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존 시스템을 프로덕트라인으로 재공학하기 위한 코드 변경 기반의 휘처 추출 기법

        윤성혜(Seonghye Yoon),박수용(Sooyong Park),황만수(Mansoo Hwang)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16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Vol.21 No.5

        Software maintenance becomes extremely difficult, especially caused by multiple versions in project-based or customer-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methodology. For reducing the maintenance cost, reengineering to software product line can be a solution to the software which either is a family of products nevertheless little different functionalities or are customized for each different customer’s requirement. At an initial stage of the reengineering, the most important activity in software product line is feature extraction with respect to commonality and variability from the existing system due to verifying functional coverage. Several researchers have studied to extract features. They considered only a single version in a single product. However, this is an obstacle to classify the commonality and variability of features. Therefore, we propose a method for systematically extracting features from source code and its change history considering several versions of the existing system. It enables us to represent functionalities reflecting developer’s intention, and to clarify the rationale of variation.

      • KCI등재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한 교육요구도 분석 : A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윤성혜(Seonghye Yoon),이명화(Myunghwa Lee),김진솔(Jinsol Kim)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4

        목적 본 연구는 대학 교원의 교수역량 진단을 통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함으로써 교수역량 강화를 위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A대학에 재직 중인 교원 148명을 대상으로 교수역량에 대한 중요도와 실행도를 각각 측정하였으며, 이를 t검정, Borich요구도,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을 통해 교육요구도를 분석하였다. 또한 인구통계학적 변인(직급, 강의경력,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가 있는지 일원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연구결과 하위역량 중 열정적 태도를 제외한 모든 요인에서 중요도가 실행도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수업설계, 수업개선 노력, 학생과의 유대 관계, 전문적 지식, 윤리의식 등의 순으로 교육요구도가 높았다. 직급 및 강의경력별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으나, 교수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따른 중요도와 실행도의 차이는 일부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전문적 지식, 윤리의식, 학생과의 유대 관계, 수업설계, 전달력, 테크놀로지 활용 능력, 수업개선 노력에 대하여 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한 번도 참여하지 않은 집단보다 적어도 1회 이상 참여한 집단의 실행도가 높게 나타났다. 결론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교수역량 강화 지원 방안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열정적 태도를 제외한 모든 하위역량에서 중요도에 비해 실행도가 낮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따라 교수역량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난 바, 교수역량 강화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도를 높이기 위한 전략이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attempted to obtain implications for the improvement of teaching competency by analyzing the educational needs of university professors through the diagnosis of their teaching competency. Methods To this end, the importance and performance of teaching competency were measured for 148 professors at A University,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analyzed through t-test, Borich needs assessment formula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nalysis. In addition, a one-way ANOVA was conducted to see if there were any differences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demographic variables (position, teaching experience, and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Results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importance of all factors except for the passionate attitude among the sub-competencies was higher than the performance, and the educational needs were highest in the order of instructional design, improvement efforts, ties with students, professional knowledge, and ethical awareness. The difference in importance and performance by position and teaching experience was not significant, but the difference in some factors of importance and performance according to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group who participated teaching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s more than once showed higher performance than the group who had never participated in the programs in professional knowledge, ethical awareness, ties with students, delivery/communication skills, technology use, improvement efforts. Conclusions Based on the results, the implications for the improving teaching competency are as follows. First, systematic support is needed to strengthen competency in that the performance is lower than the importance in all sub-competencies except passionate attitudes. Seco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competency depending on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the teaching competency improvement programs, so strategies are needed to increase participation in the programs.

      • KCI등재

        청소년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윤성혜 ( Seonghye Yoon ),장지은 ( Jeeeun Jang ),김세영 ( Seyoung Kim ) 한국교육공학회 2017 교육공학연구 Vol.33 No.4

        최근 4차 산업혁명의 도래로 창조적 혁신을 이끌어낼 수 있는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을 가진 인재가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기업가정신은 다방면의 삶의 맥락에서 발휘되는 지식, 기술, 태도의 총체로서, 다양한 교육적 시도를 통해 추구해야 할 목표이다.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교육적 방법론으로서 메이커교육(maker education)이 시도될 수 있다. 메이커교육은 학습자 스스로가 생산자 또는 제작가가 되어보는 교육으로, 기업가정신의 요소들과 맥을 같이 하여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적합한 교육방식이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청소년의 기업가정신을 함양하기 위한 교육방법으로 메이커교육을 제안하였으며, 이의 실천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모형을 개발하였다. 이를 위하여 기업가정신 및 메이커교육과 관련된 문헌의 폭넓은 검토를 통하여 핵심 요소들을 도출하였으며, 기업가정신 교육, 메이커교육, 교수설계 전문가와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개념적 모형과 구체적인 교수설계 지침을 도출하였다. 또한 10명의 기업가정신 교육, 메이커교육, 교수설계 전문가 10인을 대상으로 2차례의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최종 모형 및 교수설계 원리를 도출하고 이를 타당화하였다. 최종 모형은 팅커링, 공감 및 분석, 문제 정의, 아이디어 발산 및 수렴, 프로토타입, 프로토타입 테스트, 파일럿 및 사용성 테스트, 완제품 제작, 비즈니스 모델로 구성되었다. 또한 최종 설계원리는 실제적 문제 발견 및 해결의 원리, 학습자 중심의 원리, 협력학습의 원리, 긍정적 지지의 원리, 학습환경 제공의 원리, 과정과 결과 공유 및 확산의 원리, 윤리성의 원리의 7가지 원리와 세부 하위 원리를 포함하였다. 본 연구는 기업가정신 함양을 위한 메이커교육에의 관심을 도모하고, 현장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As the adven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n recent years, entrepreneurship that can bring about creative innovation that is desperately needed. Entrepreneurship is a goal to be pursued through various educational attempts as a collective competency of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exercised in the context of various aspects of life. Maker education, which lets the learner be a producer, expected to be a suitable educational method for entrepreneurship because maker education coincides with the elements of entrepreneurship. Therefore, in this study, we proposed maker education as an educational method to cultivate entrepreneurship of adolescents, and we developed an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practice this. For this, key factors were extracted through an extensive review of literature related to entrepreneurship and maker educ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ke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Through this, conceptual models and concrete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were derived. In addition, two rounds of Delphi surveying were conducted with 10 experts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maker education, and instructional design to derive a final model and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validate them. The final model consists of tinkering, empathy and analysis, problem definition, divergence and convergence of ideas, prototyping, prototype testing, pilot and usability testing, product production, and business model. In addition, the final design principles consist of discovery and solution of authentic problems, learner-centered, cooperative learning, positive support, providing the learning environment, process and result sharing and diffusion, and ethics, and each sub-principles. This study is significant because it promotes interest in maker education for entrepreneurship and suggests implications for practice.

      • KCI등재

        초중등 교수-학습을 지원하는 에듀테크 평가도구 개발 및 타당화: HCI 기준을 중심으로

        윤성혜 ( Seonghye Yoon ),( Yunus Emre Ozturk )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2022 교육정보미디어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초중등 학교 현장에서 교수-학습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되는 에듀테크를 평가할 수 있는 전문가 휴리스틱 평가도구를 개발하였다. 문헌연구와 전문가 FGI를 통해, HCI(Human-Computer Interaction)의 일반적인 기준을 에듀테크 맥락에 적용하여 교육적 유용성, 시스템 사용성, 감성 측면을 평가할 수 있는 하위 요소와 문항을 개발하였다. 이후 두 차례의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요소와 문항을 수정ㆍ보완하고 내용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세 가지 대분류 하에, 17개 하위 요소와 42문항으로 구성된 평가도구가 도출되었다. 이후 평가도구를 활용하여 A 에듀테크 제품에 대해 파일럿 평가를 실시함으로써, 개발된 평가도구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평가도구는 에듀테크 유형을 구분하지 않고 통합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도구이며, 학습분석과 같은 최신 에듀테크 동향을 반영하고 과학적으로 타당화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실천적 관점으로 에듀테크 기업에는 바람직한 에듀테크 개발의 가이드라인으로서, 학교 현장에서는 적절한 에듀테크 제품 선택에 기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developed an expert heuristic evaluation tool that can evaluate Edtech used to promote teaching-learning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hrough literature study and expert FGI, sub-elements and items that can evaluate educational usefulness, system usability, and affectability were developed by applying the general criteria of HCI (Human-Computer Interaction) to the Edtech context. After that, two rounds of expert Delphi survey were conducted to revise and improve the elements and items, and to confirm content validity. As a result, the evaluation tool consisting of 17 sub-elements and 42 items was derived under three major categories. Afterward, the applicability of the developed evaluation tool was confirmed by conducting a pilot evaluation of the A Edtech product using the evaluation tool. The evaluation tool developed through this study can be used to evaluate Edtech tools and products in a comprehensive way, without classifying them.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such a way that this newly developed evaluation tool reflects the latest Edtech trends and is scientifically validated. In addition, from a practical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o be used as a guideline for Edtech tool or product development by Edtech companies, and as a tool to provide core information when selecting appropriate Edtech products in schools.

      • KCI등재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준비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관계 분석

        윤성혜(Seonghye Yoon),김세영(Seyoung Kim) 한국직업교육학회 2019 職業 敎育 硏究 Vol.38 No.3

        문화적 다양성이 혁신과 창의성을 촉진한다는 관점에서 여성 공학인력 양성을 위한 노력들이 이어지고 있다. 그러나, 실제 공학 분야 여성 인력 비중은 여전히 낮으며 남성이 절대적으로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는 공학 분야에서 공학계열 여학생들은 여러 가지 진로장벽에 부딪히며 어려움을 겪는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학계열 여대생의 진로준비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을 탐색함으로써 진로교육을 위한 정책적·실천적 시사점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사회인지진로이론에 기반하여 진로준비행동의 선행 요인으로 교육과정 인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결과기대, 전공흥미를 상정하였으며, 전국 13개 대학 공학계열 여대생 547명을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가설적 연구모형을 검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모형은 양호한 적합도를 보였으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에 대한 교육과정 인식의 영향력, 진로결과기대에 대한 교육과정 인식과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력, 전공흥미에 대한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영향력, 진로준비행동에 대한 전공흥미의 영향력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진로결과기대가 전공흥미에 미치는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공학계열 여대생들의 진로준비행동을 교육과정인식,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전공흥미의 총체적인 과정을 통해 이해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각 요인들을 촉진시키기 위한 전략들에 대해 논의하였다. Cultural diversity in the engineering field is an important factor in promoting innovation and creativity. In this context, efforts are made to nurture female engineers, but in the male-centered engineering culture, female engineering students suffer from a variety of career barr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for career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variables affecting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For this purpose, based on the Social Cognitive Career Theory (SCCT), it was presumed that perception of curriculu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outcome expectation, and major interest were predictors of career preparation behavior. Data were collected from 547 college students from 13 universities and the hypothetical research model was verifi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the research model showed a good fit, and the effect of perception of curriculum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he effect of perception of curriculum and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career outcome expectation, the effect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on major interest, and the effect of major interest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On the other hand, the effect of career outcome expectation on major interes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Based on th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career preparation behaviors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need to be understoo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perception of curriculum,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and major interest, and strategies for promoting each factor were discussed.

      • KCI등재

        교육공학 전공생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 분석

        윤성혜 ( Seonghye Yoon ),박주연 ( Ju-yeon Park ) 한국교육공학회 2021 교육공학연구 Vol.37 No.2

        최근 우리사회가 기업가적 경제로 전환됨에 따라 기업가정신의 중요성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는 교육공학자에게도 필요한 역량이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공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기업가정신 교육을 실행하고 이의 효과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E 대학교에서 2019년 2학기 기업가정신 교육에 참여한 23명의 교육공학 전공생을 대상으로 양적, 질적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중 사전 및 사후 기업가정신 설문 응답 자료는 대응표본 t검정을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성을 분석하였고, 개방형 설문 응답 자료와 에세이는 반복적 비교분석법을 통해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배운 점과 교육공학자의 기업가정신 의미를 추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공학 전공생은 기업가정신의 모든 하위 요소(성취욕구, 자기통제능력, 위험감수성, 창의력, 자기효능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였다. 둘째, 교육공학 전공생은 기업가정신 교육을 통해 기업가정신의 필요성, 실패를 두려워하지 않고 도전하는 자세, 경영적 사고, 진로 성찰 등을 배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육공학 전공자로서 기업가정신의 의미는 교육변화를 주도하는 적극성, 실천성, 교수설계자로서의 혁신성으로 인식하였다. 이를 통해 교육공학 전공생을 위한 기업가정신 교육의 효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하였으며, 이에 따른 시사점으로 교육공학자가 혁신적 교육을 창출, 관리, 활용하는 과정에서 적극성, 실천성, 혁신성을 기르는 기업가정신 교육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With society’s recent transition to an entrepreneurial economy, entrepreneurship education has gained significance, especially as a necessary competency for educational technologists. This study therefore aims to implement entrepreneurship education for educational technology students and to verify its effectiveness.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ata were collected from 23 educational technology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entrepreneurship education in the second semester of 2019 at E University. Preand post-entrepreneurship survey response data were analyzed to access the effectivenes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rough a paired sample t-test. Open-ended survey response data and essays were also evaluated through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o identify what students learned from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heir perceptions on the significance of entrepreneurship.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need for achievement, locus of control, risk-taking, creativity, and self-efficacy). Second, they learned the necessity of entrepreneurship, possessing a challenge spirit unafraid of failure, management thinking, and reflecting on their career. Third, the key ideas of entrepreneurship among educational technologists were recognized as proactiveness leading to educational change, practicability, and innovativeness in instructional design. The effect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on educational technology students were thus verified empirically. The study addresses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education that fosters proactiveness, practicality, and innovativeness in the process of creating, managing, and implementing innovative education for educational technologists.

      • KCI등재

        학교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페르소나 및 여정 지도 개발

        윤성혜(Seonghye Yoon),공정민(Jeong-min K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4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4 No.2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공교육 현장 내 에듀테크 구매에 관여하는 교사들의 의사결정 경험을 분석함으로써 증거 기반의 합리적인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을 지원하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방법 공교육 현장에서 일어나는 교사의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에 대한 경험을 이해하고자 학교 차원에서 에듀테크 제품을 구매하는 과정에 직접적인 관련이 있다고 응답한 초중고교 교사 7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의도적 표집 방식을 통하여 선정하였다. 페르소나 및 여정 지도 개발은 Blackwell, Miniard, & Engel(2006)의 소비자 행동 모델 단계(필요성 인식, 정보 탐색, 사전 대안평가, 구매, 소비, 소비 후 평가, 철수전략)에 따라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특징에 기반하였다. 또한, 개발된 페르소나 및 여정 지도의 타당화를 위해 전문가 3인을 대상으로 타당도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 Blackwell, Miniard, & Engel(2006)의 소비자 행동 모델에 기반하여 탐색한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과정의 특징을 기반으로 총 4개의 교사 페르소나 유형을 도출하고, 각 페르소나별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여정 지도를 개발하였다. 결론 연구 결과에 따르면 학교 현장에서의 에듀테크 구매 의사결정 과정은 필요성 인식에 따라 상향식 동기와 하향식 동기로 나뉘었으며, 같은 학교급 안에서도 학교마다 다양하게 나타났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체계적인 데이터에 기반하거나 일반화된 의사결정 체계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나타냈다. 이를 바탕으로, 증거 기반 에듀테크 의사결정을 장려하기 위해서는 개방적인 에듀테크 활용 문화의 조성과 관련 정책 및 실천적 지원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aims to explore ways to support evidence-based and rational decision-making in EdTech purchases within the context of public education in South Korea. This will be achieved by analyzing the deci-sion-making experiences of teachers involved in EdTech procurement in the field of public education. Methods To understand the educators' experiences related to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volved in their schools’ EdTech procurement processes. For the interview, participant selection was carried out using purposeful sampl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 interview, this study developed personas and journey maps, aligning them with the stages of the consumer behavior model proposed by Blackwell, Miniard, and Engel(2006). Additionally, a validity assess-ment was conducted with three experts to validate the developed personas and journey maps. Results This study examined the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within the consumer behavior framework, as Blackwell, Miniard, and Engel(2006) proposed. This study identified four distinct educator persona types and created persona-based EdTech purchase decision journey maps. Conclusions According to the research findings, the EdTech purchase decision-making process in school settings can be categorized into bottom-top and top-bottom motivation based on the recognition of need, and it varies even among schools within the same grade level. This result indicates the need for a systematic data-based, or generalized decision-making framework within school environments. Based on these findings, this study dis-cusses the importance of fostering a culture of open EdTech utilization and the necessity of related policies and practical support to promote evidence-based EdTech decision-making.

      • KCI등재

        IPA 기법을 활용한 공학계열 여대생의 기업가정신 인식 및 교육 요구도 분석

        김세영,윤성혜,임지영,장지은,강민정,박현경,Kim, Se Young,Yoon, Seonghye,Lim, Ji Young,Jang, JeeEun,Kang, Min Jeng,Park, Hyeon Kyeong 한국공학교육학회 2017 공학교육연구 Vol.20 No.6

        As the need for entrepreneurship to create new values and innovate in the rapidly changing social environment is emerging, education for entrepreneurial is emerging in university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current status of entrepreneurship education and to derive the priority of education based on actual indicators of importance-performance. For this study, we surveyed 227 female college students in E Woman's University by using the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IPA) method for entrepreneurship factors. The result showed that the means of importance of all factors and sub-factors of entrepreneurship were higher than the means of performance of them, and the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for the determination. In addition, the results of the IPA matrix analysis showed that the factors that needed urgent improvement in self-confidence, future-orientation, active/innovative activities, and proactivit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implications of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ship curriculum for college students in engineering field were discussed. This study is meaningful that it provided practical basic information of curriculum design leading to the manifestation of entrepreneurship of women in engineering field by analyzing entrepreneurship of female engineering students and deriving priority factors of educational treatment.

      • KCI등재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에 대한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의 예측력 규명

        강명희,장지은,윤성혜,Kang, Myunghee,Jang, JeeEun,Yoon, Seonghye 한국정보교육학회 2017 정보교육학회논문지 Vol.21 No.1

        최근 관심을 받고 있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은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요소를 통합하여 의미 있고 창의적인 산출물을 개발함으로써, 과학적 탐구 태도를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인 교육의 형태이다. 이에 본 연구는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주요 학습성과 변인으로 거론되는 과학적 탐구 태도를 교육성과 변인으로 상정하고, 이를 예측하는 요인을 규명하고자 과학경험, 교육지원, 학습몰입을 예측변인으로 상정하여 이들 변인의 예측력을 확인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4학년에서 6학년인 영재교육프로그램 참가자 64명을 대상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을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기술통계,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및 매개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연구 결과, 과학경험과 학습몰입은 교육성과인 과학적 탐구 태도를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습몰입은 과학경험과 과학적 탐구 태도, 교육지원과 과학적 탐구 태도 사이를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기반으로 피지컬 컴퓨팅 교육에서 과학적 탐구 태도 향상을 위해 과학경험 기회의 제공, 긍정적 교육지원의 필요, 학습몰입 촉진을 위한 전략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The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as the emerging field, is a form of education that helps learners to develop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by developing meaningful and creative output through the integration of hardware and software elements. Based on the literature, the authors of the study used science experience,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as the variables that predict the outcome variable which is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The authors collected data from 64 fourth and sixth graders who studied physical computing at an institution for the gifted and talented in Korea and then analyzed them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correlation, multiple regression and simple mediation analysis methods. As a result, science experience and learning flow significantly predicte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In addition, learning flow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science experience an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school support and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Based on these results, the authors propose that to promote the attitude of scientific inquiry in physical computing education, strategies must be implemented for improving science experience, school support and learning flow in instructional design.

      • KCI등재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 규명 :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중심으로

        김동심 ( Dongsim Kim ),윤성혜 ( Seonghye Yoon ) 연세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論集 Vol.49 No.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년취업자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에 대한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의 영향력을 규명하고, 이들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우리나라에서 대표적인 대규모 조사자료 중 하나인 한국교육고용패널(KEEP: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의 1,480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직무만족도 및 행복의 관계를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및 사회신뢰는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친다. 둘째, 청년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 및 직무만족도는 행복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정부와 기업이 노력하여 취업자의 수면시간, 자기인식, 사회신뢰를 증진한다면, 청년취업자 개개인의 직무만족도와 행복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ver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job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youth workers. This study is based on the Korean Education & Employment Panel, a large, population-based study conducted by the KRIVET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Vocational Education & Training). Participants attended a youth worker in Korea. A hypothetical model was proposed, which was composed of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s exogenous variables; and job satisfaction, happiness as endogenous variables. The hypothetical model was verifi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job satisfaction. Second,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social trust, and job satisfaction had significant effects on youth workers’ happiness. Therefore, the company and government should prepare youth workers’ sleeping times, self-awareness, and social trust to control for satisfaction and happiness through this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