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에 대한 고찰

        이정현 ( Jung Hyun Yi ) 건국대학교 동화와번역연구소(구 건국대학교 중원인문연구소) 2007 동화와 번역 Vol.13 No.-

        방정환은 1921년에 오스카 와일드의 동화 「행복한 왕자」를 번역, 발표한 이후 계속해서 동화를 번역하여 발표하게 된다. 1922년 7월에는 『사랑의 선물』을 간행함과 동시에 『개벽』 7월호와 9월호에 2회에 걸쳐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호수의 여왕」을 번역하여 발표했다. 아나톨 프랑스의 작품 중에는 「호수의 여왕」이라는 제목의 작품이 존재하지 않지만, 이 제목과 동일한 제목의 작품이 아나톨 프랑스의 창작 동화로써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쿠스야마 마사오(楠山正雄)의 번역으로 실려 있다. 필자는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 『모한가테이분코(模範家庭文庫)』에서 『사랑의 선물』의 다섯 번 째 동화 「한네레의 죽음」이 『세카이도우와호교쿠슈(世界童話寶玉集)』에 실려 있는 미즈타니 마사루(水谷勝)역 「한네레노 쇼우텐(ハンネレの昇天)」을 저본으로 해서 번역한 것에 대해 논했다. 방정환은 「호수의 여왕」에도 「한네레의 죽음」과 같이 일본어 저본에 실려 있는 3점의 삽화를 그대로 활용하고 있어, 「한네레의 죽음」의 번역에 연이어 「호수의 여왕」을 번역해 개벽에 실은 것으로 추측된다. 이 삽화는 모두 오카모토 키이치(岡本歸一)의 그림으로 졸론 「방정환의 번역동화와『킨노후네』」에서 논한 바 있으므로 본 논문에서는 언급하지 않았다. 본 논문은 쿠스야마역과 방정환역의 삽화의 비교 및 내용의 비교분석을 함으로써 쿠스야마역 「湖水の女王」을 방정환역의 저본임을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이 작업을 통해서 근대 한국에의 아나톨 프랑스의 수용에 있어서의 근대 일본의 아동문학의 영향에 대해서 고찰함과 동시에 방정환의 번역의 특징에 대해서도 고찰하고자 했다. 이상의 목적으로 고찰한 결과, 방정환의 번역동화 「호수의 여왕」의 저본에 있어서 삽화의 일치, 그리고 내용 면에서도 완역에 가깝게 충실히 번역되어 있는 것 등의 근거로 쿠스야마 마사오역 「湖水の女王」가 그 저본으로 사용되었음을 확인했다. 그리고 필자는 쿠스야마가 사용한 저본이 아나톨 프랑스의 원작 "Abeille"가 아닌 앤드류 랑의 "The Story of Little King Loc"임도 확인했다. 방정환은 다만 쿠스야마가 제목까지 바꾸어 번역해 놓은 일본어역을 저본으로 번역을 했을 뿐이다. 내용면에서는 방정환이 1921년에 번역한 「왕자와 제비」를 결말 부분을 재화한 것과 1923년에 번역한 「성냥팔이 소녀」를 번역할 때 한국의 당시 상황을 고려해 번안한 것에 비해 등장 인물인 소인의 성격을 조금 바꾸어 묘사한 것을 제외하면 거의 완역에 가깝다. 그리고 문체의 면에서는 어린이를 생각하여 어린이들이 읽기 쉽게 전문을 한글로 표기하여 한자는 괄호 안에 넣어서 표기하는 등의 배려가 보인다. 이러한 특징은 이 작품 뿐 아니라 방정환의 동화에 전반적으로 보이는 특징으로 보이지만 이 작품에서도 그러한 특징이 눈에 띈다. 마지막으로 1920년대 초에 한국에 아나톨 프랑스의 이름과 그의 동화를 소개한 것에는 큰 의의가 있는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After Bang Jung-hwan translated and announced Oscar Wilde`s fairy tale "The Happy Prince" in 1921, he started to translate more fairy tales frequently. Bang Jung-hwan published Gift of Love on July, 1922, translated and announced Anatole France`s work "Queen of the Lake" over two times in Gebyuk, July issue and September issue at once. Among Anatole France`s work, title that is "Queen of the Lake" does not exist. But this title has created by Kusuyama in Sekaidowahogyokusyu which is a translation of Anatole France`s original fairy tale. The writer discussed that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the 5th story of "Gift of Love" in Mohankayeibunko` were the origin of Mizutani Masaru a part of "Hannere`s Ascension". It is conjectured that Bang Jung-hwan used the same three illustrations in "Queen of the Lake" as same as "Hannere`s death" which are from original Japanese work, After translation of "Hannere`s death" he translated "Queen of the Lake" then announced in Gebyuk. All these illustrations created by Okamoto Kiichi, and it have mentioned already in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and Kinnohune, so it`s not mention in main contents. Also, I wished to investigate about that investigate about Anatole France`s effect of modern age Japanese juvenile literature in accommodation to modern age Korea through this work and at the same time Bang Jung-hwan`s characteristic of translation. Results investigating by purpose of singularity, quee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of a fairy tale "Queen of the Lake" that was translated nearly faithfully into complete version, and contents of illustration by Kusuyama Masao "Queen of the Lake" is an origin of Bang Jung-hwan`s translation. And the writer confirmed Bang Jung-hwan used Andrew Lang`s "The Story of Little King Loc" as an origin not from Anatole France`s original work "Abeille". Bang Jung-hwan used original work for the translation, instead of using direct Japanese translation which Kusuyama translated. It is almost complete translation except the end part of "The Happy Prince" that Bang Jung-hwan translated in 1921 and "The Little Match Girl" that translated in 1923 which is considered the circumstance at that time of Korea and changed the personality of the part in that story. Also, used full text in Hangul readably and put all the Chinese characters inside of parenthesis for the children. Commonly these characteristics are seen by visible characteristics in Bang Jung-hwan`s animation as well as this work. Finally, we can evaluate that it was large sense to introduce Anatole France`s name and his fairy tales in Korea in early 1920s.

      • KCI등재

        일제 강점기 정재 침탈 양상 고찰 -광교기생조합의 공진회(1915) 정재 창사를 중심으로-

        강혜정 ( Kang Hye-jung ) 고려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2020 民族文化硏究 Vol.88 No.-

        본고는 『신문계(新文界)』 제3권 9호(1915년 9월호)에 광교기생조합의 정재(呈才) 창사(唱詞)가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학계에 보고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먼저 창사의 제작자를 추정하고, 창사의 내용적 음악적 특성을 분석하여, 본 창사 발견의 의의를 논의하고자 한다. 고려부터 조선조 내내 궁중에서 공연되었던 정재는 음악 반주에 맞춰 춤을 추다가 노래하는 歌舞樂이 결합된 종합예술이다. 특히 정재 중에 부르는 노랫말(창사)은 춤이나 음악보다 더 구체적으로 정재의 의미를 전달하는 역할을 해 왔기에 주목된다. 경술국치 이후 정재는 더이상 궁에서 연행되지 못했다. 정재를 담당했던 기생들은 기생조합을 결성하고 극장이나 요리점에서 일반인을 대상으로 공연하였고, 정재는 대중예술로 변화해갔다. 1910년대에는 이렇게 연행 여건이 급변 하면서 정재 공연에도 급격한 변화가 있었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관련 자료가 남아 있지 않아 정재사의 공백기로 남아 있었다. 1915년에는 일제의 식민통치5주년을 기념하는 시정오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始政 五年記念 朝鮮物産共進會)가 경복궁에서 50일간 열렸는데, 광교조합과 다동조합은 매일 이곳에서 번갈아 가며 정재 공연을 하였다. 당시 『신문계』는 공진회 기념호를 발간하여 공진회에서 공연하였던 광교기생조합의 정재 창사를 수록하였다. 이 기사의 작성자 는 ‘太華山人’이다. 이는 최영년의 필명으로 알려져 있지만, 그의 아들 최찬식일 가능 성도 열어 두어야 한다. 『신문계』에는 총 10종목의 정재 창사가 수록되어 있다. 정재 명을 보면 모두 전통적으로 궁에서 연행되었던 것이지만, 그 창사는 전혀 다르다. 즉 공진회를 앞두고 새로 만들어진 창사이다. 창사는 당대를 태평성세로 인식하고 일본 천황과 총독을 칭송하는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러한 친일 창사는 계락, 우락, 편 등 가곡창의 악곡에 얹어 부르게 하였다. 또한 ‘靈’으로 부르는 곡도 있는데 이는 <靈山會上>의 선율에 얹어 부르는 것으로 추정하였다. 이 자료의 발견으로 인해 일제 강점기 정재 창사가 어떻게 왜곡되었는지 그 단면을 파악하고, 대중문화로 변모 하면서 어떠한 변화를 꾀했는지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analyzes the Giseng (female entertainer)’s court song lyrics found in Shin moon gye (新文界) vol. 6 no. 9 (1915. Sep.). First, the court songs’ lyricist must be identified and the musical characteristics must be examined to discover the lyric’s true intentions. From the Koryo to the Josun age, the Jungjae (呈才) was originally intended to perform directly for the royal family, acting as the palace’s main source of entertainment-the Jungjae is a composite art that instructs to dance with the background instrumentals and sing without. The song lyrics of the Jungjae must be highlighted as they perform a significant role in illustrating the true purpose of the Jungjae. Post annexation, the Jungjae was removed as a court ritual. Thus, the Gisengs assigned to the Jungjae formed a union to continue as a group independent of the royal family. The union now performed for the general public, in places such as the theatre and restaurants. The Jungjae displayed a trend of popularization-entertainment for the ordinary. Considering the stage for the Jungjae suddenly changed drastically, there are reasonable suspicion for changes in the Jungjae performance itself also. However, no records have been discovered that support such a position, leaving a gap in the Jungjae history. In 1915, the Japanese’s celebration of the annexation, known as the ‘1915 Expo (施政 五年記念朝鮮物産共進會)’, initiated at the Kyungbok palace (景福宮), which would continue for 50 more days. The Gwangyo (廣橋) union and Dadong (茶洞) union performed the Jungjae at this event on alternating days. At the time, Shin moon gye published a special edition magazine dedicated for the 1915 Expo; the author with the pen name ‘the man living in the Tae wha mountain (太華山人)’ recorded the Gwangyo giseng union’s the Jungjae performance lyrics on this magazine. The author is widely accepted as ‘Choi youngnyun (崔永年)’, but we must consider the possibility of Choi youngnyun’s son, Choi chansik (崔瓚植), as a candidate for the true author. In Shin moon gye, there is recorded a total of 10 different performances of the Jungjae. Examining the title of each of the Jungjae performances, we can infer that all 10 performances correlated with those originally presented for the royal family. However, the lyrics are different for each of the performances. Thus, we can infer that these lyrics were newly created to perform at the 1915 Expo. The new lyrics acknowledge the current world as the paradise and praised the Japanese King& Chongdok. Additionally, there is a song called ‘Young (靈)’ which is presumed to be sung along the melody of ‘Young San Howi Sang (靈山會上)’. In discovering this record, the paper seeks to unveil why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version of the Jungjae was altered and how the Jungjae changed in accordance with its changing audience.

      • KCI등재

        성찰적 노스탤지어

        김홍중(Kim Hong Jung) 한국이론사회학회 2015 사회와 이론 Vol.27 No.-

        이 논문은 한상진의 중민 이론을 후기 근대적 상황에 맞추어 성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위해서 중민이론의 기본개념과 분석틀을 살펴보고, 사회이론으로서 중민이론이 갖는 특징을 ‘실천적비판이론’이라 명명한다. 이어서 중민 개념의 중요한 의미소인 ‘中’을 집중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중민 이론이 양 극단의 중간에 대한 이론적 상상계 위에 서 있음을 보이고자 한다. 중민 이론을 좀 더 발전적으로 재구성하기 위해서 나는 중민 의식 대신 중민심을 탐구할 것을 제안하고, 그것이 한국 근대성을 근본적으로 특징짓는 생존주의를 초월하려는 집합적 심리로 구축되어 있음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성찰적 노스탤지어의 감정구조를 분석함으로써 비판이론의 정서적 스탠스를 점검한다. This article attempts at reflecting on the Jung-min theory of Han Sang-Jin again in the context of late modern era. For this, I will examine basic concepts and frameworks of Jung-min theory, and by naming it praxeologico-critical theory, I try to reveal its strong points as social theory. I will also analyze the important semantic element of Jung-min theory which is the Jung(中) to show that Jung-min theory is established on the theoretical imaginary of communication. Finally I propose to explore the heart of the Jung-min instead of its consciousness, as a way of reconstructing Jung-min theory. And this will lead to the fact that Jung-min’s collective heart is oriented toward the transcendence of the survivalism which is fundamental tone of Korean modernity in terms of ethos of the people. Finally I will examine the reflective nostalgia, which would be the basic theoretical affect to reconstruct the Jung-min theory.

      • KCI등재

        방정환의 소설 「流帆」 연구

        장정희(Jang, Jung-hee) 한국근대문학회 2015 한국근대문학연구 Vol.16 No.2

        이 논문은 방정환의 초기 소설 「流帆」(흘러가는 돛)이 지닌 문학사적 위치를 진단하고 재평가를 시도한 연구이다. 「유범」은 『개벽』창간호에 ‘목성’이라는 필명으로 발표한 소파 방정환의 소설이다. 본고는 1919년 3 · 1운동 이후, 이를 소재로 취한 최초의 항일 저항소설로서 방정환의 소설「유범」을 재평가하였다. 이 소설은 표층적으로는 연애서사를 다루고 있지만, 학생들의 비밀결사 활동과 3 · 1 만세운동과 관련된 서사를 은닉시키고 ‘독립’에 대한 서사 욕망을 뚜렷하게 부조해 낸다. 본고는 방정환의 소설 「유범」에 내포된 항일 저항적 성격을 밝히기 위해 ‘서사 공간’과 ‘서사 전략’의 측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서사 공간’에서는 일제에 의해 삭제된 ‘4행’의 시편에 내포된 ‘독립’ 기표화의 전략과 소설의 무대가 된 인상산 ‘곱은성’의 지리학적 상상력에 대해 논의하였다. ‘서사 전략’의 측면에서는 「유범」에 나타난 은어의 양상을 검열 제도와 관련지어 해석하고, 소설에서 제시되고 있는 ‘오후 2시’ 기표를 ‘3 · 1운동’ 당시 ‘조선독립선언’을 발표하던 시점과 결부하여 해석하였다. 은어의 사용, 생략적 대화, 시간 축약, 공간 암시, 지시 대상의 생략 등 「유범」의서술 기법을 분석하였다. This study makes a diagnosis of the literary position that「Yoo-bum」(a flowing sail), Bang Jung Hwan"s early fiction has. And this study attempts to revalue it.「Yoo-bum」was the only fiction that the first issue of『Gae-byuk』 contained. It was also the first work of fiction that was dealt with of students" secret society activities an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It was published under a pseudonym of "Moksung’(the shepherd of stars), when the publication was made. So this work did not become well known as Bang Jung Hwan"s fiction in the history of general literature. In the mean time,「Yoo-bum」, Bang Jung Hwan"s fiction has been studied on the level of "a love story" several times. But the resistant elements to Japan of this fiction has actually been ignored. In fact, this fiction was equipped with the narrative that internalized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Lots of works have been produced in large quantities since Korea"s emancipation. However, the status of the korean literature history of this fiction is unrivaled in terms of nerrativizing those themes in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Most of all,「Yoo-bum」was also the only writing that cinematized the word of "independence" for the polling booth in the middle of going through the whole of the first issue of『Gae-byuk』. Having views on these points, this study analyzes how Bang Jung Hwan internalized his narrative desire of "Bang Jung Hwan(an intellectual as well as a young man at that time)"s independence" in his fiction「Yoo-bum」. This study analyzes the implied narrative techniques such as the use of jargon, an elliptical talk, time short, omission of the subject to instructions which 「Yoo-bum」practically used while it stood against the system of the censorship of Japanese imperialism. And this study illuminates the literary value of「Yoo-bum」 as the first anti-Japan fiction resistance since the March First movement of 1919. On discussing these things, this study examines the organic relevance between the preparation process of March First independence movement and Bang Jung Hwan"s experiential narrative in terms of a cultural history.

      • 중도문화의 지역성

        박중국(Park, Jung-kuk) 중앙문화재연구원 2012 중앙고고연구 Vol.0 No.11

        중부지역의 원삼국문화는 소위 ‘中島類型文化’로 대표된다. 박순발에 의해 제창된 중 도유형문화란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ㆍ회흑색무문양토기의 공반, ‘呂(凸)’자형 주거지, 즙석식 적석묘 등의 요소를 특징으로 하며, 이는 한성백제의 기층문화이자 濊系집단의 고고학적 문화로 이해된다. 이러한 견해는 이후 연구의 근간이 되었다는 점과 더불어 현재까지도 폭넓게 수용되고 있다는 점에서 매우 획기적인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최근 조사의 폭증으로 인해 중부지역의 고고학적 양상이 매우 다양하게 확인되면서 기존 중도유형문화의 틀로는 이를 포괄할 수 없다는 인식이 증가함에 따라 중도유형문화의 개념에 대한 비판이 제기되게 되었다. 따라서 본고는 중도유형문화를 재검토하여 그 개념을 재정립하고, 기존에 간과해왔던 중부지역의 지역성에 대한 분석을 시도하였다. 그 결과 ‘중도유형문화’라는 용어는 ‘중도 문화’로 대체하고 그 의미를 대폭 수정하여 ‘경질무문토기ㆍ타날문토기가 공반되는 ‘呂’ 자형 주거지의 공통분포권’으로 정리하였다. 그 시간적인 범위는 원삼국기부터 백제 한 성기까지이며, 공간적 범위는 중부지역에서 서해안 일대와 안성천유역을 제외한 지역에 해당된다. 중도문화를 구성하는 토기-주거지-분묘는 서로 대등한 요소가 아니라 다른 공간적 위계를 가진 요소이기 때문에 이를 기준으로 하여 大-中-小지역으로 이어지는 위계적 지역 구분을 시도해 보았다. 大지역권은 주거지의 爐시설을 기준으로 구분할 수 있다. 쪽구들 주거지가 주로 분포 하는 서울ㆍ경기지역과 노지 주거지가 주로 분포하는 영서지역과 영동지역으로 대별되는데, 이는 각각 韓濊의 생활양식이 투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中지역권은 수계와 지형에 따라 구분이 가능하며, 서울ㆍ경기지역은 북부와 남부, 영서지역은 북한강유역과 남한강유역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영동지역은 해당되지 않는다. 경기북부지역은 원삼국기에서 백제 한성기로 이행하면서 취락규모가 축소되는 경향이 확인되며, 경기남부지역은 반대로 취락규모가 확대되는 경향이 관찰된다. 북한강유역에 는 낙랑계유물의 빈도가 높게 확인되는 반면, 남한강유역에는 낙랑계유물이 거의 확인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지역차의 배경으로는 경기지역의 경우 백제와의 정치적 역학관계가, 영서지역의 경우는 낙랑과의 교역망과 관련된 것으로 이해된다. 小지역권은 현재 적석분구묘를 기준으로 추출할 수 있으며, 이는 원삼국기의 강력한 소국의 존재를 시사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 중 서울의 송파구 일대는 伯濟國, 연천지역은 臣 濆 沽國에 해당되는 것으로 추론하였다. The notion of Jung-do cultural assemblage, which claims tha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central Korea as the association of specific type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s, has been widely accepted for a long time. However, as last 20 years of excavation much revealed new archaeological data, the argument shows clear limitation and loosing its power of explanation. This thesis aims to have a critical review on the Jung-do cultural assemblage first, and then redefine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through detailed analysis of potteries, dwellings and burial types. The analysis shows that the ‘呂’-shaped dwellings, associated with hard plain pottery and beating patterned pottery, that widely distributed in central Korea, now are defined as new features of redefined Jung-do archeological culture. However, it was also noticed that there are regional variations, like heating system types of the dwellings – east and west part of central Korea. This seems to reflect different lifestyle, likely ethnic difference. Even more, the burial types showed clear differences among regions – it might be a signal of the growth of regional polities, and/or the result of their ‘peer polity interaction’.

      • KCI등재

        오정희 소설에 나타난 ‘걷기’의 의미

        강유정 ( Kang Yu-jung ) 배달말학회 2018 배달말 Vol.62 No.-

        오정희의 소설은 존재의 심연, 삶에 내재한 갈등과 모순, 욕망과 안정의 이분법을 보여주었다. 아름다운 문장과 심오한 세계관이 담긴 오정희의 작품들은 지속적 연구와 평론의 대상이 되어 왔다. 오정희의 소설은 내면적인 인물의 일상을 통해 삶의 비의와 아이러니, 한 마디로 규정하기 어려운 생의이면을 보여주곤 했다. 그런데, 역설적이게도, 오정희 소설의 철학적 깊이와 내면적 사유는 오정희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이 대부분 여성임에도 불구하고 그 차별성을 간과하는 이유가 되기도 했다. 최근에 와서 여성 인물에 주목하고, 여성성의 지표를 다시 보는 여성학적 독법이 늘고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여성학적 연구와 기존의 존재론적 연구가 분리되어 있는 것도 사실이다. 이 과정에서 여성은 존재론적 결핍, 존재론적 심연과 같은 언어들로 희석되며 그 차별성을 잃고 만다. 성차에서 비롯되는 첨예한 갈등과 문제의식이 인간으로서의 본원적 갈등으로 중화되는 것이다. 주목해야 할 점 중 하나는 오정희의 소설에 유독 걷는 여성들이 자주 등장한다는 것이다. 이 걷기는 단순히 집으로 돌아오기 위한 귀환의 통로로 여겨지곤 했지만 오정희의 소설 안에서 ‘걷기’의 의미는 훨씬 더 풍부하고, 다양하다. 여성의 삶이 처한 곤궁과 어려움, 한계, 사회적 억압이 드러나는 것은 걷는 동안, 길 위에서라고 말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오정희 소설의 걷는 여성을 추적하고, 그 의미를 구분하고 해석함으로써 오정희 소설의 걷기의 의미와 상징성을 재구성하고자 한다. 남성에게 있어 걷기는 성장의 배경이며 자아 정체성을 찾는 육체적 고행내지는 수련 과정과 동일시된다. 하지만 길 위의 여성은 가부장제를 거역하거나 혹은 가부장제로부터 아무런 보호도 받지 못하는 여성으로 취급받는다. 「순례자의 노래」의 인물 혜자는 망가진 삶을 복구하기 위해 길에 나서지만 걷는 동안 그녀는 그것이 불가능하다는 사실만을 확인할 뿐이다. 가벼운 산책을 떠나는 여자에게는 돌아올 집이 있지만 그 보다 멀리 걸어 나가거나, 이미 집을 벗어났던 여자에게 귀환은 허락되지 않는다. 집은 세상이 정한 규율 즉 가부장적 질서를 따르는 여성에게만 허용된 공간이다. 이는 자신의 존재론적 불일치를 해결하기 위해 거듭 길로 나서는 여자 은수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바람의 넋」의 은수는 전쟁고아로, 어딘가 자신의 중요한 부분이 결락되어 있음을 호소하는 인물이다. 자신의 상실을 회복하고 애도하기 위해 거듭 길을 나서지만 남편에게 그것은 거역이며 길 위의 남자들에게는 빌미일 뿐이다. 추방과 폭력으로 돌아 온 은수의 걷기는 길 위의 여성이 겪어야만 하는 폭력과 오해가 어떤 것인지를 잘 보여준다. 만약 가정을 가진, 엄마이자 아내인 여성에게 허락된 걷기가 있다면 그것은 아이를 재우고 난 이후, 동네 주변을 도는 가벼운 산책이거나 아버지가 잠든 후 집 앞을 잠시 도는 정도의 산보에 불과하다. 「전갈」의 여자는 남편처럼 아프리카의 밀림을 꿈꾸지만 아내이자 엄마로서 그녀에게 허용된 것은 산책뿐이다. 「새벽별」의 정애가 하루 밤의 일탈 후에 다시 집으로 돌아가지 못할 듯한 공포를 느끼고 인생이 모두 끝나버린 여자라는 주변의 평을 듣는 이유도 마찬가지이다. 오정희 소설에 있어서 많은 여성 인물들이 반복적으로 걷는다. 목적지를 두고 어딘가로 이동하는 게 아니라 방황하며 거리를 헤맨다. 이 걷기는 단순한 서사적 관습이 아니라 오정희 소설의 중요한 문제의식을 담고 있는 상징이다. 여성 인물이 길 위를 걷는다는 것이 어떤 결말의 징후가 되기 때문이다. 문제적인 것은 이 헤맴이 자아의 성찰이나 회복, 정체성의 확보로 이어지는 게 아니라 폭력과 추방의 원인으로 받아들여진다는 점이다. 여성의 길 나섦, 걷기가 여로형 서사와 다르게 추방과 낙오의 결말로 이어지는 이유도 같은 맥락에 있다. 오정희 소설에 있어서 ‘걷기’는 여성으로서의 한계와 가부장제의 억압, 여성으로 살아가기의 어려움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문학적 상징이자 행위이다. The novels by Oh, Jung-Hee have been recognized as the excellent literary imagery showing the dichotomy of an abyss of beings and conflict/contradiction, and desire and stability. One thing we should pay attention to is that almost every work by Oh, Jung-Hee repetitively shows 'walking women' besides 'family'. The motif of 'walking' repetitively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is not a simple repetitive act, but an act revealing the gender difference and an ontological act showing all the meaning, limitation, and restriction of lives as women. Making them come back home after going out is not important. It would be necessary to have questions such as what makes them go out, what makes them come back, and why the act of 'walking' for women should be named 'taking a walk' or 'going out' that always has destinations. The repetitive motif means that it contains the narrative symbolism. When walking on the street which is not allowed to women instead of house allowed to women, the reality of female characters in the novels by Oh, Jung-Hee could be more solidly viewed.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analyze/understand the meanings of 'walking' for women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by analyzing the walking always shown in the novels by Oh, Jung-Hee to examine the parts that have not been revealed in the novels by Oh, Jung-Hee, and also recomposing the imagery process of gender differentiation as women.

      • KCI등재

        論文(론문) : 大腸正格證(대장정격증)과 장누수증후군(Leaky Gut Syndrome)과의 관계 考察(고찰)

        이진철 ( Jin Cheoul Lee ),박상균 ( Sang Kyun Park ),방정균 ( Jung Kyun Bang ) 대한한의학원전학회(구 대한원전의사학회) 2013 대한한의학원전학회지 Vol.26 No.4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e-Jang-Jung-Gyeok(大腸正格) and Leaky Gut Syndrome Lee Jin-Cheoul1·Park Sang-Kyun2·Bang Jung-kyun3 *1Dept. of Medical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Kyunghee University 2Dept. of Meridian,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3Dept. of Korean Medical Classics and History, College of Korean Medicine, Sangji University Objective: If the penetration ratio of the intestinal mucosa is increased, the toxic or unhealthy materials - which should not be absorbed into our bodies - will be come into our bodies. They cause a sort of anti-toxic response or confusion of the immune system, and ultimately bring various types of diseases. This syndrome is related "Poison in Excrement" or "Internal Damage(內傷發□)" and Leaky Gut Syndrome, so I will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Method: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Dae-Jang-Jung-gyeok and Leaky Gut Syndrome. Result: Korean doctors in ancient times called this syndrome "Poison in Excrement" or "Internal Damage(內傷發□)" and treated it with "Dae-Jang-Jung-Gyeok(大腸正格)". Leaky Gut Syndrome is a sort of clinical lesion, which allows foreign and harmful toxins in and results in a disorder of the immune system due to the leaking intestinal mucosa. Conclusion: Based upon the analyses, Dae-Jang-Jung-Gyeok and Leaky Gut Syndrome are closely related. Therefore diseases caused by the Leaky Gut Syndrome might be expected to be cured by Dae-Jang-Jung-Gyeok. Particularly the use of treatments for self-immune diseases and allergic diseases such as atopyic dermatitis and articular rheumatism should be expected to reveal a new path of treatment for other disorders such as Leaky Gut Syndrome. Key Words: Poison in Excrement, Internal Damage(內傷發□), Dae-Jang-Jung-Gyeok(大腸正格), Leaky Gut Syndrome

      • KCI등재

        정성일의 <오아시스> 비판에 투영된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 - 정성일 영화비평에 대한 일고찰 -

        박우성 ( Park Woo-sung ),정수완 ( Jung Su-wan ) 국제어문학회 2015 국제어문 Vol.0 No.67

        본 연구는 영화비평가 정성일이 <오아시스>(이창동, 2002)에 대해서 쓴 비평문「판타지, 기만적인 환영술」을 비판적으로 분석한다. 그간 한국영화계에서 영화비평은 독립적인 분과로 논의되지 못했다. 산적하는 영화들 안에서 영화적 가치를 발굴해 정리하고 새로운 영화 언어를 대중 언어로 번역하는 것이 영화비평의 역할이라 했을 때 이는 문제가 있다. 영화비평에 대한 그간의 접근은 한국영화사의 맥락에서 특정 영화비평집단을 세대론적으로 조망하거나 특정 개인의 비평 세계를 전기적 관점에서 서술한 것에 머문 한계가 있다. 정성일은 1990년대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국의 대표적인 영화비평가이다. 호불호가 갈리지만 그의 글은 대중들 사이에서 영화비평이라는 개념이 성립되는 과정에 주요한 이미지를 제공했다. 특히 본 연구가 다루는 정성일의<오아시스> 비판은 논쟁 참여를 전제해 작성된 덕분에 비평담론 자체가 중심에 서있고 무엇보다 정성일의 영화에 대한 태도가 여타의 글에 비해 명확하게 드러나는 특징이 있다. 더구나 그 논쟁은 영화의 윤리, 완성도, 자의식 등을 두고 벌어진 영화비평계 내부의 마지막 논쟁이라는 영화비평사적 의의도 있다. 나아가 영화 한편에 대한 긴 글이기 때문에 한국의 대표적 비평가가 영화를 비평하는 구체적 실천 양상이 현장감 있게 녹아 있기도 하다. 영화를 종교처럼 대한다는 비판이 존재하지만 정성일 영화비평의 경쟁력은 숏의 배치, 장르 문법, 카메라 시선과 같은 영화의 자의식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에서 나온다. 영화란 무엇인가와 같은 근본적인 질문에 기반을 둔 이런 태도는 영화를 여타의 학문에 종속시킨 종래의 비평 태도와 차별되며 영화를 진지하게 바라보는 태도를 대중화시킨 의의가 있다. 하지만 그것만큼의 오류도 발견된다. <오아시스>를 비판할 때 투영되는 정성일의 관점의 가능성과 한계를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한국영화비평의 전성기를 주도했던 한 영화비평가의 개성적 세계관을 비판적으로 조망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독립적인 분과로 인식되기는커녕 죽음까지 운운되는 영화비평의 위기 시대에 한국의 대표적 영화비평가의 세계관이 상징적으로 녹아 있는 글을 정밀하게 분석하는 것은 그것 자체로 의미 있다. This study analyzes the critique “Fantasy, deceptive hallucination” which sung-il jung wrote about < Oasis >(Changdong Lee 2002). Film critique has not been recognized and discussed as an independent field in the Korean film industry so far. It can be problematic if the role of film criticism is to get the cinematic values arranged among the pile of films and to translate new cinematographic language into the public language. The approach to the film critique to this point has limitation that in the context of Korean film industry, it viewed certain group of film critics in the perspective of theory of generation and it described certain person`s world of criticism in a biographical way. sung-il Jung is one of the representative film critics in Korea who lead the golden age of Korean film criticism in the 1990s. His writings provided important image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film critique among the public, even though they are controversial. The Jung`s criticisms this study exclusively deals with are based on the premise of argumentative participation, so the discourse is central and fundamental, and it brings out the cinematic view of Jung precisely compared to the other writings and articles, which is the advantages of this study. Moreover, the argument has significance in the field of film criticism for being the last dispute inside the field of film critique over the morals, degree of completion, and the consciousness of identity. Above and beyond, because this paper is a long writing about a movie, it contains detailed and vivid practical aspect which the representative critic of Korea criticizes the movie. Although there are criticisms of discussing movies like a form of religion, sung-il Jung`s film critique is competitive for detailed and precise analyze of films` sense of identity such as plot of shots, code of genre, and the eyes of cameras. This attitude based on the fundamental questions such as what is film is considered significant for popularizing and promoting earnest attitude toward movies, and is differentiated with the traditional attitudes of criticism which are to subordinate films in the other fields of study. However, due to being so, some errors are discover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outlook a distinctive world view of a film critic who enjoyed the film critique`s prime by concretely describing its possibilities and limitations through revealing Jung`s point of view which is his prerequisite for watching movies. The work of precise analyzing of one of the Korean representative film critics` writings which contains symbolic world view is significant and meaningful by itself in the time of the film criticisms` crisis when the idea of the demise of film criticism is being mentioned, let alone its separation as the independent field.

      • 김정한론

        정호웅 弘益大學校 人文科學硏究所 1994 人文科學 Vol.2 No.-

        Abstract This paper is the study on the works of Kim, Jung-Han(1908- ). I have tried to make clear the specific characters and, the limitations of the works of Kim, Jung-Han. Thus I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1. Kim, Jung-Han's literature is related to the literature of enlightement in 1920, 30's. Especially, the positiveness of the hero, and the oppositive structure of the affirmative and the oppositive, and hero's firm faith in the moral justness. In short, those are same in respect of the literature of enlightmental rationality. 2. But because of those features Kim, Jung-Han's literature had to have some probems. Those are the simplicity of structure and character, and the weakening of reality, and thus the intercetpion of creative reading. 3. Kim, Jung-Han's literature show on the whole the world of faternity. that is a protuct of the last korean history. But in the late period Kim, Jung-Han's literature transformed to the maternity including faternity, especially in 「Surado(修羅道)」 that is the victory of the true artistic sprit.

      • KCI등재

        서정주의 「김소월 시론」을 통해 본 현대시와 전통

        허혜정(Huh Hye Jung) 동악어문학회 2011 동악어문학 Vol.56 No.-

        일제말기 ‘국민시론’에서 출발한 서정주의 전통론은 해방기에 이르러 문학의 정치성에 대한 회의와 불신, 그리고 모더니즘 시의 방만한 개인주의적 표현에 대한 비판의식 속에서 정밀한 논리로 구체화된다. 이 과정에서 전통을 불변하는 문학적 보편성과 당대성의 대화로 이해한 엘리어트의 전통론은 서정주의 전통론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유럽문화전통을 재건하기 위해 “고전적 지혜의 회복”을 역설한 엘리어트처럼 서정주는 한국의 고전들에 눈을 돌렸고, 역사의식, 통합적 감수성, 시적 지성 등의 논의를 빌려 동양문예전통과 유기체적 관계를 이루는 한국문학의 전통을 설계하고자 했다. 그 과정에서 서정주는 ‘지, 정, 의’의 통합적 시정신과 서구의 “아의 시학”과는 다른 “무아(無我)의 시학”을 제기한다. 서정주의 전통론이 총체적으로 투영되어 있는 「김소월 시론」에서 서정주가 주목한 것은 바로 ‘정조’였다. 소월의 시는 정통운율, 토속어 등을 통해 역사적 체험의 여과물인 ‘정조’를 표현함으로서, 멀리는 향기같은 고전텍스트에서 발견되는 “한국적 정서”를 상속한다. 하지만 ‘전통’이라는 대명제에 집착하는 문학적 보편 주의로 인해 현대시가 줄기차게 개발해온 스타일이나 미적 특질에 대한 천착이 미비한 것은 서정주 시론의 가장 큰 한계이다. The tradition theory of Jung-joo Suh that has set off from the ‘people's poetics’ in the closing period of Japanese colonial rule becomes concrete as a accurate and precise logic, amid the skepticism and distrust in which literature harbors against politics at the end of liberation and th critical consciousness against the indulgent expression of individualism in modernism poetry. In this process, the Eliot's traditional theory that understood the tradition as unchangeable universality of literature and the contemporary dialogue of the moment is seen to have exercised the considerable influence on that of Jung-joo Suh. Like Eliot who laid stress on “restoring of classic wisdom” so as to reconstruct the tradition of European culture, Jung-joo Suh, too, was attracted by the classics of his country, and attempted to architect the tradition of Korean literature that bears relation to the organic tradition of oriental literary, by borrowing the discourse of historic consciousness, integrated receptivity, and poetic intellect, etc. While in the course, Jung-joo Suh brings in the “poetics of raptures”, which i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unified spirit of “sense, affection, integrity” and the “poetics of bon ton” of occident. It was the ‘rhyme’ that what Jung-joo Suh paid attention to in the ?Poetics by So-wol Kim? that mirrors en bloc his own theory of tradition. Poems of So-wol inherits “Korean-style emotions” that is found in the classic texts which are of the remote air-filled fragrance, by revealing ‘lyric rhyme’, a something filtered having been accumulated from historical experiences through the authentic rhythm and tongues of folkways, and so forth. Nonetheless, it falls on as a big limitation that his theory of poetics lacks in exploring the style or aesthetic trait that have been ceaselessly developed by the modern poetic works on account of literary universalism that sticks to the great preposition called as ‘trad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