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Lithium Tantalate 적외선 센서의 광전특성에 관한 연구

        송재용,장충근,김석원 경북대학교 센서기술연구소 1990 센서技術學術大會論文集 Vol.1 No.1

        스퍼터링(sputtering)으로 실리콘 기판위에 LiTaO_(3) 박막을 성장시켜서 비정질 적외선 센서를 제작하고, Crystal Technology회사에서 제공한 LiTaO_(3) 단결정으로 적외선 센서를 제작하여 그 특성을 비교하였다. 센서들의 출력신호, 잡음 및 검지도 등을 조사하여 본 결과 비정질 박막센서의 잡음은 두께가 얇을 수록 적었으며 단결정센서의 잡음 보다 적었다. 그러나 검지도는 단결정센서가 더 높았으며 전반적으로는 비정질 박막센서의 광전특성은 단결정 센서 보다 저조하였다. Amorphus LiTaO_(3) infrared sensors are fabricated with the thin film deposited by RF sputtering technique on silicon wafers, and single crystal infrared sensors were fabricated with the commerical LiTaO_(3) single crystal offered by Crystal Technology Ltd. The signal, the noise and the detectivity are measured, respectively. the noise of the thin film sensors decreases as the thickness decreases and it is smaller than that of the crystal sensors. But the detectivity of the single crystal sensors are higher and the overall photoelectric characteristics of the amorphous thin film sensors were inferior to those of the single crystal sensors.

      • AHCISCOPUSKCI등재
      • Prelexical Coordinate Structure in Some English Verbs

        Song,Young Sok 建國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80 인문과학논총 Vol.12 No.-

        變形文法論者들에게는 이미 陳腐한 이야기지만, 生成意味論이 내세우는 最低深層構造로서의 意味構造(Semantic Structure)란 表面構造상에 나타나는 語? 또는 形態素로 이루어져 있는 것이 아니라, 이보다 아주 根源的인 意味單位(Semantic Units)가 「나무(tree)」의 관계를 이루고 있다고 한다. 또한 모든 어휘가 삽입된 구조에만 變形規則이 適用된다고 보던, 소위 標準理論과는 달리 이 어휘이전 구조(Prelexical Structure)인 의미구조에 직접 변형규칙이 적용되어 표면구조를 유도하는 가운데 어떤 中間裏面構造(Intermediate Underlying Structure)가 個別 언어의 어휘체제에 적절한 단계에 到達하였을 때 어휘삽입이 이루어진다고 보고 있다. 生成意味論者들은 이러한 가정하에 어휘이전 구조에 많은 관심을 보여 왔다. 이들은 거위 대부분, 裏面構造에서 單一한 낱말로 나타나는 意味論的 單位간에는 補文構造(??????????) 등의 종속적 관계가 존재한다는 것을 보이는데 注力 해왔다. 그러나 이런 어휘이전 구조의 假定이 言語硏究上 타당성이 있는 것이라면,表面構造上 單文이라 할지라도 의미구조에 있어서는 意味單位 사이에 等位關係도 당연히 존재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本考에서는 일부의 영어단문의 本動詞가 의미구조에서는 等位構造로 나타내져야 한다는 것과 이 表現方法의 제시를 시도하였다.

      • BASMATI 플랫폼을 위한 애플리케이션 제어기 설계

        석성우 ( Song-woo Sok ),( Ganis Zulfa Santoso ),정영우 ( Young-woo Jung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BASMATI 플랫폼은 모바일 사용자 및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지역간 클라우드 인프라 연동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이를 위해 BASMATI 플랫폼은 모바일 사용자를 지원하는 서버 어플리케이션을 이종 클라우드 연동 환경에서 설치하고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BASMATI 애플리케이션 컨트롤러 (Application Controller)는 Application Service Provider(ASP)가 실행하고자 하는 서버 애플리케이션의 생명주기를 관리하고 서비스수준협약(Service Level Agreement, SLA) 위반을 탐지하여 애플리케이션의 재전개(Redeployment)를 포함한 SLA 위반 처리를 수행한다. 본 논문에서는 BASMATI 의 애플리케이션 제어기의 요구사항과 그 설계에 대하여 기술한다.

      • KCI등재

        의성(義城) 대곡사(大谷寺) 나한전 존상과 조각승 탁밀(卓密)

        송은석 ( Song Un-sok ) 東亞大學校附設 石堂傳統文化硏究院 2016 石堂論叢 Vol.0 No.66

        의성 대곡사 대웅전, 나한전(현), 대구 안일사 등 여러 사찰의 전각에 봉안되어 있는 존상들이 원래는 의성 대곡사 나한전(원)에 함께 봉안되어 있던 존상들임을 밝히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대구 안일사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석가불좌상, 의성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목조관음보살좌상과 목조대세지보살좌상, 그리고 신축된 대곡사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16나한상, 소조제석천상, 소조판관상, 소조사자상 등은 의성 대곡사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다가, 20세기 중반경 나한전이 파괴되자 대곡사 내의 대웅전과 대구 안일사 등지에 흩어져 봉안되었던 것으로 확인되었다. 안일사 석가상의 복장으로부터 석가불상이라는 존상 이름, 의성 대곡사라는 봉안처, 그리고 탁밀이라는 조각승의 이름 등이 기록된 발원문들이 발견되면서 본 연구가 시작되었다. 이들 발원문의 진실성 여부를 가리는 일은 본 연구의 시작을 위한 첫 번째 과제였으며, 석가상에 대한 양식 분석에 의해 조각승 탁밀의 제작품이라는 발원문 기록이 사실로 판단되었다. 또한 탁밀이 조성한 영월 보덕사 아미타삼존상(1687), 울진 불영사 삼세불상(1704)과 얼굴, 의복 등의 세부를 비교하여 분석한 결과 1694년에 제작되었다는 발원문 기록도 양식 변화 과정에 상응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두 협시보살상을 조성한 조각승과 제작 년대 그리고 존명을 검토하는 일은 두 번째 과제였다. 안일사 석가상과 대곡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두 보살상의 눈, 귀, 코 등 얼굴의 세부와 옷의 세부 표현을 비교 분석한 결과 두 보살상 역시 탁밀에 의한 제작품으로 판단되었다. 관음보살상과 대세지보살상이라는 현재의 명칭은 아무런 도상적 근거 없이 부여된 것이었으며, 원래는 나한전에 봉안되었던 미륵보살상과 제화갈라보살상일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판단되었다. 마지막으로 현 나한전에 봉안되어 있는 나한상, 제석상, 판관상, 사자상들은 얼굴의 세부 표현 방식에서 단응ㆍ탁밀파의 작품들과 동일한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그중에서도 탁밀에 의해 조성되었을 가능성이 가장 높다고 판단되었다. The written prayers marking the original gilding (1694) and re-gilding work (1955) carried out on the wooden statue of seated Sakya-muni Buddha enshrined in Anil-sa Temple in Daegu reveal that it was made in 1694 for enshrinement in Daegok-sa Temple in Uiseong. According to the prayers, the Sakya-muni statue was made along with various other statues, including Maitreya Bodhisattva, Dipamkara Bodhisattva and the sixteen Arhats, to be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Nahan-jeon Hall) of Daegok-sa Temple. Many of the original statues disappeared after the 1955 re-gilding work following the destruction of the hall, when the Sakya-muni statue was relocated to Anil-sa Temple where it is currently enshrined and the rest of the statues were moved to Daeung-jeon Hall at Daegok-sa Temple. The statues of the Arhats, Judges, Messengers, and Indra were later restored in the new Hall of Arhats, while the Maitreya and Dipamkara statues were renamed Avalokitesvara and Mahasthamaprapta and placed as acolytes on each side of the principal Buddha, Sakya-muni, enshrined in the central prayer hall of Daegok-sa Temple. However, no one knows the whereabouts of the statues of the Generals(Vajrapanis), which should have been enshrined in the original Hall of Arhats. This study aims to restore the set of sculptures of Buddhist deities originally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at Daegok-sa Temple in Uiseong, which, as previously mentioned, were later displaced from the original shrine to other locations including Daeung-jeon Hall of the same temple and Anil-sa Temple. A study of the written prayers discovered in the hidden repository inside the kya-muni statue enshrined in Anil-sa Temple, as well as the analysis of the sculptural style of the statue, revealed that it was carved by a monk-sculptor named Takmil(탁밀, 卓密). A comparison of the Sakya-muni statue with other works by the same sculptor, such as the Amitabh Buddha Triad of Bodeok-sa Temple in Yeongwol (1687) and the Buddhas of the Three Generations (1704) in Buryeong-sa Temple in Uljin, also confirmed the veracity of the record in the written prayer stating that it was made in 1694. The two acolytes of the Sakya-muni Triad enshrined in Daeung-jeon Hall of Daegok-sa Temple were also closely reviewed to reveal when they were made and by whom. A comparison of the two bodhisattvas with the Sakya-muni statue in Anil-sa Temple revealed that the statues were made by the same sculptor, Takmil; that the bodhisattvas are the Maitreya and Dipamkara statues originally enshrined in the Hall of Arhats at Daegok-sa Temple; and that their new names were given to them arbitrarily after their transfer to the new location. Finally, it has been discovered that the statues of the Arhats, Judges, Messengers and Indra in the Hall of Arhats display the same style as other sculptural works by Daneung and Takmil, suggesting that they were made by the latter. Such a conclusion is backed up by a record on “the statues of Sixteen Arhats made of clay” contained in the written prayer marking the enshrinement of the Sakya-muni statue in Anil-sa Tem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