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공학교육의 현황과 과제

        강성군(Sung-gun Kang),노태천(Tae-Cheon Rho),함승연(Seung-Yeon, Hahm),김정식(Cheong-Sig Kim) 한국공학교육학회 2006 공학교육연구 Vol.9 No.2

        한국의 공학교육 인증은 1999년에 한국공학교육인증원을 설립하면서 시작되어 2001년부터 공학교육 프로그램을 인증하였다. 우수한 인재의 공과대학 진학 유도와 우수한 공학도의 양성 및 국제적으로 인정 받는 공학도 양성 등이 목표가 되었다. 이러한 이유로 도입된 공학교육인증은 해를 거듭하면서 인증을 받고자 참여하는 대학과 프로그램의 수가 늘어 활성화되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한국의 공학교육과 공학 교육인증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 공학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한국의 공학 교육이 더욱 발전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학생을 공과대학에 유치하기 위한 노력과 질 좋은 교육을 할 수있도록 많은 지원이 필요하고, 국제적인 수준의 공학교육을 인정 받기 위한 워싱턴 협정의 정식 회원국이 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공학관련 기관과 단체, 기업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필요하다. The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was founded in 1999 and the first engineering education programs were accredited in 2001. The purpose of accreditation was to attract outstanding students to engineering colleges as well as to raise highly qualified engineers who would be recognized internationally. The accredit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has expanded as more and more colleges and programs are asking to participate in this accreditation program. This study examines the current position and future direction of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To develop furthe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 requires more support to attract outstanding students to engineering colleges and to provide high quality education. Also, Korea should become a member of Washington Accord to be recognized as international level of engineering education as well as active cooperation from engineering related organizations, institutions, and businesses.

      • 소식-한국공학교육학회 윤리헌장을 제정하며

        윤리위원장 박돈희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Ingenium(人材니움) Vol.15 No.1

        지난해 11월 30일 제주도에서 개최된 2007년도 한국공학교육학회 총회에서 우리학회 윤리헌장의 선포식을 가졌다. 우리학회가 창립된 지 15년 만에 이러한 윤리헌장을 제정하여 선포한 것이다. 한국공학교육학회 윤리헌장의 전문은 다음과 같다.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원은 우리나라의 공학교육 발전을 위하여 공학 및 관련 교육 프로그램 제시, 고급기술인력 양성과 여러 공학전공 분야의 제도 및 정책을 연구, 발전시킴과 동시에 미래에 대응하는 산업정책과 기술진흥제도의 연구 활동을 하여 사회발전에 공헌하는 것을 책무로 한다. 회원은 자신의 책무의 중요성과 사회에 대한 영향이 막대하다는 것을 인식하여 공학전문가인 동시에 책임 있는 개인으로서 본 강령을 준수한다.” 윤리헌장전문에 개괄적으로 내포된 의미와 같이 한국공학교육학회 회원들의 활동은 윤리적으로 모범을 보이도록 되어있다. 이것은 우리시대의 지식인에게 사회적으로 요구된 권리이며 책무 이기도 하다. 앞으로 우리사회가 학문적으로 우수한 선진국 대열에 함께 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제도가 꼭 필요하다고 본다. 우리사회를 이끌어가고 있는 지도층의 지식인 그룹으로서 학문 보급 활동과 기술개발활동 그리고 인력양성사업에 있어서 윤리적으로 제정된 헌장을 정정당당하게 준수하길 기대한다. 끝으로 우리학회 윤리헌장을 제정하는데 도움을 주신 인하대학교 김형순 학술이사님과 연세대학교 손소영 편집이사님께 감사의 뜻을 표합니다.

      • KCI등재

        미국과 한국의 공학교육인증 체제 비교에 대한 사례 연구

        한지영(Jiyoung Han)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1

        본 연구에서는 EC2000 시스템하에서 2007년도에 공학교육 인증평가를 받은 한국의 A대학과 미국의 M 대학의 공학교육인증 체제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해당 프로그램의 자체평가보고서 분석 및 홈페이지 검색을 실시하 였다.한국과 미국의 공학교육인증 기준은 거의 대동소 이하나 한국의 인증기준이 행정적인 지원 체제나 각평가기준별 자율순환체제를 강조하고 있음을 알 수있었다. 인증평가별 체제를 살펴보았을 때 미국의 장점을 꼽아보면 체계적인 교육과정 운영과 설계교 육, 교과목 중심의 프로그램 학습성과 평가 체제, 교수들의 연구 및 학생지도에의 지원 체제이다. 한국의 장점은 다원적인 지원 체제를 기반으로 하고 평가에서의 정량적인 지표 활용이 많기 때문에 이를 교육개선에 활용하기 쉬운 면이 있고, 학생포트폴리 오의 활용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지도가 가능하다는 점이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system of accreditation for mechanical engineering education between A university in Korea and M university in U.S.A. which were evaluated in 2007 under EC2000. Literature review through self-study report and homepage of two programs was used to accomplish objectives of the study. Strengths of U.S.A for accreditation evaluation system were systematic curriculum operation, design education with cooperation system, course-based evaluation system for program outcome, supportive circumstances for research of faculty and guidance to students. On the other hands, strengths of Korea were likely to use quantitative data for educational improvement and were able to systematic guide to students with portfolio. In the future, plan and research for design education, curriculum operation and program outcome evaluation are needed to establish ABEEK evaluation.

      • KCI등재

        공학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을 위한 실험계획 및 분석을 적용한 교육과정의 설계 -기계공학계열의 학과를 중심으로-

        이중순(Joongsoon Lee),곽효연(Hyoyean Kwak)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공학교육연구 Vol.11 No.1

        복합․융합화 능력을 겸비한 인재를 양성해야 하는 시대적 요구에 부응하여 공학자의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함양은 공학교육의 중요한 새로운 교육목표이 다. 이 연구는 공학교육에 있어 실험계획 및 분석을 고려한 교육과정이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지적하고 이것을 효과 적으로 도입할 수 있는 교육과정의 설계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먼저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육주제 에서 기대되는 학습 성과와 공학자의 기본적인 공학 능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전통적으로 산업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기계공학계열학 과의 현재 공학 교육과정에서 운영중인 실험계획 및분석의 교육내용에 대한 현황을 조사하였고, 또한 해당 공학 전문가들의 주요 활동분야들 중의 하나인 연구논문의 작성에서 나타난 실험계획 및 분석에 관련된 지식의 활용 실태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실증적 사례를 근거로 공학자의 기본 자질인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향상을 위한 하나의 수단으로서 효과적인 실험계획 및 분석의 교과를 도입한 공학교육 과정의 모듈을 개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design the curriculum by considering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for enhancing an engineer 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This ability is one of the important objectives in modern engineering education. To achieve this purpose, first, it is suggested that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a specific area of engineering education, is highly relevant to the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one of the basic engineering competencies and of the final goals in engineering education. And also, the curriculum already introduced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in departments of mechanical engineering of universities are surveyed and reviewed. 59 papers are also analyzed to know how engineers applicate the knowledge of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to their activities. Finally, the module of engineering education curriculum introduced the experimental design and analysis to enhance effectively the engineer s creative problem-solving ability is suggested.

      • 권두언-공학교육발전을 위한 인증이 되도록

        유영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Ingenium(人材니움) Vol.15 No.1

        최근 많이 듣는 이야기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공학교육인증을 받아야 하는가?, 인증을 받으면 무슨 장점이 있는가?, 어떻게 인증을 준비하여야 하는가?, 인증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너무 힘이 드는데 어떻게 좋은 방법이 없을까? 10년 전 공학교육학회를 비롯한 공학교육 community 관련인들이 모여, 우리나라의 공학교육을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공학교육인증원(ABEEK)을 설립하였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상황이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미국은 ABET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를 만들어 인증사업을 시행하므로서 공학교육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는 SCI로 대표되는 연구논문 편수 위주의 교육업적평가 등으로 공학교육은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in Korea)설립과 인증시행이 공학교육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후 10년이 지났다. 많은 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고, 2007년에는 Washington Accord에 가입되므로서 우리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좋은 소식도 들었다. 많은 공대 교수들이 공학교육인증의 취지에 찬성하고, 인증을 통하여 공학교육이 한 차원 높게 발전되기를 갈망하고 있으니 지난 10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10년을 생각할 때, 지금과 같이 공학교육인증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학교육 관련자 모두가 인증사업에 대하여 찬사와 감사의 뜻을 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그것은 지금과 같은 인증사업 수행으로는 되지 않는다. 인증사업이 변화, 발전되어야 한다. 공대 교수들과 공학교육 communities 분들이 공학교육의 수준과 질이 향상 되었다고 기뻐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이렇게 되기 위해서는 다음의 5가지 과제를 해결해야 할 것이다. 첫째, 공학교육 발전을 위하여 공학교육여건이 개선되도록 인증사업이 기여해야 한다. 우리는 공학교육을 위한 여건이 열악하고 대학도 공학교육 발전을 위한 투 자에 인색할 수밖에 없는 현실을 직시해야 한다. 공학교육 인증을 위하여 대학 총장에게 교수 확충, 강의 부담경감, 실험 실습 장비를 갖추어 운영 할 수 있도록 하는 등 어느 정도 이상의 투자와 관심을 요구해야 한다. 둘째, 산업체의 관심과 지지를 얻어내야 한다. 인증을 받으면 산업체 취업시에 인센티브가 있어야 한다. 인증을 받은 만큼 졸업생의 수준이 과거보다 향상되었고, 21세기 지식산업시대에 더 잘 훈련되었기 때문에, 과거보다는 더 잘 평가를 받아야 하는 것이다. 또 산업체는 수요자로서 우수한 인력을 공급하는 공과대학에 감사하고 투자할 수 있어야 한다. 셋째, 인증을 위한 서류를 간소화해야 한다. 교육의 질을 높이는 것이 중요한 것이지, 형식적으로 서류를 갖추는 것이 중요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서로가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대학은 정말로 교육의 질을 높이기 위하여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 보여주어야 하고, 그 결과 졸업생들이 어떻게 변했는지 그 결과를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서류가 두껍고, 회의를 많이 한 것이 중요한 것최근 많이 듣는 이야기 중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공학교육인증을 받아야 하는가?, 인증을 받으면 무슨 장점이 있는가?, 어떻게 인증을 준비하여야 하는가?, 인증서류를 준비하는 것이 너무 힘이 드는데 어떻게 좋은 방법이 없을까? 10년 전 공학교육학회를 비롯한 공학교육 community 관련인들이 모여, 우리나라의 공학교육을 더 발전시키기 위하여 공학교육인증원(ABEEK)을 설립하였다. 미국과 우리나라의 상황이 다소 다르기는 하지만 미국은 ABET (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를 만들어 인증사업을 시행하므로서 공학교육의 수준을 높이는데 기여하고 있다고 생각하였다. 우리는 SCI로 대표되는 연구논문 편수 위주의 교육업적 평가 등으로 공학교육은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ABEEK(Accreditation Board for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설립과 인증시행이 공학교육 발전에 매우 중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 후 10년이 지났다. 많은 대학이 공학교육인증을 받 기 위하여 노력하고 있고, 2007년에는 Washington Accord에 가입되므로서 우리의 수준을 국제적으로 인정받는 좋은 소식도 들었다. 많은 공대 교수들이 공학교육인증의 취지에 찬성하고, 인증을 통하여 공학교육이 한 차원 높게 발전되기를 갈망하고 있으니 지난 10년은 긍정적으로 평가할 만하다. 그러나 앞으로의 10년을 생각할 때, 지금과 같이 공학교육인증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고 문제를 제기하는 것이 아니라, 공학교육 관련자 모두가 인증사업에 대하여 찬사와 감사의 뜻을 표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그것은

      • KCI등재

        공학 윤리 교육: 현황과 쟁점, 그리고 전략

        한경희,허준행,이충용 한국공학교육학회 2009 공학교육연구 Vol.12 No.1

        With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ir increased impacts on our society, we witness a growing recognition of the importance of engineers’ social responsibility and their professional ethics. Especially, the introduction of EC2000 and ABET into engineering education has been contributed to reinforce the systemization of ethics instruction. However, we could not attain the educational goal of integration of engineering education and ethics by general declaration of its importance. We need to deal with the vital questions how to institutionalize and implement engineering ethics in engineering curriculum.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aspects. First, it mainly outlines the developments and the trait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American universities. Second, by classifying the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into several patterns, we discus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according to those patterns. Third, it is helpful to explore the way how we could apply these patterns to Korean engineering education. It is expected to combine the stand-alone engineering ethics lectures with ethics-across-the-curriculum considering each university’s circumstances and resources. Still, many challenges remain, most notably the need for engineering faculty and non-engineering faculty to cooperate and accept for engineering ethics education. 과학기술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사회에 미치는 파급력이 커짐에 따라 과학기술자의 사회적 책임 향상과 전문직 윤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공학 분야에서는 특히, EC2000의 도입과 공학교육인증기준이 체계화와 더불어 공학윤리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공학과 윤리의 결합은 단순히 원칙적 선언에 의해 확보될 수 없으며 교육 시스템 안에서 어떻게 제도화될 수 있고 실행 가능한 지에 대한 체계적 접근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공학윤리교육 제도화의 전제 조건이 되는 인식의 전환과 공학의 일상적 경험에 근거한 윤리 교육이 필수적임을 주장하고 있다. 1980년대까지 확립된 공학윤리교육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면서 최근 발전하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특성과 지향점을 살펴본다. 또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공학윤리교육의 유형을 분석하여 각 유형별 쟁점과 특성을 분석한다. 이제 막 발전하기 시작한 우리나라의 공학윤리교육은 각 대학의 주어진 여건과 상황을 고려하여 독립형 혹은 전공결합형 공학윤리 교육을 적절히 조합하여 추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엇보다 공학과 공학 이외 분야의 해당 전문가들 사이의 협력 연구와 교육이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Analysis of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김영민,허혜연,이창훈,김기수 한국공학교육학회 2013 공학교육연구 Vol.16 No.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recognition about engineering education in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For this, we surveyed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follow. First,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engineering positively affect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development. They also foundthat engineering education helps student to select natural science and engineering field career. Moreover, they perceived thatengineering contents are not applied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s curriculums, hence it does not stimulate interest inengineering. Therefore, they perceived that if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are systematically applied in formal curriculum, it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Second, most teachers perceived that roles of engineering educationare to make students learn creative design and problem solving process and inform about the engineering field career. Theyperceived that the best grade to start engineering education is 4∼6 grade in elementary school and the best way to applyengineering education is through distributing engineering education contents to related subjects. They also perceived that technologysubject has the most relation to engineering education and science subjects; mathematics subject follow after.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초 ․ 중등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을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초 ․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인식은 다음과 같았다. 초 ․ 중등 교사들은 공학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초 ․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현재 초 ․ 중등교육은 공학에 대한 흥미를 부여하지 않으나, 공학교육을 통해창의적 설계 및 문제해결과정을 체험할 수 있으며, 이공계 진로 선택에도 도움을 줄 것이라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초 ․ 중등교육에서 공학교육을 체계적으로 반영한다면 공학교육 전반에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는 인식을 나타냈다. 둘째, 초 ․ 중등학교 교사들이 가지고 있는 초 ․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교육요구는 다음과 같았다. 초 ․ 중등 교사들은 초 ․ 중등학교에서 공학교육이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을 활용하고, 초등학교 4∼6학년 수준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고 있으며, 공학교육의 적용 가능성은 높다고 인식하고 있다. 또한, 공학교육을 정규 교육과정에 반영할 시 기술, 과학, 수학 등의 교과 속에 공학관련 내용을 과목에 분산적으로 반영시키는 것이 좋다고 인식하고 있다. 셋째, 초 ․ 중등교육에서의 공학교육에 대한 초 ․ 중등학교 교사의 변인별 인식 차이는 다음과 같았다. 남자교사가 여자교사보다 초 ․ 중 ․ 고등학교에서 공학교육이 더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고, 중 ․ 고등학교 교사들이 초등학교 교사보다 공학교육이 학생들의 이공계 진로결정에 더욱 큰 도움을 줄 것이라고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교사의 성별과 소속 학교급에 따라 정규 교육과정에서 공학교육 활동 강화 방안에 대한 인식에는 각방안의 응답 비율과 순서에서 차이를 나타냈다.

      • 공학교육의 국제화와 창의적 공학교육

        서윤호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 Ingenium(人材니움) Vol.15 No.2

        고려대학교 공학교육혁신센터는 한국공학교육학회와 공동으로 2008년 4월 17일 공학교육혁신 세미나를 주최하였다. 교육과학기술부와 산업기술재단으로부터 후원을 받은 본 세미나는 공학교육학회의 회장(서울대학교 유영제교수), 교육과학기술부 임창빈과장, 한양대학교 배영찬교수(교육과학기술부 정책보좌관) 및 고려대학교 김형중교수에 의한 발제 후 참석한 학장, 센터장, 교수, 연구원, 학생간의 패널토론으로 구성되었다. 본 원고는 참석하지 못한 공학교육학회지 독자를 위하여 세미나의 내용을 같이 나누고자 정리한 것이다. 지면의 제한으로 인하여 발췌되지 못한 발표내용도 있었으며, 대화형식을 풀이하여 정리하였음을 밝힌다.

      • KCI등재후보

        설계기술역량 3요수 기반의 공학설계 교육

        차성운,김대은,이수홍,이경수,김민수 한국공학교육학회 2007 공학교육연구 Vol.10 No.4

        It is a fact that current engineering education is insufficient to cultivate engineers who can fulfill industrial demands. Engineering colleges and the government have expended much effort to develop new education model to overcome these shortcomings. The purpose of the present research is to formulate direction of engineering design education to cultivate talented engineers meeting engineering and industrial needs. We compared and analyzed Creative Design Project (3) (a core subject in engineering design) from the feedback of practising engineers, professors and students based on essential design technology factors and the educational achievement contents of ABEEK. The three essential factors of design technology which are prerequisites for the designers to implement design work were selected by surveying experts in the field of device design of cellular phone company. Moreover, educational purpose of the professors, educational achievement of the students, and educational direction of industry needs are deduced based on the three factors. It is also ascertained that Creative Design Project (3) meets most of the requirements of industrial design field by comparing and analyzing deduced results. 현재 대학의 공학교육은 산업계 수요를 반영한 인재 양성에 적합한 교육을 하고 있지 못한 것이 현실이며, 이에 대한 극복을 위하여 대학과 정부에서는 새로운 교육모델의 개발을 위하여 많은 노력을 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학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 중 하나인 설계분야에 적합한 현장 적응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공학설계 교육의 방향을 살펴보는데 있다. 설계기술역량과 ABEEK의 학습성과 문항을 설문 문항으로 이용하여 산업체, 교수 그리고 학생의 입장에서 창의설계프로젝트 (3)라는 공학설계 교육을 어떻게 바라보는지 비교, 분석하여 공학설계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휴대전화 업체의 기구설계 분야의 전문가들을 통해 설계자가 설계업무 수행을 위해서 반드시 갖추어야할 필수 역량인 설계기술역량 3요소를 선정하였다. 또, 이 3요소에 기반한 교수의 교육목표, 학생의 학습성과 그리고 산업체에서 생각하는 교육방향을 도출하고, 이를 비교 분석한 결과 창의설계프로젝트 (3)의 공학설계 교육이 산업체의 설계분야 요구사항을 유사하게 반영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