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Public/Private Distinction in Light of the History of Legal Thought

        Younsik Kim(김연식)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법학논총 Vol.27 No.1

        본 논문은 공/사 구분에 대한 법이론적 전개과정을 살펴봄으로써 새로운 의미의 공적인 것에 대한 이해가 세계화 시대에 관찰되는 여러 가지 법적현상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것이라는 점을 보여 주고자 한다. 근대 국가가 등장한 이후에 ‘공적인 것’은 국가와 동일시되었다. 하지만 근대 국가가 성립되기 이전인 고대에도 공적인 것에 대한 논의는 존재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다면 공적인 것은 국가와 단순히 동일시 될 수는 없다. 또한 이와 같이 국가와 공적인 것을 분리해 사고할 수 있다면, 국가를 넘어서는 초국적 네트워크가 국제질서를 대체해 가는 오늘날에도 공적인 것은 국가와 함께 쇠퇴할 것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 오히려 ‘국가적인 것’이나 ‘사적인 것’을 넘어서 ‘공적인 것’은 다양한 실체를 포괄하는 실질적이고 포괄적인 의미를 획득하게 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관점이 어떻게 형성되어왔는지 미국과 유럽의 법이론 발전과정을 통해 살펴보고자 한다. 한편, 본 논문의 후반부는 공적인 것에 대한 실질적 이해를 세계화의 맥락에 적용해 보고자 한다. 사적인 분쟁 해결 절차인 투자자-국가중재제도는 그것이 국가적인 영역을 다루는 절차라는 특징 때문에 기존의 형식적인 공/사 구분론만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공공성을 이해하고 이것에 입각해서 투자자 국가중재제도를 이해한다면 국가적인 것이 아닌 공적인 제도로서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논문은 투자자-국가중재제도를 공적인 제도로 볼 때 그 제도의 공공성을 함양하는데 있어서 필요한 개혁의 방향을 제시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legal context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arguing that such a distinction ? as an urgent issue in the global context ? should be understood based on a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public. As such, the paper utilizes investor-state dispute settlement(ISDS) as an example. In this context, the paper starts by explaining the reason why legal theory should consider public/private distinction as a pressing theoretical issue by proposing ISDS as a striking example. Then, this paper explores the development of the legal theory to articulate the meaning of the public in the context of Europe and America. And it demonstrates that this theoretical examination could provide fruitful insights into addressing contemporary problems such as globalization. Recently, many scholars propose the substantial understanding of the public beyond formalist view of the public/private distinction. The public needs to be considered as a sphere to embrace the state and the private. Finally, the research explains how one could apply this discourse to reformation of the ISDS system in the practical perspectives.

      • KCI등재

        A Grey Area in the Korean Property Right

        Younsik Kim(김연식)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50 No.-

        한국의 헌법학자와 실무가들은 특정한 재산권 제한 조치가 보상 규정 없이 취해졌을 경우 이 조치가 헌법의 내용한계형성규정(헌법 제23조 제1항 단서 및 제2항)에 따른 사회적 구속에서 근거한 제한인지 아니면 헌법 제23조 제3항에 따른 공용제한 인지에 관하여 판단을 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구분은 헌법상 용인된 재산권 제한의 한계와 그에 따른 보상방법에 대한 복잡한 논의를 불러일으켰다. 그러나 한국 헌법 제23조의 구조적 틀에 관한 법리 논의는 아직 완전하게 정리된 것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헌법재판소는 그린벨트 사건에서 보상 없이 재산권을 제한하는 법률 또는 조치의 합헌성을 검토할 때 두 단계를 밟았다. 첫째, 법원은 해당 규제를 사회적 의무에 기초한 규제로 보았고 그에 따라 헌법 제23조 제2항의 사회적 구속성 법리에 따란 규제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둘째, 법원은 사회적 의무와 규제로 인한 부정적인 영향의 정도 사이에 비례성 원칙이 지켜지고 있는지 판단한다. 이때 법원은 비례성 심사를 통해 정부의 정책이 보상 조항 없이 재산의 의미 있는 사용을 완전히 차단하는 예외적일 때 “수용과 같은 효과”가 발생했다고 보고, 해당 규제의 위헌성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그린벨트 사건 이후에도 해결되지 않은 많은 질문들이 남아있다. 예를 들어, 보상에 준하는 조치가 헌법적으로 정당화되는 조건 (금액 또는 방법 등)에 대하여 법원은 상당한 정도로 입법적 재량을 인정하고 있다. 물론 최근 일련의 판결은 시장 가격에 상응하는 금전적 보상을 선호하는 경향을 보이며, 입법 실무상 일반적으로 재산권을 제한할 경우에는 보상 또는 보상에 준하는 입법적 조치를 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헌법 제23조의 구조에 대한 법리상의 논의에 관하여는 명확한 이론적 규명이 좀 더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Korean constitutional theorists and practitioners have experienced difficulty in identifying whether a particular measure is taken according to the contents-and-limit clauses or Article 23(3). Although doctrinal discussion over the structural framework of Article 23 of the Korean Constitution remains in a state of confusion. it looks clear that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will follow two steps in reviewing the constitutionality of regulations that restrict property without compensation: i) the Court will consider the character of the regulation in the course of examining whether it is based on social obligation; ii) the Court will then conduct a proportionality test by comparing the social obligation and the degree of negative effect caused by the regulation. In any case, the Court will strike down the regulation if, through the proportionality test, it recognises the occurrence of an ‘expropriation-like effect’, namely where government policy blocks any meaningful use of property without any provision of compensation. Nevertheless, there are many unresolved questions. For example, it will be controversial how the court will articulate conditions (amount or method etc.) to justify a certain compensation-like measure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Here, the Court has not yet established solid case law specifying the standards for the constitutional nature and amount of compensation-like measures, even if it shows more sympathy with an argument in favour of monetary compensation equivalent to full-market value.

      • KCI등재

        An Analysis of Host Country Determinants of China’s Outward FDI

        Younsik Shin,Zhaozhao Niu 전북대학교 산업경제연구소 2014 아태경상저널 Vol.6 No.3

        Going with the process of globalization, foreign direct investment (FDI) has entirely and widely been a strong driver of economic development. China has become a large destination of FDI in the past two decades; however China has also increased its outward FDI dramatically these years. The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provide a better understanding of host country determinants of Chinese OFDI. Based on a panel data analysis of 23 countries from 2007 to 2012, we integrated the traditional and macroeconomic economic and social factors in host countries to make a regression analyses on the host factors affecting China’s outward FDI across a range of variables including market-seeking, efficiency-seeking, infrastructures, economic openness and macroeconomic stability. In this paper the results show that market size of the host economy is a positive and the most significant determinant among our variables associating with China’s outward FDI flows. The results also show that Chinese investments are oriented towards efficiency seeking, even though China still possesses the advantage of labor cost. Moreover, Chinese investors are guessed to be interested in investing in infrastructure industries both in developed and developing countries, because the company can benefit from the economic development and promoting potential consumers through investing the infrastructure industry. Economic openness and macroeconomic stability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efficient as well, both of them affect the Chinese OFDI flows significantly. The findings have important policy and managerial implications..

      • KCI등재

        Magnetic field detwinning in FeTe

        Younsik Kim,Soonsang Huh,Jonghyuk Kim,Youngjae Choi,Changyoung Kim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 2019 한국초전도저온공학회논문지 Vol.21 No.4

        Iron-based superconductors (IBSs) possess nematic phases in which rotational symmetry of the electronic structure is spontaneously broken. This novel phase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as it is believed to be closely linked to the superconductivity. However, observation of the symmetry broken phase by using a macroscopic experimental tool is a hard task because of naturally formed twin domains. Here, we report on a novel detwinning method by using a magnetic field on FeTe single crystal. Detwinning effect was measured by resistivity anisotropy using the Montgomery method. Our results show that FeTe was detwinned at 2T, which is a relatively weak field compared to the previously reported result. Furthermore, detwinning effect is retained even when the field is turned off after field cooling, making it an external stimulation-free detwinning method.

      • KCI등재

        Institutionalising Reflection of National Elements in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ies, from the Public Law Perspective

        김연식(Younsik Kim) 유럽헌법학회 2021 유럽헌법연구 Vol.- No.36

        한국은 그동안 자유무역협정과 양자간 투자조약 등을 통해 다양한 형태의 투자보장협정을 체결하였다. 하지만, 일각에서는 이러한 조약들이 국내법이나 국가 이익과 충돌한다고 보기도 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조약들이 결국에는 이러한 제도를 통해 국내 법질서에 소위 글로벌 기준이 이식되는 통로라는 견해도 있다. 하지만, 이 논문은 국내 법리나 국가 이익에 기초한 국내 영향력이 투자협정에 반영되는 것이 전혀 불가능하지 않다는 점을 밝히고자 한다. 물론 통상 주무 부처는 일반적으로 투자보호 제도와 관련하여 국제 표준을 준수하려는 경향이 강하다. 하지만 통상 정책의 논의 과정에서 조약 체결까지 행정부와 의회에서 다양한 관점이 투입되는 통로가 제도화되어 있다. 물론 그렇다고 하더라도 이러한 국내 영향력이 국제조약에 내재한 근본적 흐름을 자체를 바꿀 수는 없다. 그러나 다양한 절차와 제도를 통해 제한적인 범위 안에서 국내적 영향이 국제투자법의 흐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 영향력은 비록 미세하지만 장기적으로 국제투자법 체계의 발전에 있어서 무시할 수 없는 파급효를 불러일으킬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국제투자규범의 다양성을 증가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다. Korea has been establishing international investment treaties through free trade agreements and bilateral or multilateral investment treaties. However, the legal doctrines on which these treaties are arguably incompatible with domestic law or national interests. Furthermore, critical commentators contend that these treaties are channels through which global standards are grafted into Korea’s domestic legal system. Nevertheless, this paper demonstrates that domestic legal elements or national interests are reflected in the international investment agreements, although this could be like passing a camel through the eye of a needle. Investment policy-makers usually tend to comply with international standards concerning investment protection schemes. However, the preceduralised treaty-making allows channels through which various perspectives can influence the treaty-making led by a particular department, from discussing trade policies to the legislative consent. Of course, this domestic influence cannot chang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However, the national influence can have a small but not negligible impact on the flow of international investment law, which could ultimately contribute to secure a balance between investment protection and legitimate regulatory powers in the longer term.

      • KCI등재

        저출산,고령화 사회와 입법적 과제 고령화 시대의 대안으로서 노인 노동 보호 관련 법제에 대한 평가와 개선 방향에 대한 소고

        김연식 ( Younsik Kim ) 고려대학교 법학연구원 2015 고려법학 Vol.0 No.79

        This research attempts to suggest the general direction of legislation to protect aging laborers as an alternative to the aging population. In regards to the ongoing aging population, researchers anticipate tha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of Korean society may be crippled. In order to cope with challenges from the aging population, the government has established various policies to encourage more seniors to remain involved in economic activities. However, those systems that support old laborers typically have not been efficiently enforced because they are proposed without consistent and constitutionally justified principles. In this context, this paper attempts to suggest several principles for the protection of labour of seniors who are considered as socially weak groups in the current industrial society in the context of constitutional law. Moreover, the research argues that those principles should be incorporated in designing legislation intended to promote the labour of the aging population. In accordance with these principles, this paper claims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pay more attention to maintaining job security, although Korea has thus far established policies to create jobs for the aging population. In the perspective of job security for seniors, one of the most important policies is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Of course, the Korean government recently passed new legislation to enforce extension of the retirement age to 60. However,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government needs to make more efforts in adjusting other policies in order to achieve the policy goals of retirement age extension. Essentially, this paper points out that the retirement age extension could not work efficiently without the restriction of companies to hire labourers arbitrarily before the retirement age. Also, a wage system should not be adjusted in a way to discriminate against senior labourers, although it is necessary to reduce increased labour costs after the new retirement age extension law is enforced. Last, the government needs to propose a more ambitious and longer plan to extend the retirement age to over 60 in order to reduce the time gap between retirement and pension recipients.

      • 헌법내의 과학기술의 지위와 국가의 역할에 대한 소고

        김연식(Younsik Kim) 성신여자대학교 법학연구소 2014 성신법학 Vol.- No.13

        본 논문은 우리 헌법이 과학에 대한 내용을 검토함으로써 오늘날 과학 발전의 양태에 비추어 볼 때 바람직한 국가의 역할에 대한 논의의 기초를 제공해 보고자 한다. 한국의 과학은 건국초기에 비하여 비약적으로 발전했다. 그런데 우리 헌법이 규정에 근거한 과학 정책의 특징은 국가 주도의 경제 지상주의로 요약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과정에서 순수한 의미의 과학이 설 자리가 없게 되고 과학은 정치나 경제에 의해 왜곡 되는 결과를 낳기도 한다. 그런데 더 큰 문제는 국가 주도형 과학기술 정책은 점차 한계에 다다르고 있다는 점이다. 과학정책 추진조직의 관료화 및 정치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가의 후퇴를 주장하기도 한다. 그러나 국가가 후퇴한 자리는 경제 영역이 차지하게 되면서 정치적 통제에서 벗어 나는 대신 경제적 합리성에 예속되고 있는 듯 하다. 이에 대하여 어떤 이들은 과학 기술 분야에 다시 국가 규제를 강화하자는 이야기를 하기도 한다. 다시 말해서 국가의 적극적인 개입을 통해 과학 기술의 공공성을 복원하자는 주장이다. 하지만 오늘날 많은 사회 영역은 국가의 정치적 통제에서 벗어나서 각자의 고유한 합리성에 따라 자율적 영역을 구축해 가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조건에서 전통적 방식의 국가 개입은 정당성의 문제를 떠나서 그 효과가 의심스럽기도 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논문은 과학에 대한 국가의 역할에 대한 원칙을 조심스럽게 제안해 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르면 오늘날 과학 영역에서 국가는 구체적인 지도자가 아니라 근본적인 통제자로 스스로의 역할 변화를 꾀하여야 할 것이다. 즉, 과학의 발전을 구체적으로 주도하려고 하기 보다는 과학 영역의 자율성을 보장해 주면서 그것이 다른 사회 영역을 지배하거나 거꾸로 지배 당하지 않도록 일정한 근본적 틀을 마련해 주는데 그쳐야 할 것이다. 이러한 가운데 정치는 실현 가능하지 않은 정책을 수행해야 하는 부담을 질 필요가 없게 되고 과학은 그것이 사회 영역에서 해야 하는 본래의 목적을 충실히 달성할 수 있도록 지도할 수 있을 것이다. Science in Korea has significantly developed in the perspective of technology since its foundation. However, it is fair to say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despite many amendments has considered science just as an instrument for boosting state-driven economy. Although this approach to understanding the science has made meaningful contributions to national development or economic prosperity, it leads to many different kinds of problems; especially, some point out that the science as a social system is distorted by the political or economic manipulation. What is worse is that the state`s control of the science is not working well in the current world in which any autonomous social systems including science are emerging. Therefore, some people criticize politically distorted influences of the state in social area, so that they argue for liberalization of politically-driven regulations in order to cure the harms of bureaucracy in science. But, the problem is that the economic rationality can occupy such regulatory vacuum which is created though the retreat of the nation state. Regarding this paradoxical situation, this research proposes a contextual control as a general direction for the role of the state in regulating the science. To be specific, the state needs to step down from an omnipotent position to control all social systems. Instead, the state should set up institutional frames to promote the autonomy of the science by preventing a relatively stronger social system from destroying a weak social system such as the science. In other words, the state is required to make regulations to protect the science from other unjustifiable influences instead of using regulatory skills to control the science in pursuit of a particular policy goal.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