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가상평가법(CVM)에 의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에 대한 경제적 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

        김영하,박승범,Kim, Yeong-Ha,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4 韓國造景學會誌 Vol.42 No.2

        본 연구는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민간기금 조성측면에서 부산시 APEC기념공원을 대상으로 가상평가법(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을 이용하여, 쾌적한 도시공원 유지를 위한 거주민이 인식하는 경제적 가치를 평가했다. 그 결과, 부산시 APEC기념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해 월 가구당 지불 가능한 추정금액은 5,673원에서 8,358원으로 평가되었다. 추정금액을 공원 유치권역의 가구로 확대하여 살펴보면, 2012년 편성된 공원 관리예산의 2.2~3.3배 수준으로 분석되어, 지역 거주민들이 인식하는 쾌적한 공원 유지를 위해 지불의사금액이 편성된 관리예산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영향을 주는 응답자의 사회적 요인으로는 연령, 교육수준, 소득으로 분석되었으며, 연령대가 높고, 교육수준이 높은 응답자에서 지불의사가 높은 것으로 평가되었다. 또한, 거주민의 공원이용 및 인식에 따라 도시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지불의사금액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공원이용 빈도가 높은 거주민이 지불의사가 높으며, 주1회 이상 공원이용자가 전체 지불의사금액보다 1.1배 높은 추정금액으로 평가되었다. 그리고 공원의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보다 공원을 만족하는 것이 더 높은 지불의사금액으로 이어지는 것을 밝혀냈다. 따라서 공원 만족도 제고를 위한 공원시설관리 및 이용프로그램 운영이 필요하며, 공원에 대한 인식을 기부로 연결할 수 있는 공원문화 보급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study evaluated economic value recognized by the residents for the pleasant urban park management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CVM) to APEC Memorial Park in Pusan in terms of private fund development for the management of the city park. As a result, the estimated amount payable by each household for the management of APEC Memorial Park in Busan was between 5,673 won and 8,358 won. If such amount is expanded to households in park hosting area, it was 2.2~2.3 times of the park management budget in 2012, which demonstrates the willingness to pay (WTP) of residents for pleasant park was higher than the management budget. Social factors of respondents affecting WTP for city park management operation included age, educational level and income level. Those with high age and high education level had higher WTP. And, WTP was much affected by the use of park and recognition of residents. In particular, those with high frequency in the use of parks had higher WTP, and the users with more than once per week had 1.1 times higher WTP than overall WTP. Then, the satisfaction of park rather than recognition of necessity of park had led to higher WTP. Accordingly, it is necessary to manage park facility management and use program operation to enhance park satisfaction and it is also required to develop a park culture distribution policy to link such recognition to donation.

      • KCI등재

        부산광역시 도시공원의 관리운영 실태 분석에 관한 연구 - 관리주체측면을 중심으로 -

        김영하,안양욱,박승범,Kim, Yeong-Ha,An, Yang-Wook,Park, Seung-Burm 한국조경학회 2012 韓國造景學會誌 Vol.40 No.6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 조성 완료된 근린공원 69개소를 대상으로 관리하는 운영주체에 대한 파악과 그 실태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공원녹지 관련 업무자료 및 담당자와 면담, 그리고 도시공원의 예산편성 자료를 바탕으로 관리주체를 조사하였으며, 위탁관리 및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되는 경우는 홈페이지 및 직접방문을 통한 자료 수집을 통해 연구를 진행했다. 공원의 관리방식은 자치단체의 본청과 사업소에서 직영관리가 48개소(69.6%), 공단 및 민간단체에 위탁관리가 18개소(26.1%), 직영관리와 위탁관리를 병행하는 혼합관리가 3개소(4.3%)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도시공원의 관리 실태를 종합분석한 결과, 위탁관리하고 있는 공원은 공원의 총괄 관리가 미약하며, 공원관리가 조경 및 청소 등의 유지관리 위주로 관리되어 이용자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이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기초자치단체에서 관리되고 있는 총 46개소의 공원은 대부분 규모가 작은 근린공원이며, 공원의 유지관리를 위해 무기계약직 근로자 및 기간제근로자를 고용하여 관리하고 있어, 공원 관리운영을 위한 전문 인력 및 조직체계가 개선이 시급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공원 내 교양시설은 별도의 기관에서 관리하고 있어, 공원 내 공원시설이 아닌 독립된 교양시설로서 공원관리와 분리된 형태로 관리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의 해결 방안으로는 공원의 적정인원 고용에 대한 법제화 및 제도적 개선, 시민단체와의 협력적 네트워크 구축, 시대변화에 따른 이용프로그램 기획 및 개발과 더불어 이용객 위주의 프로그램 관리를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is study aims to figure out the main agent of management in the 69 recently constructed neighborhood parks in Busan, and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of the main agents. For this purpose, the work resources on park and landscape management, interview to related staff, and the budget on urban parks were found as the main agents of management. In case the parks were managed by consignment or by other separate organization, this study collected resources through the homepage or personal visits. As a result for the management method on parks, about 48 parks(69.6%) were under direct management by the local governments' main office and its business offices. Eighteen parks(26.1%) were commissioned to corporation or private organizations and three parks(4.3%) were operated by both direct and commissioned management. Because of the overall management result on urban parks, the company under outsourced management is not sufficient for a comprehensive management. Such is mainly focused on the maintenance like landscape or cleaning, but have fewer programs for the users. Forty-six parks cared by the local governments are mainly small sized neighborhood parks. For the management, contract workers or short-term workers are hired. It demonstrates an urgent need to improve professional personnel and organizational system for park management. In addition, any educational or cultural facility in the park is managed by separate institutions. Thus, it is not controlled as a park facility but an independent facility with separate controls. Moreover, to solve such problems, it needs legalization on the proper employment for parks, institutional improvement, cooperative network with NGO, planning and development of the program used according to the change of time, and customer oriented program management.

      • KCI등재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섬)학회 2018 韓國島嶼硏究 Vol.30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8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에 위치한 상록침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77개의 방형구를 설정하고, 대흑산도의 상록침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군락 등으로 구분되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곰솔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곰솔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곰솔-소나무군락, 곰솔-우묵사스레피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조사된 곰솔군락은 대흑산도 진리, 읍동, 마리, 소사리, 예리, 심리 등의 주로 해안에 인접한 서사면부와 산지대 저해발의 능선지역에 군락을 이루고 있었다. 대흑산도에서 조사된 소나무림에서는 상관 우점 종에 의하여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소나무-사스레피나무군락, 소나무-곰솔군락, 소나무군락으로 구분되었다.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진리, 청촌리, 천촌리 등의 저해발 사면부 및 해안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대흑산도에서는 소나무군락과 곰솔군락이 부분적으로 상록활엽수림과 혼재하면서 생태적 경쟁에 따라 자연 천이가 진행되어 군락내의 각 계층구조별 다양한 종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교목 층에서는 구실잣밤나무, 후박나무, 소나무, 곰솔 등이, 아교목층에 구실잣밤나무, 사스레 피나무, 동백나무, 후박나무, 예덕나무 등이 주요 우점 종으로 나타나면서 향후 지리적 특성과 기후환경변화에 따른 상관 우점종의 변화가 예상된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침엽수림 군락은 소나무-소사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곰솔-동백나무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소나무-동백나무군락, 곰솔-사스레피나무군락, 곰솔-후박나무군락, 소나무군락, 곰솔군락, 소나무-후박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침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43.52%로 나타났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2014 to January 2018 in the evergreen coniferous forest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77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the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the following 14 communities :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thunbergii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Eurya emarginat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Mallotus japonicus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thunbergii, and it formsa community on coastal hillsides and southwestern slopes mainly in the Daehuksan Island Jinri, Eupdong, Mari and Sorasi village. In the case of dominant species studied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forest was dominated by the dominant species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densiflora-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rponus turczaninow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The investigated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Pinus densiflora an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and it is clustered around the villages of Daehuksan Island Jinri, Yeri, Simri and Chilrak mountain and the Northeast slope. In Daehuksan Island, Pinus densiflora community and Pinus thunbergii community are mixed with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and natural transition occurs according to the ecological competition of these communities.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Machilus thunbergii, Pinus densifloraandPinus thunbergii. The most important dominant species in the subtree layer ar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boldii, Eurya japonica, Camellia japonica, Machilus thunbergii, and Mallotus japonicus.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coniferous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Pinus densiflora -Carpinus turczaninow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Pinus densiflora-Camelli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Eurya japonica community, Pinus thunbergii-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thunbergii community, and Pinus densiflora-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coniferous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43.52%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다도해 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조영준 ( Cho Yeong-jun ),김하송 ( Kim Ha-song ),명현호 ( Myeong Hyeon-ho ),박정원 ( Park Jung-won ),오장근 ( Oh Jang-geun ) 한국도서학회 2017 韓國島嶼硏究 Vol.29 No.1

        본 연구는 2014년 4월부터 2017년 1월까지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을 중심으로 현지답사를 통하여 식생조사를 실시하였다. 다도해해상국립공원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구조 특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38개 방형구를 설정하였다. 대흑산도의 상록활엽수림 식생은 임상도(1:5,000)를 바탕으로 각 폴리곤에 따라서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으로 구분하였다. 식생학적 정보를 바탕으로 식생단위를 추출하는 방법에 따라 우리나라 상록활엽수림인 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별로 분포지, 서식지 특성, 주요 분포종 등을 비교하였다. 조사된 구실잣밤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 사리, 비리, 심리, 소사리 등의 주로 남서사면과 계곡부에 군락을 이루고 있다. 상관형으로는 상록활엽수림이며, 군락구조는 4층 구조로서 높이는 교목층이 12-14m이며 평균 식피율은 교목층 95%, 아교목층 45%, 관목층 51%, 초본층 58%로 나타났다. 한반도에 분포하는 후박나무림의 식생단위는 후박나무-큰천남성군집, 후박나무-섬바디군집, 후박나무-밤일엽군집, 후박나무군락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후박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예리마을, 소사리, 마리 등의 마을주변에서, 붉가시나무군락은 대흑산도 문암산 정상부근과 비리마을 상부지역에서 분포하였다. 동백 나무림의 식생단위는 동백나무전형군집, 동백나무-후박나무군집, 동백나무-곰솔군집, 동백나무-구실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까마귀나무군집, 동백나무-모밀잣밤나무군집, 동백나무-붉가시나무군집, 동백나무-참식나무군집, 동백나무-생달나무군집 등이 발표되었으며, 대흑산도에서 동백나무군락은 대흑산도 사리마을, 심리 마을 주변 저지대 및 구릉지을 중심으로 분포하였으나 인간의 간섭으로 인해 교목층의 식생이 교란된 지역이 많았다. 본 조사지역에서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들을 중심으로 현존식생도를 제작하였다. 현존식생도에 나타난 주요 상록활엽수림 군락은 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소나무군락, 소나무-구실잣밤나무군락, 구실잣밤나무-곰솔군락, 곰솔-구실잣밤나무군락, 후박나무군 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 등으로 구분하였고, 대흑산도 상록활엽수림 면적은 전체 삼림 면적 중에서 58.01%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대흑산도의 주요 상록활엽수림은 구실잣밤나무 군락, 후박나무군락, 붉가시나무군락, 동백나무군락 등이며, 향후 이들 군락이 기후변화, 인위 적인 간섭, 자연천이 요인들에 의하여 각 군락의 종 구성 변화가 빠르게 나타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research was carried out from April of 2014 to January of 2017 in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s around Daehuksan Island in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A total of 38 plots were set up in this study area, and plant communities were divided into 8 communities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Overall, in order to extract vegetation units based on the vegetation ecological information of the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Korea Peninsula, a comparasion study was conducted. The distribution area, habitat characteristic and its main distribution of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were compared for this study. The investigated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the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It forms a community in the southwestern slope and valleys of the Daehuksan Island Yeri, Sari, Simri and Sorasi village. The investigated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Machilus thunbergii. It forms a community in and around towns, mostly in Daehuksan Island Yeri, Sorasi and the Mari village. The investigated Quercus acut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Quercus acuta, and it forms a community in the top of Mt. Munam and the upper part of Viri village. The investigated Camellia joponica community is a community identified by Camellia joponica, and it was distributed around Daehuksan Island Sari, Simri village, and lowlands and the hilly area. However, there were many areas where tree vegetation was disterbed due to human interference. The actual vegetation map produced by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the survey area. The main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communities represented in the vegetation map were divided into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densiflora community, Pinus densiflora-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Pinus thunbergii community, Pinus thunbergii-Castanopsis cuspidata var. sievoldii community, Machilus thunbergii community, Quercus acuta community and the Camellia joponica community. The area of evergreen broad-leaved forest in Daehuksan Island is 58.0% of the total forest area.

      • KCI등재

        煎湯方法의 變化에 의한 五積散 물추출액이 Hydrocortisone acetate로 유발한 瘀血病態에 미치는 효과

        서부일,김미려,박지하,지선영,Seo, Bu-Il,Kim, Mi-Ryeo,Park, Ji-Ha,Ji, Seon-Yeong 대한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 2001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Vol.14 No.1

        This study was performed to compare the effect of Ojeoksan which have extracted by varied extractor(press extractor : PE, pressless extractor : PLE, short acting extractor : SE) on model of blood stasis in rats, Except for the normal group, hydrocortisone acetate(HA;25mg/kg in ethanol. IM) to induce experimental blood stasis model for 1 weeks and each extract of Ojeaksan was administrated after 1hr following HA injection for 1week. We measured the hematocrit, the platelet count, the prothrombin time, levels of fibrinogen in rats' blood, The sample Ⅰ(Ojeoksan extracted by P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hematocrit. prothrombin time an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platelet count, levels of fibrinoge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The sample Ⅱ(Ojeaksan) extracted by PL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hematocrit and significant increase of levels of fibrinoge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Administration of the sample Ⅲ(Ojeaksan extracted by SE) group showed significant decrease of hematocrit and significant increase of the platelet count, levels of fibrinogen in comparison with those of the control group.

      • KCI등재

        ACCase 저해 제초제 cyhalofop-butyl에 대한 경남지방 수집종 피의 저항성

        원종찬,원옥재,하준,임일빈,강광식,변종영,박기웅,이증주,Won, Jong Chan,Won, Ok Jae,Ha, Jun,Im, Il-Bin,Kang, Kwang Sik,Pyon, Jong Yeong,Park, Kee Woong,Lee, Jeung Joo 한국잡초학회한국잔디학회 2018 Weed & Turfgrass Science Vol.7 No.2

        Repeated use of ACCase inhibiting herbicides for a long time has resulted in increases of resistant Echinochloa oryzicola populations in paddy fields in middle west area of Korea.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current status of herbicide resistant E. oryzicola in Gyeongsangnam-do, in which there is less information about herbicide resistance. For resistance frequency and dose-response study, seeds from 100 individual plants of E. oryzicola in Gyeongsangnam-do were collected and tested with cyhalofop-butyl. Seven percent of plants from Gyeongsangnam-do was resistant at a recommended rate of cyhalofop-butyl. $GR_{50}$ values (herbicide rates required to reduce plant growth 50%) for one representative resistant populations and five susceptible populations were $738g\;a.i.\;ha^{-1}$ and 66-234 (average 147)$g\;a.i.\;ha^{-1}$, respectively, indicating average 5 times difference in resistance. Although lower rate of frequency of herbicide resistance in Gyeongsangnam-do than in Jeollabuk-do, increases of herbicide resistance are expected in this area because of increases of direct seeded rice fields and increases of dependence on a specific herbicid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onitor herbicide resistance regularly and conduct integrated herbicide resistance management in this area. 경남지역 제초제 저항성 피의 발생현황과 저항성 정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벼 재배 논에서 100개체의 피 종자를 수집하여 ACCase 저해제인 cyhalofop-butyl에 대한 약량반응 실험을 수행한 결과, 수집한 피의 7%가 저항성으로 조사되었다. 선발된 감수성 5개체의 $GR_{50}$값은 평균 $147g\;a.i.\;ha^{-1}$로 나타났고, 함양 지역의 저항성 개체의 $GR_{50}$값은 $738g\;a.i.\;ha^{-1}$ 로 R/S (ratio of resistance to sensitivity)값은 5.01배로 나타났다. 현재 경남지역에서의 저항성 피의 발생 수준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저항성 피의 확산을 지연시키거나 막기 위해서는 주기적인 저항성 피의 모니터링과 체계적인 저항성 잡초 관리방안을 마련하여 수행할 필요가 있다.

      • SCOPUSKCI등재

        아크릴아미드 고정 구멍갈파래에 의한 중금속 Cd(Ⅱ), Pb(Ⅱ) 이온의 흡착특성 (Ⅰ)-Column법

        박광하,권영두,정영진,장은경 한국공업화학회 2004 공업화학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동해안 해조류인 구멍갈파래를 아크릴아미드에 고정하여, Cd(Ⅱ) 및 Pb(Ⅱ) 중금속 이온의 흡착 특성을 살펴보았다. 수순한 Ulva pertusa 및 Si-Ulva pertusa 흡착제보다는 아크릴아미드에 고정화된 Ulva pertusa의 경우 많은 양의 중금속이 흡착되었으며, Pb(Ⅱ) 이온이 Cu(Ⅱ) 이온보다 더 잘 흡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제의 농도가 작은 경우 중금속 이온의 흡착량은 pH에 큰 영향이 없었으나, 흡착제의 농도가 클 경우 중금속 이온의 흡착량은 pH에 큰 영향을 받았다. pH에 따른 중금속 이온의 흡착량은 pH 10.5 > 8.5 > 7.0 > 5.5 > 3.5 순으로 나타났다. 아크릴아미드에 고정화된 Ulva pertusa의 단위 질량에 대해 Cd(Ⅱ) 및 Pb(Ⅱ) 이온의 최대 흡착량은 각각 최대 8.73 ㎎과 13.20 ㎎으로 나타났다. 또한 Cd(Ⅱ) 및 Pb(Ⅱ) 이온의 회수율은 pH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었으나, 각각 61.3~75.5% 및 61.4~54.1%로 나타났다. 중금속 이온의 회수에 있어서 산성 조건이 알칼리성 조건보다 효율적이었으며, 본 실험에 의한 중금속 이온의 흡착 특성은 Freundlich 흡착 특성과 잘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Adsoprtion characteristics of Cd(II) and Pb(II: heavy metal ions onto the Acrylamide-immobilized Ulva pertusa, and algae of the eastern coastal area. was examined in this work. Much amounts of heavy metal ions were adsorbed onto the Acrylamide-immobilized than either bare Ulva pertusa or Si-Ulva pertusa. It was also observed that Pb(II) was more readily adsorbed on the algae that Cu(II). The adsorption amounts of heavy metal ions showed no great dependence on the pH value at low adsorbent concentration, but those were high dependent on pH value at high adsorbent concentration. The adsorption amounts of heavy metal ions were in the following order; pH 10.5 > 8.5 > 7.0 > 5.5 > 3.5. The maximum adsorption amounts of Cd(II) and PB(II) onto Ig of Acrylamide-immobilized Ulva pertusa were 8.73 mg and 13.20 mg, respectively. It was found that recovery yields of Cd(II) and Pb(II) ions were in the range of 61.3∼75.5% and 61.4∼54.1% depending on the pH level. In the heavy metal recovery, acidic condition was more efficient that alkaline condition. The adsorption behavior of these heavy metal ions was well matched with the Freundlich adsorption isotherm.

      • 경사진 트레드밀에서 후방보행운동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 강화와 요통의 관계

        박주완,김경,김형욱,김재우,배솔희,서정표,이정구,정하영 대구대학교 특수교육재활과학연구소 2010 再活科學硏究 Vol.28 No.1

        목적: 본 연구에서는 경사진 트레드밀에서의 후방 보행 훈련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가 요통 환자의 치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만성 요통을 호소하는 1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 하였다. 방법: 트레드밀을 10° 경사로 맞춰놓은 상태에서 대상자들은 하루 20분, 일주일에 3회의 빈도로 2주 동안 훈련을 하였다. 표면 근전도를 가지고 넓다리 곧은근, 안쪽 넓은근, 가쪽 넓은근, 척추 세움근의 %MVIC를 측정하였고, KODI와 VAS를 통해 대상자들의 통증정도를 측정하였다. 결과: 넓다리 곧은근은 훈련전에 비해 훈련을 하고 난 후 상대적으로 높은 근전도를 보였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안쪽 넓은근과 가쪽 넓은근 또한 높은 근전도율을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척추 세움근은 훈련전에 비해 훈련을 하고 난 후 높은 근전도율을 보여주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VAS와 KODI의 평균값은 명백하게 감소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5). 결론: 이상의 결론을 종합하면, 후방보행을 통한 넙다리네갈래근의 강화는 요통의 감소에 효과적이라고 사료되며, 더불어 넙다리네갈래근으로 접근하여 요통을 경감하는 중재방법이 효과적인 치료 방법이 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strengthening the Quadriceps femoris through backward walking treadmill training in the patients who have lower back pain. Subjects: Sixteen subjects with chronic lower back pain were included. Method: In the training, the treadmill was set to have a inclination of 10 degrees, and the subjects were trained for 20 minutes a day, 3 times a week, for 2 weeks. %MVIC(muscle power) of rectus femoris, vastus medialis oblique, vastus lateralis and erctor spinae were measured with surface EMG, and KODI and VAS were used to measure the subject's level of pain. Results: Quadriceps femoris showed relatively higher average electromyogram rates than that before training(p<.05). Vastus medialis oblique and vastus lateralis also showed higher average electromyogram rates, but no significant change in them was noted. Erector spinae showed higher average electromyogram rates than that before training(p<.05). The average points of VAS and KODI clearly decreased(p<.05). Conclusion: Strengthening Quadriceps femoris seems to be efficient for relieving lower back pain in this study.

      • 소나무(Pinus densiflora) 목질을 이용한 수용액 중의 Cu(II)흡착

        김하나,박세근,양경민,김영관 강원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2007 産業技術硏究 Vol.27 No.A

        Milled Korean pine (Pinus densiflora) wood was used to evaluate its adsorption capacity of Cu(Ⅱ) ions from aqueous solution by running a series of batch experiments. Prior to the tests, the milled woods were pretreated with 1N NaOH, 1N HNO_(3), and distilled water, respectively, to examine the effect of pretreatment. Within the tested pH range between 3 and 6, copper adsorption efficiency of NaOH-treated wood(96~99%) was superior to the HNO_(3)-treated wood(19~31%) and distilled water-treated wood(18~35%). The efficiency of copper removal by wood enhanced with increasing solution pH and reached a maximum copper ion uptake at pH 5~6. Adsorption behavior of copper onto both raw and HNO_(3)-treated woods was mainly attributed to interaction with carboxylic acid group. For NaOH-treated wood, carboxylate ion produced by hydrolysis or saponification was a major functional group responsible for Cu sorption. NaOH treatment of wood changed the ester and carboxylic acid groups into carboxylate group, whereas HNO_(3) treatment did not affect the production of functional groups which could bind copper. A pseudo second-order kinetic model fitted well for the sorption of copper ion onto NaOH-treated wood. A batch isotherm test using NaOH-treated wood showed that equilibrium sorption data were better represented by the Langmuir model than the Freundlich model.

      • 국내 검정콩 육성품종의 종자특성

        주용하,박재훈,윤승길,김영호,김성민,정길웅 한국국제농업개발학회 2002 韓國國際農業開發學會誌 Vol.14 No.4

        1. 수분흡수율이 가장 높은 시간은 다원콩(침지 후 4시간)을 제외한 모든 품종이 침지후 2시간이었으며, 둔화되기 시작한 시간은 침지후 약 10시간이었고, 평형에 도달한 시간은 침지후 약 16시간이었다. 2. 수분흡수율은 품종간에 차이가 있었는데 가장 높은 수분흡수율을 보인 품종은 검정콩2호이었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다원콩이었다. 3. 발아율의 범위는 28이었으며, 평균발아율은 93.9%이었고, 가장 높은 품종은 청자콩과 흑청콩이었다. 4. 발아세의 범위는 52이었으며, 평균발아세는 81.9%이었고, 가장 높은 품종은 흑청콩이었다. 5. 평균발아일수와 T_50의 범위는 모두 2이었으며, 평균은 각각 2.6과 2.3이었고, 품종간에는 선흑콩이 가장 길었다. 6. 발아균일도의 범위는 3.1이었으며, 평균은 1.3이었고, 높은 그룹(흑청콩·청자콩·검정콩2호·다원콩·검정올콩)과 낮은 그룹(검정콩1호·일품검정콩·선흑콩)으로 분류되었다. 7. 알칼리붕괴도는 공시품종의 평균이 4.65이었으며 등급은 4∼5등급을 나타내었다. 붕괴도가 가장 높고 우수한 품종은 검정콩1호였으며 가장 낮은 품종은 선흑콩이었다. The water absorption rate after soaking of seeds was the highest at 2 hours in all varieties except Dawonkong(4 hours after soaking), and became slowed down at 10 hours, and reached moisture equilibrium in stopping almost at 16 hours. The water absorption rate was different among varieties, the highest variety was Geomjeongkong #2 whereas the lowest variety was Dawonkong. The range of germination percentage was 28, and average value 93.9%, and the highest varieties were Cheongjakong and Heukcheongkong. The range of germination speed was 52. average value 81.9%, and the highest variety was Heukcheongkong. The range of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T_50 were all two days and these average was 2.6 and 2.3, respectively. Seonheukkong among varieties was very long in average days to germination and T_50. The range of germination uniformity was 3.1 and average was 1.3 and divide into two groups such as high group(Heukcheongkong, Cheongjakong, Gemjeongkong #2, Dawonkong, Geomjeongolkong) and low group(Geomjeongkong #1, llpumgeomjeongkong, Seonheukkong). Varietal mean of alkali digestibility value was 4.65 belong to 4∼5 class, the highest variety was Geomjeongkong #1 whereas Seonheukkong was very low among variet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