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재가급여 방문요양보호사가 경험한 보호자와의 갈등에 관한 질적연구

        양호정(Yang, Ho-jung),김지영(Kim, Ji-young),신유선(Shin, Yu-seon),이재철(Lee, Jae-choul) 한국통합사례관리학회 2022 한국케어매니지먼트연구 Vol.- No.42

        본 연구는 재가급여 방문요양보호사가 경험한 보호자와의 갈등에 대해 심층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재가급여 방문요양보호사와 보호자 간 갈등을 예방 및 중재하기 위한 실천적, 제도적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9명의 재가급여 방문요양보호사를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진행하고 취합된 자료는 질적 내용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 갈등의 원인, 갈등에 대한 대처, 갈등 대처의 결과로 3개 상위범주와 10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갈등의 원인 및 양상에는 “상이한 인식”, “모호한 경계로 인한 갈등 양상”의 하위범주가, 갈등에 대한 대처에는 “보호자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 거절”, “보호자의 무리한 요구에 대해 수용”, “외부의 도움을 요청” 하위범주가 구성되었다. 갈등 대처의 결과에는 “보호자 행동과 인식의 개선”, “서비스 중단”, “체념과 업무가중”으로 분류되었다. 상기한 결과를 바탕으로 재가급여 방문요양호보사와 보호자 간 갈등을 예방 및 중재하기 위한 실천적, 제도적 제언을 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conflict between home-visiting care helpers and guardians. To this end, content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in-depth interview data with nine home-visiting care helpers. Results show a total of 10 categories of three dimensions in conflict experience. Specifically, the cause of conflict comprise categories such as “different perception” and “uncertain boundaries”. The coping with conflicts was categorized into “rejecting excessive requests from guardians,” “accepting excessive requests from guardians,” and “asking for external help”. The categories organized as the result of coping with conflicts were “improvement of guardian behavior and perception,” “suspension of service,” “giving up and work overload”. Based on these results, practical and institutional strategies necessary to prevent and mediate conflicts between home-visiting care helpers and guardians are suggested.

      • KCI등재

        도벽문제가 있는 여중생의 가족치료 사례연구

        양호정 ( Ho Jung Yang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3

        본 연구는 도벽문제가 있는 여중생의 가족치료사례연구이다. 15회기의 상담과 1회의 추적상담을 통해 여중생의 도벽문제에 영향을 미친 가족체계 특성을 파악하고 상담과정을 통해 변화된 가족체계 특성과 변화지속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통하여 상담참여자의 진술을 파악하고 의미단위를 구분하여 여중생의 도벽행동에 영향을 미친 가족체계 특성과 개입 후 효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여중생의 도벽 행동에 영향을 미친 가족체계 특성은 가족의 역기 능적 의사소통과 부정적 양육방식이었으며 개입 후 가족은 역기능적 의사소통방식이 개선되었고 양육태도 역시 변화하였다. 더불어 여중생의 도벽행동이 중단되었다. 추적상담 결과 가족의 긍정적인 의사소통방식과 양육태도로의 변화는 지속됨을 확인할 수 있었고 여중생의 도벽행동 역시 재발되지 않음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청소년 도벽문제에서 가족치료의 효과와 가족항상성으로 인한 효과지속 가능성을 살펴볼 수 있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family characteristic which influenced middle-school girl kleptomania and inquired effect of family therapy on family change and continuity. The family -father, mother, and two childrenparticipated in 15 therapy sessions and 1 follow-up session. According to method by case study research, the family statement is analyzed into family characteristic which influenced middle-school girl kleptomania and effect of family therapy. As a result, Family characteristics which influenced middle-school girl kleptomania are negative way of communication and bringing up children. After therapy sessions, The way to raise children and communication changed from negative to positive. With that, The change is continued and middle-school girl kleptomania did not recur. This result has been proved that family therapy are stealing habits are effective in treating teens and persistence effect due to Family homeostasis.

      • KCI등재

        사례관리 이용자의 경험과 변화에 대한 연구 -서대문종합사회복지관 중심으로

        양호정(Yang, hojung),윤귀선(Yoon, gweesun) 한국사례관리학회 2017 사례관리연구 Vol.8 No.1

        본 연구는 사례관리의 현실적인 정착과 발전을 위해서 이용자의 경험을 중심으로 사례관리 성과를 살펴보는 연구가 필요하다는 문제제기와 함께 사례관리 이용자들의 경험과 변화를 살 펴보고 이를 근거로 사례관리의 개선방안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참여자들은 서 대문종합사회복지관에서 사례관리에 참여한 경험이 있거나 참여하고 있는 이용자 6명이었다. 심층면접을 통해 얻어진 자료를 수정근거이론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총 67개의 개념과 18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는 “예측불허의 인생”, “절망의 나락(奈落)”, “의지와 힘이 되는 마음의 안식처”, “어려운 상황에서의 도움”, “조심스런 첫 걸음”, “내부의 적”, “사 례관리자에게 의존”, “자녀에게서 인생의 의미를 찾음”, “힘든 현실에서 미래를 그려봄”, “무 서운 사회의 시선”, “나보다 중요한 가족”, “긍정적 마인드”, “사회에 환원”, “사례관리의 모호 함” 이었다. 이를 근거로 도출된 부정적 현상의 개선과 긍정적 현상의 조장을 위한 방안모색 을 목적으로 전문가 팀을 구성하여 9명이 참여한 FGI를 실시하였다. FGI결과 대응할 수 있는 접근전략을 도출하고 사례관리의 질적 발전과 성과도출을 위해 사례관리자 차원의 지지와 역 량강화, 사회복지와 평가체계 차원의 보완, 지역사회와 전반적 사회인식의 협조와 개선을 위 한 노력이 필요함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xperiences and changes of case management users and to discuss ways to improve case management.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6 users at Seodaemun Comprehensive Social Welfare Center. A total of 67 concepts and 18 categories were derived from the data obtained through in - depth interviews using the modified grounded theory method. The derived categories are “unexpected life”, “despair of despair”, “resting place of will and strength”, “help in difficult situations”, “careful first step”, “inner enemy”, “Reliance on case manager”, “Finding meaning of life from children”, “Drawing the future from the tough reality”, “Scary social gaze”, “Family more important than me”, “Positive mind” “Reduction”, and “ambiguity of case management”. Based on the FGI results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need for strengthening the support and capacity of the case manager level, supplementing the social welfare and evaluation system level, and cooperating and improving the community and overall social awareness.

      • KCI등재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의 경험과 삶: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방법 중심으로

        양호정 ( Ho Jung Yang ),신준섭 ( Jun Seob Shin )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구 한국정서학습장애아교육학회) 2015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1 No.1

        본 연구는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의 경험을 탐색하고 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의도적 표집(purposive sampling)방법으로 선정되었으며, 연구목적과 과정을 이해하고 참여에 자발적으로 동의한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경험이 있는 성인 여성 6명을 대상으로 Giorgi의 현상학적 방법을 적용하여 분석되었다. 연구참여자들의 진술은 자유변경법을 통해 의미단위들을 사회복지적 용어로 전환하고 전환된 의미단위들은 총 6개의 구성요소로 도출되었다. 도출된 6개의 구성요소들은 ‘상황에 의해 주어진 삶’, ‘관심과 애정을 위해 노력하며 사는 삶’, ‘가족불화와 타인시선에 힘든 삶’, ‘어려움에 대처하며 꽃 피운 삶’, ‘끝나지 않는 과거 속에 사는 삶’, 마지막으로 ‘변화하고자 하는 삶’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장애형제와 함께 성장한 여성들의 이해 및 지원을 위한 방안 등이 논의되었다. This study aims to examine experiences of females who have grown up with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non-disabled female siblings. A purposive sampling strategy was used for this study. Six participants who have grown up with disabled siblings were recruited and they were asked for their informed consent prior to entering this research. Thes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 Giorgi’s phenomenological method which can minutely delineate about participants’ uniqueness and individualistic structure. Participants’ statements were converted into term of social work by using a method of free imaginative variation. Converted meaning units divided into 6 factors. Those factors which were derived from participants’ experience are as following; The life, by controlled by circumstances, The life in the constant pursuit of the attention and the affection, The hardship with the family discord and someone’s eyes, The flourishing life while facing hardships, The life lingering in the past and The life as change.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implications for understanding and supporting of non-disabled female siblings were suggested.

      • KCI등재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

        양호정 ( Yang Ho Jung ),황의태 ( Hwang Eui T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1

        본 연구는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관한 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간 인식 차이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경남지역 6개 학교 고등학교 발달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및 담당교사를 대상(장애학생 122명, 부모 122명, 교사 84명)으로 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결정에 대해 발달장애학생이 가장 높게, 부모가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발달장애학생과 부모 그리고 교사 모두가 장애학생의 ‘행동하기’ 수준을 가장 낮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19세인 발달장애학생들은 17세와 18세의 발달장애학생에 비해 자신의 자기결정을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이는 부모와 교사의 인식에서도 같은 결과를 보였다. 셋째, 장애학생과 그들의 부모 간, 장애학생과 교사 간 그리고 부모와 교사 간 인식 차이를 살펴본 결과, 모두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해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보였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자기결정 지도체계 수정·보완, 발달장애학생 내적요인 강화를 목적으로 한 교육전략 구축 그리고 부모의 지속적·상호적 의사소통 능력 함양 및 교사의 상담수행과 이를 위한 지원과 노력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looked at the differences in perception between disabled students, parents and teachers regarding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their parents and teachers from six high schools located in Seoul, Gyeonggi Province and Gyeongnam Province were surveyed (with 122 disabled students, 122 parents, and 84 teachers). According to the study; 1)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the highest and parents the lowest in terms of self-determination. Also, everyone was the least aware of the level of 'acting' of disabled students. 2)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ged 19 were more positive about self-determination than younger disabled students. This showed the same result in the perception of parents and teachers. 3)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parents and teachers all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t was recommended to supplement the self-determination education system, establish a continuous and systematic education strategy, foster parental communication skills and conduct counseling for teachers.

      • KCI등재

        가족건강성 지각이 발달장애학생과 부모의 자기결정 인식에 미치는 영향

        양호정 ( Yang Ho Jung ),황의태 ( Hwang Eui Tae ) 한국정서행동장애학회(구 한국정서·행동장애아교육학회) 2020 정서ㆍ행동장애연구 Vol.36 No.4

        본 연구의 목적은 가족건강성 지각이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와 자녀의 인식차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 대상은 4개 지역 7개 학교의 발달장애 고등학생(n=135명)과 그들의 부모(n=135명)이다. 연구결과, 가족건강성에 대한 발달장애자녀 지각은 평균 3.80, 부모의 지각 평균 3.94로 부모의 지각이 유의미하게 높았다.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대한 인식은 발달장애학생이 부모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 부모·자녀 간 인식차이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가족건강성 및 자기결정 인식 및 차이에서는 발달장애학생의 연령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도출되었다. 가족건강성 지각이 발달장애학생 자기결정에 대한 부모·자녀 간 인식차이에 미치는 영향 분석결과, 부모와 발달장애학생이 지각한 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자기결정 인식차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발달장애학생 부모교육 프로그램에 가족건강성 관련 요인이 반영되어야 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perception of family health affects the perception gap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about self-determination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is study used survey data from high school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n=135) and their parents (n=135).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1) Parents' perception of family health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2) The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among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than their parents. And the difference in perception between parents and childre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3) There were differences in family health depending on the age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In addition,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self-determination differed with age; 4) Both parents and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lf-determination recognition differenc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was suggested that the content of family health should be reflected in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 KCI등재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

        양호정(Yang, Ho-Jung) 한국영유아보육학회 2021 한국영유아보육학 Vol.- No.128

        본 연구는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교육신념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전문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서울, 경기, 충북, 전남지역 장애아전담 어린이집, 장애통합어린이집 그리고 일반 어린이집에서 최근 5년 이내, 장애아를 담당한 경험이 2년 이상 있는 보육교사 251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성숙주의와 상호작용주의 교육신념은 권리존중보육 실행, 교사전문성과 유의한 정(+)적 관계를 가지고 있었다. 반면 행동주의 교육신념은 성숙주의, 상호작용주의 보육신념 그리고 권리존중보육과 교사전문성과 유의한 음(-)의 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장애아담당 보육교사의 상호작용주의 교육신념이 권리존중보육 실행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전문성은 완전매개 역할을 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근거로 장애아 담당 교사 양성체계 및 보수교육 방향을 논의하였으며 장애아담당 교사의 권익보호 및 지원체계 마련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erify the effect of the disabled child teacher"s educational beliefs on action of rights-respectful child care and the mediated effect of teacher professionalism. The study targets 251 child care teachers in Seoul, and the provinces of Gyeonggi, Chungbuk, and Jeonnam. The teachers have been in charge of disabled children for more than two years in the last five years. The main findings of the study analyzed using SPSS 25.0 are as follows. First, Maturity and interactionism educational belief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on of rights-respectful child ca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Second, behaviorist educational beliefs were analyzed to have a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maturity, interactionism, action of rights-respectful child care, and teacher professionalism. Third, teacher professionalism played a role as a complete medium in the effect of interactionism beliefs on the action of rights-respectful child care.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system for training teachers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 direction of repair training were discussed. In addition, it was suggested that the rights protection and support system for teachers in charge of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be prepared.

      • KCI등재

        성별에 따른 사회복지조직 최고관리자 리더십 비교분석: 사회역할이론의 적용

        신준섭(Shin, Junseob),양호정(Yang, Hojung) 한국문화산업학회 2020 문화산업연구 Vol.20 No.4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 최고관리자의 성별에 따른 리더십 특성 분석을 목적으로 하였다. 젠더 중심 관점인 사회역할이론(Eagly 1987)을 배경으로 성별에 따른 최고관리자 리더십 특성의 차이를 전제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국 343명의 지역사회복지관장에 대한 설문조사와 남녀 관장 8명에 대한 심층면접 결과, 사회복지조직 최고관리자 남성과 여성 간 조직관리 리더십과 옹호 리더십의 차이가 도출되었다. 조직관리 리더십에서는 남성 최고관리자 경우 비전제시형의 리더십이, 여성의 경우 동기부여형 리더십 성향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옹호 리더십에서는 남성 최고관리자의 옹호활동이 여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활발했고, 옹호방법 측면에서도 남성 최고관리자는 옹호활동의 단기적 효과를 중시하는 반면 여성 최고관리자는 장기적 효과를 목적으로 두고 접근하는 차이가 있었다. 또 옹호활동을 위한 능력에 대해 남성 최고관리자가 여성 최고관리자에 비해 토론, 로비, 청원, 압박 능력을 상대적으로 높게 인식하는 차이를 보였다. 성별에 따른 리더십 차이에 대한 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조직 최고관리자의 리더십 역량을 높이기 위한 실천적·교육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gender differences in top executive leadership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Based on the social role theory(Eagly, 1987) which is a representative gender-centered perspective, the study was conducted on the premise of gender difference in the leadership. Results of a survey of 343 executives in community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and in-depth interview with each of the four executive of men and women suggested that there were gender differences in both management leadership and advocacy leadership. In organizational management leadership, male executives showed a stronger vision setter leadership while women had a strong tendency to be motivator leadership. In terms of advocacy leadership, the level of advocacy activities of male executives was higher than that of women, and in the methodology of advocacy activities, there was a difference in male executives’ emphasis on short-term effects while women executives’ value long-term effects of advocacy. Male executives also showed a higher level of awareness in their ability to debate, lobby, petition and pressure. Based on the above results, the study suggested that efforts should be made to complement each advantage while understanding differences in leadership characteristics by gender in order to enhance the overall leadership capacity of top executives in social work organization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