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세아니아 지역 국가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

        한병호(Byung-Ho Han)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2

        이 논문에서는 성문헌법이 없는 뉴질랜드를 제외한 오세아니아 지역 13개국의 헌법에서 해양관할권이 어떻게 규율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먼저, 연안국의 해양관할권의 전제가 되는 영토와 관련하여 헌법상 영토조항을 분석한 결과, 영토의 범위나 경계를 직접적으로 또는 적극적으로 규율하는 영토조항을 두고 있는 국가는 10개국에 이른다. 이에 비해서, 하나 이상의 해양관할권 개념을 헌법에서 언급하는 국가는 5개국에 불과하다. 영해는 4개국, 대륙붕은 3개국, 배타적 경제수역은 1개국, 내수는 5개국, 군도는 3개국의 헌법에서 언급되며, 접속수역은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영해․대륙붕과 배타적 경제수역의 세 가지 핵심적인 해양관할권 개념과 관련해서는, 1개국(파푸아뉴기니)의 헌법에서만 그 세 가지가 모두 언급되고, 1개국(팔라우)의 헌법에서만 두 가지(영해와 대륙붕)가 언급될 뿐이다. 나머지 3개국의 헌법에서는 한 가지만 언급될 뿐인데, 마셜제도․투발루의 헌법에서는 영해만 언급되고, 미크로네시아연방 헌법에서는 대륙붕만 언급될 뿐이다. 이들 해양관할권 개념은 4개국(미크로네시아연방․투발루․파푸아뉴기니․팔라우)의 헌법에서는 국가의 주권․관할권이 미치는 공간적 범위를 규율하기 위해서 언급되고, 2개국(마셜제도․파푸아뉴기니)의 헌법에서는 연방․중앙정부와 주․지방정부 사이에 해양관할권의 국내적 배분을 규율하기 위해서 언급되며, 1개국(파푸아뉴기니)의 헌법에서는 국가의 관할권이 미치는 해양공간과 해양자원의 소유권 귀속을 규율하기 위해서 언급된다. 해양관할권의 범위나 경계와 관련해서는, 2개국(미크로네시아연방․팔라우)의 헌법에서만 200해리의 영해 또는 해양관할권을 명시하고 있고, 1개국(투발루)의 헌법에서만 그것에 관하여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을 뿐이며, 해양관할권의 범위나 경계에 관하여 조약 등 국제법에 따르도록 규정하는 국가는 없다. 헌법에서 해양관할권 개념을 언급하면서도 해양관할권의 범위나 경계에 관해서는 침묵하는 국가가 2개국(마셜제도․파푸아뉴기니)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세계 각국의 비교연구를 거쳐 해양과 관련한 한국헌법의 개정 논의에도 시사점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paper analyzes how maritime jurisdiction is regulated in the constitutions of thirteen countries in Oceania, except New Zealand, which has no written constitu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erritorial provisions in the constitutions, ten countries have territorial provisions by which the extent or boundary of their own territories is directly or actively regulated. In comparison, five countries mention one or more of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in their own constitutions: The territorial sea is mentioned in four constitutions; the continental shelf in three constitutions; the exclusive economic zone in just one constitution; the internal waters in five constitutions; and the archipelago in three constitutions. Regarding the three basic concepts of the territorial sea, the continental shelf an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all three concepts are mentioned just in one constitution (Papua New Guinea), and two concepts of the territorial sea and the continental shelf are mentioned in one constitution (Palau). Only one of the three concepts is mentioned in the other three constitutions: the territorial sea in two constitutions of the Marshall Islands and Tuvalu, and the continental shelf in one constitution of the Federated States of Micronesia. Thes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mentioned: To regulate the spatial extent of state sovereignty and jurisdiction in four constitutions (Micronesia, Palau, Papua New Guinea, and Tuvalu); to regulate the domestic distribution of maritime jurisdiction between the federal or central government and state or local governments in two constitutions (Marshall Islands and Papua New Guinea); and to regulate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marine space and marine resources within the jurisdiction of the state in one constitution (Papua New Guinea). As to the extent or boundary of maritime jurisdiction, 200 nautical miles of territorial waters or maritime jurisdiction are stipulated in the two constitutions (Micronesia and Palau), and only one constitution (Tuvalu) entrusts it with a law. However, there are no constitutions in Oceania that prescribe that the extent or boundary of maritime jurisdiction is regulated in accordance with international laws, such as treaties. Rather, there are two constitutions of Marshall Islands and Papua New Guinea, which mention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but remain silent about the extent or boundary of maritime jurisdiction.

      • KCI등재

        아시아 지역 국가의 헌법전문에 대한 비교연구

        한병호(Han, Byung-Ho) 전북대학교 법학연구소 2016 法學硏究 Vol.47 No.-

        이 연구는 아시아 지역 47개국의 헌법전문의 법문을 형식적 측면과 실질적 측면으로 구분하여 비교 · 분석한 것이다. 형식적 측면에서는, 첫째, 이스라엘을 제외한 46개국에서 통일헌법전이 존재하나, 8개국의 헌법에는 전문이 없다. 둘째, 38개국의 헌법전문의 분량을 파일크기와 어휘 수에 따라 조사한 결과, 평균 분량은 2,944바이트 · 365단어이며, 2,000바이트 · 350단어 미만에 해당하는 경우가 26개국이다. 셋째, 문장 수에서는 21개국의 헌법전문이 하나의 문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한국헌법의 전문의 분량은 1,440바이트 · 215단어이며, 문장 수는 하나이다. 실질적 측면에서는 헌법제정 · 개편의 주체와 국가형태 및 기본가치를 조사하였다. 첫째, 헌법제정 · 개편의 주체로서는 22개국에서 ‘국민’이, 3개국에서 의회가, 6개국에서 군주 등이 명시되어 있으며, 국가형태로서는 공화국이 20개국, 군주국이 8개국 헌법전문에서 언급되어 있다. 둘째, 헌법의 기본가치와 관련하여, 한국헌법의 전문에 언급되거나 민주적 법치국가 헌법의 기본원리로서 거론되는 가치개념에 해당하는 단어들을 조사하였다. 그 결과, 자유 · 민주 · 정의 · 평화 · 단결 · 역사 · 번영 · 평등 · 법치 · 인권이 조사대상 38개국의 3분의 1 수준인 13개국 이상의 헌법전문에서 언급된 가치개념이다. 한국헌법의 전문에서는 법치와 인권이라는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 있다. 그 반면에, 인간존엄 · 연대 · 다양성 · 사회국가 등은 아시아에서는 극히 소수의 헌법전문에서만 언급되고 있다. This article aims at comparing the texts of the preambles of the Constitutions of forty seven countries in Asia. Israel is the only country in Asia which doesn’t have the Constitution codified in a single document. And no preambles are contained in the Constitutions of the eight countries, such as Cyprus, Malaysia, Maldives, Oman, Qatar, Saudi Arabia, Singapore, Yemen. The preambles of thirty eight codified Constitutions are examined in the formal aspects: file size, number of words and sentences. As results, the average file sizes are 2,944 bytes and the average words used in the preambles are 365 words; in twenty six Constitutions, the file sizes are less than 1,000 bytes, and words used in the preambles are less than 350 words. And there are twenty one Constitutions whose preambles consist of the only one sentence. As to the substantial aspects of the preambles, there are examined who adopt and proclaim the Constitution, and how many preambles use words whose concepts that involv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s or contain the fundamental values, such as democracy, freedom, equality, etc. The results of such analysis are as follows: as the subject who adopt and proclaim the Constitution is expressed the word ‘people’ in twenty one preambles, ‘national assembly’ in three, and words such as king, sultan or ruler in six; as to the form of state, it is mentioned a republic in twenty preambles, but a monarchy in eight. Particularly, words with value-involved constitutional concepts, which are expressed in thirteen or more preambles, are such as: freedom, democracy, justice, peace, unity, history, prosperity, equality, rule of law, human rights. Words such as human dignity, solidarity, diversity, social state, however, are not familiar with the preambles of Asian constitutions.

      • KCI등재

        유럽 지역 국가의 헌법전문에 대한 비교연구

        한병호(Han, Byung-Ho) 한국헌법학회 2018 憲法學硏究 Vol.24 No.2

        이 글에서는 유럽 43개국을 동유럽과 서유럽으로 구분하여, 그 헌법전문의 형식적ㆍ실질적 측면에 대하여 통계언어학적 기법을 활용하여 조사ㆍ분석하였다. 헌법전문의 형식적 측면으로서, 첫째, 동유럽은 모두 통일헌법전이 있으나 루마니아만 헌법전문이 없고, 서유럽은 3개국(영국ㆍ산마리노ㆍ스웨덴)이 성문의 통일헌법전이 없고, 11개국은 헌법전문이 없는데 그 중에서 6개국은 군주국이다. 둘째, 헌법전문의 평균 분량은 유럽 전체로는 2,264바이트, 동유럽(19개국)은 2,776바이트, 서유럽(11개국)은 1,380바이트로서, 동유럽이 서유럽의 2배이다. 셋째, 헌법전문의 문장 개수는 21개국(70%)이 단 하나이지만, 서유럽은 분량이 적은데도 문장 개수가 2개 이상인 경우도 있다. 헌법전문의 실질적 측면으로서, 첫째, ‘국민’ 또는 ‘의회’ㆍ‘국민대표’를 헌법제 정ㆍ개편의 주체로 언급한 경우는 동유럽 17개국과 서유럽 7개국 등 24개국 (80%)이고, 그 주체에 ‘우리’(we)를 병기한 경우는 동유럽 8개국과 서유럽 3개국 등 11개국(37%)이다. 둘째, 국가형태에 관하여, ‘공화국’은 동유럽 10개국과 서유럽 3개국에서, ‘군주국’은 서유럽 2개국에서, ‘연방국가’는 러시아와 독일ㆍ스위 스에서 언급된다. 셋째, 헌법전문의 실질적 측면의 핵심 요소로서, 유럽 10개국 이상에서 언급된 가치개념은 자유ㆍ민주주의ㆍ역사ㆍ정의ㆍ인권ㆍ독립ㆍ주권ㆍ평 화ㆍ권리ㆍ공화국ㆍ법치ㆍ책임ㆍ미래(세대)ㆍ인간존엄ㆍ평등ㆍ종교ㆍ자결권ㆍ복지 이다. 이들(종교 제외)은 모두 동유럽(7개국 이상)에서 언급되고, 순위도 비슷하 다. 그러나 서유럽(4개국 이상 언급)은, 종교가 상위 순위로 포함된 반면에, 공화 국ㆍ법치ㆍ인간존엄ㆍ평등ㆍ책임ㆍ미래(세대)ㆍ자결권ㆍ복지가 빠져 있다. 서유럽은 헌법전문 분량이 적고, 군주국이 많으며, 헌법전이 오래 전에 채택되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끝으로, 민주법치국가의 핵심적 가치개념에 해당하고 유럽에서 많이 언급된 인권ㆍ인간존엄과 법치는 한국의 헌법전문에서도 언급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ims at comparing the formal and substantial aspects constitutional preambles of forty three countries in Europe, which are classified into two groups, Eastern and Western. Almost all of them, except for England, have written Constitutions, but some of them have no preambles: Romania in Eastern Europe, and eleven countries in Western Europe. As to the formal aspects of thirty preambles, the average of file sizes is 2,264 bytes, but that of Eastern Europe doubles that of Western Europe. Most of preambles consist of the only one sentence, except for five in Eastern Europe and four in Western Europe. As to the substantial aspects of preambles, have been examined subjects of constitution-making, forms of state, and many concepts of constitutional values, such as: democracy, rule of law, freedom, equality, justice, peace, human dignity, human rights, history, religion, etc. As the subjects of constitution-making, ‘people’ or ‘representatives’(or ‘Assembly’) is referred in twenty four countries, and ‘we’ referred in eleven. As to forms of state, republic is referred in ten Eastern European and three Western European countries, but monarchy in just two Western European countries. Federalism is referred in the only one Eastern European country and two Western European countries. In ten or more European countries are referred the concepts of constitutional values, such as: freedom(or liberty), democracy, history,justice, human rights, independence, sovereignty, peace, rule of law, republic, responsibility, future generation, human dignity, equality, religion, self-determination, and welfare(or wellbeing). And most of these concepts, except religion, are referred in seven or more countries of Eastern Europe too. In Western Europe, however, list of the concepts of constitutional values, which are referred in four or more countries, lacks many above-mentioned concepts, such as rule of law, republic, responsibility, future generation, human dignity, equality, self-determination, and welfare. It is assumed that this lack dues to short preambles, many Constitutions made long ago, and many monarchies in Western Europe. In addition, it is useful to mention that several concepts familiar to European countries, especially such as human dignity, human rights, and rule of law, lacks and should be contained in the constitutional preamble of South Korea.

      • KCI등재
      • KCI등재

        세계 각국의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정의 비교 연구

        한병호(Byung-Ho Han) 한국해사법학회 2021 해사법연구 Vol.33 No.3

        이 논문은 세계 각국의 헌법에서 해양관할권이 어떻게 규율되는가를 조사ㆍ분석한다. 조사대상 국가는 성문헌법전이 있는 연안국 147개국이다.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헌법에서 해양관할권 개념을 언급하는지 여부와 관련하여, 세계 전체로는, 67개국의 헌법에서만 하나 이상의 해양관할권 개념이 언급되고, 80개국의 헌법에서는 해양관할권 개념이 전혀 언급되지 않는다. 대륙별로는, 헌법에서 하나 이상의 해양관할권 개념이 언급되는 국가의 수가 조사대상 국가의 절반이 넘는 곳은 아메리카에서뿐이다. 따라서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율이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있다고 할 수는 없다. 둘째, 헌법에서 언급되는 해양관할권 개념의 개수와 관련하여, 언급되는 개념의 평균 개수는 세계 전체로는 2.63개로서 총 6개의 절반에도 못 미친다. 대륙별로는 아메리카에서의 그러한 평균 개수가 총 개수(6개)의 절반을 상회할 뿐이다. 따라서 전반적으로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율이 별로 충실하지 못하며, 대륙별로는 특히 아시아ㆍ유럽에서 그러하다. 셋째, 세 가지 핵심적인 해양관할권 개념, 즉 영해ㆍ대륙붕과 배타적 경제수역과 관련하여, 그 셋을 모두 언급하는 경우(26개국)와 영해만을 언급하는 경우 (17개국)가 조사대상 국가(67개국)의 절반을 상당히 넘는다. 따라서 헌법상 해양관할권 규율이 비교적 체계적이라고 할 수 있다. 넷째, 헌법에서 해양관할권 개념을 사용하여 어떠한 사항을 규율하는가, 즉 해양관할권 개념의 용법 내지 쓰임새와 관련하여, 그러한 용법의 하나로서, 50개국에서는, 해양관할권의 공간적 범위를 설정ㆍ선언하기 위하여 해양관할권 개념이 사용된다. 대륙별로는, 거기에 해당하는 국가가 상대적으로 아메리카와 아프리카에서는 매우 높지만, 유럽과 특히 아시아에서는 매우 적다. 그러한 용법의 다른 하나로서, 18개국에서는, 국가조직 내에서(예컨대, 연방과 주 사이에 또는 중앙정부와 지방정부 사이에) 해양관할권을 배분하기 위하여 해양관할권 개념이 사용된다. 그러한 용법의 또 다른 하나로서, 31개국에서는, 해양공간에 존재하는 자연자원의 소유권의 귀속을 규율하기 위하여 해양관할권 개념이 사용된다. 다섯째, 해양관할권의 범위에 관하여 헌법에서 어떻게 규율하는가라는, 해양관할권의 범위에 관한 헌법상 규율 방식과 관련하여, 28개국의 헌법은 그것을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한다. 27개국의 헌법은 해양관할권의 범위에 대해서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 단지 6개국에서만 해양관할권의 범위가 직접 헌법에 의해서 설정될 뿐이다. 대륙별로는, 아시아ㆍ아프리카는 대체로 세계 전체의 경향과 비슷하지만, 아메리카의 다수 국가의 헌법은 해양관할권의 범위를 법률로 정하도록 위임하고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and analyzes how maritime jurisdiction is regulated by the written constitutions of 147 coastal countries in the world, an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o whether or not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not mentioned at all in the constitutions of 80 countries, and only one or mor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s of 67 countries. It is only in the Americas that more than half of the countries surveyed have one or mor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mentioned in their constitutions. Therefore, it cannot be said that the rules of maritime jurisdiction under the Constitution are spread all over the world. Second, with respect to the number of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mentioned in the Constitution, the average number of concepts mentioned in the world is 2.63, which is less than half of the total of 6. The average number in the Americas is just over half of the total of six. Therefore, the rules of maritime jurisdiction in the constitution are not very abundant, and this is especially the case in Asia and Europe. Third, in relation to the three cor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namely, the territorial sea, the continental shelf and the exclusive economic zone, the number of 26 countries referring to all three and 17 countries referring only to the territorial sea is considerably more than half of 67 countries surveyed.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regulations of maritime jurisdiction is relatively systematic in the constitution. Fourth, in relation to what matters are regulated by using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in the Constitution, that is, in relation to the usage of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there are three types. As one of such uses,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used to establish and declare the extent or breadth of maritime space under jurisdiction in 50 countries. The number of these countries is relatively many in the Americas and Africa, but very few in Europe and especially in Asia. As another such usage, in 18 countries,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used to allocate maritime jurisdiction within national organizations (eg, between federal and state or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s). As the other of such usage, in 31 countries, the concepts of maritime jurisdiction are used to prescribe the attribution of ownership of natural resources existing in maritime space. Fifth, with regard to how the Constitution regulates the extent or breadth of maritime jurisdiction, with regard to the method of regulation on the extent or breadth of maritime jurisdiction, the constitutions of 28 countries entrust the laws to set it. However, the constitutions of 27 countries make no mention of the extent of maritime jurisdiction. The extent of maritime jurisdiction is set by the Constitution itself in only six countries. The cases of Asia and Africa are considerably similar to the global trend, but the constitutions of the majority of countries surveyed in the Americas mandate that the extent of maritime jurisdiction be set by laws.

      • SCOPUSKCI등재

        유지 혈액투석치료를 받는 만성신부전에 수반된 우울증에서 항우울제 치료에 따른 우울증상 및 영양지표의 변화

        정연순 ( Yeon Soon Jung ),박시성 ( Si Sung Park ),민은정 ( Eun Jeong Min ),한병호 ( Byung Ho Han ),엄은아 ( Eun A Eum ),임학 ( Hark Rim ) 대한신장학회 2008 Kidney Research and Clinical Practice Vol.27 No.1

        목적: 유지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수반되는 우울증과 우울증상의 특성 및 정도를 조사하고, 항우울제 치료 전후의 우울증상 및 영양지표의 변화를 측정하여, 우울증과 우울증상의 치료가 유지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에게 미치는 임상적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고신대학교 복음병원 인공신장실에서 6개월 이상 동안 유지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만성신부전 환자 64명을 대상으로 우울증 및 우울정도와 영양상태 지표들을 조사하였다. 주요우울증의 진단은 반구조화된 면담을 통하여 DSM-IV TR 기준을 사용하였다. 우울증상의 정도는 17문항의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HRSD)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SGA), body mass index (BMI), triceps skin fold thickness (TSF), mid-arm muscle circimference (MAMC)와 handgrip strength를 측정하였으며 KT/V, normalized protein catabolic rate (nPCR), 혈청 알부민 농도 등과 같은 영양지표도 측정하였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8주간의 항우울제 약물치료를 시행하였고, 치료 이후 우울증상과 영양상태의 항목들을 재평가하였다. 결과: 만성신부전으로 유지 혈액투석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들 중 우울증으로 진단된 환자는 19명으로 42.2% (주요 우울장애 11명 24.4%, 기분부전장애 8명 17.8%)였다. 우울증이 있는 경우 우울한 기분, 죄책감, 자살사고, 수면장애, 일과 활동의 저하, 정신운동의 지연, 정신적 불안 및 신체 불안, 전반적인 신체증상 및 건강염려 등이 유의하게 높았다. 항우울제 약물치료 후 우울한 기분과 정신적 불안, 죄책감, 자살사고, 일과 활동, 수면장애 및 전반적인 신체증상 등이 유의하게 호전되었다. 치료 후 TSF (p<0.05), handgrip strength (p<0.01)와 hematocrit (p<0.05)이 개선되었다. 결론: 유지 혈액투석 중인 만성신부전 환자에서 우울증이 수반될 경우 우울증상에 대한 항우울제 치료는 수면과 신체증상 등을 포함하여 우울증상을 호전시킬 뿐만 아니라 삶의 질을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므로 적극적인 항우울제 치료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Purpose: Depression is common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on maintenance hemodialysis, though success rate of treatment is low.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features and severity of the depressive symptoms and nutritional indices, and significant changes after antidepressant treatment. Methods: The authors assessed 45 patients. Diagnosis of depression was made using DSM-IV-TR and the depressive symptoms were evaluated using Hamilton Rating Scale for Depression via semistructured interview. Subjective global assessment,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nutritional indices such as Kt/V, nPCR were examined. Depressive patients were treated for 8 weeks with SSRI (citalopram), and all the variables were examined again after the treatment. Results: 19 (42.2%) patients were diagnosed as depression. Nutritional status was not different between patients with depression and those without depression. Compared to non-depressed patients, depressed patients showed significantly higher depressed mood, guilty feeling, suicide idea, psychic and somatic anxiety, lower work and activities, psychomotor retardation, sleep disturbances, general somatic symptoms and hypochondriasis. After antidepressant treatment, depressed mood, guilty feeling, suicide idea, psychic anxiety, initial insomnia, middle insomnia, early awakening, work and activities and general somatic symptoms were improved significantly. TSF (p<0.05), handgrip strength (p<0.01) and hematocrit (p<0.05)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Conclusion: Antidepressant treatment is helpful not only for the improvement of depressive symptoms such as sleep and somatic symptoms but for the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Proper treatment should be more actively attempted for the hemodialytic patients with depression.

      • KCI등재
      • SCOPUS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