gene Delivery

        김은지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47

        Despite advances in tumor diagnosis and chemotherapy development, cancer has still maintained a top cause of disease-related human death worldwide. Although many advanced tumor patients are necessary the debulking surgery, extensive chemotherapy is also recommended because micronodular and floating tumor colonies cannot be removed by surgery or radiation. Therefore, the exact delivery of anti-tumor drugs (chemical drugs, genetic materials, and proteins) to tumor tissues or cells is very important to reduce cytotoxicity and dosage. Currently, targeted drug delivery systems (DDS) using nanotechnologies have presented as a solution. The aim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potential of curcumin and its derivatives as a novel vi cancer-targeting ligand and suitable structure among phenylalanine (Ph), cinnamic acid (Ci), coumaric acid (Co), ferulic acid (Fe), and curcumin (Cu) which are produced in biosynthesis pathway of curcumin. Dextran grafted with branched polyethylenimine (bPEI) (DP) and lysine dendrimer peptide conjugated without (dK) or with PEGylated targeting ligands (dKPh, dKCi, dKCo, dKFe and dKCu) were successfully synthesized and their mixtures formulated in 9.5:0.5, 9:1, and 8:2 w/w ratios were used as a targeted gene carrier (DPK, DPKPh, DPKCi, DPKCo, DPKFE, and DPKCu). All tested gene carriers showed excellent DNA binding capability, DNA protection ability from nuclease, and exhibited condensation ability to compact DNA into uniform nanoparticles. In vitro gene transfection efficiency showed that DPKCi, DPKCo and DPKCu polyplexes were higher than DPK without targeting ligands in MCF-7 and SKBr3 breast cancer cells, but not in other cancer cell lines containing SKOV-3, PC3 and DLD-1. Moreover, gene transfection of their polyplexes were significantly inhibited after pre-incubation of curcumin or 17α-Estradiol in dose-dependent manner. Uptake and endosomal escape of polyplexes was qualitatively studied using confocal laser scanning microscope (CLSM), resulted in their targeting specificity. In vitro excellent anti-tumor activity of them was due to induced apoptosis via specific delivery of psiRNA-hBCL2, which expresses anti-bcl-2 shRNA, and vii proved by increased caspase-9 and caspase-3. Presented results highlighted that curcumin and coumaric acid can specifically target membrane estrogen receptor α and target receptor of cinnamic acid is a membrane estrogen receptor α and β.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PKCi, DPKCo, DPKCu gene delivery system would have great potential for targeted therapy to breast cancer cells, at least, MCF-7 and SKBr3.

      • 리빙랩 평가지표 개발에 관한 연구 : 도시재생 리빙랩을 중심으로

        김은지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and systematic evaluation indicators for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Particularly, since these policies and projects are based on the actual lives of residents, this study attempts to derive the evaluation indicators from a participatory perspective. To do this, this study conducted a systematic research study of three areas: theoretical review and evaluation of policy; theoretical review of regional innovation system and research & development; and theoretical review of living lab. Using the results of this review, domestic urban living labs are illustrated and presented as a research model. The evaluative criteria for these living labs are structurally select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case study. Next, the content validity and the external validity were verified by the experts based on the evaluation indicators. The questionnaires were prepare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e validity check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by analyzing the questionnaire results of regional innovation policy and urban living lab stakeholders.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importance of each evaluation indicator and found that democracy is important in evaluating policy alternatives and their impacts. In addition, the attitude of the project manager to the residents and the importance of the indicators related to communication were very high. Second, the results of the factor analysis show that items of conflict resolution are classified separately in the project process evaluation and result evaluation criteria. Third, the AHP analysis shows that the feasibility of the policy was the most important priority in evaluating the policy alternatives, while effectiveness and goal achievement were the highest priorities in policy impact evaluation. In addition, results indicate that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 for the levels democracy in the promotion process and resident participation was whether or not the living lab projects were led by the residents. Therefore, these were the most important factors in the evaluation of the living lab project, evaluation of process, and evaluation of results. Fourth, living labs with greater degrees of experience found that it is more important to recognize how to respond to the needs of the main stakeholder, rather than effectiveness and efficiency of the project. Fifth, as the result of using the evaluation indexes, it was relatively easy to perform the evaluation on the living lab, and the evaluation participants including the residents were able to perform the evaluation more objective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 and policy decision presented by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no valid and reliable evaluation indicators for urban living labs until now.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can be used as a guideline for the evaluation of region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since the evaluation index is prepared through a multidisciplinary and convergent approach in this study. Second, this study analyzes and presents the evaluative indicators of Korean loc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that are most important to key stakeholders including residents. Particularly, the level of democracy in policy and business as well as the participation level of the residents are recognized as very important indicators; thus it is imperative and expected that business directors promote these aspects of the project. This suggests that these indicators should be evaluated and considered important when future project managers are selected. Third, it is possible to accumulate more systematic data through this evaluation index.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more active research on local innovation policies and urban living labs will be made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을 위한 종합적이고 체계적인 평가지표를 마련하는 것이다. 특히 이러한 정책과 사업은 주민들의 실생활을 기반으로 하므로 참여적 관점에서 평가지표를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정책평가에 관한 이론적 고찰, 지역혁신체제와 연구개발에 관한 이론적 고찰, 리빙랩에 관한 이론적 고찰 등 총 세 영역의 체계적인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즉, 정책평가론과 기술혁신이론 등을 체계적으로 고찰함으로써 융합적 접근을 시도하였다.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은 주민의 실생활을 바탕으로 하는 개념이므로 이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위해서는 융합적인 시각에서 연구를 수행하는 것이 필수적이며, 바로 이 점이 본 연구가 가지는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문헌 고찰의 결과를 토대로 국내 도시재생 리빙랩의 과정을 도식화하고 이를 연구모형으로 제시하였고, 이론적 고찰 및 우리나라 도시재생 리빙랩 사업의 사례분석을 통하여 평가항목을 구조적으로 선정하였다. 다음으로 해당 평가지표에 대하여 전문가의 검증을 거쳤으며, 그 결과를 반영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다. 지역혁신정책 및 도시재생 리빙랩의 이해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각 평가지표의 중요도를 분석한 결과 정책대안평가와 영향평가에서 민주성을 중요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업책임자의 주민에 대한 태도와 소통과 관련된 지표의 중요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둘째, 요인분석 결과, 정책대안평가는 효과성, 자원관리의 효율성, 적합성, 실행가능성, 정책계획의 적정성 등이 평가지표로 선정되었고 각각에 대한 측정지표로 총 23개가 선정되었다. 정책영향평가는 효과성(목표달성도), 능률성, 적합성, 정책추진의 적정성 등이 평가지표로 구성되었고 이들을 측정하기 위한 16개의 측정지표가 선정되었다. 리빙랩 프로젝트 선정평가의 최종 평가지표로는 참여자 의사소통의 적정성, 추진과정의 민주성, 투입자원의 적정성, 관리 적정성이 도출되었고 23개의 측정지표가 선정되었다. 리빙랩 프로젝트 과정평가지표는 민주성, 참여도, 갈등관리, 소통관리 등으로 구성되었고, 총 17개의 측정지표가 선정되었다. 마지막으로 리빙랩 프로젝트 결과평가의 최종 평가지표로는 갈등관리, 파급효과, 효과성, 환경 대응성 등이 선정되었으며 총 20개의 측정지표가 각각의 평가지표에 포함되었다. 주목할 만 한 점은 프로젝트 과정평가 및 결과평가에서 갈등 해결에 관한 항목이 독립적으로 분류된 점이다. 셋째, AHP분석 결과 정책대안평가 시 정책의 실행가능성이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로 분석되었고, 정책영향평가 시에는 효과성(목표달성도)이 가장 높은 가중치를 두고 평가되어야 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리빙랩 프로젝트 선정평가, 과정평가, 결과평가에서 각각 추진과정의 민주성, 참여도, 민주성이 우선순위의 첫 번째를 차지함으로써 사업을 주민이 주도하는지에 대한 평가가 가장 중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도시재생 리빙랩의 경험이 많을수록 효율성이나 능률성, 효과성보다는 주요 이해관계자인 주민의 요구에 어떻게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더 중요하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도출된 평가지표를 실제로 활용한 결과, 리빙랩에 대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이 비교적 용이하였으며 어떠한 문제점이 있는지 파악할 수 있었다. 그리고 주민을 포함한 평가참여자가 좀 더 객관적으로 평가를 실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가 제시하는 함의 및 정책 결정에 기여할 만 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금까지 도시재생 리빙랩에 대한 타당하며 신뢰할 만한 평가지표가 부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학제적이고 융합적인 접근을 통하여 평가지표를 마련하였으므로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의 평가에 대한 지침으로 활용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우리나라의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에 있어 주민들을 포함한 주요 이해관계자들이 가장 중요하게 여기는 지표를 분석하여 제시하였다는 점이다. 특히 정책과 사업의 민주성, 주민의 참여도가 매우 중요한 지표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를 촉진할 만한 사업책임자의 역할에 대한 기대 또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향후 사업책임자의 선정 시 중요하게 평가되고 고려되어야 할 지표를 시사해 준다. 셋째, 본 평가지표를 통하여 좀 더 체계적인 자료의 축적이 가능하다는 점이다. 이로써 향후 지역혁신 정책과 도시재생 리빙랩에 대한 보다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 예산결정이론에 관한 새로운 접근 : 진화심리이론과 대한민국 예산에의 적용

        김은지 서울대학교 행정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예산결정이론으로서의 점증주의에 대한 새로운 접근과 추정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학문분야에 큰 영향력을 미친 다윈의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라는 논의를 예산결정과정에 응용하였다. 인간의 의사결정의 바탕인 심리현상을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에 의한 진화라는 틀에 의해 이해하는 진화심리학적 접근에 따르면, 인간의 마음은 먼 과거에서부터 환경에 반응하면서 생존에 유리하게 형성된 적응적 행동을 반영하는 다수의 심리기제들의 집합이라고 본다. 본 연구는 진화심리학의 이론적 논의를 차용하여 예산결정 역시 이러한 참여자들의 심리 기제에 의한 영향을 받는다고 보고 논의를 시작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의 개념틀을 구성하였다. 평상시와 비상시라는 서로 다른 환경에서는 의사결정기반이 같지 않다. 평상시에는 주로 직관에 기반, 비상시에는 주로 이성에 기반한다. 본 연구에서 이성과 직관은 각각 예산과정 참여자가 최적의 합리적 결정을 내리기 위해 동원하는 논리적 사고절차를 수반하는 의사결정 바탕, 예산과정 참여자가 의사결정을 위해 논리적·분석적인 사고절차를 생략한 채 직감이나 선험적인 지식, 선례에 의존하는 의사결정 바탕으로 재개념화 되었다. 한편, 개인수준에서의 의사결정기제인 이성과 직관을 예산결정이 실제 이루어지는 집단 또는 조직수준에서의 의사결정구조와 관련한 이론을 살펴봄으로써 분석단위의 오류를 방지하고자 하였다. 이상의 논의를 우리나라 예산과정에 나타난 의사결정구조에 적용해보면, 예산논의와 결정의 모든 과정에서 관여하는 여러 개인, 조직, 집단들 중에서 기획재정부가 압도적 우위를 지닌다는 점을 지적할 수 있다. 기획재정부가 국회나 행정부에 대해 행사하는 강력한 영향력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예산결정과정은 사실상 기획재정부라는 단일 정부조직의 의사결정에 크게 의존한다고 보는 것이 타당할 것이며, 결론적으로 우리나라의 예산결정과정에서의 의사결정구조는 Simon이 설명한 조직의사결정이론에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논의를 종합하면 직관과 이성은 정치시스템에서의 의사결정마디(decision node)라고 볼 수 있고, 실제 예산의사결정에서 점증적 변화와 단절적 변화가 나타나는 것은 평상시, 비상시와 같은 환경의 요구에 대한 정체(polity)의 반응방식이라고 볼 수 있겠다. 이러한 연구의 개념틀은 예산결정과정은 필연적으로 점증과 비점증이 혼재될 수밖에 없음으로 귀결되며 이는 본 연구의 실증분석 방법론을 구성하는 바탕이 된다. 예산이 전년도에 비해 약간의 변동만이 이루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그 이면에는 점증적 의사결정과 비점증적 의사결정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에 특정 연도가 점증이다 그렇지 않다라고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정도 더 점증주의가 강한지 또는 어느 정도 비점증주의가 강한지 사고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점증과 비점증이라는 두 가지 대비되는 국면을 확률과정으로 구분하고 내생적 국면전환모형을 이용하여 예산결정과정 참여자들의 심리적 특성이 반영되는 예산결정의 비선형적 행태를 설명하였다. 통계 패키지 GAUSS V.15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초 값(initial value)을 적용하여 관측변수(예산증감률)의 확률과정이 비관측(unobserved) 상태변수(점증국면, 비점증국면)에 영향을 받는 경우를 매 시점마다 구분하여 도출하였다. 먼저 종속변수를 예산총액의 증감률로 했을 때 점증국면과 비점증국면의 계수추정값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무작위 충격(random shock)이 있는 경우로 상정했던 비점증국면의 경우 전년도 예산증감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경제사회 상태를 대리하는 소비자물가상승률은 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추정결과는 평상시에는 직관에 기반한 점증적 의사결정을 내릴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세부가설과, 비상시에는 이성에 기반한 비점증적 의사결정을 내릴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세부가설을 지지하는 결과이다. 한편 일반회계 증감률만을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한 경우에는 점증국면과 비점증국면 모두 추정된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예산결정과정에는 점증과 비점증이 혼합되어 나타날 것이라는 본 연구의 가설은 기각되었다. 그러나 점증국면에서는 전년도 예산증감률이 유의하게 나타나, 평상시에는 점증적 의사결정을 내릴 확률이 높을 것이라는 세부 가설은 지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예산의 성격에 따라 의사결정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다르게 나타나므로 예산결정양태가 다르게 나타날 것이라는 세부가설은 경직성경비를 종속변수로 하여 분석하였을 때 점증국면과 비점증국면 모두 추정된 계수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도출되어 기각되었다. 그러나 여기에서도 점증국면과 비점증국면 모두 전년도 예산증감률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경직성 예산의 성격상 법률에 의해서 또는 정부정책을 통해서 이미 사업의 목적이 정해지거나 자금 규모가 어느 정도 정해져서 행정부와 입법부가 예산의 규모를 자유롭게 조정하기 어렵기 때문인 것으로 생각된다. 국면전환의 내생성 여부는 종속변수를 총예산으로 한 경우와 일반회계로 한 경우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분석되어, 본 연구가 국면전환의 시점을 연구자가 사전에 알지 못한 상태에서 모형 안에서 내생적으로 추정해내고자 했던 목적을 달성했다고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연구는 진화심리이론을 차용하여 연구의 개념틀을 구성하고 국면전환모형을 예산이론에 적용하여 실증분석함으로써 예산결정이론의 이론적, 경험적 연구에 대한 방법론적 개선에 기여했다는 점에서 그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한 통합적 교수·학습 음악지도방안 연구

        김은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인문학적 소양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해서 음악 감상활동영역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근거한 예술교과간의 연계성과 타 교과와 음악과의 연계성 고려하여 지도할 것을 강조하며 통합적 접근과 이해를 통한 사고함양을 키우도록 하고자 하였다.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 함양을 통한 학습결과로 학생이 갖추어야 할 ‘역량’을 중시하였고, 이러한 감상수업이 되기 위해서는 음악교과가 사회적·문화적 현상을 종합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증진시키는 인문학적 소양이 필요함을 강조하였다. 음악교과를 통하여 인문학적 소양 함양은 물론, 음악사를 이해하고 다양한 악곡의 음악 감상을 통해 관련지식을 선행하도록 하여 스스로 사고하는 힘을 길러주는 것이 음악 감상수업에서 핵심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인문학적 소양함양을 위해서 음악수업도 이러한 역사적, 사회적 맥락에서의 해석과 전반적인 문화적 배경을 함께 살펴보아야 함을 제시 하였다. 음악 감상수업을 통해 음악적 요소와 함께 연관된 음악 외의 필요한 인문학적인 요소들을 음악을 통해 배울 수 있음을 주장한다. 인문학은 인간으로서 사고하며 넓은 지적 안목을 함양하기 위해서 꼭 필요한 과제임으로 인문학적 소양을 증진시키기 위해 다양한 음악활동과 인문학적 배경을 연계하여 통합적 교육과정을 실행하여 음악적 지식은 물론 세상을 바라보는 폭넓은 이해와 자신에 대한 가치를 발견하도록 한다. 또한 음악을 삶 속에서 향유 하도록 하는 것이 음악교과가 해야 할 일임을 제시하였다. 인문학의 범위인 철학, 경제, 정치, 문학, 미술과 음악을 연계하여 예술사적인 큰 흐름을 알고 종합적 사고함양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음악을 통해 음악 이상의 것을 담을 수 있기에 음악교과의 당위성 또한 확보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또한 본 논문에서 강조하는 점은 이러한 수업방향을 끌고나가기 위해서 필수적인 전제가 교사의 다양한 인문학적지식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이것을 뒷받침 해주는 자료가 풍부해야 함을 강조한다. 교사는 예술사적으로 중요한 사건을 감별하고 감식하는 능력이 중요하다. 더불어 그에 맞는 적절한 악곡 선정이 무엇보다 중요할 것이다.

      •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활동에서 특수교사의 학습경험 연구

        김은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특수교사의 장애학생 교육은 일반학생과의 다른 특수성으로 인하여 특수교사가 장애 학생을 교육할 때와는 다른 면이 있다. 본 연구는 장애 학생의 교육활동과 관련하여 특수교사의 역할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특수교사는 교육활동과 관련한 여러 가지 역할을 하는 가운데 여러 가지 경험을 하게 된다. 특수교사는 지적장애 학생을 교육하면서 경험을 연구 분석함으로써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2년 이상의 경력을 가진 특수학교 교사 3명을 대상으로 인터뷰하였다. 이러한 자료를 수집 분석하는 방식으로 문제를 해결하였다. 첫째, 특수교사는 지적장애 학생의 지도하면서 어떤 경험을 하는가? 둘째, 특수교사는 이러한 경험을 통해 무엇을 학습하는가?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수교사가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활동 과정에서 경험은 다양한 수준 차에 대한 현실 인식, 다양한 교육관의 존재, 특수교사로서 다면적인 역할, 제한된 역량의 자각 등 네 가지가 있었다. 둘째, 특수교사가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활동 과정에서 학습하는 것으로는 학생의 조건에 맞는 수업에서의 실행능력 강화, 협력과 동반자적 가치의 중요성 인식, 대인관계의 갈등상황 속에서 순응적 자세의 내면화 등 세 가지가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특수교사가 지적장애 학생의 교육활동 과정에서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학습자로서의 특수교사이다. 특수교사는 경험을 통해 학습하고 실천하면서 배우고 끊임없이 특수교사로서의 성장과 발전할 수 있도록 고민하는 평생학습자로서의 특수교사의 면이다. 둘째, 서로 협력하는 특수교사이다. 협력은 평생교육의 이념적 지향 중에서 더불어 살아가기 위한 학습(learning to be)로 학습은 경쟁이 아닌 협력을 통해 공존하는 사회를 만들어가는 것으로 서로 협력하는 특수교사의 면이다. 셋째, 교직문화와 교직의 보수성을 이해하는 특수교사이다. 특수교사가 학교문화에서 겪는 다양한 갈등과 같은 부정적인 경험들이 오히려 특수교사로서의 전문성을 키우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수교사는 지도활동 과정에서 교직문화와 교직의 보수성을 이해하는 특수교사로서의 면이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표 능력 향상 방안 연구

        김은지 충북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76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improve the presentation ability of Korean learners to limit the educational scope and to propos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that scope. Preceded studies on presentation education for academic Korean learners argued that presentation education was generally necessary at all steps. However, this study believed that the scope of education needed to be limited in consideration of problems such as lack of time and difficulty in collecting educational. In presentation, Direct teaching is possible and necessary part is "practice phase". Chapter 3 subdivided these 'practice stages' into the stage of writing the presentation manuscript and practicing speaking, and presented the appropriat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for each stage. In the phase of writing a presentation manuscript, suggested a way to organize a naturalty discourse by using the discourse marks often used in presentations by native speakers. First of all, the discourse marks, arranged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presentation, made it possible to learn through various practice questions. And based on this, the class was organized so that I could write a presentation manuscript. Speaking education phase was used the 'shadowing’ learning method based on the presentation manuscript prepared at the previous stage. And the speed of shadowing learning was set at a rate similar to the actual presentation situation, and the range of shadowing learning was set in order of full text-paragraph- sentence-and full text. The expected effec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we can consider the scope to which substantive education is possible in the presentation education. Second, the comprehensive improvement of language skills of learners is expected. Third, by presenting task-based and process-base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one can learn the learning method itself, not just the delivery of knowledge. Fourth, it can reduce the burden of teacher’s preparing for classes or learner’s learning because it enhances the usability of materials by presenting continuous classes

      •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 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 성인학습자의 평생학습을 중심으로

        김은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한국 사회에서 큰 문제로 대두되는 디지털 성범죄는 우리 사회의 민낯을 보여준다. 수용자들에게 왜곡된 성인식과 성별 고정관념을 내재화하게 만드는 시각문화에 대해, 비판적 사고를 함양하는 시각적 문해력 교육의 필요성이 절실한 시점이다. 시각문화에서 이미지로 대상화되어 소비되는 것은 여성뿐만이 아니다. 우리는 시각문화를 통해 성소수자와 장애인, 노인, 특정 인종 등을 대상화하고 사회·경제·문화적 소수자들에 대한 편견과 혐오를 무의식중에 습득한다. 페미니즘은 이러한 차별을 만드는 사회 질서와 구조에 대한 저항과 실천이다. 따라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우리는 남·녀의 생물학적이고 이분법적인 구분에서 벗어나 젠더 관점을 획득하고, 차이와 다름을 수용하여 소수자들에 대한 이해를 확장할 수 있으며 인권 존중과 평등과 평화를 추구하는 시민성까지 확보할 수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예술표현의 도구와 양식에 대해 가르쳤던 전통적인 미술교육에서 벗어나, 우리 삶을 둘러싼 일상적인 이미지와 미디어의 본질에 대해 고민하고,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재교육하는 미술교육의 한 패러다임이다. 시각문화교육의 필요성과 중요성이 활발하게 논의되어왔지만,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실행하는 교수자에 대한 연구가 없음을 파악하였다. 이에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이 교육현장에서 적극적으로 실행되고 확대되기 위한, 교사연구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성인학습자를 대상으로 시각문화교육을 활발하게 실행하고 있는 한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 사례를 미술교육의 측면에서 질적으로 분석하여 미술교육에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의 정착과 확대를 위한 방안을 탐색한다. 본 연구의 중심이 되는 한 페미니즘 미술가는 예술가로서 여성주의 철학을 담은 작품 활동을 활발히 이어오고 있으며, 2013년부터 현재까지 여성주의 철학의 교육적 실천으로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적극적으로 실행하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구체적인 교수자의 경험을 연구하기 위해 내러티브 탐구를 연구 방법으로 채택하였다.Ⅱ장은 본 연구의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해 페미니즘 관점에 대해 알아보고, 페미니즘 관점에 기반한 시각문화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탐색한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이 지닌 목적과 방향, 내용과 방법을 알아보았다. Ⅲ장에서는 먼저 내러티브 탐구 방법이 무엇인지 정리하였으며 내러티브 탐구의 시작이 되는 연구자의 내러티브를 밝혔다. 다음으로 연구 참여자인 페미니즘 미술가 ‘화사’를 소개하고 그녀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연구의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화사’의 ‘생애사적 맥락 정보’를 정리하였다. 이를 통해 페미니즘 미술가가 실천하는 시각문화교육이 무엇이고 그에 대한 교수자의 경험이 어떻게 형성되었는지 살펴볼 수 있었다. Ⅲ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로 성인학습 공동체 OOOO학교의 ‘몸: 여성, 퀴어, 장애’ 수업을 채택하였다. 6주간 12차시 수업에 대한 내러티브를 정리하여 기술하고 수업의 교육적 효과를 뒷받침하기 위해 해당 수업의 학습자들을 심층 인터뷰하여 학습자의 내러티브도 함께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은 학습자의 동기부여를 촉진할 전략과 페미니스트 페다고지의 적용을 특성으로 한다. 동기부여의 목적은 첫째, 학습자와 신뢰를 쌓고 서로를 연결한다. 둘째, 학습자의 기대를 파악하고 학습규칙을 정한다. 셋째, 학습주제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확립한다. 넷째, 학습에 대한 자기효능감을 개발한다. 다섯째, 도전적이고 달성 가능한 학습 목표를 설정한다. 여섯째, 적절한 학습경험을 만든다. 일곱째, 학습자의 흥미를 유발하고 유지한다. 여덟째, 학습에 매진할 수 있도록 하고 도전을 심화시킨다. 아홉째, 의사소통을 통해 학습결과를 진단하고 역량 강화한다. 이와 같은 아홉 가지 동기부여 목적은 47개의 동기부여 전략으로 세분화된다. 이에 대한 내용은 본문에서 상세히 다룬다.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 사례에서 나타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는 첫째, 페미니즘 미술가는 교수자의 권위를 내려놓고 학습자와 평등한 위치에서 함께 고민하고 성장하는 조력자가 되어 준다. 둘째, 페미니즘 미술가는 자신의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학습자가 자신의 정신과 육체를 통합하여 몸을 다시 보게 만든다. 셋째, 페미니즘 미술가는 학습자의 경험과 감정을 학습의 동력으로 활용한다. 넷째, 페미니즘 미술가는 페미니스트로 살아간다는 것의 의미를 자신의 삶으로 체현하여 보여준다. 다섯째, 페미니즘 미술가는 학습자들의 개별적 차이와 다름을 인정하고 누구도 학습에서 소외되지 않도록 한다. 여섯째,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얻은 학습 내용을 학습자들이 자신의 삶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돕는다. 다음으로 미술교육의 측면에서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의의를 도출한다. 페미니즘 미술가의 시각문화교육은 첫째, 비주얼 리터러시 함양, 둘째, 시각적 소통능력 획득, 셋째, 학습자의 정체성 찾기가 가능한 수업임을 확인하였다.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은 학습자가 일상에서 마주치는 시각문화에 대해 비판적 사고로 시각문화에 담긴 편견과 차별을 인식하는 비주얼 리터러시 능력을 함양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자들은 자신의 경험과 이야기를 시각언어로 표현하면서 시각적 표현력과 판단력을 증진하고 타인과 소통할 수 있었다. 이는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성찰하는 계기가 되었다. 마지막으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통해 학습자들은 자신을 긍정하고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페미니즘 미술가가 시각문화교육을 실행하면서 겪은 실제적인 어려움과 개선점을 바탕으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였다. 첫째, 세계시민교육의 일환으로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을 실천한다. 둘째, 비폭력 대화를 수업의 기술로 활용한다. 셋째, 충분한 대화와 충분한 표현활동이 가능한 수업시수를 확보해야 한다. 넷째, 팀 티칭 수업 모델을 개발한다. 다섯째, 교육공동체 구성원 모두를 위한 성인지교육을 강화한다. 본 논문은 페미니즘 관점의 시각문화교육에 대한 특성을 알아보고,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를 미술교육에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앞으로 페미니스트 페다고지를 활용한 미술교육의 실천들이 활발하게 연구되어 해방적 미술교육이 다양한 교육현장에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