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피부 섬유모세포 노화에 따른 세포집락 크기의 분포

        김준상,김재성,조문준,박정규,백태현,Kim, Jun-Sang,Kim, Jae-Sung,Cho, Moon-June,Park, Jeong-Kyu,Park, Tae-Hyu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2

        목적 : 유방암 환자의 피부 섬유모세포를 이용한 in vitro 배양 실험을 통하여 16 세포집락 비율 분포의 변화를 관찰하여 16 세포집락 비율과 in vitro 세포 노화 및 섬유모세포 공여자의 in vivo 연령과의 연관성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유방암 수술을 받은 3명의 환자로부터 얻은 유방부위 피부를 본 실험대상으로 사용하였다. 각 환자의 유방부위 피부로부터 얻은 피부 섬유모세포 표본의 명칭을 C1, C2, C3a 및 C3b로 분류하였으며 각 표본 공여자의 연령은 C1이 44세, C2는 54세, 그리고 C3a 및 C3b는 동일한 공여자로서 연령은 55세였다. 피부 섬유모세포의 단일세포 부유액은 일차조직 배양법으로 얻었으며 100 개의 세포들을 100m1 의 조직배양 flask에 분주 후 37$^{\circ}C$에서 2주 동안 배양하였다. 5개의 flask에서 배양한 피부 섬유모세포의 16 세포집락 비율을 알기 위하여 crystal violet으로 염색한 후 10 배율의 입체현미경을 이용하여 16개 세포 이상으로 구성된 세포집락수를 1개 이상으로 구성된 세포 집락수로 나눈 수치를 16 세포집락 비율로 나타내었으며 각각 5개의 flask에서 얻어진 16 세포집락 비율 평균치를 각 계대배양에 대한 16 세포집락 비율로 나타내었다. C1, C2의 계대배양 횟수는 각각 12회, 17회 였으며 C3a와 C3b는 14회 계대배양 하였다. 결과 : C1, C2, C3a 및 C3b 피부섬유모세포 모두에서 16 세포집락 비율이 계대배양 횟수의 증가에 따라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집단이배화증가에 따라 감소하였다. 그리고 계대배양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집단이배화가 증가되는 것이 관찰되었으며 특히 C3a 섬유모세포의 상관계수가 0.954(P=0.0001)로서 가장 강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였다 동일한 지점의 집단이배화에서 16 세포집락 비율이 고연령자인 C3a 공여자보다 저 연령자인 C1 공여자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결론 : 사람 피부 섬유모세포의 in vitro 배양에서 계대배양 횟수의 증가에 따라 집단이배화는 증가되고, 세포 노화로 인해 16 세포집락 비율은 감소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저연령의 피부 섬유모세포일수록 집단이배화 증가에 따른 16 세포집락 비율 감소가 고연령의 경우보다 완만하였다. 따라서 피부 섬유모세포 in vitro 배양에서 관찰되는 16 세포집락 비율은 in vitro 세포노화의 지표로서 유용하며 또한 피부 섬유모세포 공여자의 연령 평가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o investigate the percentage of colonies wi1h16or more cells distribution of human skin fibroblast according to in vitro aging, and to evaluate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0 or more cells and in vivo donor age in human skin fibroblast culture. Material and Method : C1, C2, C3a, and C3b human skin fibroblast samples from three breast cancer patients were used as subjects. The C1, C2, and C3a donor were 44, 54, and 55 years old, respectively. C3a and C3b cells were isolated from the same person. Single cell suspension of skin fibroblasts was prepared with primary explant technique. One hundred cells are plated into 100m1 tissue culture flask and cultured for two weeks. The colony size was defined as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The cultured cell was stained with crystal violet, and number of cells in each colony was determined with stereo microscope at $\times$10 magnification. Passage number of C1, C2, C3a and C3b skin fibroblast were 12th, 17th, and 14th, respectively. Results :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of skin fibroblast samples decreased with increasing in vitro passage number. In contrast, cumulative population doublings of skin fibroblast sample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vitro passage number.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also decreased with increasing population doublings in human skin fibroblast culture. There was strong correlation with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and population doublings En C3a skin fibroblast sampie. At the same point of population doublings, the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of the young C1 donor was higher level than the old C3a donor. Conclusion : The population doublings increased with increasing in vitro passage number but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s decrea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y that percentage of colonies with 16 or more cell is useful as a indicator of in vitro human skin fibroblast aging and may estimate the in vivo donor age.

      • SCOPUSKCI등재

        Once vs. Twice Daily Thoracic Irradiation in Limited Stage Small Cell Lung Cancer

        김준상(Jun Sang Kim),김재성(Jae Sung Kim),김주옥(Ju Ock Kim),김선영(Sun Young Kim),조문준(Moon Jun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3

        목 적 :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으로 복합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들에서 통상적 방사선치료와 다분할 방사선치료 간의 종양 관해율, 생존율, 재발율 및 부작용에 대해 비교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89년 11월부터 1996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 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으로 치료받았던 78명 환자 중 고식적 방사선치료 및 재발성 병변으로 치료받았던 10명을 제외한 68명을 대상으로 후향성 분석을 하였다. 대상환자 중 통상적 방사선치료군 (A군)은 26명, 다분할 방사선치료군 (B군)은 42명 이었다. 전체 환자의 연령, 성별 및 ECOG 활동지수는 각각 32-75세 (중앙값 58세), 남자 58명 여자 10명, ECOG 0-1이 58명 2 이상이 10명이었으며 두군 간에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방사선치료로서 A군은 총 조사선량 5040-6940 cGy(중앙값 5040 cGy), 180 cGy/fx 로 치료하였고 B군은 총 조사선량 4320-5100 cGy (중앙값 4560 cGy)으로 29명 (69%)은 120 cGy/fx 로, 13명 (31%)은 150 cGy/fx 로 1일 2회 조사하였다. 화학요법은 전체 68명 중 65명에서 VPP (cisplatin 60 mg/m2, etoposide 100 mg/m2) 요법과 CAV (cytoxan 1000 mg/m2, adriamycin 40 mg/m2 , vincristine 1 mg/m2) 요법을 교대로 시행하였으며, 화학요법 횟수는 A군 3-10회 (중앙값 6회), B군은 1-11회 (중앙값 6회) 시행하였다. 화학요법 시기는 A군에서 23명이 연속 화학요법을, B군에서는 39명이 동시 화학요법을 시행하였다. 예방적 전뇌조사는 두군 모두에서 완전관해 후 시행하였는데 A군 8명, B군 16명에서 조사선량 2500 cGy/10fx 로 조사하였다. 추적기간은 2-99개월 (중앙값 14개월)였다. 결 과 : 종양 관해는 완전관해율, 부분관해율이 각각 A군 35% (9/26), 54% (14/26), B군 43%(18/42), 55% (23/42)(p=0.119) 였다. 중앙생존기간 및 2년 생존율은 전체환자에서 15개월, 26.8%였고, A군 17개월, 26.9%, B군 15개월, 28% (p=0.51)였다. 전체환자 중 완전관해 및 부분 관해 환자의 2년 생존율은 각각, 35% 와 24.2% (p=0.06)였다. 실패양상으로 두 군간에 국소재발 및 원격전이의 통계적인 차이는 없었다 (p=0.125, 0.335). 방사선치료중 발생한 급성합병증으로 RTOG criteria상 중등도 이상의 식도염 및 백혈구 감소가 B 군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p=0.028, 0.003). 결 론 :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의 복합 화학요법과 방사선치료시 종양의 부분관해 이상의 반응율이 연속화학요법을 받은 통상적 방사선 치료군과 동시화학요법을 받은 다분할 방사선 치료군 모두에서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두 군간의 생존율에는 통계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급성합병증으로서 식도염과 백혈구 감소가 동시화학요법을 받은 다분할 방사선치료군에서 더 높게났지만,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 동시화학요법과 다분할 방사선치료가 적절한 치료의 한 방법이 될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국한성 병기 소세포폐암에서 다분할 방사선치료의 장점을 밝히기 위하여 좀더 많은 대상환자와 추적관찰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A retrospective study was conducted comparing single daily fraction (SDF) thoracic radiotherapy (TRT) with twice daily (BID) TRT to determine the potential benefit of BID TRT in limited-stage small cell lung cancer (SCLC). Endpoints of the study were response, survival, pattern of failure, and acute toxicity.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November 1989 to December 1996, 78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n limited-stage SCLC were treated at the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Of these, 9 were irradiated for palliative intent, and 1 had recurrent disease. Remaining 68 patient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There were 26 patients with a median age of 58 years, and 22 (85%) ECOG performance score of less than 1 in SDF TRT. There were 42 patients with a median age of 57 years, and 36 (86%) ECOG performance score of less than 1 in BID TRT. By radiation fractionation regimen, there were 26 in SDF TRT and 42 in BID TRT. SDF TRT consisted of 180 cGy, 5 days a week. BID TRT consisted of 150 cGy BID, 5 days a week in 13 of 42 and 120 cGy BID, in 29 of 42. And the twice daily fractions were separated by at least 4 hours. Total radiotherapy doses were between 5040 and 6940 cGy (median, 5040 cGy) in SDF TRT and was between 4320 and 5100 cGy (median, 4560 cGy) in BID TRT. Prophylactic cranial irradiation (PCI) was recommended for patients who achieved a CR. The recommended PCI dose was 2500 cGy/10 fractions. Chemotherapy consisted of CAV (cytoxan 1000 mg/m2, adriamycin 40 mg/m2, vincristine 1 mg/m2) alternating with VPP (cisplatin 60 mg/m2, etoposide 100 mg/m2) every 3 weeks in 25 (96%) of SDF TRT and in 40 (95%) of BID TRT. Median cycle of chemotherapy was six in both group. Timing for chemotherapy was sequential in 23 of SDF TRT and in 3 BID TRT, and concurrent in 3 of SDF TRT and in 39 of BID TRT. Follow -up ranged from 2 to 99 months (median, 14 months) in both groups. Results : Of the 26 SDF TRT, 9 (35%) achieved a complete response (CR) and 14 (54%) experienced a partial response (PR). Of the 42 BID TRT, 18 (43%) achieved a CR and 23 (55%) experienced a PR. There was no significant response difference between the two arms ( p=0.119). Overall median and 2-year survival were 15 months and 26.8%, respectively. The 2-year survivals were 26.9% and 28% in both arm, respectively (p=0.51). The 2-year survivals were 35% in CR and 24.2% in PR, respectively. The grade 2 to 3 esophageal toxicities and grade 2 to 4 neutropenias were more common in BID TRT (p=0.028, 0.003). There was no difference in locoregional and distant metastasis between the two arms (p=0.125 and 0.335, respectively). The most common site of distant metastasis was the brain. Conclusion : The median survival and 2-year survival were 17 months and 26.9% in SDF TRT with sequential chemotherapy, and 15 months and 28% in BID TRT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respectively. We did not observe a substantial improvement of long-term survival in the BID TRT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compared with standard schedules of SDF TRT with sequential chemotherapy. The grade 2 to 3 esophageal toxicities and grade 2 to 4 neutropenias were more common in BID TRT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Although the acute toxicities were more common in BID TRT with concurrent chemotherapy than SDF TRT with sequential chemotherapy, a concurrent chemotherapy and twice daily TRT was feasible. However further patient accrual and long-term follow up are needed to determine the potential benefits of BID TRT in limited-stage SCLC.

      • SCOPUSKCI등재

        대동맥주위 림프절에 재발된 자궁경부암에서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의 결과

        김준상(Jun Sang Kim),장지영(Ji Young Jang),김재성(Jae Sung Kim),김삼용(Sam Yong Kim),조문준(Moon Jun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0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8 No.1

        목 적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된 자궁경부암 환자의 치료방법으로 방사선민감제로 paclitaxel(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에 대한 치료결과 및 부작용을 분석하여 치료의 유용성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7 년 9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충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자궁경부암으로 골반부에 근치적 또 는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은 후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되어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2명 환자중 30 Gy 이하의 방사선치료를 받은 2명을 제외한 10명을 대상으로 분석을 시행하였다. 대상환자의 연령은 31∼70세(중앙값 51세)이 었 고 초기 진단시 FIGO 병기는 IB1이 1명, IIA가 2명, IIB가 7명이었다. 대상환자 10 명중 7명이 재발 되기 전에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고 3명이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받았으며,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았던 1명이 좌측 쇄골상관절종에 동시 재발한 상태였다. 방사선치료부위는 재발된 대동맥주위림프절을 포함하면서 위로는 12번 흉추부터 아래쪽으로는 과거에 치료받았던 골반조사부위 상연에서 조사야의 간 극 을 계산한 후 결정하였다. 일일 방사선 선량은 1.2 Gy, bid였고 총 방사선 선량은 50.4∼60 Gy (중 앙 선 량 58.8 Gy)로 조사하였다. 동시화학요법은 paclitaxel을 방사선민감제로 사용하였으며 방사선치료기간 중 매주 1회씩 체표면적당 20∼ 30 mg (중 앙 값 25 mg)을 정맥주사하였다. 방사선 치료기간동안 화학요법 총 횟수는 3∼6회(중앙값 4.5회) 시행하였다. 치료 후 추적기간은 3∼21개월(중앙값 9.5개월)이었다. 결 과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까지의 무병생존기간은 2∼63 개월(중앙값 7개월)이었고, 대동맥주위림프절 치료 후 1년 생존율 및 중앙생존기간은 각각 75%와 9.5개 월 이 었 다. 그리고 1년 무병생존율 및 중앙무병생존기간은 각각 30%와 7개월이었다. 치료종료후 1개월에 시행한 복부전산화단층 촬영상 대상환자의 40% (4/10)가 완전관해를, 60% (6/10)가 부분관해를 보여 모든 치료환자에서 부분관해 이 상 의 치료반응을 보 였 다. 완전관해를 보였던 4명중 1명이 치료 후 8개월에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발하였고 부분관해를 보였던 환자중 2명에서 치료 후 각각 7개월과 12개월에 대동맥주위림프절 병소가 진행되었다. 치료 후 10명 중 6명에서 원격전이가 발생하였으며, 2명에서 골반부 림 프 절 에 재발하였다. 원격전이 부위로는 폐 3명, 뼈 3명, 쇄골상관절종에 3명이었다. 치료에 대한 혈액학적 급성합병증으로 1명 이 grade 4 백혈구 감소로 약 3주 간 방사선치료를 중단하였으며 grade 3 이상의 백혈구 감소가 2명이었고, grade 2 이상의 혈색소 감소 및 혈소판 감소가 각각 2명, 1명이었다. 상부위장관에 대한 급성합병증으로는 grade 2 이하의 오심 및 구토가 8명에서 발생하였으나 대부분 수용할만 하였다. 추적관찰 중 복부 또는 골반부위에 만성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 결 론 : 대동맥주위림프절에 재 발 된 자궁경부암 환자에서 방사선 민감제로 Taxol을 병행한 과분할 방사선치료를 하여 적은 합병증의 발생과 매우 높은 치료반응율을 보였다. 따라서 이러한 환자들에게 적극적인 치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reatment results, toxicity and efficacy of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for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 Between September 1997 to March 1999, 12 patients with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who previously received radical or postoperative radiotherapy were treated with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Of these, 2 patients who irradiated l ess than 30 Gy were excluded, 10 patients were eligible for this study. Median age was 51 years. Initial FIGO stage was 1 stage IB1, 2 stage IIA, 7stage IIB. For initial treatment, 7 patients received radical radiotherapy and 3 received postoperative radi otherapy. The paraaortic field encompassed the gross recurrent disease with superior margin at T12, and inferior margin was between L5 and S1 with gap for previously pelvic radiation field. The radiation field was initially anterior and posterior opposed f ield followed by both lateral field. The daily dose was 1.2 Gy, twice daily fractions, and total radiotherapy dose was between 50.4 and 60 Gy(median, 58.8 Gy). Concurrent chemotherapy was done with paclitaxel as a radiosensitizer. Dose range was from 20 mg /m3 to 30 mg/m3 (median, 25 mg/m3), and cycle of chemotherapy was from 3 to 6 (median, 4.5 cycle). Follow-up period ranged from 3 to 21 months. Results : Interval between initial diagnosis and paraaortic node recurrence was range from 2 to 63 months (median, 8 months). The 1 year overall survival rate and median survival were 75% and 9.5 months, respectively. The 1 year disease free survival rate and median disease free survival were 30% and 7 months, respectively. At 1 month after treatment, 4 (40%) achiev ed a complete response and 6 (60%) experienced a partial response and all patients showed response above the partial response. There was distant metastasis in 6 patients and pelvic node recurrence in 2 patients after paraaortic node irradiation. There was 2 patients with grade 3 to 4 leukopenia and 8 patients with grade 1 to 2 nausea/ vomiting which was usually tolerable with antiemetic drug. There was no chronic complication in abdomen and pelvis during follow up period. Conclusion :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axel as a radiosensitizer showed high response rate and few complication rate in paraaortic node recurrence in cervix cancer. Therefore, present results suggest that hyperfractionated radiation therapy combined with paclit axel chemotherapy can be used as optimal treatment modality in this patients.

      • KCI등재

        국소진행된 직장암에서 Cathepsin D와 p53 발현의 임상적 의의

        김준상(Jun-Sang Kim),이생금(Shengjin Lee),김진만(Jin-Man Kim),조문준(Moon-Jun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6 No.1

        목 적: 본 연구는 수술 전 방사선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국소진행된 직장암환자에서 치료 전 얻어진 직장암 생검조 직 내에서의 cathepsin D (CD) 및 p53의 발현이 갖는 예후적 인자를 포함한 임상적 의의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였 다. 대상 및 방법: 1993년 7월부터1999년 6월까지 국소진행된 직장암으로 수술 전 방사선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127명 의 환자 중 근치적 수술을 시행 받았고 수술 전 생검 조직의 파라핀 블록을 얻을 수 있던 8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방사선치료는 하루 1.8 Gy씩 주 5회, 25회에 걸쳐 전 골반 부위에 45 Gy까지 조사한 후에 원발종양 부위에 만 5.4 Gy 추가 조사하였다. 화학요법은 5-Fluorouracil과 Leucovorin을 5일간 일시 정주하였고 방사선치료기간 1주 및 5주째 투여하였으며 방사선치료 종료 후 약 6주경에 근치적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Mouse 단클론 항체인 CD와 p53을 이용하여 면역염색을 시행하였다. CD 및p53이 종양세포 및 종양기질세포에 10% 이상 발현 시 양성으로 판정하였다. 결 과: 종양세포내 CD 발현은 57명(64%)이 양성이었고 종양기질세포내 양성은 71명(80%)이었다. p53의 종양세포내 발현은 35명(39%)이 양성을 보였다. 성별, 환자나이, 종양의 운동성, 종양의항문 연으로부터의 거리, 임상적TNM 병기에 따라 종양세포 및 종양기질세포내 CD 발현 및 p53 발현의 통계적 차이가 없었다. 종양세포와 종양기질세포내 CD발현 사이에 양적인 상호 연관성이 있었다(p=0.01). 종양세포내 CD발현과 p53의 발현은 통계적인 상호관련성이 없었다(p=0.79). 단변량분석 및 다변량분석 상 5년 전체생존율 및 무병생존율에 대한 예후인자로서 종양세포 및 종양기질세포내 CD 발현과 p53은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그러나 종양세포 및 종양기질세포내 CD 발현에 따른 하위집단 생존율 분석상 종양세포 및 종양기질세포내 CD 발현이 음성인 경우가 5년 전체생존율이 75%로서 가장 높았으며 종양기질세포내에만 CD가 발현된 경우는 5년 전체생존율 29%로서 가장 낮았다(p=0.01).결 론: 수술 전 방사선화학요법을 시행 받은 국소진행된 직장암 환자에서 치료 전 직장암 생검조직 내에서의 p53발현은 유의한 생존예후인자는 아니었으며 CD가 종양세포에는 발현되지 않고 종양기질세포에만 발현 시 전체생존율에 불량한 예후인자였다. Purpose: Cathepsin D (CD) is a lysosomal acid proteinase that is related to malignant progression, invasion, and a poor prognosis in several tumor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prognostic clinical significance of CD and p53 expression in pretreatment biopsy specimens from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who were treated with preoperative chemoradiation. Materials and Methods: Eighty-nine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cT3/T4 or N+) were included in this study. Preoperative chemoradiation consisted of a dose of 50.4 Gy of pelvic radiation and two concurrent cycles of administration of 5-fluorouracil and leucovorin. Surgery was performed six weeks after chemoradiation. CD and p53 expression in pretreatment formalin-fixed paraffin-embedded tumor biopsy specimens were assessed by immunohistochemical staining using a CD and p53 monoclonal antibodies. The threshold value for a positive stain in tumor tissue and stromal cells was 1+ intensity in 10% of the tumors or stromal cells, respectively. Results: Positive CD expression was found in 57 (64%) of the tumors and 32 (35%) of the stromal cell specimens. There was no association with CD expression of the tumor or stromal cells and patient characteristics. There was a correlation between tumor CD expression with stromal cell CD expression (p=0.01). Overexpression of p53 was not a significant prognostic factor. The 5-year overall survival (OS) and disease-free survival (DFS) rates were not different between tumor CD-negative and positive patient biopsy samples (69% vs. 65%, 60% vs. 61%, respectively). The 5-year OS rates in the tumor-negative/stromal cell-negative, tumor-negative/stromal cell-positive, tumor-positive/stromal cell-negative and tumor-positive/ stromal cell-positive biopsy samples were 75%, 28%, 62%, and 73%, respectively. Stromal cell staining only without positive tumor staining demonstrated the worst overall survival prognosis for patients (p=0.013). Conclusion: Overexpression of p53 in rectal biopy tissue was not associated with prognostic significance. In the pretreatment biopsy specimens, an exclusive increase in CD expression in stromal cells without tumor expression was related to poor overall survival in patients with locally advanced rectal cancer treated with preoperative chemoradiation.

      • KCI등재

        유전체필름을 이용한 평행판검출기의 납 차폐물 두께변화에 대한 반응

        김용은,조문준,김준상,오영기,김진기,신교철,김정기,정동혁,김기환,Kim Yong-Eun,Cho Moon-June,Kim Jun-Sang,Oh Young-Kee,Kim Jhin-Kee,Shin Kyo-Chul,Kim Jeung-Kee,Jeong Dong-Hyeok,Kim Ki-Hwan 한국의학물리학회 2006 의학물리 Vol.17 No.1

        본 연구에서는 납 차폐물의 두께변화에 대한 반응을 알아보기 위하여 크롬으로 코팅된 전극을 사용한 FEP 유전체필름과, 그들 사이에 PTFE 유전체 필름을 삽입한 형태의 평행판 검출기를 제작하였다. 측정조건은 선원-팬텀표면 간의 거리 100 Cm, 조사면 크기 10x10 cm, 그리고 팬텀의 표면으로부터 깊이 5 cm 되는 지점과 10 cm 되는 지점에 유전체필름을 이용한 제작검출기와 Farmer형 전리함을 설치하고 6 MV, 10 MV X-선을 조사하였다. 차폐물은 조사면을 충분히 포함하도록 제작하여 측정순서에 따라 차례대로 Tray 위에 놓아서 두께변화에 대한 감쇄효과를 확인하고 두 검출기 간의 반응함수를 알고자 하였다. 차폐효과에 대한 두 검출기 간의 반응함수는 선량에 대하여 지수적으로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작검출기와 비교검출기로 측정한 선형감쇄계수 ${\mu}(cm^{-1})$는 6 MV X-선으로 조사한 경 우 0.1414, 0.541이 었고, 10 MV X-선으로 조사한 경우 각각 0.1368, 0.5279로서 납 차폐물의 두께 변화에 의한 선형감쇄계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계산된 반응함수로부터 제작검출기는 전리함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크게 반응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제작검출기에서 측정한 선량값(R)과 전리함에서 측정한 선량값($D_r$) 간의 반응함수를 최적화 과정을 통하여 계산하였다. 이들 반응함수의 최적화 상수 값들은 고 에너지 X-선 크기에 비교적 무관한 경향을 보였다. 제작 검출기와 비교검출기 간의 최적화된 반응함수를 계산한 결과 6 MV X-선의 경우 1%, 10 MV X-선의 경우 4% 이내의 범위 내에서 측정된 선량이 일치함으로써 상대 선량계로서의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A parallel plate detector containing PTFE films in FEP film for relative dosimetry was designed to measure the response of detectors to S and 10 MV X-rays from a medical linear accelerator through different thicknesses of lead. The dielectric materials were 100 m thick. The set-up conditions for measurements with this detector were as follows: SSD=100 cm the test detector was at a depth of 5 cm and the reference chamber was at a depth of 10 cm from the phantom surface for 6 and 10 MV X-rays. Lead blocks were designed to cover the irradiated field. They were added to the tray to increase thickness sequentially. We found that the detector response decreased exponentially with the thickness of lead added. The linear attenuation coefficients of the test detector and reference chamber were 0.1414 and 0.541, respectively, for 6 MV X-rays and 0.1358 and 0.5279 for 10 MV X-rays. The test detector response was greater than that of the reference chamber. The response function was calculated from the measured values of the test detector and reference chamber using optimization. These optimized constants for the detector response function were independent of theenergy. As a result of optimizing the response function between detectors, the use of a relative dosimeter was validated, because the response of the test detector was 1% for 6 MV X-rays and 4% for 10 MV X-rays.

      •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내에 발생한 설암 환자에서 입체조형방사선치료 경험

        조문준(Moon June Cho),김기환(Ki Hwan Kim),김병국(Byung Kook Kim),송창준(Chang Joon Song),김준상(Jun Sang Kim),김재성(Jae Sung Kim),장지영(Ji Young Jang)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0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17 No.1

        Objectives: We report an interim result of conformal radiotherapy in a patient with early stage cancer at the base of the tongue, which developed in a previously irradiated area. Materials and Methods: A 64-year-old male patient was diagnosed with T4N0M0 supraglottic cancer. He received 72Gy of radiation therapy from 21 November 1988 to 24 February 1989. He had local failure and underwent a salvage total laryngectomy on 28 August 1989. Subsequently, he did well. In early 1999, he suffered from throat pain. He had a 2.5cm ulcerative mass at the base of his tongue, in the area that had been irradiated previously. Biopsy showed squamous cell carcinoma. After workup, he was diagnosed with base of tongue cancer with T2N0M0. Surgery was not feasible because the morbidity was not acceptable. Since it was difficult to re-irradiate the area with a curable dose using conventional 2D radiation therapy with an acceptable morbidity, we decided to try conformal radiotherapy. We used 7 static beam ports with field sizes from 7x6.4to8x8cm 2, using 6 and 10MV photons. The fractionation regimen was 1.8Gy, 5 times per week. He received 64.8Gy in 36 fractions from 9 April 1999 to 1 June 1999. Results: In the 21 months since radiotherapy, the patient has not experienced any acute or chronic complications, such as xerostomia. He experienced relief of pain shortly after the start of radiotherapy, showed a complete response, and is still doing well. Conclusion: Conformal radiotherapy can be used to treat cancer that develops within a previously irradiated field, with curative intent.

      • 직장암 환자에서 방사선치료시 Air-vacuum Cushion의 유용성

        김기환(Ki-Hwan Kim),조문준(Moon-June Cho),강노현(No-Hyun Kang),김동욱(Dong-Wuk Kim),김준상(Jun-Sang Kim),장지영(Ji-Young Jang),김재성(Jae-Sung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3

        목 적 :본 연구에서는 골반부위 방사선치료 환자중 직장암 환자에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조사면의 변화에 따른 고정기구의 유용성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및 방법 :충남대학교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1998년 8월부터 1999년 8월까지 직장암으로 방사선치료를 받은 20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들은 모두 복와위 자세로 치료를 받았고 대조군 10명과 실험군 10명으로 각각 나누어서 연구를 실행하였다. 전체 치료과정중 EPID를 이용하여 후면조사면은 x축(right- left), y축(cranio- 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고, 측면조사면은 z축(anterior-posterior), y축(cranio-caudal)에 대한 영상을 얻었다. 전체 치료과정중 얻은 영상들을 모의치료시 촬영한 기준필름과 matching기법을 이용하여 오차를 측정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확인은 t-검정법을 사용하였다. 결 과 :대조군에서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영역의 경우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02 mm, 0.78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의 표준편차값은 각각 2.13 mm, 2.40 mm와 1.46 mm, 1.51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6 mm, 0.47 mm이었고 계통오차와 우연오차의 표준편차는 각각 3.69 mm, 1.96 mm와 2.79 mm, 1.48 mm이었다. 실험군 10명 환자의 후면 조사면에서 x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0.33 mm, 0.81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1.71 mm, 3.08 mm와 1.40 mm, 1.88 mm이었다. 측면조사면에서 z축, y축에 대한 평균이동값은 각각 2.98 mm, 0.74 mm이었고 계통오차과 우연오차에 대한 표준편차는 각각 4.75 mm, 2.65 mm와 2.69 mm, 1.86 mm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대조군과 실험군간의 조사면에 대한 평균 이동값과 우연오차는 거의 일치하였으나 계통오차는 실험군에서 다소 큰 경향을 보였다. 후면조사면과 측면조사면에서 air-vacuum cushion에 의한 조사면 변화의 통계적 유의성이 없었다. 결 론 :직장암 환자의 방사선 치료시 고정기구로 사용한 air-vacuum cushion의 사용이 방사선치료의 정확도에 이익을 주지 않는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We analyzed setup errors induced by us ing a ir- vacuum cushion as immobilization device in patients with rectal cancer. Materials and methods :We had treated the twenty patients with rectal cancer by 6 MV, 10 MV X- ray from Aug. 1998 to Aug. 1999 at Chungnam Nationa l Univers ity Hospital. All patients were treated at prone pos ition. They were separated to two groups , control group, 10 patients us ing styrofoam, and test group, 10 patients us ing styrofoam and air- vacuum cushion. We measured errors of posterior field for x, y axis and latera l field for z, y axis with s imulation film and EPID image us ing a matching technique. Results : In control group, the mean displacement values of pelvic bone landmark for x axis a nd y axis were 0.02 mm. 0.78 mm, respectively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systematic error were 2.13 mm, 2.40 mm, respectively and the standard deviation of random error were 1.46 mm. 1.51 mm, respectively. In test group, the mea n displacement values of x axis and y axis were - 0.33 mm. 0.81 mm, respectively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systematic error were 1.71 mm, 3.08 mm, respectively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random errors were 1.40 mm. 1.88 mm, respectively. The mean displacement values of z axis and y axis were 2.98 mm. 0.74 mm, respectively and the standard deviations of systematic error were 4.75 mm, 2.65 mm, respectively and standard deviations of random error were 2.69 mm. 1.86 mm, respectively. The statistical difference of field s ize by us ing a ir vacuum cushion between two groups in posterior direction and lateral direction was not shown. Conclusion :We think that use of air- vacuum cushion may not be an advantage for improving setup accuracy in rectal cancer patients.

      • SCOPUSKCI등재

        Multiple are FSRT 와 Conformal FSRT의 DVH 비교

        김기환(Ki-Hwan Kim),김준상(Jun-Sang Kim),장지영(Ji-Young Jang),김재성(Jae-Sung Kim),김성호(Seong-Ho Kim),송창준(Chang-Joon Song),박민규(Min-Kyu Park),조문준(Moon-June Cho)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3

        목 적: Multiple are FSRT(fractionated stereotaerapy radiotherapy)와 conformal FSRT 의 계획에 있어서 종양의 모양과 DVH(dose volume histogram)를 비교하여 두 기법간의 유용성을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대 상 및 방법: 16명의 뇌종양 환자들을 대상으로 1997년 8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충남대학교의 치료방사선과에서 12회의 FSRT를 실시하였다.치료전 모의치료에서 얻은 AP(Anterior-posterior), lateral 필름상의 금속표지자의 좌표값을 ISOLOC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얻은 기준점과의 오차를 확인한 후 치료계획을 하였다. 치료계획은 종양용적과 종양표면적를 계산한후 IF (irregular factor)를 고려하여 multiple arc FSRT 혹은 conformal FSRT를 선택하였다. Multiple are FSRT 는 종양의 IF값이 1-1.2인 경우에 고려하였고, Conformal FSRT 는 IF값이 1.3이상인 경우에 고려한 후 종양용적에 대하여 처방선량 이상의 선량에 대한 DVH곡선에 의한 면적이 최소이면서 처방선량 이하의 선량에 대한 DVH곡선에 의한 면적이 최대가 되도록 하는 치료계획을 선택하여 평가하였다. 결 과: 치료전 모의치료에서 시행한 금속표지자의 좌표값을 ISOLOC프로그램에 입력하여 얻은 기준점과의 오차는 1mm이내였다. Multiple are FSRT는 누적 DVH상에서 처방선량의 90,91,92,93%에서 전체 종양용적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평균값은 90.6%이였고, conformal FSRT는 누적 DVH상에서 처방선량의 81,85,87,91%에서 전체 종양용적을 포함하고 있었으며 평균값은 86%이었다. 두 방식 모두 결정장기들에는 최대선량의 5%이하의 적은 선량이 조사되었다. 결 론: Multiple are FSRT 와 conformal FSRT 를 IF를 기준으로 치료 계획하여 구형의 종양에 Multiple are FSRT를 시행하였으며, 불규칙한 모양의 종양에는 conformal FSRT를 시행하여 종양의 모양에 관계없이 적절한 FSRT치료계획을 수립할 수 있었다. Purpose:.In FSRT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planning, we studied the usefulness between multiple arc FSRT and conformal FSRT by comparing tumor shape and DVH(dose volume histogram). Materials and Methods: In Chungnam Univ. hospital, we had treated the sixteen patients with FSRT from Aug. 1997 to Dec. 1998. In choosing multiple arc FSRT or conformal FSRT, we had considered multiple arc FSRT if tumor shape was similar to sphere or the value of IF was less than 1.25, conformal FSRT if tumor shape was very irregular or IF was more than 1.3. For evaluation of treatment planning, we had considered the appropriate DVH for tumor volume and for critical organs. Result: The errors between reference point and the coordinates point on AP, Lat radiography were less than 1 mm before treatment. We had planned 3~5 arcs for multiple arc FSRT, 5~6pots for conformal FSRT. The mean dose distribution of tumor volume of cumulative DVH between multiple arc FSRT and conformal FSRT was 90.6, 86%, respectively. The dose of critical organs irradiated was less than 5% maximum dose of cumulative DVH. Conclusion: We had obtained the similar value between multiple arc FSRT and conformal FSRT, so that we had appropriate treatment planning of FSRT for multiple arc FSRT and conformal FSRT according to tumor shape and size.

      • KCI등재후보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 1998~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김종훈(Jong Hoon Kim),오도훈(Do Hoon Oh),강기문(Ki Moon Kang),김우철(Woo Cheol Kim),김원동(Won Dong Kim),김정수(Jung Soo Kim),김준상(June Sang Kim),김진희(Jin Hee Kim),길학재(Hak Jae Kil),서창옥(Chang Ok Suh),손승창(Se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1

        목 적: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 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 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 과: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 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 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 론: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o conduct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inciples in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and produce a database of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We developed web-based Patterns of Care Study system and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random sampling based on power allocation methods. Eligible patients were who ha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without gross residual tumor after surgical resection and without previous history of other cancer and radiotherapy to pelvis. Data of patients were inputted to the web based PCS system by each investigators in 19 institutions. Results: Informations on 309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received radiotherapy between 1998 and 1999 were collected. Male to female ratio was 59:41, and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umor was lower rectum (46%). Preoperative CEA was checked in 79% of cases and its value was higher than 6 ng/ml in 32%. Pathologic stage were I in 1.6%, II in 32%, III in 63%, and IV in 1.6%. Low anterior resec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urgery and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95% of cases. Distal resection margin was less than 2 cm in 30%, and number of lymph node dissected was less than 12 in 31%.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91% and most common regimen was 5-FU and leucovorine (69%). The most common type of field arrangement used for the initial pelvic field was the four field box (Posterior-Right-Left) technique (65.0%), and there was no AP-PA parallel opposing field used. Patient position was prone in 81.2%, and the boost field was used in 61.8%. To displace bowel outward, pressure modulating devices or bladder filling was used in 40.1%. Radiation dose was prescribed to isocenter in 45.3% and to isodose line in 123 cases (39.8%). Percent delivered dose over 90% was achieved in 92.9%. Conclusion: We could find the Patterns of Care for the radiotherapy in Korean rectal cancer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US national survey. The type of surgery and the regimen of chemotherapy were variable according to institutions and the variations of radiation dose and field arrangement were within acceptable range.

      • 두경부암 환자에서 근치적 방사선치료 후 12주 시행한 양전자방출촬영의 임상적 중요성에 대한 연구

        김영일(Young-il Kim),김준상(Jun-sang Kim),권진이(Jeanny Kwon),김섭(Sup Kim),서영덕(Youngduk Seo),구본석(Bon-seok Koo),장재원(Jae-won Chang),조문준(Moon-June Cho) 대한두경부종양학회 2021 대한두경부 종양학회지 Vol.37 No.1

        Background/Objectives: To evaluate clinical significance of FDG PET-CT for detection of residual cancer cells after curative radiation therapy or chemoradiotherapy for patients with squamous cell carcinoma (SCC) of Head and Neck Materials & Methods: A retrospective analysis of patients with SCC of Head and neck with curative radiotherapy or chemoradiotherpy between June 2011 and Jan. 2019 was performed. Sixty patients were treated with Intensity-modulated radiotherapy (IMRT). The Metabolic responses were evaluated on the post-treatment FDG PET-CT at 12 weeks after curative radiotherapy completion. Results: Median follow up was 51.5 months (3-102). The overall survival (OS), disease free survival (DFS), local control rate (LCR), and Distant metastasis free survival (DMFS) at 5 years were 80.5%, 80.1%, 87.7% and 89.1%. Metabolic CR was found in 43 (71.7%) and partial metabolic response (PR) was noted in 17 (14.6%). Metabolic C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OS, DFS, LCR, and DMFS. On multivariate analysis, Metabolic CR remained significant for DFS and LCR. Conclusion: Metabolic CR on post-radiotherapy FDG PET-CT is highly predictive of increased DFS and LCR in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