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친환경 잡초방제를 위한 생물제초제의 상용화 현황

        변종영,이증주,박기웅 한국잔디학회 2017 Weed & Turfgrass Science Vol.6 No.1

        Weed management under organic farming systems is very problematic since organic agriculture does not allow synthetic herbicides. Bioherbicide is needed to develop for weed management in organic agriculture systems. This review covers current status and perspectives of bioherbicide development for effective nonchemical weed management in organic farming systems. Bioherbicides are products of natural origin derived from living organisms, and more specifically bacteria, fungus and plants including natural metabolites for weed control. Bioherbicid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or natural molecules are currently available on the pesticide markets. Devine, Lockdown (Collego), BioMal, Camperico, Organo-Sol and Opportune were derived from bacteria, Woad Warrior, Smolder, Mygogen, Chontrol Paste, Starritor and Phoma derived from fungus, and Katoun (pelargonic acid) and Beloukha were derived from plants. Corn gluten meal products and plant essential oils products are also available for nonselective weed control in organic agriculture. Organic weed management methods may be more feasible in small scale farming and high-value crops, and bioherbicides may be applied with other weed control practices in organic farming systems. 생물제초제의 이용은 농업에서 지속성을 향한 중요한 단계로 활용 될 수 있을 것이다. 유기농업 및 종합잡초관리는 보존농업에서 합성제초제와는 다르게 한 종류의 잡초 관리기술에 의존하지 않아야 하며, 생물제초제는 다른 잡초관리기술과 동시에 평가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우리나라 실정에 적합한 세균 및 진균으로부터 유래한 상업용 생물제초제를 선발하여 유기농업 농가에서 영농부 가가치가 높은 고소득 작물을 대상으로 생물제초제 실용화 가능성을 검토할 가치가 있을 것이다. 또한 유기영농 과수원에서 비선택적으로 잡초를 방제하기 위하여 상업용으로 시판되는 옥수수 글루텐 가루 제제와 각종 식물정유 제제 등 제품에 대한 실용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PEG의 種子浸漬處理가 고추의 發芽 및 出芽促進에 미치는 影響

        卞鐘英,金暎來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5 農業技術硏究報告 Vol.12 No.1

        In order to shorten the time of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red pepper seeds of cv. Serona and cv. King were soaked at 20, 25, and 30% PEG solutions for 6 and 12 days and effects of osmotic treatments with PEG were determined. 1. Osmotic treatments with 20 and 25% PEG for 12 days were proven effective in reducing germination time of cv. Serona and cv. King. Final germination percentages were tr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PEG treatments. 2. Osmotic treatment with 25% PEG for 12 days showed effective in reducing the tine between sowing and emergence of red pepper and shortened 4 and 5 days for emergence of cv. King and cv. Set na, respectively. 3. It is anticipated that germination and emergence of red pepper can be greatly hastened under unfavorable low temperature condition by osmotic treatment with 20 and 25% PEG for 6 and 12 days.

      • 비농경지 잡초의 효과적인 방제방법 - 종류 많고 다년생잡초 우점경향 비선택성 토양처리제가 유효

        변종영 한국작물보호협회 1991 자연과 농업 Vol.12 No.2

        비농경지는 농산물과 임산물을 생산하는 농경지,임야등을 제외한 모든 공지를 의미하지만 잡초방제를 대상으로 보면, 택지, 공업용지와 도로, 고속도로, 철도, 학교 운동장, 공원 등이 포함되는 공공용지로 구분할 수 있다. 농경지는 국가경제가 발전될수록 계속 잠식되어 택지, 공장부지 및 공공용지로 이용됨에 따라 비농경지 면적은 점차 확대되고 있으며 따라서 비농경지에 발생된 잡초방제의 필요성은 더욱 증대되리라 예상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체계적으로 비농경지 잡초의 분포, 방제법 등에 관한 연구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잡초방제의 중요성과 관심도 매우 적은 실정이다. 따라서 비농경지에서 발생되는 잡초의 종류 및 피해양상, 잡초방제의 특성과 제초제를 이용한 잡초방제법을 정리하여 보기로 한다.

      • 活性炭의 土壤處理가 菜蔬에 對한 除草劑의 藥害輕減에 미치는 影響

        卞鍾英 충남대학교 농업과학연구소 1980 農業技術硏究報告 Vol.7 No.1

        In order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vated carbon on toxicity of linuron and napropamide to Chinese cabbage, red pepper, and tomatoes, 5 and 10kg/10a of activated carbon were applied to the soil surface prior to treatment of linuron at 50 and 75g/10a and napropamide at 150 and 225g/10a. 1. Chinese cabbage was protected from linuron injury by spraying activated carbon on the soil to adsorb and detoxify the herbicides even though it was completely killed by linuron at 50 and 75g/10a without activated carbon application. However, Chinese cabbage was not injured by napropamide at 150 and 225g/10a and thus antidotal effect by activated carbon was negligible. 2. Red pepper was greatly injured by linuron at 50 and 75g/10a, but activated carbon significantly reduced linuron injury. Napropamide at 225g/10a was slightly injurious to red pepper. Nevertheless, this injury effect was reduced by activated carbon at 5kg/10a. 3. Tomatoes were also severely injured by linuron at 75g/10a, but activated carbon prevented linuron injury to tomatoes. However, napropamide at 150 and 225g/10a were slightly injurious to tomatoes and activated carbon did not completely prevent napropamide injury to tomatoes.

      • 국제학술회의 참관기 - 제17차 아시아ㆍ태평양잡초학회 학술회의

        변종영,Byeon, Jong-Yeong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 2000 과학과 기술 Vol.33 No.3

        지난해 11월 태국에서는 제17차 아시아ㆍ태평양 잡초학회 학술회의가 '잡초와 환경영향'이라는 주제로 5백여명의 과학자들이 참가한 가운데 열렸다. 한국에서도 30여명이 참가한 이번 학술회의에서 필자는 '고추품종의 Bentazon 내성' 논문을 발표했고 잡초의 방제 및 관리 발표장에서는 좌장을 맡아 발표와 토의를 진행했다. 이번 학술회의는 1백28편의 논문과 79편의 포스터도 발표되어 성황을 이루었다.

      • KCI등재

        대두와 일년생잡초와의 경합에 관한 연구 III. 대두의 품종과 재식거리의 차이가 대두와 잡초와의 경합에 미치는 영향

        변종영,김영래,김칠현,강재철,Pyon, J.Y.,Kim, Y.R.,Kim, C.H.,Kang, J.C. 한국작물학회 1979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4 No.2

        콩품종 동북태, 수원 8003와 Williams를 공시하여 콩의 재식거리 60$\times$15cm나 45$\times$20cm에 파종하고 3주 간격으로 제초시기를 달리 하였을 때 콩과 잡초와의 경합관계를 구명하였던 바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Williams의 CGR과 LAI는 동북태와 수원 8003보다 적으며 잡초경합에 의하여 감소되는 경향도 현저하였다. 2. 잡초경합에 의하여 Williams 품종은 동북태, 수원 8003와 비교하여 분지수, 협수 및 1000입종이 현저히 감소되었다. 3. 콩의 수량은 재식거리간에 통계적인 유의차를 인정할 수 없었으나 동북태와 수원 8003는 45 $\times$20cm에서 그리고 Williams는 60 $\times$15cm에서 수량이 높은 경향이었다. 4. 콩수량은 잡초방임구에서 동북태는 14.8%, 수원8003는 11.9% 감소되었으나 잡초에 대한 경합력이 약하였던 Williams는 25.5% 감소되었다. Competitive relationships between soybean cultivars and weeds were determined at different plant spacings and weed competition times. Soybean yield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between plant spacings. Annual weed competition more signficantly reduced yields and yield components of 'Williams' soybeans than those of 'Dongbuktae' and 'Suweon 83'. 'Suweon 83' and 'Dongbuktae' were more competitive to weeds than 'Williams'.

      • 수생식물(水生植物)을 이용(利用)한 수질오염원제거(水質汚染源除去)에 관(關한) 연구(硏究) - 제1보(第1報) 부레옥잠의 유기물(有機物) 제거효과(除去效果) 및 생장(生長)에 미치는 제요인(提要因)

        변종영,이규승,이종식,Pyon, Jong-Yeong,Lee, Kyu-Seung,Lee, Jong-Sik 한국잡초학회 1985 Weed&Turfgrass Science Vol.5 No.2

        미리용(未利用) 식물(植物)인 부레옥잠의 도시하수(都市下水)나 공장배수(工場排水)의 정화(淨化) 가능성(可能性)을 검토(檢討)하기 위하여 현장폐수(現場廢水)에 대한 실증실험(實證實驗)과 생장(生長)에 미치는 요인(要因)을 구명(究明)하고자 실내실험(室內實驗)을 통해 나타난 결과(結果)를 요약(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1. 성질(性質)이 서로 다른 현장폐수(現場廢水)에 적용한 결과에서 볼 때 부레옥잠의 유기물제거(有機物除去)는 대상 유기물의 종류(種類)에 따라 효율(效率)의 차이는 있으나 대체로 고농도(高濃度)에서 평균처리효율(平均處理效率)이 높으며, 초기(初期)의 제거율(除去率)이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 부레옥잠의 생장(生長)에 대한 최적(最適)pH는 중성~약산성이었으며, pH에 따른 피해는 산성보다 알카리성에서 더욱 컸다. 3. Nacl농도(濃度)가 0.5%인 경우는 36시간 후 뿌리 활성(活性)을 완전(完全)히 잃었으나, 0.01%에 있어서는 24시간 후까지는 큰 변화(變化)가 없었다. 4. 수온(水溫)에 따른 공시재료의 생장효과(生長效果)는 $17\sim21^{\circ}C$에서 높았으며, 수온(水溫)이 높아짐에 따라 생장(生長)이 억제(抑制)되어 $30^{\circ}C$의 경우는 현저히 감소(減少)되었다. 5. 차광(遮光)이 됨에 따라 부레옥잠 생장(生長)은 억제(抑制)되었으며, 그 경향은 기온(氣溫)이 낮아질수록 심하였다. 6. 포장조건(圃場條件)에서 부레옥잠의 개체증식(個體增殖)을 6월 14일부터 7월 19일까지 5주 동안 조사(調査)한 결과(結果), 1개체에서 12.3개체로 증식(增殖)되었으며 평균(平均) 생장(生長) 속도(速度)는 53.6g/week, 비교생장율(比較生長率)은 0.302g/g/week였다. Water hyacinth, unused and tropical plant was examined in order to know the feasibility of application for purification of municipal drainage and industrial wastewater. This plant was effective to remove the COD from wastewater, although its removal ability was dependent on the organic sources. The effects of pH, NaCl concentration, water temperature and shading condition on the growth of water hyacinth were investigated. The optimum ranges of pH were weak acid- neutral, of water temperature were 17-$21^{\circ}C$, and unshading condition was better. The rapid propagation of this plant was also observed during hot summer season.

      • KCI등재

        대두의 일년생잡조와의 경합에 관한 연구 II. 잡초방제기간의 차이가 대두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

        변종영,김영래,Jong-Yeong Pyon,Young-Rae Kim 한국작물학회 1978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Vol.23 No.2

        중의 최대수량을 올리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 잡초방제기간을 추정할 목적으로 파종후 2주간격으로 10주까지 그리고 전기간육동안 제초하였을 때 중의 생육 및 수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그 효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실험포장의 우점잡초는 피, 바랭이, 참밤동산이, 여뀌, 쇠비름 쑥, 명아주 등이었다. 2. 잡초방제기간이 길어질수록, LAI, CGR 및 주당래수는 증가되었으나 초장과 주당분지수는 차이가 없었다. 3. 파종후 2주까지만 잡초를 제거해도 콩은 경합에 의하여 새로 발하는 잡초의 생장을 억제할 수 있었으며 수량도 크게 감소되지 않았었다. 그러나 최대수량을 올리기 위해서는 최소 6주이상은 제초를 해 주어야 한다. 4. 콩의 수량과 LAI, CGR 및 주당래수간에는 유의상관을 나타내었고 수량과 초장 및 주당분지수간에는 유의상관이 없었다. A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the critical period of weed-free maintenance required to produce maximum soybean yields. Leaf area index(LAI). crop growth rate (CGR), and number of pods per plant were increased with extended weed-free maintenance period. Consequently, maximum soybean yields were obtained when weeds were controlled for more than six weeks, but a relatively high level of ;soybean production was attained with only two weeks of weed free mainte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