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온·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 참여 경험이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Jo, Hye-Young 한국전자통신학회 2017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 Vol.12 No.5

        본 연구에서는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자는 프로그램 참가모집 홍보를 보고 참여한 대상자 중에 실험집단 10명, 통제집단 10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집단 대상자들은 10주간 주1회 120분간은 대학생 동료상담훈련을 받았고, 다음날 주1회 60분간은 온라인 상담실습을 병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t검증과, 사전검사를 공변인으로 하는 공변량분석(ANCOVA)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신입생의 자아존중감(F=13.258, p<.01)과 자기효능감(F=15.565, p<.01)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나타났다. 이는 대학생 온 오프라인 동료상담훈련이 사회복지전공 신입생의 자아존중감과 자기효능감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훈련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Peer counseling program in on-offline would effect university students on their self-esteem and self-efficacy. In order to achieve this purpose, ten participants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en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ubjects in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 to the peer counseling program training for 120 minutes once a week for 10 weeks. The next day, practiced counseling online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d ANCOVA. As the participants of the Peer counseling program reported that they experienced significant difference of improvement on their self-esteem(F=13.258, p<.01) and self-efficacy(F=15.565, p<.01) than those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Peer counseling program suggested that expected to positive effects it would help improve university freshmen students' self-esteem and self-efficacy.

      • KCI등재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및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

        조혜영(HyeYoung Jo) 한국산학기술학회 2023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24 No.5

        본 연구는 대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및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 간의 구조적 관계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수도권 A대학교 재학생 140명을 대상으로 SPSS 25.0과 AMOS 23.0을 이용하여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구조방정식으로 분석하였다. 매개효과는 부트스트래핑(bootstrap) 추정방법으로 95% 신뢰 구간에서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생활 적응 요인을 중심으로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결과를 보면,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및 대학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하위영역인 학업적 적응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및 대학 만족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적응과 개인 · 정서적 적응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과 소속학과 만족도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대학 만족도와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측정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소속학과 만족도, 대학 만족도, 대학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속학과 만족도는 대학 만족도와 대학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 만족도는 대학생활 적응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소속학과 만족도가 부분매개 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본 연구결과는 대학생들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이 대학생활 적응에 중요한 요인임을 재확인시켜 주는 것이다. 이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을 강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소속학과와 연계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university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department, university satisfaction, and adaptation to university. For th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earch variables of 140 students at A University in the capital area was analyzed with a structural equation using SPSS 25.0 and AMOS 23.0.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in the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the bootstrap estimation method.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results focusing on university adaptation factors reveal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Academic adaptation, a sub-area,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and university satisfaction. While social adaptation and personal and emotional adaptation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department satisfaction,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university satisfaction. Second, the measurement model was suitable. An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research variables showed that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ignificantly affected department satisfacti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university adaptation. Department satisfact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satisfaction and university adaptation. University satisfaction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university adaptation. An analysis of the mediating effect suggested that department satisfaction was partially media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reconfirm that the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f university students is an important factor in adapting to university life.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a way to strengthe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connection with the department.

      • KCI등재

        유자박 올레오레진 및 당 함량 차이가 유자 젤리의 품질 특성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 ( Hye Young Jo ),강태영 ( Tae Young Kang ),정준호 ( Junho Jung ),고상훈 ( Sanghoon Ko ) 한국산업식품공학회 2015 산업 식품공학 Vol.19 No.3

        본 연구의 목표는 유자박 올레오레진, 비타민, 미네랄이 첨가된 유자 젤리 제조 시 설탕 및 자일리톨의 함량 차이가 유자 젤리의 외관 및 물성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것이다. 유자 젤리는 유자 착즙액에 젤라틴, 유자박 올레오레진, 비타민, 미네랄을 첨가하고 이때 설탕 및 자일리톨의 조성을 각각 0, 25, 50%의 조건에서 제조하였다. 제조된 유자 젤리의 특성분석을 위하여 명도, 적색도, 황색도를 측정하였고, 저장 기간에 따른 유자 젤리의 견고성, 점성, 탄성, 점착성 변화를 측정하였다. 유자 젤리는 설탕의 첨가 비율이 높을수록 명도가 낮고 견고한 젤리가 제조되었고, 유자박 올레오레진을 첨가하였을 때 명도가 낮고 부드러운젤리가 제조되었다. 유자 젤리는 저장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설탕보다 자일리톨의 첨가 비율이 높은 시료에서 당 석출 정도가 높았다. 결론적으로 설탕과 자일리톨의 비율이 각 25%일 때 유자 젤리의 외관 및 물성 변화가 최소화되었다. 본 연구에서 확립한 유자 젤리 제조 방법은 유자박의 활용성 제고 및 고부가가치 유자 가공품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were to prepare citron jellies containing citron pomace oleoresin, vitamins, and mineral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ugar and xylitol composition on their appearance and texture properties over time. The citron jellies were prepared with the ingredients of citron juice, gelatin, citron pomace oleoresin, vitamins, sugar (0, 25, and 50%), xylitol (0, 25, and 50%), and minerals. The lightness of the citron jellies decreased with increasing sugar content. On the contrary, the hardness of the citron jellies increased with increasing sugar content. The addition of citron pomace oleoresin lowered the lightness and hardness of the citron jellies. Sugar recrystalization in the citron jellies occurred over time; the sugar recrystalization was high in the citron jellies prepared with a high content of xylitol. In conclusion, the citron jellies prepared at 25% sugar and 25% xylitol showed the smallest change of appearance and texture property over time.

      • KCI등재

        중도입국청소년 학업실태 및 진로포부에 대한 탐색적 연구

        조혜영 ( Hye Young Jo ),양계민 ( Kye Min Yang ) 한국청소년복지학회 2012 청소년복지연구 Vol.14 No.3

        본 논문은 "중도입국" 청소년들의 이주 초기 적응과정 중 교육실태와 진로포부에 대하여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중국 출신 중도입국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에 참여한 청소년들은 총 403명이며 59.6%가 비재학 청소년으로 나타났다. 비재학 청소년들의 국적, 성별, 연령별 분포를 살펴보면, 국적을 취득하지 않은 경우, 남자 청소년의 경우, 연령이 높을수록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도입국" 청소년들은 학업이나 진로에 대한 포부가 높은 반면 현실적으로 이들의 욕구 실현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체류 신분상의 문제, 학교 전입에 필요한 서류 구비 문제, 한국 학교에서의 수동적 반응 등이 이들의 진입을 어렵게 하고 있으며, 일단 학교에 들어간다 해도 한국 학교에서의 제도적 지원 미비, 이주 청소년에 대한 교사 및 학생들의 태도, 본국에서 형성된 생활 습관 등이 이들의 학교 적응을 힘들게 하고 있다. 이와 함께 이들을 위한 적절한 진로교육이나 취업지원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당장의 가정형편, 주변 친구들의 영향 등으로 부적절한 일시 근로나 아르바이트를 하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생활 패턴은 장기적으로는 저항적인 또래 문화로 형성되어 제도교육 진입이나 적절한 취업과는 더욱 거리가 멀어지게 할 수도 있다. 결국 이들이 건전한 사회구성원으로 성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이들의 욕구와 사회문화적 배경을 활용할 수 있는 다양한 교육이나 진로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This study aimed to explore education and career plan of the youth migrants who moved to Korean society from China in order to join to their family members, mostly to their mothers. For this, we conducted survey and in-depth interviews. The number of youth participating in the survey was 403 and the ratio of youths who were not attending school was 59.6% which was more than youths in schools. Ratio of migrant youths out of school were more when they did not have Korean nationalities; when they were boys; and when they were older. While they had high needs of education and career, the realities did not meet their needs. Their legal status, lack of documents for school entrance, passive responses of Korean schools were barriers to their school attendance. And even though they got into the schools, lack of supporting system of Korean schools, attitudes of Korean teachers and students to them and their ways of life in their back home made them hard to adjust to the Korean school context. In addition, it was hard to find proper career education and employment support for them at present situation. They often had some illegal part time jobs which were informed by their friends. Further, their ways of life could lead to forming a counter peer culture in the long term and avoid getting in to the public education and decent jobs. More relevant education and career plan should be provided for them to be members of Korean society.

      • KCI등재

        다문화 청소년의 교사관계가 우울 및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 :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 매개효과

        조혜영(Jo, Hye-Young),오민아(Oh, Mi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1

        본 연구는 다문화 청소년의 교사관계가 우울과 사회적 위축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SPSS 18.0과 AMO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다문화 청소년 패널조사」5차년도(2015) 패널데이터의 중학교 2학년 1,348명을 대상으로 경로모형 분석을 통해 영향력과 부트스트랩으로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 연구결과를 제시하면, 첫째, 우울은 교사관계,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사회적 위축은 교사관계, 자아탄력성과는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난 반면, 문화적응 스트레스와는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교사관계는 우울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관계는 사회적 위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며,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를 매개로 간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관계가 우울과 사회적 위축에 영향을 주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과 문화적응 스트레스가 부분매개하며, 문화적응 스트레스는 이중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다문화 청소년의 우울과 사회적 위축을 완화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mediated effects of self-resiliency and acculturation stress about the impact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relationships with teachers on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For this, 1,348 middle school sophomores of the fifth year(2015) panel data of the Korea Youth Policy Institute 「Multicultural Adolescents Panel Research」using the SPSS 18.0 and AMOS 23.0 programs were selected to verify the mediated effects of influence and bootstrap through the path model analysis. First, while depression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lations with teachers and self-resiliency,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ess. While social withdrawal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relations with teachers and self-resiliency, it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acculturation stress. Second, the relations with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depression, and it had an indirect effect by the medium of self-resiliency and acculturation stress. Relations with teachers had a direct effect on social withdrawal, and it had an indirect effect by the medium of self-resiliency and acculturation stress.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ffecting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self-resiliency and acculturation stress mediated in parts, and acculturation stress mediated in double. It can be meaningful in that it suggests ways to relieve the depression and social withdrawal of multicultural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 KCI등재

        S대학교의 지역사회 연계 전공학습 프로그램 활동이 학습역량, 자기주도 학습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조혜영(Jo, Hye-You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5

        본 연구는 S대학교 지역사회 연계 전공학습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대학교 실용음악 및 유아교육 전공 재학생 22명이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을 사용하여 기초통계 분석을 통해 연구변인의 사전·사후 점수의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Kolmogorov-Smirnov 또는 Shapiro-Wilk 정규성 검증을 실시하였고, 최종적으로 비모수통계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짝지어진 표본 간 분포 차이를 Wilcoxon 검정하였다. 주요결과는 첫째, 연구변인에 대한 사전 평균 점수에 비해 사후 평균 점수가 높아진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Kolmogorov-Smirnov와 Shapiro-Wilk를 통해 정규성을 확인한 결과 일부 요인에서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전·사후 평균 점수 간의 평균의 차이를 통계적인 유의성으로 검증한 결과 모든 요인에서 p<.001 수준에서 차이가 발생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지역사회 나눔과 배려, 실천을 통해 전공뿐만 아니라 역량 및 문제해결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지역사회 상생발전을 위한 대학의 역할에 대한 책무성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을 도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를 갖는다. This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S University s community-linked major study program.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22 students majoring in practical music and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S University. The data collected for this study identified the tendency of research variables s pre- and post-score through basic statistical analysis using SPSS 18.0. Kolmogorov-Smirnov or Shapiro-Wilk normality test was conducted and finally it was analyzed by nonparametric statistical methods. Wilcoxon test was conducted for distribution differences between the paired samples. The ke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we confirmed that the post average score for the study variables increased compared to the pre average score. Second, as a result of checking the normality through Kolmogorov-Smirnov or Shapiro-Wilk test, it turned out that some factors didn t satisfy the normality.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re- and the post-average score with statistical significance, differences occurred in every factor (p<.001). The findings suggest that through community sharing, consideration and practice, we can improve not only our ability in major but also our competence and problem-solving skills. It is meaningful that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deducing plans to strengthen the responsibility of universities for the win-win development of local communities.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 연구

        조혜영(Hyeyoung Jo)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본 연구에서는 예비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활용한 Nano-LAB 교과의 효과성을 교사효능감, 메타인지, 자기성찰지능으로 알아보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충청도 소재지 A대학교 유아교육과 재학생 중 Nano-LAB 교과를 수강한 7명이 연구대상이다. 교사효능감, 메타인지, 자기성찰지능 변인을 측정하기 위해 사전점수와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SPSS 23.0을 사용하여 Kolmogorov-Smirnova test(K-S)와 Shapiro-Wilk test(S-W)로 정규성을 검증하였고, Wilcoxon으로 분석하여 사전평균 점수와 사후평균 점수의 차이를 통계적 유의성으로 알아보았다. 결과 주요결과는 첫째, 대부분의 연구변인에서 정규성을 만족하고 있었으나, 교사효능감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 K-S 사후점수와 메타인지 K-S 사전점수 및 하위변인인 계획 S-W 사후점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사전평균 점수와 사후평균 점수의 차이를 통계적인 유의성으로 보면, 교사효능감과 하위변인인 개인적 교사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일반적 교사효능감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메타인지와 하위변인인 계획, 점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조절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자기성찰지능과 하위변인인 자기이해, 자기설계, 자기조절 및 정서활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자기반성에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본 연구결과는 플립러닝을 정규교육과정 외 교과를 운영할 때 보다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방향을 제공하는데 기초자료를 활용할 수 있다. 그리고 역량중심의 교육을 이끌기 위한 방안을 중점으로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Nano-LAB subjects using flipped learning for teacher efficacy, meta-cogni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ethods Seven students who took the Nano-LAB class among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University in Chungcheong-do were the subjects of this study. Pre-tests and follow-up tests were conducted to measure the variable of teacher efficacy, meta-cognition, and intrapersonal intelligence. We tested the normality with Kolmogorov-Smirnova test (K-S) and Shapiro-Wilk test (S-W) using SPSS 23.0, and analyzed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verage score and post-average score with Wilcoxon as statistical significance. Results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most of the research variables satisfied the normality,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ub-variable of teacher efficacy, personal teacher efficacy K-S post-score and meta-cognition K-S pre-score and the sub-variable, planning S-W post-score. Second, for the difference between the pre-average score and the post-average score in the view of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he sub-variable, personal teacher efficacy, whi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general teacher efficacy. Whil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meta-cognition and the sub-variables such as planning and inspection,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regulation.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intrapersonal intelligence and the sub-variables such as self-understanding, self-design, self-regulation, and emotional utilization,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lf-refle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s as basic data to provide directions to conduct flipped learning more effectively when operating subjects other than regular curriculum. In addition, we discussed the ways to lead competency-oriented education.

      • KCI등재

        연구보고 : 조기유학생 학업수행과 적응에 관한 연구: 미국 소도시 유학생들의 사례

        조혜영 ( Hye Young Jo ) 한국문화인류학회 2007 韓國文化人類學 Vol.40 No.2

        This study sheds light on the adjustment process experienced by youth studying abroad, focusing on their process of adjustment to academic life. It is hard to generalize about the adjustment processes of youths studying abroad, because the adjustment varies depending on diverse factors: country and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school type where they study, age, cultural capital, and the academic record of each individual youth. In this study, I describe the adjustment process of youths who are studying in a small campus town in the U.S. Although the mass media often depicts the failures and delinquencies of youths studying abroad, little is in fact known about how young people perform and think about their academic life while they are adjusting to study abroad, especially in a small town rather than in a big city. Thus, I attempt to show what they experience and how they evaluate the study process; what things they perceive as either favorable or difficult; and finally, how we can understand their adjustment process as compared with young immigrants. Overall, the youths in this study faced difficulties from differences of language, culture and school structure in the beginning phase of their adjustment. They had to struggle with the difficulties presented by class presentations, discussions, writing, homework tasks, and class procedures which are different from Korean schools`. Meanwhile, some other differences eventually become positive factors on adjustment, reminding the young people of their difficult school experiences in Korea. Positive factors included homework style, positive experiences with teachers, the evaluation system, variations of activity and the accepting atmosphere toward d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