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금속계 브레이크 디스크 재료의 열물성

        김석원,이상현 한국물리학회 2005 새물리 Vol.51 No.4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the thermal deformation, and the thermal stress of automobile brake disks have quite close relations with car safety; therefore, much research in this field has been performed. However, successful and satisfactory results have not been obtained because the temperature-dependent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brake disk materials are not sufficiently known. In this study, the thermal diffusivity and the specific heat of three kinds of iron series brake disk materials, FC250, FC170, and FCD50, and two kinds of aluminum series brake disk materials, Al MMC and A356, were measured in the temperature range from room temperature to 500 $^\circ$C, and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calculated using the measured thermal diffusivity, specific heat, density data. The result shows that the thermophysical properties of the aluminum series are larger than those of the iron series by 2 $\times$ 4 times. The obtained data are applicable as basic input data in the study of the temperature distribution and in the thermal analysis of brake disks. 자동차 브레이크 디스크의 온도분포와 열변형, 열응력은 자동차의 안전성과 직접적인 관련을 갖고 있어서 이에 관한 연구가 지금까지 많이 수행되어 왔지만 디스크의 온도에 따른 열전도도, 열확산도, 비열 등의 열물성 값을 정확히 알지못해 충분한 성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FC250, FC170, FCD50 등 3종의 주철계통 및 Al MMC와 A356 등 2종의 알루미늄 계통 브레이크 디스크/드럼재료의 열확산도와 비열을 상온 $\sim$ 500 $^\circ$C 온도영역에서 측정하고 이를 이용하여 열전도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 알미늄계 재료의 열확산도, 비열 그리고 열전도도가 주철계보다 2 $\sim$ 4배 이상 큰 값을 가짐을 확인하였고 이 결과들은 브레이크 디스크의 온도분포와 열해석의 기본 데이터로 사용될 예정이다.

      • KCI등재

        다중벽 탄소나노튜브가 첨가된 나노복합재료의 열특성

        김석원,김좌경,박수진,이상현 한국물리학회 2004 새물리 Vol.49 No.5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e thermal diffusivity of chemically surface treated multi-walled carbon nanotube (MWCNT) reinforced polypropylene (PP) composites were measured using 3$\omega$ method in the temperature range of 90 - 320 K and photoacoustic (PA) spectroscopy at room temperature, respectively. Nine kinds of samples were prepared by melt-blending PP resins with 0.1, 0.5, and 2.0 wt\% additions of non-treated, nitric acid (HNO$_3$) treated, and potassium- hydroxide (KOH) treated nanotube. The samples were compression-molded at 180 $^\circ$C into about 0.5 mm thick composite films by using a hot press. The thermal conductivity was in the range from 0.05 to 0.6 W$\cdot$m$^{-1}$$\cdot$K$^{-1}$ and increased as the temperature was increased and as the CNT concentration was increased. The chemical treatment enhanced the thermal conductivities of the 0.5 and the 2.0 wt\% samples about 2 times; however, that of the 0.1 wt\% sample by didn't chang. This can be explained qualitatively by the effects of chemical treatment on reinforcing ability for CNT/polymer composites. The thermal diffusivity showed trends smilar to those for the thermal conductivity and that could be explained of by assuming that the samples had a constant density and can start specific heat. 화학적으로 표면처리된 다중벽 탄소나노튜브(MWCNT)로 강화된 폴리프로필렌(PP) 복합재료의 열전도도를 90-320 K의 온도 영역에서 3$\omega$법으로, 열확산도를 상온에서 광음향법으로 각각 측정하였다. 질산(HNO$_3$)과 수산화칼륨(KOH)으로 각각 표면처리된 탄소 나노튜브와 표면처리되지 않은 탄소나노튜브를 0.1, 0.5, 그리고 2.0 wt\%씩 용융된 PP 수지에 첨가하여 온도 190 $^\circ$C에서 두께 0.5 mm가 되게 가열압착하여 총 9종류의 시편을 만들었다. 측정된 열전도도는 0.05 W$\cdot $m$^{-1}$$\cdot$K$^{-1}$에서 0.6W$\cdot$m$^{-1}$$\cdot$K$^{-1}$ 까지 분포하며 온도상승 및 나노튜브 함량이 증가함에 증가함을 보였다. 화학적 표면처리에 따라 0.5 wt\%와 2.0 wt\%의 함량을 가진 시편은 열전도 도가 2배 가까이 증가하였으나 0.1 wt\% 함량의 시편은 거의 변하지 않았다. 이 결과들은 화학적인 표면처리에 의해서 나노튜브와 PP 수지의 밀착이 더 향상되기 때문으로 설명되어 질 수 있다. 열확산도도 나노튜브의 함량에 따라 열전도도에 비례하여 변함을 보였으며 이는 비열과 밀도가 일정하다는 가정하에서 설명이 가능하였다.

      • KCI등재

        캐퍼시턴스 측정과 CV 기법을 이용한 페라이트 스테인리스강에 형성된 부동태 피막의 전자적 특성

        김석원,이재봉 대한금속재료학회 2002 대한금속·재료학회지 Vol.40 No.11

        Effects of Cr content and the film formation potential an electronic properties of the passive film on Fe-Cr alloys were investigated in pH 9.2 borate buffer solution. The influence of pH on both Fe-Cr and Fe-18%Cr-4%Mo alloys was also examined. According to Mott-Schottky plot results, passive films of Fe-Cr alloys characterized p-type (Cr-oxide) at E<E_fb and n-type (Fe-oxide) at E>E_fb, respectively. The doping density decreased with the increase in Cr content and the film formation potential while the thickness of the space charge layer increased. Cyclic voltammetry results showed that as Cr content increased, the peak current densities of oxidation and reduction of Fe ion species decreased, but the peaks associated with reduction of Cr^6+ to Cr^3+ increased. The reduction peaks were observed only when the passive films were formed above 0.6 V_sce. The donor concentration of Fe-18%Cr-4%Mo alloy tended to be similar to that of Fe-25%Cr alloy as the pH values decreased. AES results showed that as Cr content, the film formation potential and pH values increased, the highest peak of Cr moved from the outside to the inside within the film. AFM images for passive films formed on Fe-18%Cr and Fe-18%-4%Mo alloys showed that Mo affected the smoothness of the passive film.

      • KCI등재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와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 사이의 연관성

        김석원,정승필,이근미,권재현,윤정금,이혁기 대한가정의학회 2004 Korean Journal of Family Medicine Vol.25 No.10

        Background: In this study we estimated the prevalence of cardiovascular (CV) risk factors according to waist-to- height ratio (W/Ht ratio) in adult obese women to ensure the importance of abdominal obesity and determined the usefulness of W/Ht ratio as a index of abdominal obesity in adult obese women. Methods: The study subjects were 190 adult obese women who visited an obesity clinic from August, 2001 to January, 2003. They were divided into 4 groups: Group 1; BMI<30, W/Ht<0.6, Group 2; BMI<30, W/Ht≥0.6, Group 3; BMI≥30, W/Ht<0.6, and Group 4; BMI≥30, W/Ht≥0.6. In each group, we compared the prevalence and odds ratio for CV risk factors. Results: In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1)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2 than group 1. In high obese group, the prevalence of systolic hypertension (P<0.01), high blood glucose (P<0.01), hypercholesterolemia (P<0.01), hypertriglyceridemia (P<0.05), and high LDL-cholesterol were significantly higher in group 4 than group 3. When odds ratio for each group with reference to group 1 were compared after adjusting for age, high blood glucose (4.48), and hypertriglyceridemia (6.10) in group 2, and systolic hypertension (2.69), high blood glucose (3.02), and hypertriglyceridemia (4.00) in group 4 were significantly higher. Conclusion: The prevalence of CV risk factors were likely to be increased in higher W/Ht group independently to BMI. W/Ht ratio can be a simple, useful index for abdominal obesity and its related risk factors not only in adult males but also in adult obese women. 연구배경: 성인 비만 여성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을 평가하여 복부비만의 중요성을 확인하고 성인 비만 여성에서 복부비만의 지표로서 허리둘레/신장비의 유용성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001년 8월부터 2003년 1월까지 일개대학병원 비만클리닉을 방문한 성인 비만 여성 환자 190명을 대상으로 하여 신장, 체중, 허리둘레, 혈압, 공복혈당, 혈청 지질대사치, 체성분검사를 측정하였고 대상자를 1군; 체질량지수 <30, 허리둘레/신장비<0.6, 2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 3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 <0.6, 4군; 체질량지수≥30, 허리둘레/신장비≥0.6의 네 군으로 나누어 각 군에서 허리둘레/신장비에 따른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의 차이와 제1군을 기준으로 한 교차곱비를 분석하였다. 결과: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의 유병률은 1군에 비해 2군에서 고혈당(P<0.01), 고중성지방혈증(P<0.01)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3군에 비해 4군에서 수축기고혈압(P<0.01), 고혈당(P<0.01), 고콜레스테롤혈증(P<0.01), 고중성지방혈증(P<0.05), 위험범위의 저밀도 지단백 (P<0.05)의 유병률이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1군을 기준으로 하여 연령을 보정한 각 군에서의 교차비는 2군에서는 고혈당(4.48), 고중성지방혈증(6.10), 4군에서는 수축기고혈압(2.69), 고혈당(3.02), 고중성지방혈증(4.00)이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허리둘레/신장비는 성인 남성에서뿐만 아니라 성인 비만 여성에서도 간편하고 실용적인 복부비만의 지표가 될 수 있으며 체질량 지수와 상관없이 허리둘레/신장비가 높은 경우에 심혈관 질환 위험인자들의 유병률이 더 높게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므로 이러한 관련 질환들에 대한 예방과 치료에도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 정상면역인 69세 노인에서 대량 출혈을 일으켜 혈관 색전술로 치료한 거대세포바이러스 장염 1예

        김석원,강성훈,강선형,문희석,성재규,정현용,송규상 대한내과학회 2015 대한내과학회 추계학술대회 Vol.2015 No.1

        거대세포바이러스는 흔한 감염원으로 대부분 무증상이며,후천성면역결핍증이나 항암, 면역억제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기회감염을 일으킨다. 위장관을 침범하는 경우 복통 및 설사,혈변을 일으킬 수 있으나 대량 출혈을 일으키는 경우는 드물다. 정상면역을 가진 노인에서 거대세포바이러스 대장염에 의하여 대량 출혈을 일으켜 색전술로 지혈한 증례를 보고하는 바이다. 69세 남자 환자가 혈변이 발생하였다. 10일 전부터 발생한 발열,기침으로 폐 농양 진단받고, 항생제 치료 및 경피적 농양 배액술을 시행 받았으나 호전이 없어서 입원 1달 후 폐엽 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수술 후 항생제 치료를 유지하던 중 입원 56일째 3차례 혈변이 발생하였다. 시행한 대장내시경에서 횡행결장에 지도상의 발적과 간만곡부위와 상행결장에 백태와 자발 출혈을 보이는 현성 궤양이 관찰이 되고 있으나 다량의 출혈은 없었다. 조직검사에서 내피세포내의 봉입체와 면역조직화학 염색에서 양성소견을 보여 거대세포바이러스 장염으로 진단되었다. Ganciclovir 정주치료를 시행하였고 출혈이 없이 지내던 중 ganciclovir 사용 10일째 다시 혈변이 발생하였다. 양은 다량이었으며 활력징후가 불안정하여 혈관 조영술을 시행하였다. 혈관 조영술상에서 상장간막 동맥의 상행결장으로 가는 분지에서 조영제가 새는 것이 관찰되어 색전술을 시행하였다. 환자는 ganciclovir를 총 3주간정주 한 후 중단하였고, 이후 더 이상의 출혈이 없어 퇴원하였다. 거대세포바이러스는 대부분 면역 저하자에서 심각한 감염증을 유발하지만 드물게 면역기능이 정상인 환자에서도 위장관 감염을 유발할 수 있고, 특히 고령인 경우 면역체계의 약화로 인하여 발생확률이 더 높다. 저자들은 고령의 면역이 정상인 환자에서 대량출혈로 나타난 거대세포바이러스 장염을 혈관 색전술로 치료한 증례를 경험하여 이를 보고하였다.

      • KCI등재

        한국영화에 나타난 ‘주변부 여성’의 ‘실종된 인격’ - <깊은밤 갑자기>(1981)를 중심으로 -

        김석원,고경옥 한국사진학회 2023 AURA Vol.- No.50

        This study examined the ethics of ‘Missing Person’ of ‘Marginalized Women’ who faces Korean modern society, focusing on the 1980s Korean film ‘Suddenly, in Dark Night(1981)’, which is considered a problematic work even within the film that received an active response from the audience of the modern event. Through this film, women’s complete character as a complete subject was excluded, and the image of sacrificing for the family is clearly revealed. The psychological state of Sun-hee and Mi-ok in the movie used ‘Psychoanalysis Theory(Sigmund Freud, Jaques Lacan, Julia Christeva)’ to analyze the character’s relationship and study how the mother’s position in the role is composed. The film, directed by Ko Young-nam(1935-2003), is mentioned along with the Korean classic horror film ‘The Wrath(1986)’. It was released 40 years ago with a shocking material and then released in 2018 with improved image quality. Even now, ‘Suddenly, in Dark Night(1981)’ is a masterpiece film with a smooth theme and play development. The results of the study can be found to be meaningful in that it was analyzed from the perspective of women’s missing personality and psychoanalysis in the absence of a single study on this film.

      • KCI등재후보

        Fournier 괴저에서 박근 피판을 이용한 음낭 재건

        김석원,정웅기,이성준,민완기,정윤규,김성진 대한성형외과학회 2002 Archives of Plastic Surgery Vol.29 No.4

        Fournier's gangrene is life-threatening disease characterized by abrupt onset of a rapidly progressive necrotizing soft tissue infection involving the perineum and scrotum. In Fournier's original descriptions, the disease arose in healthy subjects without an obvious cause. Despite controversy still surrounds its etiology, current studies identify definite urologic and colorectal causes with its combined disease in a majority of cases. We experienced cases of large scrotal and perineal defect caused by Fournier's gangrene. Aggressive and extensive debridement with a parenteral broad spectrum antimicrobial agents was executed at the important points to the treatment. The patient also received adjuvant hyperbaric oxygen therapy. The clinical efficacy of hyperbaric oxygen was discussed. After control of infection and unavoidable loss of soft tissue, the major concern following Fournier's gangrene lies on the protection of the testicles and adequate volumetric scrotal appearance. The defect was successfully reconstructed with unilateral or bilateral gracilis muscle flap transposition and split- thickness skin graft. We present this article utilizing bilateral gracilis muscle flaps as an acceptable alternative in the approach to scrotal reconstruction in Fournier's gangre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