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Structure and Electrical Properties of Intergrowth Bismuth Layer-Structured Bi4Ti3O12-CaBi4Ti4O15 Ferroelectric Ceramics

        Gi Ppeum Choi,Sam Yeon Cho,Sang Don Bu 한국물리학회 2016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69 No.5

        Pb-free ferroelectric Bi4Ti3O12-CaBi4Ti4O15 (BIT-CBT) ceramics were manufactured using a solid-state reaction method. Structural analysis by using X-ray diffraction confirmed the presence of a second phase of Bi2Ti2O7, and the surface depth X-ray diffraction analysis revealed that this phase existed only on the surface. This second phase appears to have been caused by the volatilization of Bi ions at high sintering temperatures. For resolution of the issue of volatilization of Bi ions and manufacture of BIT-CBT ceramics with a single phase, Bi2O3 powder was added to the BIT-CBT mixture, and a powder-bed method, in which pellets were covered with BIT-CBT powder, was used to manufacture the ceramic. The piezoelectric coefficient of the single-phase BIT-CBT ceramics was 12.4 pC/N while the residual polarization and the coercive electric field were 11.3 μC/cm2, and 125 kV/cm, respectively. The results suggest that single-phase BIT-CBT ceramics are suitable for the manufacture of elements incorporating these electrical characteristics.

      • SCIESCOPUSKCI등재

        Effects of dietary hatchery by-products on growth performance, relative organ weight, plasma measurements, immune organ index, meat quality, and tibia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Choi, Won Jun,Kim, Jong Hyuk,Han, Gi Ppeum,Kwon, Chan Ho,Kil, Dong Yong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21 Animal Bioscience Vol.34 No.7

        Objective: The objective of the current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dietary hatchery by-products (HBPs) as a replacement of fish meal (FM) on growth performance, relative organ weight, plasma measurements, immune organ index, meat quality, and tibia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Methods: A total of 720 broiler chickens (3 d of age) were randomly allotted to 1 of 9 treatments with 8 replicates. Each replicate consisted of 5 male and 5 female birds. The basal diet was formulated to contain 5.0% commercial FM, whereas eight treatment diets were prepared by replacing 25%, 50%, 75%, or 100% of FM in the basal diet with infertile eggs (IFE) or a mixture of various HBPs (MIX); therefore, the inclusion levels of IFE or MIX in the experimental diets were 1.25%, 2.50%, 3.75%, or 5.00%. The diets and water were provided on an ad libitum basis for 32 d. Results: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IFE as a replacement of FM in diets had no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plasma measurements, immune organ index, and tibia characteristics of broiler chickens.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IFE in diets increased (linear, p<0.05) meat lightness (L<sup>*</sup>) but decreased (linear, p<0.05) meat redness (a<sup>*</sup>). The breast meat pH at 1-h postmortem was increased (linear, p<0.05) by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IFE in diets. Likewise,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MIX in diets had no effects on growth performance, relative organ weight, plasma measurements, immune organ index, and tibia characteristics. However,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MIX in diets increased (linear, p<0.05) 1-h postmortem pH but decreased (linear, p<0.05) 24-h postmortem pH of breast meat. Increasing inclusion levels of MIX in diets decreased (linear, p<0.05) thiobarbituric acid reactive substances values of breast meat. Conclusion: Both IFE and MIX are suitable alternatives to FM as protein ingredients in broiler diets.

      • 가열조리 시 버섯류 함유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 변화

        김기쁨 ( Gi-ppeum Kim ),안경근 ( Kyung-geun Ahn ),강련웅 ( Ryeon-woong Kang ),권희주 ( Heeju Kwon ),김명현 ( Myunghyun Kim ),황혜지 ( Hyeji Hwang ),주하은 ( Haeun Joo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김행란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버섯은 특유한 향과 쫄깃한 맛 때문에 세계적으로 널리 사랑받고 있는 식품이다. 특히 버섯은 채식식단에서 결핍되기 쉬운 비타민 B 복합체를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채식 위주의 식단에서 결코 빼놓을 수 없는 식품이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6의 경우 버섯에 함유된 함량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비 버섯류 중 일부를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변화를 HPLC-FL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FL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하였다. 버섯류 중표고버섯을 부위별로 조사한 결과, 기둥(0.023±0.000 mg/100 g)부위가 갓(0.017±0.001 mg/100 g)부위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표고버섯 기둥 부위를 데쳤을 시, 0.015 0.001 mg/100 g으로 함량이 감소하였고, 갓 부위를 데쳤을 시에는 0.018±0.000 mg/100 g 으로 생것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기둥 및 갓 부분 모두 말렸을 시, 생것보다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새송이버섯은 0.007±0.000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팽이 및 양송이버섯에서는 비타민 B6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KCI등재

        색상별 파프리카 품종의 조리법에 따른 수용성 비타민의 함량 변화

        김기쁨(Gi-Ppeum Kim),강인규(In-Kyu Kang),황영선(Young-Sun Hwang),박경일(Kyeung-il Park),최용민(Youngmin Choi),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원예학회 2018 원예과학기술지 Vol.36 No.5

        본 연구는 색상이 다른 ‘Cupra’(적색), ‘Maserati’(노란색), ‘Boogie’(주황색) 품종의 파프리카 원재료 및 조리방법에 따른 수용성 비타민 B₁, B₂, B₃ 및 C의 함량변화를 고속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인증표준물질(CRM)을 이용하여 각 성분의 분석법이 신뢰도 높은 방법임을 검증하였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총 33개 시료의 비타민 B₁, B₂, B₃ 및 C의 함량변화를 분석하였다. 비타민 B₁, B₂, B₃ 및 C 분석함량의 범위는 각각 0-0.13, 0.01-012, 0-3.74 및 36.94-115.41mg/100g이었다. 그 결과, 비타민 B₁의 경우 ‘Maserati’ 품종의 원재료에서 0.13 ± 0.05mg/100g으로, 비타민 B₂는 ‘Boogie’ 품종의 microwave 처리에서 0.12mg/100g으로, 비타민 B₃와 C는 각각 ‘Cupra’ 품종의 굽기 처리에서 3.74 ± 0.49mg/100g으로, 튀기기 처리에서 115.41 ± 0.47mg/100g으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그리고 비타민 B₁은 ‘Cupra’와 ‘Maserati’ 품종에서 원재료를 제외한 모든 처리구에서 그 함량이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changes in water-soluble vitamin B₁, B₂, B₃, and C contents in raw and processed materials from different colored paprika cultivars including ‘Cupra’ (red), ‘Maserati’ (yellow), and ‘Boogie’ (orange). We validated the specificity, accuracy, and precision of our vitamin B₁, B₂, B₃, and C analysis metho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ecovery rate of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CRM) was excellent for vitamin B₁, B₂, B₃, and C. We analyzed vitamin B₁, B₂, B₃, and C contents in 33 samples, which ranged from 0 to 0.13 mg/100g, 0.01 to 0.12 mg/100g, 0 to 3.74 mg/100g, and 36.94 to 115.41 mg/100g, respectively. The highest vitamin B₁, B₂, B₃, and C contents were 0.13 mg/100g in raw material from ‘Maserati’ paprika, 0.12 mg/100g in ‘Boogie’ paprika after microwave treatment, 3.74 mg/100g in ‘Cupra’ paprika after grilling treatment, and 115.41 mg/100g in ‘Cupra’ paprika after frying treatment, respectively. Vitamin B₁ was only detected in raw materials from ‘Cupra’ and ‘Maserati’.

      • SCIESCOPUSKCI등재

        채소류의 수확 후 원재료 및 데침 처리에 의한 비타민 B<SUB>5</SUB> 및 B<SUB>6</SUB> 함량 변화

        김기쁨(Gi-Ppeum Kim),안경근(Kyung-Geun Ahn),김경하(Gyeong-Ha Kim),황영선(Young-Sun Hwang),강인규(In-Kyu Kang),최용민(Youngmin Choi),김행란(Haeng-Ran Kim),정명근(Myoung-Gun Choung) 한국원예학회 2016 원예과학기술지 Vol.34 No.1

        국내 다소비 채소류 39종에 대해 원재료 및 데침 조리 시 함유된 수용성 비타민 B5 및 B6의 함량변화를 자외부 흡광 검출기(HPLC/DAD) 및 형광검출기(HPLC/FLD)로 분리 검출하였다. 각 성분의 분석법을 밸리데이션하여 신뢰도 높은 분석법임을 확인한 후 조제분유를 이용하여 내부 분석품질을 관리하였고, 비타민 B6의 경우에는 국제 정도 관리를 통하여 정밀한 분석 수행능력을 평가 받았다. 검증된 분석법으로 채소류 39종의 원재료 및 데침 조리 시 비타민 B5 및 B6 함량 변화를 분석한 결과, 비타민 B5의 경우 근채류에서는 마늘, 엽채류에서는 포항초, 경채류는 두릅, 과채류의 숙과용 호박이 각각의 분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며, 그 중 경채류인 두릅(2.462mg·100g<SUP>-1</SUP>)이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비타민 B6의 경우에는 근채류에서 마늘, 엽채류에서는 근대, 경채류는 마늘쫑, 과채류의 적색토마토가 각각의 분류에서 가장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고, 그 중 엽채류의 근대(0.127mg·100g<SUP>-1</SUP>)가 가장 높은 함량으로 평가되었다. 대부분의 채소류에서 데침 처리 시 원재료에 비해 B5 및 B6의 함량이 감소하거나 검출되지 않는 양상을 나타내었으며, 특히 비타민 B5는 두릅, 비타민 B6는 노란감자 및 근대에서 각각 약 20배 및 4배 대폭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 결과는 채소작물의 이용 및 가공, 국민 식생활 정보 및 학교 조리 급식 등 영양적 부분과 국민 건강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imed to determine the changes in vitamin B5 and B6 contents compared to fresh materials after parboiling treatment of the main vegetables consumed in Korea. The specificity of accuracy and precision for vitamin B5 and B6 analysis method were validated using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HPLC). The recovery rate of standard reference material (SRM) was excellent, and all analysis was under the control line based on the quality control chart for vitamin B5 and B6. The Z-score for vitamin B6 in food analysis performance assessment scheme (FAPAS) proficiency test was -1.0, confirming reliability of analytical performance. The vitamin B5 and B6 contents in a total of 39 fresh materials and parboiled samples were analyzed. The contents of vitamin B5 and B6 ranged from 0.000 to 2.462 and from 0.000 to 0.127 mg · 100g<SUP>-1</SUP>, respectively. The highest contents of vitamin B5 and B6 were 2.462 mg · 100g<SUP>-1</SUP> in fresh fatsia shoots (stem vegetables), and 0.127 mg · 100g<SUP>-1</SUP> in fresh spinach beet (leafy vegetables), respectively. Moreover, the vitamin B5 and B6 contents for parboiling treatment in most vegetables were reduced or not detected. In particular, the contents of vitamin B5 in parboiled fatsia shoots and vitamin B6 in parboiled yellow potato and spinach beet were decreased 20- and 4-fold compared with fresh material, respectively. These results can be used as important basic data for utilization and processing of various vegetable crops, information for dietary life, management of school meals, and national health for Koreans.

      • 가열조리 시 닭고기 부위별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 변화

        김기쁨 ( Gi-ppeum Kim ),안경근 ( Kyung-geun Ahn ),강련웅 ( Ryeon-woong Kang ),권희주 ( Heeju Kwon ),김명현 ( Myunghyun Kim ),황혜지 ( Hyeji Hwang ),주하은 ( Haeun Joo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김행란 ( 한국환경농학회 2016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6 No.-

        최근, 닭고기 부분육의 공급으로 개인의 취향이나 필요에 따라 닭고기 부위별 섭취가 늘어나고 있으며, 닭고기 부위별 특징에 따라 다양한 조리법이 이용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성분 함량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비 닭고기 부위 중 일부 부위를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변화를 HPLC-DA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DA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하였다. 국내 다소비 닭고기 부위 중 수용성 비타민 B5의 함량을 평가한 결과, 닭 모래주머니가 1.602±0.018 mg/100 g으로 가장 많은 판토텐산이 함유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다리 (1.154± 0.024 mg/100 g), 넓적다리(1.076±0.002 mg/100 g), 날개(0.943±0.007 mg/100 g) 및 가슴살(0.801±0.018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한편, 닭다리의 경우, 삶았을 때 1.365± 0.013 mg/100 g으로 생것보다 함량이 증가하였으나, 다리를 제외한 기타 부위에서는 삶았을 때, 생것보다 함량이 낮아진 양상을 나타내었다. 아울러 넓적다리, 날개 및 다리의 경우, 생것보다 구웠을 때 함량이 높게 조사되었으나, 가슴살 및 모래주머니의 경우에는 함량이 낮아지거나, 전혀 검출되지 않는 양상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식품성분표(제9개정판)의 제작뿐만 아니라 관련 임상, 단체급식, 식품개발 및 영양교육 등 식품 및 인체 영양 분야의 귀중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SCIESCOPUSKCI등재
      • 김치류 함유 수용성비타민 B<sub>6</sub>의 함량 평가

        김기쁨 ( Gi-ppeum Kim ),권희주 ( Heeju Kwon ),주하은 ( Haeun Joo ),정주영 ( Juyoung Jeong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정명근 ( Myoung-gun Cho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한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먹을 수 있도록 독특한 보존 및 저장 방식을 사용한 김치는 우리 조 상들의 지혜가 담겨 있는 음식 중 하나이며, 한국인의 식탁에서 빼놓을 수 없는 음식이다. 아울러 김치는 여러 종류의 식재료를 이용하여 만든 발효식품으로 각종 무기질과 비타민이 풍부해 영양학 적으로도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수용성 비타민 B<sub>6</sub>의 경우 종류별 김치에 함유된 함량 정보가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주관 국가 표준 식품성 분표(제9개정판) 제작을 위한 식품자원의 비타민 성분구명 및 DB 구축사업의 일환으로 국내 다소 비 김치류중 10종을 대상으로 수용성 비타민 B6의 함량변화를 HPLC-FLD 분석법으로 평가하였다. 본 연구에 적용한 HPLC-FLD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기기분석 시 검출성분의 이론단수, 검량선의 직선성 및 해상도 등 분석 파라미터를 검토한 결과 우수한 재현성 및 분리능을 확인 하였다. 다소비 김치류 10종을 분석한 결과, 갓김치(0.076±0.001 mg/100 g)가 가장 높은 비타민 B<sub>6</sub> 함량을 나타내었고, 총각김치(0.073±0.001 mg/100 g), 깍두기(0.067±0.002 mg/100 g) 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열무김치 및 백김치는 각각 0.048±0.000 mg/100 g 및 0.047±0.000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어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오이소박이(0.035±0.000 mg/100 g) 및 파김치(0.037±0.001 mg/100 g)도 두 시료간 유의 적인 차이가 없었고, 가장 높은 비타민 B6를 함유한 갓김치에 비해 약 2배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편 나박김치(0.022±0.001 mg/100 g), 동치미(0.020±0.000 mg/100 g) 및 열무물김치(0.017±0.001 mg/100 g)와 같이 국물 위주의 김치들은 다른 김치류에 비해 유의적으로 낮은 비타민 B<sub>6</sub> 함량을 나타내었고, 열무물김치의 경우 열무김치보다 약 2.5배 이상 낮은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 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가열조리 시 애호박 함유 수용성 비타민 B<sub>1</sub> 및 B<sub>3</sub>의 함량 변이

        권희주 ( Heeju Kwon ),김기쁨 ( Gi-ppeum Kim ),주하은 ( Haeun Joo ),정주영 ( Juyoung Jeong ),황영선 ( Young-sun Hwang ),최용민 ( Youngmin Choi ),정명근 ( Myoung-gun Choung ) 한국환경농학회 2017 한국환경농학회 학술대회집 Vol.2017 No.-

        애호박은 예로부터 우리 식단에 많이 올라 친숙한 채소이며, 찌개류와 전, 볶음, 무침 및 죽 등 쓰임새가 다양한 채소이나 수용성 비타민 B군에 대한 정보는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각기 다른 조리방법(원재료, 삶기, 굽기, 볶기, 튀기기, 찌기, 로스팅 및 microwave)으로 처리한 애 호박을 이용하여 비타민 B<sub>1</sub> 및 B<sub>3</sub> 함량을 HPLC-DAD법을 적용해 정량분석 하였고, 적용 분석법의 재현성(inter 및 intra-day), 분석성분의 이론단수 및 분리능을 검토한 결과 매우 우수한 것을 확인 하였다. 조리방법별 애호박 8종을 분석한 결과, 비타민 B<sub>1</sub>의 경우 구웠을 때 0.075±0.002 mg/100 g으로 원재료(0.061±0.002 mg/100 g)보다 높은 값을 보였고, 찌기(0.051±0.001 mg/100 g), 로스팅(0.051±0.001 mg/100 g) 및 microwave(0.051±0.002mg /100 g)가 가장 낮은 비타민 B<sub>1</sub>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애호박 삶기(0.057±0.001mg /100 g)와 볶기(0.055±0.000 mg/100 g) 두 조리방법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한편 비타민 B<sub>3</sub>는 애호박 굽기 (12.471±0.001 mg/100 g), 볶기(12.063±0.001 mg/100 g) 및 microwave(8.483±0.002 mg/100 g)순으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다. 애호박 원재료의 경우 5.546±0.001 mg/100 g의 함량을 나타내었고, 삶았을때는 1.134±0.002 mg/100 g의 함량으로 확인되어 원재료 대비 약 5배 낮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나타내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아울러 애호박 튀기기(0.832±0.002 mg/100 g)의 경우, 가장 낮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나타내어, 가장 높은 비타민 B<sub>3</sub> 함량을 보였던 굽기 조리법과 약 15 배 이상 함량 차이를 보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향후 국가 표준 성분식품표의 제작 및 국민 식생 활 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 SCIESCOPUSKCI등재

        Effect of dietary net energy concent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net energy intake of growing gilts

        Lee, Gang Il,Kim, Jong Hyuk,Han, Gi Ppeum,Koo, Do Yoon,Choi, Hyeon Seok,Kil, Dong Yong Asian Australasian Association of Animal Productio 2017 Animal Bioscience Vol.30 No.9

        Objective: This experiment investigated the effect of dietary net energy (NE) concentrations on growth performance and NE intake of growing gilts. Methods: Five diets were formulated to contain 9.6, 10.1, 10.6, 11.1, and 11.6 MJ NE/kg, respectively. A metabolism trial with 10 growing pigs (average body weight [BW] = $15.9{\pm}0.24kg$) was conducted to determine NE concentrations of 5 diets based on French and Dutch NE systems in a $5{\times}5$ replicated Latin square design. A growth trial also was performed with five dietary treatments and 12 replicates per treatment using 60 growing gilts (average BW = $15.9{\pm}0.55kg$) for 28 days. A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predict daily NE intake from the BW of growing gilts. Results: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of diets did not influence average daily gain and average daily feed intake of growing gilts. There was a quadratic relationship (p = 0.01) between dietary NE concentrations and feed efficiency (G:F), although the difference in G:F among treatment means was relatively smal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daily NE intake was linearly associated with the BW of growing gilts. The prediction equations for NE intake with the BW of growing gilts were: NE intake (MJ/d) = $1.442+(0.562{\times}BW,kg)$, $R^2=0.796$ when French NE system was used, whereas NE intake (MJ/d) = $1.533+(0.614{\times}BW,kg)$, $R^2=0.810$ when Dutch NE system was used. Conclusion: Increasing NE concentrations of diets from 9.6 to 11.6 MJ NE/kg have little impacts on growth performance of growing gilts. Daily NE intake can be predicted from the BW between 15 and 40 kg in growing gi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