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 참여 경험이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Jo, Hye-Yo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참가모집 홍보를 보고 참여한 대상자 중에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10주간 주1회 120분간은 대학생 동료상담훈련을 받았고, 다음날 주1회 60분간은 온라인 상담실습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검증과,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F=13.258, p<.01)과 자기효능감(F=15.565, p<.01)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would effect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en participa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to the peer counseling program training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next day, practiced counseling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ANCOVA. As the participants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rovement on their self-esteem(F=13.258, p<.01) and self-efficacy(F=15.565, p<.01) than those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eer counseling program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it would help improve university freshmen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

        또래강사 프로그램 활동이 학습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Jo, Hye-Young),이보림(Lee, Bo-Rim),조민정(Jo, Min-J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는 또래강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방법 연구대상은 S대학교 CTL 또래강사 프로그램 참여자 102명이다. 최종 수집된 자료들은 SPSS 18.0을 이용하여 기초통계 분석(M, SD)을 통해 연구변인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왜도와 첨도로 정규성을 알아보았고, Cronbach s alpha 계수로 문항의 신뢰도를 분석하였다.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정규성을 만족하면서 사전 연구참여자와 사후 연구참여자가 동일하다는 전제를 가지고 있는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다.결과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보면, 사전 점수에 비해 사후 점수가 .22점부터 .50점까지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왜도는 -.653부터 .248의 범위로 나타났고, 첨도는 -1.087부터 1.621의 범위로 나타나 정규성을 충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사전 점수와 사후 점수 간의 차이를 검증한 결과, 학습역량(p-value .000)과 하위영역인 정보구성 능력(p-value .000), 자원활용 및 자아인식(p-value .001), 자기개선 및 사회성(p-value .002)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자기주도 학습역량(p-value .000)과 하위영역인 인식능력(p-value .000), 학습전략(p-value .000), 학습활동(p-value .000), 평가(p-value .000), 대인관계 기술(p-value .000)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또래강사 프로그램 후에 연구변인들의 평균 점수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나 학습역량과 자기주도 학습역량 강화에 유의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결론 본 연구결과는 역량 중심 비교과 학습 프로그램을 기획⋅운영할 때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peer instructor programs. Method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102 peer instructor program participants at S University. The final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study variables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M, SD) using SPSS 18.0. We investigated the normality with skewness and kurtosis, and analyzed the reliability of questions with the Cronbach s alpha coefficient. In order to verify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core and the post-score, we analyzed with the paired sample t-test that not only satisfies the normality but also assumes that the pre-research participants and post-research participants are same. Result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scores and post-scores of 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howed that the post-scores rose from .22 to .50 compared to the pre-scores. The skewness was in between -.653 and .248 and the kurtosis was shown to be in the range of -1.087 to 1.621, which satisfies the normality.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scores and the post-scores of learning competency,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differences occurred in between learning competency(p-value .000) and the subareas, information ability(p-value .000), resource utilization, self-awareness (p-value.002), and sociality (p-value.002). Differences occurred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p-value.000) and the subareas, recognition ability(p-value.000), learning strategies(p-value.000), learning activities(p-value.000), evaluation(p-value.000), and interpersonal skills(p-value.000). Since the average score of research variables increased after the peer instructor program, it can be interpreted as playing a significant role in strengthening learning competenc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onclusions This research result is significant in that it provides the basic data for planning and running the competency-oriented extracurricular learning programs.

      • KCI등재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 인권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Young)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2018 유아교육학논집 Vol.22 No.5

        본 연구는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존중과 자아존중감, 인권의식 간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해본 후, 구조적 모형 속에서 인권교육 유무에 따라 집단 간 경로의 차이를 규명해 보는 것이 주요 목적이다. 연구대상은 유아교육과와 보육과에 재학 중인 예비유아교사 449명이다. SPSS 20.0과 AMO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적 관계와 동질성을 확인한 후, 다집단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존중이 인권의식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아존중감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나 최종모형으로 선정하였다. 둘째, 예비유아교사의 인권교육 유무에 따른 다집단 분석결과, 인권교육을 받은 예비유아교사가 그렇지 않은 예비유아교사에 비해 인권존중이 인권의식에 강력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나 부분 조절효과가 입증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예비유아교사의 인권의식을 신장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 ’s respect for human rights, self–esteem human rights consciousness and then identify differences in pathways according to belonging to the group educated in human rights or not.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49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attending departments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nd child care education. SPSS 20.0 and AMOS 22.0 programs were used to identify structural relationships and homogeneity, and then analyzed in multiple group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final model was that the self-esteem was partially mediated in the process of the influencing of the respect for human rights on human rights consciousness. Second, as a result of multi-group analysis according to the presence of human rights education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human rights consciousness showed a strong influence on the educated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compared to “uneducated”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With this, the moderating effect was demonstra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how to increase the human rights awareness of early childhood pre-service teacher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남한 어머니 간의 다집단 분석

        조혜영 ( Jo Hye Young ),권정윤 ( Kwon Jeong Yoon ) 한국유아교육학회 2020 유아교육연구 Vol.40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의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와 남한 어머니 간의 차이를 다집단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196명과 남한 어머니 201명을 대상으로 SPSS 18.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다집단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온정적 양육행동은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와는 부적관계인 반면,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과 의사소통지향의 상호작용은 정적관계가 나타났다.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는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며,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과 의사소통지향의 상호작용을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들은 남한 어머니에 비해 역기능적 상호작용의 양육스트레스가 부모역할에 대한 효능감에 주는 영향이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 이탈주민 어머니가 자녀와의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양육스트레스를 감소시켜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여 제시한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variables affecting warmth-parenting behavior of mothers with children in early childhood, and to analyze the differences between North Korean defector and South Korean in multi-group approach. For data, 196 mothers of North Korean defector origin and 201 South Korean mothers living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ere analyzed using SPS 18.0 and AMOS 23.0 through a multi-group structural equation. First, while warmth-parenting behavior ha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the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had a positive direct effects on the communication-oriented interaction. The measurement model and the structural model were found to be appropriate. The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directly influenced warmth-parenting behavior. An indirect influence was exhibited through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and communication-oriented interaction as medium. Second, the impact of parenting stress of dysfunctional interaction on the efficacy in the role of parents was shown to be greater in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han South Korean mothers. These results are significant in finding and suggesting ways for North Korean defector mothers to reduce parenting stress whe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유아교육기관 경험에 대한 탐구

        조혜영(Jo, Hye-Young),권정윤(Kwon, Jeong-Y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3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8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북한 사회체제에서 이미 습득한 교육관이 남한사회체제 속에서 나타나는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는 무엇이며, 이 과정에서 겪게되는 어려움과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내용이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중점을 두었다. 연구 참여자는 눈덩이 표집방법을 사용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8명으로 선정하여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해 탐색하였다. 연구결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는 남한 유아교육기관에 대한 의미를 ‘누구에게나 평등한 유아교육 제공’, ‘유아를 위한 유아중심의 교육’, ‘부모와 교사 간 교육 동반자 의식 형성’, ‘유아의 꿈과 희망을 꽃 피우는 통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경험한 남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어려움은 교육방식, 교육의 책임소재, 소통문화, 학습내용의 차이에서 오는 어려움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북한이탈주민 어머니가 유아교육기관에 요구하는 지원서비스 내용으로는 북한이탈주민 유아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지원과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에 대한 지속적인 교육지원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를 위한 교육적 지원과 부모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xperiences, difficulties, and needs regarding their children’s early childhood education in South Korea as compared to their educational and cultural experiences in North Korea.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8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To analyze the study purpose in depth, both participant observation method and in-depth interview as a qualitative case study were u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experiences o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in South Korea were characterized as providing equal educational opportunities, child-centered education, education partnership between parents and teachers, and the place where the child’s dream come true. Second,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faced difficultie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The different teaching methods, different educational liability, different communication cultures, and different learning contents were the difficulties that they expressed. Third,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sked more various educational opportunities and benefits for their children consistently. Also,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anted self-development programs such as language education, diverse information,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technical training for successful adaptation. Based on these study results, it was discussed the direction of educational supports and parenting education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and their children.

      • KCI등재

        미국의 이주 아동,청소년 적응 지원 프로그램 및 시사점에 관한 연구

        조혜영 ( Hye Young Jo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1 청소년복지연구 Vol.13 No.1

        본 논문은 미국의 이주 아동·청소년 현황 및 이들을 위한 적응 지원 프로그램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다. 다양한 인종과 민족, 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주민으로 이루어진 미국사회 경우를 살펴봄으로써 향후 한국사회가 보다 원활한 다문화사회로 진전하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미국으로 이주하는 아동·청소년들을 계절 이주 노동자 자녀, 난민 아동·청소년, 그리고 대다수의 이민자 및 그 자녀들을 포함하는 제한된 영어 구사자(Limited English Speakers) 집단으로 구분하여 인구 규모와 현황에 대해 살펴보았고 이들을 위한 정부의 지원 서비스와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한국사회의 이주 아동과 청소년들을 위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들에 대해 제시하였다. 주요 시사점으로는 이주 아동·청소년 지원을 위한 정책 부서의 역할분담, 수혜자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 제공, 공공 및 민간 자원 연계 협력, 서비스 내용의 정보화, 언어 습득 및 학업 성취를 위한 시스템 정립, 인도주의적 차원의 지원 서비스 실천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for migrant children and youth in the US and further to have their implications on Korean society. I attempted to elicit better policies and programs for Korea to move toward multicultural society by understanding US cases which have been developed for the migrants from diverse ethnic, ra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for a long time. For this, I categorized migrant children and youth into children of migrant laborers, refugees, and limited English speakers. And I speculated on their situation and related policies and services provided by the US government. From this review, I suggested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government agencies to develop policies and service programs for migrant children and youth in Korean society. Major points were as follows: clear role division between government departments, providing services adequate for recipients`s situation, cooperation between public and private resources, easy access to information of service and program contents, system building for language acquisi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nd practicing humanistic support.

      • KCI등재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

        조혜영(Hye Young Jo),배지희(Ji Hi Bae)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4 열린유아교육연구 Vol.19 No.2

        본 연구는 북한이탈주민 가정의 심리적 양육환경과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을 탐색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만 3세-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188명을 대상으로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 부모의 양육신념, 심리적 안정감, 그리고 가족분위기에 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Pearson의 상관관계, 양류상관관계,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행동 가운데 온정성과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통제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양육신념 가운데 문제해결능력 촉진, 창의적 능력 촉진, 일상적 기술 촉진과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셋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부모의 심리적 안정감 중 환경에 대한 지배력, 개인적 성장, 긍정적 대인관계와는 정적인 상관관계가 나타났고, 자율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넷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은 가족분위기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영역에서는 부분적으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다섯째, 자녀의 친사회적 행동에 주는 영향력이 가장 높은 변인은 부모의 양육신념 중에 일상적기술 촉진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북한이탈주민들이 긍정적인 심리·정서를 함양하도록 국가적 차원에서 접근한 양육, 건강의 통합서비스를 제공해 주어야 한다. This study aims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families` psychological environment of parenting and their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The subjects consist of 188 North Korean refugee parents with children three to five years old. The data are analyzed using Pearson`s Correlation, Point-Biserial Correlation and Multiple Regressi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osi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tenderness” in parental attitudes;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high control” in parental attitudes. Secon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promoting problem-solving abilities, creativity, and daily skills which were sub-categories of parental beliefs. Third,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capability of managing environment, personal growth, and positive interpersonal relationships which were sub-categories of parental psychological well-being. In contrast, negative correlations were found betwee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and the “autonomy” factor in parental psychological well-being. Fourth,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ere partially correlated with sub-categories of family climate. Fifth, the variable found to have the strongest influence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s was “promoting daily skills,” a sub-category of parental beliefs.

      • KCI등재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Jo, Hye-Young),권정윤(Kwon, Jeong-Yoon)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2017 열린유아교육연구 Vol.22 No.4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의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문화적응 스트레스, 사회적 지지, 양육 스트레스, 부모효능감, 어머니-자녀 상호작용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 인천,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북한이탈주민 어머니 290명을 대상으로 구조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양육행동의 온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은 양육 스트레스와 부모효능감이었다. 또한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온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부모효능감과 양육 스트레스는 각각 완전 매개의 역할을 하고, 특히 부모효능감은 이중 매개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양육행동의 통제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변인은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였다. 문화적응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양육행동의 통제성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의 매개변인은 부모효능감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북한이탈주민 어머니를 위한 양육지원 방향에 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acculturative stress, social support, parenting stress, parenting efficacy and mother-child interaction that influence parenting behaviors of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young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90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with 3-5 years old children living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e respons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18.0 and AMOS 22.0.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ing. First, the variables that had direct effect on parental warmth was parenting stress and parenting efficacy. Such stress and efficacy also acted as mediators for the process, in which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influence on sound parenting behavior, and especially, parenting efficacy demonstrated to be acting as dual mediator. Second, the variables with direct effect on parenting control were acculturative stress and social support and in the process, it was found that parenting efficacy was the mediator. This study discusses direction of support for the North Korean refugee mothers based on the results.

      • KCI등재

        다문화가족 지원과 역차별 이슈 인식 고찰: 취약집단 서비스 담당자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조혜영 ( Hye-young Jo )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17 다문화와 평화 Vol.11 No.3

        다문화정책이 시행된 지 10여년이 지났지만 ‘다문화’ 관련 이슈는 여전히 우리 사회에서 부침을 거듭하고 있다. 초창기에는 이주민 대상 시혜성 담론이 주를 이루었다면 근래에는 역차별과 반다문화 담론이 출몰하고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다문화가족 지원과 역차별 논의가 지역 현장에서 어떻게 체감되고 있는지 살펴보고, 보다 바람직한 다문화가족 지원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선주민 취약집단 지원 서비스를 담당하는 현장전문가 9인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우선, 역차별 현장 체감과 관련해서는 실제적 체감도와 인터넷 담론과의 괴리, 다문화가족의 위기 및 취약성, 다문화가족 범주에 포함되지 못하여 겪는 어려움, 다문화가족 범주 내의 증가하는 다양성, 다문화가족과 취약집단은 대립관계가 아님을 경험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가족 지원 개선방안 모색을 위하여 정착 수준에 따른 지원 차별화, 위기·취약 다문화가족 및 사각지대 지원, 선주민 취약집단과 통합적 지원, 단기 이벤트성 행사 지양, 다문화가족의 공동체의식 증진 등을 제안하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성숙한 다문화사회로의 진행을 위한 다문화정책 개선방향 관련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Although it has passed 10 years since multicultural policy was implemented, the issues related with ‘multiculture’ have been still fluctuating in our society. While the discourse on immigrants was centered around charity in the beginning, issues of reverse discrimination and anti multiculture have emerged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issues of multi-cultual support and reverse discrimination have been experienced by service experts in the local setting and seek more improved way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For this, I conducted interviews with 9 participants who have been in charge of service for native disadvantaged people in the local areas. First of all, in terms of experienced reverse discrimination issue, they pointed out the gap between real perception and internet discourse, risk and disadvantages of multicultural families, difficulties not covered by the support law, increasing diversity within the multicultural family category, and non-confrontational relation between multicultural families and native disadvantaged groups. Next, while delivering services for disadvantaged people, in order to improve multicultural policy, they suggest differentiated support depending on multicultural families’ settlement stage, enhanced support for at-risk and disadvantaged multicultural families at blind spot, inclusive support with native disadvantaged group, reduction of short-term event style supports, and increasing multicultural families’ sense of community. Based on such results, I provided some discussion and suggestion for multicultural policy improvement inducing mature multicultural society.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혜영 ( Hye Young Jo ),양계민 ( Kye Min Y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 초기 적응과정 중 교육실태와 진로포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총 403명이며 59.6%가 비재학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비재학 청소년들의 국적, 성별,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 남자 청소년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학업이나 진로에 대한 포부가 높은 반면 현실적으로 이들의 욕구 실현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체류 신분상의 문제, 학교 전입에 필요한 서류 구비 문제, 한국 학교에서의 수동적 반응 등이 이들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일단 학교에 들어간다 해도 한국 학교에서의 제도적 지원 미비, 이주 청소년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태도, 본국에서 형성된 생활 습관 등이 이들의 학교 적응을 힘들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을 위한 적절한 진로교육이나 취업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당장의 가정형편, 주변 친구들의 영향 등으로 부적절한 일시 근로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생활 패턴은 장기적으로는 저항적인 또래 문화로 형성되어 제도교육 진입이나 적절한 취업과는 더욱 거리가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 결국 이들이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욕구와 사회문화적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나 진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ducation and career plan of the youth migrants who moved to Korean society from China in order to join to their family members, mostly to their mothers. For this, we conduct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number of youth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as 403 and the ratio of youths who were not attending school was 59.6% which was more than youths in schools. Ratio of migrant youths out of school were more when they did not have Korean nationalities; when they were boys; and when they were older. While they had high needs of education and career, the realities did not meet their needs. Their legal status, lack of documents for school entrance, passive responses of Korean schools were barriers to their school attendance. And even though they got into the schools, lack of supporting system of Korean schools, attitudes of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to them and their ways of life in their back home made them hard to adjust to the Korean school context. In addition, it was hard to find proper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for them at present situation. They often had some illegal part time jobs which were informed by their friends. Further, their ways of life could lead to forming a counter peer culture in the long term and avoid getting in to the public education and decent jobs. More relevant education and career plan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be members of Korean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