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실란커플링제 종류가 친수성 코팅 필름의 물성에 미치는 영향

        이병화 ( Byoung-hwa Lee ),김은기 ( Eun-ki Kim ),이슬 ( Sul Lee ),임형준 ( Hyung-jun Lim ),이인표 ( In-pyo Lee ) 한국화학공학회 2016 Korean Chemical Engineering Research(HWAHAK KONGHA Vol.54 No.2

        고분자 필름의 친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우수한 친수성을 보이는 코팅 용액을 졸-겔법으로 합성하였다. 코팅 용액은 입자 직경이 15 nm 크기의 콜로이드 실리카에 다양한 실란커플링제인 아미노실란, 에폭시실란과 아크릴실란을 각각 반응시켜 제조하였다. 콜로이드 실리카에 아미노실란을 첨가한 코팅 용액은 바로 겔화가 진행되어 코팅 용액을 제조할 수 없었다. 반면에 에폭시실란을 첨가한 코팅 용액은 실란커플링제/콜로이드 실리카의 질량분율(R값)이 0.10~0.15에서 접촉각 10~15°의 우수한 친수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아크릴실란을 첨가한 코팅 용액은 R값이 0.03~0.07에서 5~10°의 접촉각을 나타내어 아미노실란과 에폭시실란을 사용했을 때 보다 우수한 친수성을 나타내었다. In order to improve the hydrophilic property of polymer films, coating solutions which showed a good hydrophilic property, were prepared by the sol-gel method. The coating solutions were prepared by adding different types of silane coupling agents (aminosilane, epoxysilane and acrylsilane) to a colloidal silica (15 nm diameter). The solutions prepared by adding aminosilane resulted in gels which could not be used as coating solutions. On the other hand, the coating solution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epoxysilane showed contact angles of 10~15° and good hydrophilic property at R=0.10~0.15 (R=silane coupling agent/colloidal silica weight ratio). In addition, the coating solutions prepared by the addition of acrylsilane at R=0.03~0.07, exhibited contact angles of 5~10°, which means better hydrophilic property than aminosilane or epoxysilane.

      • KCI등재후보

        Operational Validation of the COMS Satellite Ground Control System during the First Three Months of In-Orbit Test Operations

        이병,김인준,이수전,황유라,정원찬,김재훈,김해연,이훈희,이상철,조영민,김방엽,Lee, Byoung-Sun,Kim, In-Jun,Lee, Soo-Jeon,Hwang, Yoo-La,Jung, Won-Chan,Kim, Jae-Hoon,Kim, Hae-Yeon,Lee, Hoon-Hee,Lee, Sang-Cherl,Cho, Young-Min,Kim, Bang-Ye Korea Society of Satellite Technology 2011 한국위성정보통신학회논문지 Vol.9 No.1

        2010년 6월 26일에 발사된 통신해양기상위성(천리안)은 Ka-대역 위성통신, 정지궤도 해양관측, 그리고 기상관측을 위한 탑재체를 가지고 있다. 정지궤도상의 위성을 효과적으로 운용하기 위해서 위성 임무운영 개념을 정립하여 이를 위성관제시스템의 개발 초기 단계부터 적용하였다. 천리안 위성의 임무운영은 일별, 주별, 월별 그리고 계절별 운영으로 구분된다. 위성의 일별운영은 임무계획, 명령계획 및 전송, 원격측정 데이터 처리 및 분석, 위성 거리측정 및 궤도결정, 위성의 궤도 및 이벤트 예측, 그리고 휠 오프로딩 파라미터 계산으로 구분된다. 위성의 주별 운영으로는 화요일에 남북방향 위치유지조정, 목요일에 동서방향 위치유지조정으로 구분된다. 월별운영으로는 위성의 온보드 오실레이터를 갱신하기 위한 비행역학 파라미터 계산과 위성으로의 전송이 수행되며 계절별 운영으로 봄과 가을에는 지구가 태양을 가리는 식에 관련된 위성운영을 수행한다. 이 논문에서는 통신해양기상위성이 발사된 후 약 3개월에 걸친 궤도 내 시험 기간 중에 이루어진 위성관제시스템의 주요 기능들에 대한 운영검증을 기술한다. 이 기간 중에 위성관제시스템의 대부분 기능이 성공적으로 검증되었으며 천리안 위성관제시스템은 위성의 설계 수명기간인 7년 또는 위성이 수명을 다하는 그 이후까지 계속 사용될 예정이다. COMS(Chollian) satellite which was launched on June 26, 2010 has three payloads for Ka-band communications, geostationary ocean color imaging and meteorological imaging. In order to make efficient use of the geostationary satellite, a concept of mission operations has been considered from the beginning of the satellite ground control system development. COMS satellite mission operations are classified by daily, weekly, monthly, and seasonal operations. Daily satellite operations include mission planning, command planning and transmission, telemetry processing and analysis, ranging and orbit determination, ephemeris and event prediction, and wheel off-loading set point parameter calculation. As a weekly operation, North-South station keeping maneuver and East-West station keeping maneuver should be performed on Tuesday and Thursday, respectively. Spacecraft oscillator updating parameter should be calculated and uploaded once a month. Eclipse operations should be performed during a vernal equinox and autumnal equinox season. In this paper, operational validations of the major functions in COMS SGCS are presented for the first three month of in-orbit test operations. All of the major functions have been successfully verified and the COMS SGCS will be used for the mission operations of the COMS satellite for 7 years of mission life time and even more.

      • KCI등재

        다래(Actinidia arguta), 양다래(A. deliciosa), 다래×양다래(A. arguta×A.deliciosa) 품종의 엽 형태적 변이 분석

        이병실 ( Byoung Sil Lee ),이문호 ( Moon Ho Lee ),황석인 ( Suk In Hwang ),김선창 ( Sun Chang Kim ),한상섭 ( Sang Sup Han ) 한국산림과학회 2003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2 No.3

        Attempts were made to develop varieties having both cold hardiness and high productivity by hybridizing native Actinidia arguta as maternal parent and exotic A. deliciosa as pollen donor. The progenies produced by the hybridization were planted in container within greenhouse, and their morphological leaf characters were examined by discriminant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hybrids resembled their maternal parent in the leaf characters including length of leaf blade, maximum width of leaf, and length of Petiole. However, some characters as the presence of trichomes in leaves, petioles, and stem came from their paternal parent. On the other hand, angle of leaf base, number of serrate, and number of lateral vein appeared to be intermediate of their parents . In the canonical discriminant analysis, primary discriminant function including length of leaf blade, maximum width of leaf, the ratio of length of leaf blade to maximum width of leaf, and the presence of trichomes in leaf, petioles, and stem appeared to be major variables with the contribution proportion of 82.4% in species classification. Although there are extensive variation in leaf characters among the hybrid progenies , many of the characters appeared to be closer to their maternal parent.

      • KCI등재

        발달지체 영,유아 가족의 요구에 따른 가족지원 프로그램 내용구성 및 활용방안 탐색

        이병인 ( Byoung In Lee ),조현근 ( Hyun Geun Jo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0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1 No.2

        본 연구는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지원 프로그램 구성 시 필수적으로 포함되어야 할 구성요소는 무엇이며, 그에 따른 활용방안을 탐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 가족지원요구 조사와 관련한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으며, 발달지체유아를 자녀로 둔 가족(어머니 중심)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하여 지속적 비교법에 따라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가족지원프로그램 구성요소로 관계, 정보, 심리ㆍ정서, 전문가, 자원, 경제적 지원 등의 주제가 도출되었으며, 그에 따른 활용방안으로 가족기능의 회복과 강화, 가족의 스트레스 수준과 단계 및 발달지체 영ㆍ유아의 성장주기에 따른 접근, 지역사회와의 연계, 가족 내ㆍ외에의 자원 발견 및 활용, 가족의 요구와 기대 영역 반영, 가족의 독특한 상황과 고유한 문화적 배경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향후 우리나라 특수교육 현장에서 발달지체 영ㆍ유아 가족지원프로그램을 실시하고자 하는 교사와 특수교육 전문가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componen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and to explore the application of family support programs for infants and toddlers with developmental delays and their families. Total 15 articles published in Korean Research Foundation related to family support needs survey were analysed for this study. Focusing on mothers of young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constant comparis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d six contents of family support programs; relationship, information, psycho-emotion, professionals, resources, financial support. In addition, for application of effective family support programs, the following elements should be considered; strengthening family functioning, levels and steps of family stress, approach based on life-cycles of younge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community-use. identification and application of family’s resources, considerations on family needs, considerations on special situation and unique cultural background of familie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s. Th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to teachers and professionals who want to develop and implement the family support programs in real special education settings.

      • KCI등재

        국·공립 어린이집의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 및 요구

        이미나(Lee, Mi Na),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논총 Vol.30 No.-

        본 연구는 국·공립 통합기관의 가족지원서비스의 교사와 가족의 공동역량강화모델 구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국·공립 통합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장애 영·유아 담당교사, 통합기관에 재원중인 가족을 대상으로 가족지원 서비스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토대로 인식과 요구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경기도 시, 군, 구에 설립되어 있는 국·공립 통합어린이집에 근무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담당 교사 84명과 재원하고 있는 장애 영·유아 가족 102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한 결과 국·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 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인식에 대한 차이에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국·공립 통합 어린이집의 가족지원에 대한 장애영·유아 교사와 가족의 요구를 알아보고 요구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본 결과 모든 영역에서 교사와 가족의 요구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다고 나타났다. In this study, to provide base line data for implementation of cooperated empowerment model with teachers and families of family support programs in national public inclusive child care facilities, the perception and needs of family support services were analyzed targeting the teachers and families with disabled early childhood in national public inclusive daycare centers. Based on the result, the differences between the perception and needs were analyzed. The research surveyed 84 of teachers working in national public inclusive child care facilities and 102 of families with disabled early childhood attending those inclusive daycare centers established in districts and cities of Gyeonggi region. The results summary is as following. First, see if the differences of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families with disabled early childhood of family support programs in national public inclusive child care facilities, the results showed no meaningful differences on perception of the necessity of the family support program, the influence of the family support program to the family, the needs of interest on family support program, the degree of participation time in family support program, the variety of implementation methods of family support program, family request reflection to family support program, the diversity of facilities and places providing the family support program, and the family participation in family support program. Second, see if the differences between needs of teachers and of families with disabled early childhood regarding the family support of national public inclusive child care facilities, the results showed that meaningful differences were among all the areas of the needs for implementation methods, contents, and the kinds of family support program; the needs for family support with educational guidance and development planning for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the needs for family support to solve difficult issues of family; the needs for family support program associated with the right and well-being of early childhood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s for experts to operate family support programs. The most positive results of family support can be achieved from the partnerships between teachers and families, therefore, cooperated empowerment is established when not only the needs of families but also the needs of experts or teachers should be reflected in the family support program. For the implementation of family support program suited to the needs of teachers and families, the family support agencies should confirm the request of teachers and families on regular basis and should make sure to find the way of providing and of being provided timely and adequate services with family cooperation.

      • KCI등재

        은행나무 접목묘의 모수 지역별에 따른 엽 추출물의 flavonol glycosides 및 terpene lactones 함량 특성

        황석인 ( Suk In Hwang ),이위영 ( Wi Young Lee ),이문호 ( Moon Ho Lee ),이병실 ( Byoung Sil Lee ),장용석 ( Yong Seok Jang ),이욱 ( Uk Lee ) 한국산림과학회 2004 한국산림과학회지 Vol.93 No.5

        Ginkgo tree, Ginkgo biloba L. is a dioecious, coniferous species which is valuable for timber, nuts and high tolerance to air pollution. Also, this species is one of the tree species increasingly explored by medicinal chemists due to its pharmaceutically active leaf terpenes and flavonoids. To clarify the contents of flavonol glycosides and terpene lactones in the leaf, the clonal grafts having the large fruit and high productivity were planted in the same place, and compared with the sites effect of their mother trees. The flavonol glycosides content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ites of their mother trees; The leaf extracts collected from Jeonnam and Chungnam had higher amounts of flavonol glycosides than those collected from Gyeonggi, China and Chungbuk.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amount of terpene lactones of extracts among sites of their mother tree. Superior seed bearing trees contented more terpene lactones with significant difference than those of the control trees,but the flavonol glycoside contents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oth of them. The contents of terpene lactones in Ginkgo tree leaf were less affected on sites effect than that of flavonol glycosides. In these result, we can suppose that selection of Ginkgo tree getting higher contents of terpene lactones is to get high extraction efficiency for useful substances from the leaf extract.

      • KCI등재후보

        사립유치원 교사의 「장애이해교육」지원요구에 관한 질적 연구

        이신규(Rhee Shin-Kyu),이병인(Lee Byoung-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9 특수교육논총 Vol.35 No.2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지도한 장애이해교육에 관한 경험을 바탕으로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경험, 장애이해교육을 지도하기 위한 지원 요구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총 5명의 사립유치원 교사들을 대상으로 반 구조화 된 질문지를 사용하여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주제에 따라 총 12개의 상위 범주와 40개의 하위 범주가 도출되었으며 연구 결과로는 첫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유아기에 장애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면 장애를 거부감 없이 받아들일 수 있음을 알게 되었고 비장애 유아에게 장애이해교육이 필요함을 느끼고 있었다. 둘째, 면담에 참여한 교사들은 동화와 이야기 나누기 등의 다양한 매체를 이용하고 관리자나 외부 강사의 도움을 받아 장애이해교육을 실시하였으나 교사에게 맡겨진 과중된 업무와 유아에게 용어나 유형을 설명하거나 장애를 이해시키는 데에 대한 어려움과 교사의 전문지식 부족으로 장애이해교육에 대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셋째, 교사가 받았던 교사 연수에서 느낀 아쉬움 등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에게 필요한 교사 연수에 대한 지원을 요구하였다. 즉 전문가의 도움, 교사용 지침서, 교수 방법에 대한 지원, 교재교구 지원 등의 교수적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느꼈으며, 장애이해교육의 기준을 정하거나 교사를 대상으로 한 장애인식개선교육 의무화의 홍보 등 국가 차원의 지원에 대한 필요성을 요구하였다. 넷째, 유아에게 바람직한 장애이해교육을 하기 위해 교사 스스로 잘못된 인식을 바로잡아 태도가 변화되어야 함을 인식하여 장애이해교육지도 내용에 대한 이해와 존중의 태도가 포함되어야 함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는 사립유치원에서 교사들이 장애이해교육을 지도하며 경험한 어려움, 그에 대한 지원 요구를 알아봄으로써 향후 교육현장에서의 장애인식 개선 및 장애이해교육의 실행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perceptions and experiences about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and the need for support to teach it. For this purpos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5 semi-structured questionnaires for 5 private kindergarten teachers. As the analysis method,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as used to encode and type, and related clauses and sentences were coded to categorize interview contents and comparisons were made between continuous cod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a total of 12 upper categories and 40 sub-categories were show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interview felt that they could accept the disability without any objection if they were interested in disability in infancy. The concept of disability and how to deal with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included in the education contents when children were educated about the disability, and the contents related to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found in the curriculum. Second, the participants felt that the numbers of the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were relatively short even if they followed the national rules & also they were planned by the administrators. Many difficulties were found in planning & implementing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Third, the participants demanded support for teacher training service based on their lack of professional experience. They requested professional help, Teacher’s Guide Book, support for the teaching methods, & teaching materials related to “Education for Understanding People with Disabilities & Awareness of Improvement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In addition, in order to educate children with disabilities, it is required that teachers should correct their mistakes and change their attitudes.

      • KCI등재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 탐색을 위한 연구 동향 분석: 2007-2016년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 논문을 중심으로

        조현근 ( Jo Hyun-geun ),이병인 ( Lee Byoung-in ) 대구대학교 한국특수교육문제연구소 2017 특수교육저널 : 이론과 실천 Vol.18 No.3

        이 연구는 2007년부터 2016년까지 국내 특수교육 전문 학술지에 발표된 유아통합교육관련 논문을 분석하여 국내 유아통합교육의 연구 방향성을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18곳의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에 발표된 연구물 중 177편을 분석대상논문으로 선정하였으며, 연구 주제, 연구 대상, 연구 유형으로 분류하여 연도별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의 방향성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다양한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유아통합교육 실천 현장에서의 실제적인 통합 현상을 알아보는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유아통합교육 기관의 일과 내에서 적용할 수 있는 교수전략 및 중재 방법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유아통합교육의 교육과정 및 교수-활동적 통합, 사회적 통합의 실효성을 위해 장애유아와 일반유아의 교육과정적 통합, 특수교사와 일반교사 간의 긴밀한 협력, 교사양성과정에 있는 예비교사의 인식 개선에 관한 연구 등 실천적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유아통합교육 현장의 물리적 환경에 대한 실태와 요구 관련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유아통합교육의 주체로서 유아의 부모와 가족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국내 유아통합교육 연구의 방향성을 제시함으로써 유아통합교육 관련 연구자 및 현장 전문가들에게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by analyzing Korea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published between 2007 and 2016 . For this end, total 177 articles published in eighteen special education peer-reviewed journals from 2007 to 2016 in Korea were selected, and were also analyzed by analysis of frequency according to topics of research, subjects of research, and types of research. The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researches that show practical inclusive phenomena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by using various research methods. Second, researches related to the effectiveness of teaching strategies and intervention that can be applied in daily life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setting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ird, for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education, `practical` researches should be more conducted by integrating curriculum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showing close cooperation between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gular education teachers, and also conducting researches to improve perception on `disability`. Fourth, survey researches related to situation and needs on physical environment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ducation should be also conducted. Finally, researches dealing with parents and families of young children as subjects should be conducted consistently. These results in this study will be effectively used and utilized to help understand the current research trends and future directions in inclusive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 KCI등재

        특수교육대상아동 가족 참여 중재 관련 국내 단일대상연구 동향 및 질적 지표 분석

        최지연(Choi Ji Yeon),이병인(Lee Byoung In) 단국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20 특수교육논총 Vol.36 No.1

        연구목적: 본 연구는 특수교육대상아동 가족 참여 중재와 관련하여 국내 단일대상연구의 일반적 동향 및 질적 지표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2007년부터 2019년까지 국내 특수교육 관련 학술지 등재 및 등재후보지에 게재된 문헌을 선정기준에 따라 44편 수집하여 가족 참여 중재의 일반적 특징과 질적 지표 충족 수준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가족 중재 참여자의 경우 자폐성장애, 유아, 어머니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고, 대부분 중재자로 참여하였다. 중재 장소는 주로 가정에서 이루어졌고, 중재회기는 15 ~ 19회기가 높게 분석되었다. 연구방법은 중다간헐기초선설계가 많이 적용되었고, 대부분 유지를 측정하였으나 일반화를 측정한 문헌은 절반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관찰자간 신뢰도를 제시한 연구에 비해 중재충실도와 사회적 타당도를 제시한 연구는 낮게 나타났다. 중재 전략과 관련하여 활동(놀이) 중심, 강화, 사회적 환경구조화, 자연적 교수, 기능평가와 긍정적 행동지원이 높게 나타났고, 종속 변인으로는 사회⋅정서 영역에 대한 연구가 주를 이루어졌으며 연령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질적 평가 지표를 통한 분석 결과, 대상자 기술, 측정 절차(과정), 측정 빈도, 측정 신뢰도, 독립변인 기술, 종속변인 측정은 높은 수준으로 나타난 반면에 기초선 조건 기술, 내적타당도, 연구 환경 기술은 낮은 수준으로 분석되었다. 결론: 가족 참여 중재에서 특수교육대상아동의 장애 유형 및 연령의 확대와 어머니 중심에서 가족 전체 구성원 중심으로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한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아동의 발달 단계와 생애 주기의 전환에 따른 가족의 역할을 지원해줄 수 있는 중재 계획 및 가족 참여 중재의 증거기반 실제를 위한 관련 내용을 기술하려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trends of the domestic single subject research and the qualitative indicators on the intervention of the family participation for children with special needs. Method: 44 articles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ion criteria for the literature published in Korean Special Education Journals from 2007 to 2019. Result: The subjects showed that participation of Autism Spectrum Disorders, infants and mothers were showed high, and they generally participated as coordinators. The place of intervention was shown high in the ratio of households and the intervention period was 15~19 sessions. The research method was the most common in multiple baseline design, and the maintenance was measured in the majority of the analytical articles, but the articles that measured the generalization were at half the level. The studies that presented the treatment fidelity, social validity were low compared to those that presented the interobserver reliability relativity. In relation to the intervention strategy, activity(play)-based teaching, reinforcement, social environment structuring, naturalistic teaching, functional assessment and positive behavior support were shown high. As for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on social and emotional domains was the main focus and shown different in ages. As a result of analysis through Qualitative assessment indicators, participant description, measurement procedure, measurement frequency, measurement reliability, measurement of dependent variable, description of independent variable were analyzed at a high level, and description of baseline, the internal validity, setting description were analyzed at a low level. Conclusion: In family participation intervention, the type of disability and age of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hould be expanded, research trend from mother-focused to all family members should be activated. And interventions that can support the role of the family in transition of developmental stages and life cycles are planned, and efforts are required to provide relevant content for the evidence-based practice of family participation intervention.

      • KCI등재후보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 동향: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 비교

        정광범(Jeong Kwang-Beom),이병인(Lee Byoung-In),김해선(Kim Hae-Seon) 한국시각장애교육·재활학회 2019 시각장애연구 Vol.35 No.1

        이 연구는 1984년부터 2018년 12월까지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를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2007) 이전과 이후의 비교를 통해 효과적인 가족지원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선정 및 제외 기준에 따라 분석대상문헌은 31편이며, 선정된 문헌을 일반적인 특성, 연구 주제, 연구 내용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주제는 가족관련 연구(조현근, 이병인, 2014)에 제시된 주제를 중심으로 54개의 변인을 분석하였으며, 연구 내용은 가족지원의 성공적인 실행을 위한 원리(Dunst 외 1988)에 근거하여 74개의 변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연구 대상에서 장애인 등에 대한 특수교육법(이하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성별, 중복장애유무, 출생 순위, 학력과 관련된 내용을 기술한 연구가 증가하였고, 연구대상 유형에서는 교사를 포함한 전문가를 연구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가 증가하였다. 연구 방법은 질적 연구에서 심층 면담이 증가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연구 주제를 분석한 결과,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가족-전문가 협력, 가족지원 프로그램 관련 연구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연구 내용을 분석한 결과 장특법(2007) 이전에 비해 지역공동체 의식의 강화와 관련된 연구 내용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에 근거하여 시각장애 관련 가족지원 연구 동향의 시사점과 방향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how basic data on trends of domestic research related to family supports of visual impairment between 1984-2007 and 2008-2018 with a special reference to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for Individuals with Disabilities(2007). For the research selection and exclusion criteria, 31 articles were analyzed. The selected article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research topics, and research contents. Based on the principle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family support (Dunst, Trivette, & Deal, 1988), the research subjects were analyzed with 54 variables based on the topics presented in the family study (Jo Hyun Geun & Lee Byoung In) 74 variables were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are more studies on gender, presence of redundancy, birth order, & in case of the study subject type, the research method was analyzed as an increase in-depth interview wi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e analysis of research subjects showed that family-professional cooperation & family support programs were increased in comparison with before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of 2007 (2007). Third,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of the research showed tha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strengthening a sense of community were increased compared to before the Korean Special Education Law of 2007 (2007).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implications & directions of research trends on family support for visual impairment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