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강력범죄 피해자의 외상 후 스트레스 증상 및예측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

        김태경(Kim, Tae­Kyoung),윤성우(Yun, Sung­Woo),이영은(Lee, Young­Eun),이새롬(Lee, Saerom) 한국피해자학회 2018 被害者學硏究 Vol.26 No.1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osttraumatic stress symptoms of violent crime and predictors to the symptoms. For this, we analyzed data of 473 victims registered to the integrated supporting center for violent crime victim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results showed that more than 90% of victims experience significant PTSD symptoms, 30% of them were in extreme mental confusion that required medication or hospitaliz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severity of sequela according to gender, time since visiting to the center, pre-event adaptation level, and event type. Although the victim experienced more avoidance and hypervigilance symptoms than the family, the psychological distress experienced by the family was not less than that of the victim. Psychological sequela of the events were found to be more severe with more experiences of childhood trauma, lack of ego resilience, low level of perceived social support, strong dissociation tendency, and avoiding coping styles. A result of the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voidant coping style explained 10.6% of the total variance.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와 취업 스트레스 및 취업불안과의 관계

        조미경 ( Mi Kyoung Cho ),최은지 ( Eun Ji Choi ),이지원 ( Ji Won Lee ),이유나 ( Yu Na Lee ),채지영 ( Ji Young Chae ) 서울대학교 간호과학연구소 2013 간호학의 지평 Vol.10 No.2

        본 연구는 대학생의 성별에 따른 외모만족도, 외모관심도, 면접에서의 외모비중, 취업 스트레스, 취업불안을 파악하기 위해 수도권 4년제 대학에 재학 중인 3, 4학년 남녀 대학생 각 85명씩, 총 170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다. 본 연구결과, 외모 만족도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일반적 특성에서 종교와 외모관리 여부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다. 이것은 외모에 관심이 많은 여학생들이 남학생들에 비해 외모에 대한 만족정도가 낮고 더 많은 갈등을 느끼고 있다고 보고한 선행 연구14)의 결과와 일치하였고, 이는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를 자신의 가치를 높이는 중요한 수단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반영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대중매체를 통해 주입된 외모지상주의의 영향이 크며, 외모를 개인의 경쟁력이라고 생각하는 우리나라의 전반적인 사회풍조와 무관하다고 볼 수 없다. 본 연구결과, 외모만족도가 낮은 여학생에서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날 것이라고 예상된 결과대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의미 있게 높았고, 특히 외모관리여부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ong15)과 Mellor 등16)의 결과와 일치하였다. 본 연구결과, 연령에 따른 외모관심도는 연령이 어릴수록, 학년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 평균은 높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과 다소 일치하지만, Lee18)와 Kim17)에서 나온 결과인 연령이 높을수록 외모관심도가 높게 나타난 것과 다소 상이한 결과를 나타냈다. 이것은 본 연구가 대학교 3, 4학년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한 것이고, 본 연구의 4학년 학생들 중 21%는 간호대 학생으로서 이미 취업을 한 상태이므로, 취업을 위한 외모관심도는 한창 취업불안이 높은 3학년 학생들이 더 높았을 것으로 사료된다. Kim17)의 연구에서 학년이 어릴수록 외모관심도가 높다고 보고한 것은 요즘 대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인 취업으로 인하여 대학생들의 취업에 대한 불안과 스트레스가 높고, 그 결과 선배들의 취업 준비와 취업 현황을 지켜보고 있는 하위학년이 취업과 관련 있는 외모에 높은 관심을 나타낸 것으로 보인다. 취업준비를 하는 대학생들에서는 취업과 관련된 외모관심도가 연령과 학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므로, 취업여부가 결정되기 전에 자료를 수집하여 비교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라 사료된다. 또한 취업불안으로 인해 외모 관리에 신경을 많이 쓰는 미취업 학생들과 취업한 선배들 간에 취업에 필요한 정보를 공유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 면접에서의 외모비중은 성별에서는 차이가 없었으나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에서 면접관들이 주의 깊게 보는 사항에 관한 설문에서 1위가 외적 이미지가 83%를 차지하고 그 외 입사열정, 인성, 설득력 있는 답변 및 상황대처 능력, 눈 마주침 순으로 나온 연구결과19)와 면접에서의 외모 효과에 대한 내용은 일맥상통하지만, 성별과 면접 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대한 비교 논문이 없어서 성별과 면접시 외모비중의 상호작용효과에 따른 비교는 직접적으로 할 수 없는 상황이다. MBA 면접상황에서 외모의 효과를 실험한 연구에서는 비록 외모가 직접적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미치지는 못하지만, 외모와 의사소통능력의 상호작용으로 면접점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한 연구20)도 있어서 면접자와 피면접자의 면접 평가에 대한 비교연구가 필요하리라 생각된다. 또한 최근 대학생들의 취업준비 행동에 대한 연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Suk과 Choi21)에 의하면 취업을 위한 준비행동으로 학생들이 대부분 자격증 획득을, Park과 Ban22)에 의하면 대학생의 절반 이상이 재학 중에 외국어 시험을 준비하고 응시한다고 하였다. 하지만 취업준비행동과 외모관리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여 그 관계를 알기가 어려웠다. 따라서 대학생들의 취업준비행동에 있어서 외모관리와의 관련성을 파악하는 연구가 필요하고, 취업을 위해 긍정적인 외적 이미지 확립과 취업에서 필요한 외모관리를 위한 정보제공이 취업자를 대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일반적 특성에서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유의한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성별에 따라 취업 스트레스에 차이가 없었던 결과는 Kim23)의 연구와는 일치하였으나, Suk과 Choi21)의 연구에서는 남학생의 72%가 학교의 위상이 취업에 크게 영향을 끼친다고 생각하여 취업 스트레스가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더 높게 나타난 결과와 Shin과 Chang24)의 연구에서 대학 4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한 취업 스트레스에서 여학생이 남학생보다 더 높았다고 보고한 결과와는 상이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보건계열 3학년 학생비율이 높고 4학년 학생의 58%가 취업이 된 상태였기 때문에 취업 스트레스는 학년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은 반면, Kim23)의 연구에서는 연구대상자가 일반대학 학생들로 남학생과 4학년 학생 비율이 높았고, 자료수집기간에 취업 준비의 막바지에 있는 4학년 학생들이 3학년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높은 취업 스트레스를 보고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 취업 스트레스는 3학년에서는 여학생이 높았고, 4학년에서는 남학생이 높게 나타남으로써 학년과 성별 간 상호작용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본 연구의 대상자인 여학생은 전수가 간호대 학생이었고, 남학생의 경우는 간호대학생과 다른 학과 학생이 섞여 있음으로 여학생에서는 선배들의 취업준비와 결과를 지켜보면서 얼마 남지 않은 취업준비기간에 대한 부담감이 작용했기 때문으로 생각되며, 남학생에서는 대부분이 간호학과가 아닌 다른 보건계열 학생들로서 본격적인 취업준비기간이 아니었기 때문으로 생각되어진다. 본 연구결과, 취업불안은 성별에 따라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학년과 성별, 취업여부와 성별, 외모관리여부와 성별, 면접 시 외모비중과 성별 간에는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학년에 따라 여학생에서는 3학년이, 남학생에서는 4학년이 취업불안이 더 높게 나타남으로써 Kim과 Choi25)의 일반대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3학년에 비해 4학년에서 취업불안을 더 많이 느낀다는 결과와 다소 일치하였다. 본 연구에서 성별에 따른 취업불안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학생의 취업불안이 전체 평균 66.51±23.22, 남학생이 70.19±21.80로 남학생의 취업불안의 평균이 높았던 것에 반해 남자보다 여자가 취업불안이 높다고 보고한 연구결과26)와는 상반된 결과를 보여주고 있었다. 이것은 위에서 언급하였듯, 여학생의 경우가 남학생보다 취업이 더 많이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대학생의 취업불안, 우울, 자살생각을 본 연구25)에서 같은 척도로 측정된 취업불안의 평균이 평균 75.6±22.4와 비교하였을 때, 본 연구에서의 취업불안이 조금 낮은 평균을 보여주고 있는 데, 이는 연구대상자들이 보건계열학과의 학생들로 비교적 일반 대학생들에 비해 취업이 용이하기 때문에 취업불안이 약간 낮게 나타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취업여부에 따라 취업한 학생들에 비해 미취업 학생들이 취업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취업 전에 취업불안이 높은 것은 당연한 결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 남녀 대학생 모두 취업 불안이 높을수록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남학생에서는 외모 관심도가 높을수록, 여학생에게서는 면접 시 외모비중이 높다고 인지할수록 취업 불안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남녀 대학생의 취업 불안에 외모 요인이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는 취업에 있어 면접 시 외모에 대한 평가로 취업유무가 좌우된다고 생각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이러한 결과는 Shin27)의 연구에서 면접관이 지원자의 용모를 면접 평가의 중요한 기준으로 보기 때문에 외모관리에 대한 스트레스가 취업 스트레스로 이어진 것이라고 볼 수 있다. Cho28)의 비서전공자 대상의 취업 관련 변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에서 졸업생들이 취업에 영향을 미쳤다고 인식하는 중요도의 순서는 인성, 자격증 순으로 나타났고, 그 다음으로 외국어, 학력, 외모는 동일한 순위로 나타났다. 또한 Yang 등29)의 지원자와 면접관의 상호비교를 중심으로 승무원 채용을 위한 평가항목에 대한 연구에서 승무원 채용과정을 살펴보면, 다양한 면접관과 다양한 면접 방법을 활용함으로써 채용과정에서 면접이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았고, 항공사별 승무원 채용 기준으로 단정한 이미지와 용모를 인재 상으로 제시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취업면접시의 이미지가 면접의 성과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회현상4-7,27-29)에 따라 취업불안과 취업 스트레스가 높은 사람들은 취업 면접 시 취업하기 위한 기관에서 원하는 이미지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므로 취업기관별 어떠한 이미지를 추구하는지에 대한 연구가 향후에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level of satisfaction and concern regarding appearance according to gender,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the influence appearance has on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under the ever-increasing pressure on students to secure employment so that appropriate psychological interventions can be provided to undergraduates. Methods: The survey was conducted on 170 third and fourth year undergraduates in Gyeonggi province from August 31st to September 6th, 2012 to figure out the correlations and differences in variables of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nd job-seeking stress and anxiety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in gender.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independent t-test, two-way ANOVA,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1. There was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for appearance satisfaction and concern. The level of satisfaction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ile concerns regarding appearance were higher in female students. There was no gender difference regarding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job-seeking stress, and job-seeking anxiety. 2. For the concerns in appearanc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s in appearance manage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showed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Stress and anxiety from job-seeking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enders, but there were common significant interactive effects between gender and grades, gender and employment, and gender and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3.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showed higher job-seeking stress a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in male students who ha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nd in female students who placed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Conclusion: As female students perceived appearance in job interviews as important more than male students, their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while male students who showed higher concern in appearance also showed higher level of anxiety in job-seeking. As job-seeking anxiety was higher, job-seeking stress was also higher according to the entire participants, based on this result, methods to decrease job-seeking anxiety should be suggested.

      • KCI등재후보

        억제대 적용지침 개발을 통한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율 감소활동

        곽경선,김성은,배은경,이은숙,이은혜,최윤정,이윤경 한국의료QA학회 2009 한국의료질향상학회지 Vol.15 No.2

        문제: 억제대 적용에 대한구체적 적용지침 없이 의례적으로 억제대를사용함으로 인해 환자들의 신체적 또는 정신적 안전을 위협할 수 있다. 목적: 완전 진정상태 이거나 근력이 약하여 발관능력이 없는 환자에 대한 예방적 적용, 바빠서 환자를볼수 없 는경우, 간호사본인의 판단이 없이 타인의 요구에 따르는등의 불필요한 억제대 적용이 증가하는 원인을 파악하여 중환자실의 특수성에 맞는 억제대 적용및 제거 지침을 마련하고자 한다. 의료기관: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의과대학 소속병원의 집중치료실 개선효과: 억제대 적용에 대한중환자실 간호사에게 미치는 영향을 보면 태도 정도 p=0.09(p<0.1), 올바른 수행 능력은 p= 0.005 (p <0.0히로통계적으로유의한것으로 나타났다. 지식 정도 p=0.172(p<0.05)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는 않지만 모든항목이 개선 활동전 에 비해 2,3차 개선 활동후에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개선활동전에 8.1%였던 간호 기록, 0.7%였던 간호중재, 0%였던 의사처방율이 3차 개선 활동 후 3가지 모두 100% 달성되었다. 이는 억제대 적용율 갑소 및 부적절한 억제대 적용율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교훈: 중환자실 간호사의 억제대 적용에 대한태도, 지식, 올바른 간호 수행 능력은 지속적으로 재평가 되어지고, 교육내용은좀더 나은 간호제공을 위하여 개발 되어져야 할 것이다. 억제대 적용 기준과 제거 기준을 Check List 하여 객관성의 유지를 위한 개선 활동은계속적으로 Feedback 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하부 늑골골절과 masked 복부손상과의 상관관계

        이강현,임경수,홍은석,황성오 대한응급의학회 1996 대한응급의학회지 Vol.7 No.2

        Some emergency physicians neglect abdominal injuries if a patient does not complaint of abdominal pain or abdominal tenderness was absent on physical examination. But intra-abdominal injuries are correlated closely with lower rib fractures and pelvic bone fractures. In cases of lower rib fractures, intra-abdominal organs are injured as a diaphragm is elevated as high as 5th intercostal space in expiration period. When intra-abdominal solid organ is ruptured, a patient complaints of abdominal pain, but there`s no abdominal pain if small hematoma occurs in solid organs. Although the most of solid organ hematoma are resolved spontaneously without complications, sometimes delayed rupture of hematoma occurs especialy in patients with the coagulopathy. So emergency physician must evaluate the abdomen closely when the possibility of intra-abdominal injury is high. To evaluate the intra-abdominal injuries, we investigated 57 patients with lower rib fractures by ultrasonography. The patients were divided in 2 groups according to presence of abdominal symptomes; patients with abdominal symptoms(n=10). Among 57 patients, intra-abdominal injuries were found in 35 patients. In group with lower rib fractures and presence of abdominal symptoms, intra-abdominal injuries were diagnosised in 32 patients(68.9%) with 48 cases(hepatic injury; 20, spleen injury; 19, renal injury 7, hemoperitoneum without solid organ injury; 2). In group with lower rib fractures and abscence of abdominal symptoms, intra-abdominal injuries were diagnosised in 3 patients(30.0%) with 3 cases(spleen injury; 1. hemoperitoneum without solid organ injury;2). In conclusion, emergency physician must do ultrasonography to evaluate intra-abdominal injuries in patients with lower rib fractures although a patient does not complaint of abdominal pain.

      • Reading Aloud 기법을 통한 효과적인 영어 듣기ㆍ읽기 지도 방안 연구

        이은경 The English Linguistic Science Association of Kore 2000 English Linguistic Science Vol.5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of adapting Reading Aloud techniques, and to introduce relevant activities of Reading Aloud as a way of helping students to understand English fairy tales in elementary school. Literature is highly valued in itself. Literature has everything needed for language learning and it has the powerful attraction of 'interest.' With this benefit, literature becomes very familiar material for acquiring the mother tongue through the means of the 'fairy-tale' from very early childhood. It is used widely in both formal and informal education. But in the learning of foreign languages, fairy tales are not popular because of the difficulty in understanding for students.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we will find more effective teaching of English listening and reading through Reading Aloud.

      • 骨盤炎患者 1例에 대한 症例報告

        이보라,이정은,박경미,정진홍,유동열 대전대학교 한방병원 2001 惠和醫學 Vol.10 No.1

        After treating a patient suffering from pelvic inflammatory disease, a significant result is gained as follows. This study was done from the patient who were at the oriental Medicine Hospital of Daejeon university during 15 days, from 12. 12 to 12. 26, 2001. A 27-year-old patient had complained an abdominal pain, chest discomfort, nausea, vomiting, urination difficulty and constipation. During the hospital periods, the kinds of therapy are acupuncture, moxibustion, herb-med and physical therapy. Given the treatment, she felt so satisfied about her symptom's improvement. But as a result of Ultrasonogram of pelvis, she had multiple follicles on the right ovary, so it had to be given a surgical operation. For the surgical operation, she was transferred to the Chungnam University Hospital

      • 임상실습 교육개선을 위한 간호학생의 간호활동시간 분석

        이애경,김정애,주미경,정안순,장은정,김정수,강정희,이정애 경복대학 2001 京福論叢 Vol.5 No.-

        신규간호사의 능력은 간호학생 때의 다양한 임상경험에 기초를 둔다. 따라서, 간호대학의 교수, 병원 지도자, 임상지도자는 간호학생들이 다양한 지식을 획득하고 간호기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 연구의 목적은 이러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에서 수행하는 간호활동과 간호활동 시간을 분석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결과 간호학생 1인당 직접간호활동 시간은 185.5분(직접간호비율은 56.7%)으로 141.65분(간접간호 비율은 43.3%)인 간접간호활동 시간보다 많았다. 직접간호활동 시간 중 활력징후 측정이 51.9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고, 간접간호활동 시간 중에는 차트보기가 22.98분으로 가장 많은 시간을 차지하였다. 전반적으로 기본적인 임상간호 수행기술에 소요되는 시간이 고도의 숙련된 간호기술을 수행하는데 드는 시간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대학의 지도자와 병원의 지도자 및 임상지도자가 함께 임상실습 교육과정의 지침서와 평가서를 평가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하는 바이다. The competence of newly graduated nurses is based on various clinical experiences gained when they were students. Therefore, professors in nursing schools, directors in hospitals or preceptors must play a critical role in assisting them to obtain various knowledge and experienced nursing skill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nursing care activities and nursing care hours practiced by nursing students in clinical experi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direct nursing care hours per each nursing student are 185.5 mins(direct nursing care rate 56.7%) and it is higher than indirect nursing care hours, 141.65 mins(indirect nursing care rate 43.3%). The hours of checking vital signs are the longest(51.9mins) among the 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and the hours of reviewing chart are the longest(22.98mins) among the indirect nursing care activities. In general, the time of performing basic clinical nursing technique was higher than that of performing high skilled nursing technique. And nursing observation was higher than that of directly performing task. So, we suggest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s follows. It is needed for nursing instructors in nursing schools and hospitals together to evaluate the guidelines and check-list of clinical practice courses.

      • 메타분석을 이용한 국내 정상성인의 정중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정상치 : a Meta-Analysis

        이경무,김헌,박은희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충북대학교 의학연구소 2003 忠北醫大學術誌 Vol.13 No.1

        연구목적:체성감각 유발전위(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검사는 말초 감각 수용기로부터 대뇌피질에 이르는 체성감각의 구심성 경로를 평가하는 유용한 방법이다. 체성 감각 유발전위의 잠시와 진폭의 정상치는 대상군의 지역적 분포에 따라 차이가 날 수 있어 각 검사실마다 각각의 정상치를 구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지역적인 특성만을 대변하므로, 범국가적인 대표값으로 보기는 힘들다. 또한 1984년 AES(American Encephalo-graphic Society)의 guideline이 있지만 아직 검사방법의 통일이 이루어지지 않아 해석의 어려움이 있어 검사방법의 표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논문분석을 통하여 각 연구에서 어떠한 검사방법들이 사용되었는지 분석하며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으며, 베타분석을 통하여 정중 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범국가적인 정상 참고치를 구하여 학술연구와 정도관리에 일조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1978년부터 2001년까지 정중 신경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의 정상 치에 관한 국내외 연구논문 15편을 대상으로 검사방법의 종류와 빈도를 분석하며 가장 보편적인 검사방법을 알아보았으며, 7편의 국내 연구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통하여 정중 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의 범국가적인 정상 참고치를 구하고자 하였다. 결과: 1) 전극의 종류로는 침 전극을 가장 많이 사용하였으며, 전극의 위치는 활동기록전극으로는 C3', C4'를 참고기록전극으로는 Fz가 적당하리라 생각된다. 위상의 잠시를 명명하여 표기한 경우로 N1은 N20으로 표기한 경우가 많았으며, Pl은 P22로, N2는 N25로 표기한 경우가 많았고, P2는 다양하였다. 2) 자극의 빈도는 3 pps가, 자극기간은 0.2 msec가 많이 사용되었다. 자극강도는 대부분 thumb twitch가 있는 정도로 하였으며, 총 자극 횟수는 127회가 3편으로 가장 많았다. Low filter의 범위는 2∼20 Hz사이에 있었고, High filter는 500 Hz∼10 kHz사이의 범위까지로 동일한 주파수 설정은 없었다. 3) 국내 논문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시행하여 구한 한국 정상성인의 잠시의 정상 참고치 는 N1이 20.6 msec, P1이 28.2 msec, N2가 37.2 msec, P2가 48.5 msec였다. 진폭은 변이계수가 크고 개인간의 차이가 심하여 진폭만을 기준으로 이상유무를 알기는 어려울 것으로 생각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를 통하여 정중신경 유발전위 검사방법을 빈도순으로 분석하였으며 메타 분석을 통하여 잠시와 진폭의 정상참고치를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정중신경 유발전위 검사방법의 표준화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도출된 정상 참고치는 정중신경 체성감각 유발전위 검사의 관련 연구와 정도 관리에 유용하리라 생각된다. Purpose: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SEPs) are valuable in evaluating the somatosensory pathway from peripheral sensory receptor to cerebral cortex. Despite there are numbers of normative studies of median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SEPs), each laboratory has one's own normative database. Obvious difficulties are arised in attempting to compare data from one laboratory to another, there is a need to establish a standardized test method with normal references. We initiated this study to overcome these difficulties. Meterials and Methods:We searched through 15 articles, which had been previously published from 1978 to 2001, concerning scalp recorded median nerve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s. The thorough research of 15 articles came out with a common test, and we obtained a world-wide normal reference value of latencies and amplitudes through a meta-analysis technique by researching 7 articles which reported their own normal reference values among korean adults Results 1) The most common electrode was needle electrode. The site for active electrode was C3', C4' and the site for reference electrode was Fz. The most common used names of N1, P1 and N2 were N20, P22, N25 respectively. 2) The stimulation frequency was 3 pps, the stimulation duration was 0.2 cosec, the stimulation intensity was about thumb twitch level and the total stimulation number was found to be more than 128. The low fiter range was 2~20 Hz, the high filter range was 500Hz~10 kHz. 3) The normal reference values of N1, P1, N2 and P2 were 20.63 msec, 28.23 msec, 37.23 msec, 48.54 msec among Korean adults. Conclusion:Since there are many labs that have not established a normal reference value ans a standardized method, the normal latencies suggested through a meta-analysis and a common test method may be used as a valuable reference for many laboratories.

      •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국어과 수업 방안 연구

        이은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이화교육논총 Vol.13 No.-

        It is unrealistic to teach new generation who are accustomed to mobile images like cartoon, television, and the 3rd generation handheld phone through the printed media only. It begins to introduce new education system using image media in order to induce interest from students recently. The animation is chosen among the mass media because it is in contact and naturally absorbed in our life and interested in from child to old. It is investigated for the Korean education using animation to stimulate the learning achievement and to change recognition for the text understandings and the mass media in the viewpoints of customer-oriented education, global language education, open teaching stuffs. The work selection criteria is clarified in the investigation methodologies, and the animation contents entitled 'the happy world', broadcasted by the KBS(Korea Broadcasting System), is used in this study, of which 13 subtitles are used considering the students' education level and contents of the textbook. The analysis models of culture experience extension model, subjective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model, parallel application with printed text model are reviewed. The practice conducted using animation is described. And in situ teaching-learning activities including the response of students and work stuffs are described in detail. The results of learning achievement are analyzed for the two groups, one for test experiment using teaching method with animation and the other for the conventional teaching method. The results of question survey for the understanding of Korean education and recognition change for the mass media are analyzed. It is found that the education method using image animation as an auxiliary tool is superior than that of the conventional tools for the learning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for the Korean education and for mass media. And it is necessary for teachers to develop and use the image teaching stuffs in the class, which is systematic and useful for the new generation. And it is also necessary to make the 'sample' procedure for students to attend active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