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SCOPUSKCI등재

        The Effect of Aquaplast on Surface Dose of Photon Beam

        오도훈(Do Hoon Oh),배훈식(Hoon Sik B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1

        목적 : 두경부종양 환자의 방사선치료시 두경부의 고정에 흔히 이용되는 Aquaplast가 광자선의 표면선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이 실험을 시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 6MV X-선(Siemens Mevatron 6740)의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PTW Frieburg 제작의 Markus chamber와 Capintec Model WK 92 Electron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25X25X5cm³ 크기 아클릴판의 중앙에 고정된 전리함을 25X25X5cm³ 크기의 폴리스티렌 팬톰 위에 올려 놓고 표면선량을 측정한 후 적당한 두께의 폴리스티렌 팬톰판을 올려가면서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측정하였다. 1.6mm 두께의 Aquaplast(WFR Aquaplast Corp. 제작)를 원형 그대로, 그리고 실제 환자의 고정시에 비슷한 정도로 변형시킨 상태로 전리함 위에 올려 놓은 후 각각 같은 방법으로 선량을 측정하였다. 또 트레이를 장착한 후 변형된 Aquaplast가 있는 상태에서와 없는 상태에서 각각 표면선량을 측정하였다. 모든 측정은 SSD 100cm에서 시행하였으며 5X5cm², 10X10cm² and 15X15cm²의 세가지 크기의 조사면에 대하여 각각 측정하였다. 표면선량과 선량증가영역의 선량 백분율은 Markus chamber의 과반응을 고정하기 위하여 Gerbi와 Khan이 제시한 식을 이용하여 구하였다. 결과 : 5X5cm², 10X10cm² and 15X15cm²의 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은 각각 7.9%, 13.6%, 18.7% 이었고 원형 그대로의 Aquaplast가 있을 경우 표면선량은 각각 38.4%, 43.6%, 47.4%이었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의 표면선량은 각각 31.2%, 36.1%, 40.5% 이었다. 최대선량점 이상의 깊이에서는 거의 비슷한 선량 백분율을 보였다. 트레이는 조사면의 크기가 증가함에 따라 Aquaplast가 없을 경우 0.2%, 1.7%, 3.0%의 표면선량 증가에 기여하였으며 변형된 Aquaplast가 있을 경우 0.2%, 1.9%, 3.7%의 표면선량 증가를 보였다. 결론 : Aquaplast를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에 비하여 Aquaplast를 원형 그대로 사용하였을 경우 약 30% 실제 환자의 고정시와 비슷한 정도로 변형하였을 경우 약 22%의 표면선량 증가를 가져왔으며 최대선량점 깊이 이상에서의 선량 백분율에는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실제 환자에서의 Aquaplast의 사용은 피부 및 선량증가영역의 선량을 약간 증가시키지만 임상적으로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effect on surface dose due to Aquaplast used for immobilizing the patients with head and neck cancers in photon beam radi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To assess surface and buildup region dose for 6MV X-ray from linear accelerator(Siemens Mevatron 6740) we measured percent ionization value with the Markus chamber medel 30-329 manufactured by PTW Frieburg and Capintec electrometer model WK92. For measurement of surface ionization value the chamber was embedded in 25X25X3cm³ acrylinc phantom and set on 25X25X5cm³ polystyrene phantom to allow adequate scattering. The measurements of percent depth ionization were made by placing the polystyrene layers of appropriate thickness over the chamber. The measurements were taken at 100cm SSD for 5X5cm², 10X10cm² and 15X15cm² field sizes, respectively. Placing the layer of Aquaplast over the chamber the same procedures were repeated. We evaluated two types of Aquaplast: 1.6mm layer of original Aquaplast(manufactured by WFR Aquaplast Corp.) and transformed Aquaplast similar to moulded one for immobilizing the patients practically. We also measured surface ionization values with blocking tray in presence or absence of transformed Aquaplast. In calculating percent depth dose we used the formula suggested by Gerbi and Khan to correct overresponse of the Markus chamber. Results : The surface doses for open fields of 5X5cm², 10X10cm² and 15X15cm² were 7.9%, 13.6%, and 18.7% respectively. The original Aquaplast increased the surface doses upto 38.4%, 43.6% and 47.4% respectively. For transformed Aquaplast, they were 31.2%, 36.1% and 40.5% respectively. There were little differences in percent depth dose values beyond the depth of Dmax. Increasing field size, the blocking tray caused increase of the surface dose by 0.2%, 1.7%, 3.0% without Aquaplast, 0.2%, 1.9%, 3.7% with transformed Aquaplast respectively. Conclusion : The original and transformed Aquaplast increased the surface dose moderately. The percent depth doses beyond Dmax, however, werer not affected by Aquaplast. In conclusion, although the use of Aquaplast in practice may cause some increase of skin and buildup region dose, reduction of skin-sparing effect will not be so significant clinically.

      • SCOPUSKCI등재

        Analysis of Pretreatment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오도훈 (Do Hoon Oh),하성환 (Sung Whan Ha),이무송 (Moo Song Le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2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0 No.1

        국소진행된 자궁경부암에 있어서의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1979년 3월부터 1986년 12월까지 서울대학교병원에서 근치적방사선치료를 시행받은 154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분석을 시행하였다. FIGO 병기 IIIA, IIIB, IVA의 환자 수는 각각 8,134, 12명이었고 병기에 따른 5년 국소치료율을 각각 58%, 51%, 27%이었으며 5년 무병생존율은 각각 57%, 40%, 25%, 5년 생존율은 각각 67%, 51%, 33%이었다. 단변수분석에 의하면 임신 횟수, 혈색소치, 전산화단층촬영상 골반측벽 침범소견이 국소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이었고 임신 횟수, 혈색소치,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측벽 침범소견과 함께 요로조영술상의 요로폐쇄증,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측벽 침범소견 및 방광침범소견이었다. 다변량분석에 의하면 국소치료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없었고 무병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전산화단층촬영상의 골반임파절 비대이었으며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는 원발병소의 크기였다. To identify preteatment prognostic factors in locally advanced carcinoma of the uterine cervix,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f 154 patients treated with curative radiation therapy at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tpital from March 1979 through December 1986. According to FiGO classification. eight patients were stage IIIA, 134 were stage IIIB, and 12 were stage IVA. Five year locoregional control rate was 58%, 51%, and 27% in stage IIIA, IIIB, and IVA, respectively. Five year disease free survival was 57%, 40%, and 25% for each stage respectively. Five year overall survival was 67%, 51%, and 33% in stage IIIA, IIIB, and IVA, respectively. In univariate analysis, fewer than or equal to four of pregnancies initial hemoglobin of lower than 10g%, and pelvic sidewall invasion on CT were associated with poor locoregional control. Number of pregnancies, initial hemoglobin level. obstructive uropathy on intavenous pyelography(IVP), pelvic lymph node (LN) status on CT, and pelvic sidewall invasion on CT were significant factors in disease free survival. In terms of overall survival, pelvic sidewall invasion on CT and bladder invasion on CT were pregnostically significant. In multivariate analysis, no factor was found to affect locoregional control and pelvic LN status was a sole significant factor affecting disease free survival In terms fo overall survival. the size of primary tumor was a significant prognosticator.

      • 복수의 부분 작업을 위한 확장된 Q - Learning

        오도훈(Do-Hoon Oh),윤소정(So-Jung Youn),오경환(Kyung-Hwan Oh) 한국정보과학회 2000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7 No.1B

        많은 학습 방법 중에서 비교적 최근에 제시된 강화학습은 동적인 환경에서 뛰어난 학습 능력을 보여주었다. 이런 장점을 바탕으로 강화학습은 학습을 기초로 하는 에이전트 연구에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연구 결과는 강화학습으로 구축된 에이전트로 해결 할 수 있는 작업의 난이도에 한계가 있음을 보이고 있다. 특히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 되어 있는 복합 작업을 처리할 경우에 기존의 강화학습 방법은 문제 해결에 한계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복수의 부분 작업으로 구성된 복합 작업이 왜 처리하기 힘든가를 분석하고, 이런 문제를 처리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한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고 있는 EQ-Learning은 강화학습 방법의 대표적인 Q-Learning을 개량하여 기존의 문제를 해결한다. 이 방법은 각각의 부분 작업 해결 방안을 학습시키고 그 학습 결과들의 적절한 적용 순서를 찾아내 복합 작업을 해결한다. EQ-Learning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격자 공간에서 복수의 부분작업으로 구성된 미로 문제를 통하여 실험하였다.

      • SCOPUSKCI등재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을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 및 치료의 치료위치 확인

        조병철,오도훈,배훈식,Cho, Byung-Chul,Oh, Do-Hoon,Bae, Hoon-Si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9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7 No.1

        목적 : 정위방사선치료에서 디지털화재구성사진(Digitally Reconstructed Radiograph, DRR)과 조사문사진을 비교함으로써 환자의 치료위치를 직접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킨 1명의 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분할정위방사선치료를 위해 thermoplastic mask 틀에 고정시환자를 대상으로 4회 촬영한 전후 방향(AP) 및 측면 방향(lateral)에 대한 조사문사진과 DRR을 비교하였다. 치료위치 setup 후에, 혈관조영용 표적조준기와 같은 fiducial marker가 부착된 표적조준기를 정위수술용 틀에 부착한 후 치료용 원형 콜리메이터의 설치 전과 후에 겹조사 방식으로 촬영하여 전후방향 및 측면 방향의 조사문사진을 얻었다. 병변 및 중요 장기와 fiducial marker의 위치를 합성시킨 DRR 영상을 만들어 조사문사진과 동일한 확대율 및 크기로 투명 필름에 인쇄하여 비교하였다. 이로부터 DRR과 조사문사진상에 표시된 해부학적 구조와 치료중심점의 거리 오차(전체 치료 오차), 해부학적 구조와 fiducial marker간의 오차(환자고정 오차), 그리고 치료중심점과 fiducial marker간의 오차(치료조준 오차)를 각각 구하였다. 결과 : 치료조준 오차는 각각 1.5$\pm$0.3mm(AP), 0.9$\pm$0.3mm(lateral) 이었고, 환자고정 오차는 1.9$\pm$0.5mm(AP), 1.9$\pm$0.4mm(lateral), 그리고 전체 치료 오차는 AP 상에서 1.6$\pm$0.9mm, lateral 상에서 1.3$\pm$0.4mm 이었다. 또한 AP와 lateral 오차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3차원 공간상의 최대 가능 오차($\sqrt{(\DeltaAP)^{2}+ (\Delta$Lat)^{2}$)는 치료조준 오차가 1.7$\pm$0.4mm, 환자고정 오차가 2.6$\pm$0.6mm, 그리고 전체 치료 오차는 $2.3\pm0.7mm$로 나타났다. 결론 : DRR 영상을 재구성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DRR 영상을 조사문사진과 비교함으로써 정위방사선치료에서 직접적인 치료위치 확인이 가능하였다. Purpose :To develop a method for verifying a treatment setup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by ma- tching portal images to DRRs. Materials and Methods : Four pairs of orthogonal portal images of one patient immobilized by a thermoplastic mask frame for fractionated stereotactic radiotherapy were compared with DRRs. Portal images are obtained in AP (anteriorfposterior) and lateral directions with a target localizer box containing fiducial markers attached to a stereotactic frame. DRRs superimposed over a planned iso-center and fiducial markers are printed out on transparent films. And then, they were overlaid over onhogonal penal images by matching anatomical structures. From three different kind of objects (isgcenter, fiducial markers, anatomical structure) on DRRs and portal images, the displacement error between anatomical structure and isocenters (overall setup error), the displacement error between anatomical structure and fiducial markers (irnrnobiliBation error), and the displacement error between fiducial markers and isocenters (localization error) were measured. Results : Localization error were 1.5$\pm$0.3 mm (AP), 0.9$\pm$0.3 mm (lateral), and immobilization errors were 1.9$\pm$0.5 mm (AP), 1.9$\pm$0.4 mm (lateral). In addition, overall setup errors were 1.0$\pm$0.9 mm (AP), 1.3$\pm$0.4 mm (lateral). From these orthogonal displacement errors, maximum 3D displacement errors($\sqrt{(\DeltaAP)^{2}+(\DeltaLat)^{2}$)) were found to be 1.7$\pm$0.4 mm for localization, 2.0$\pm$0.6 mm for immobilization, and 2.3$\pm$0.7 mm for overall treatment setup. Conclusion : By comparing orthogonal portal images with DRRs, we find out that it is possible to verify treatment setup directly in stereotactic radiotherapy.

      • SCOPUSKCI등재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의 방사선치료 성적

        최상규,오도훈,배훈식,Choi, Sang-Gyu,Oh, Do-Hoon,Bae, Hoon-Sik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3 No.4

        목적 :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받은 환자의 생존율과 예후인자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를 시행하였다. 방법 : 1991년 1월부터 1993년 12월까지 비소세포성 폐암으로 강동성심병원 치료방사선과에서 45 Gy 이상의 근치적 방사선치료를 시행 받았던 35명의 환자에 대한 치료 결과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병기별 환자의 분포는 IIIA 15 명, IIIB 20 명이었다. 방사선 치료는 6 MV X-선을 이용하여 일일선량 1.8 Gy-2 Gy씩 주 5 회 조사하여 48.4-66.6 Gy (중앙값 61.2 Gy)까지 치료하였다. 9명의 환자에서 유도화학요법, 1명의 환자에서 동시화학요법이 시행되었고 대부분이 FIP(5-FU, ifosfamide, cisplatin) 복합화학요법을 시행받았다. 결과 : 전체 환자의 중앙생존기간은 6개월이었으며 1년 생존율은 23.3%, 2년 생존율은 6.7%이었고 병기에 따른 중앙생존기간은 IIIA 8개월, IIIB 5.5개월 이었다. 항암화학요법을 시행한 10명의 중앙생존기간은 11개월, 1년 생존율은 60%이었고 방사선 단독 치료의 경우는 중앙 생존기간이 5개월, 1년 생존율이 9%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3). 생존율에 영향을 미치는 예후 인자는 총 방사선량, 치료 1개월 후의 반응, 치료후의 전신상태이었으며 연령, 성별, 치료전 전신상태, 체중 감소의 유무, 원발병소의 위치, 병리조직학적 분류, 림프절 병기 등은 생존율에 영향을 주지 않았다. 결론 : III기 비소세포성 폐암 환자에서 전통적인 방사선치료로는 장기 생존을 기대하기 어려우며 항암화학요법, 수술을 병합하는 다원적 치료 또는 변형분할조사 등의 보다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Purpose : To evaluate the survival and prognostic factors in patients with stage III non-small cell lung cancer treated with curative radiotherapy alone or combined with chemotherapy Materials and Methods : A retrospective analysis was undertaken of 35 patients who had locally advanced non-small-cell lung cancer and treated with curative radiotherapy in Department of Therapeutic Radiology, Kangdong Sacred Heart Hospital, from January 1991 through December 1993. According to AJCC staging, 15 patients were stage IIIA, and 20 were stage IIIB. Radiotherapy was delivered with 1 8-2 Gy per fraction/day. 5 days per week using 6 MV X-ray, to a total dose ranging from 48.8 Gy to 66.6 Gy (median, 61.2 Gy) in 4 to 9 weeks. Ten patients received neoadjuvant or concurrent chemotherapy with FIP (5-FU, ifosfamide, and cisplatin) or FP (5-FU and cisplatin) Results : For all Patients, median survival was 6 months. 1-year and 2-year survival rates were 23.3% and 6.7%, respectively The median survival was 8 months in stage IIIA and 5.5 months in stage IIIB. In patients treated with radiation therapy alone, median survival was 5 months and 1-year survival rate was 9%. In patients who received chemotherapy, median survival was 11 months and 1-year survival rate was 60%. The difference of survival between these two group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3). Total radiation dose, degree of response, and Post-treatment ECOG score were also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survival. But it was not affected by age, sex, pretreatment ECOG score, presence or absence of weight loss, tumor location. pathologic type, N stage, and degree of response to treatment. Conclusion : Conventional radiotherapy alone is unlikely to achieve long term survival in patients with stage III NSCLC. Radiotherapy with altered fractionation schedule or multimodality treatment combined with surgery and/or chemotherapy should be considered if feasible.

      • KCI등재후보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서의 광자선 깊이선량률 측정을 위한 검출기의 특성 비교

        강세권,박석원,오도훈,박희철,김수산,배훈식,조병철,Kang Sei-Kwon,Park Suk Won,Oh Do Hoon,Park Hee Chul,Kim Su Ssan,Bae Hoonsik,Cho Byung Chul 한국의학물리학회 2005 의학물리 Vol.16 No.2

        표면 선량을 포함한 선량보강(build-up) 영역에 대한 깊이선량률(percentage depth dose)을 측정하는 데 있어서 적절한 측정방법을 결정하기 위해 6 MV 광자선에 대해 Atiix와 Markus 평행평판형 이온함, 원통형이온함, 그리고 다이오드 검출기를 사용하여 측정, 비교하었다. Attix 이온함에 의한 측정을 기준으로 할 때, Markus 이온함의 측정은 민조사면(open field)에서 $2\%$ 내로 일치하였으나,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의 경우에는 최대 $3.9\%$의 차이를 보였다. 원통형 이온함과 다이오드 선량계의 경우에는 이들 검출기가 물 팬텀에 완전히 잠긴 이후부터는 오염전자가 포함된 광자선에 대해서도 각각 $1.5\%$ 혹은 $1.0\%$ 내의 정확도를 보였다. 따라서 민조사면에서 표면선량을 포함한 깊이선량률을 정확히 측정하기 위해서는 평행평판형 이온함이 추천되나, 표면에서의 정확한 선량에 특별한 관심을 두는 경우가 아니면, 원통형 이온함이나 다이오드 선량계를 이용하여 선량보강영역의 깊이선량률을 측정하는 것은 양호한 결과를 준다고 할 수 있다. To determine the appropriate method out of various available methods to measure build-up doses, the measurements and comparisons of depth doses of build-up region including the surface dose were executed using the Attix parallel-plate ionization chamber, the Markus chamber, a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and a diode detector. Based on the measurements using the Attix chamber, discrepancies of the Markus chamber were within $2\%$ for the open field and increased up to $3.9\%$ in the case of photon beam containing the contaminant electrons. The measurements of an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and a diode detector accord with those of the Attix chamber within $1.5\%\;and\;1.0\%$ and after those detectors were completely immersed in the water phantom. The results suggest that the parallel-plate chamber is the best choice to measure depth doses in the build-up region containing the surface, however, using cylindrical ionization chamber or diode detector would be a reasonable choice if no special care is necessary for the exact surface dose.

      • KCI등재후보

        직장암의 방사선치료에 대한 Patterns of Care Study : 1998~1999년도 수술 후 방사선치료 환자들의 특성 및 치료내용에 대한 분석결과

        김종훈(Jong Hoon Kim),오도훈(Do Hoon Oh),강기문(Ki Moon Kang),김우철(Woo Cheol Kim),김원동(Won Dong Kim),김정수(Jung Soo Kim),김준상(June Sang Kim),김진희(Jin Hee Kim),길학재(Hak Jae Kil),서창옥(Chang Ok Suh),손승창(Seung Chang Sohn)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5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3 No.1

        목 적: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1998년과 1999년도의 2년간 직장암 진단 하에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행한 환자들의 자료를 분석하여 한국인 직장암 환자의 전체적인 구성과 특성을 파악하고 치료 내용에 대한 현황 을 조사하여 국가적인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대상 환자의 기준은 1998년부터 1999년 사이에 직장 선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를 시작한 환자로서 육안적 잔여 병소 없이 근치적으로 수술이 이루어진 환자를 대상으로 했으며 직장암이외의 다른 암의 병력이 있거나 과거에 골반에 방사선치료를 받은 병력이 있는 환자는 제외하였다. 각 병원별 치료환자 수에 비례하여 해당 병원의 입력 환자수를 정한 후 PCS 본부의 무작위 추출 과정을 통하여 입력할 환자를 선정하였다. 선정된 환자는 웹 기반 PCS시스템을 이용하여 각 병원에서 직접 자료를 입력하였다. 결 과: 전국의 19개 병원에서 총 309명의 환자 자료가 입력되었다. 남녀 성비는 59:41이었으며 하단연 기준 종양의 위치는 항문연 6 cm 이내가 46%로 가장 많았다. 수술 전 CEA검사는 79%에서 시행되었으며 이 중 43%에서 6 ng/ml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수술 전 직장내초음파검사는 50명(16%)에서만 시행되었으며 CT 등을 이용한 임상적 병기판정은 274명에서 가능하였으며 stage II가 32%, III가 48%를 차지하였다. 수술 후 조직소견에 의한 병리학적 병기는 stage II가 34%, III 가 63%였다. 수술의 방법은 복회음부절제수술이 38%, 저위전방절제술이 59%였으며, 5명의 환자에서는 원격전이가 있었으나 원발병소와 함께 절제되었다. 절제연에서 종양세포가 발견된 경우가 13예였으며, 수술 후 항암화학치료를 받은 환자는 전체의 91%였고 80%의 환자는 정맥주사, 9%의 환자는 경구항암제를 투여한 것으로 나타났다. 항암제는 5FU와 leucovorine의 조합이 212명(69%)으로 가장 많았고 시행횟수는 6회가 140예(45%)로 가장 많았다. 환자의 치료자세는 복와위자세가 251예(81.2%)로 나타났고, 치료 조사야 수는 박스형 4문조사가 75예(24.3%)로 가장 많았으며 3문조사(후방-양측방)가 201예(65.0%)로 그 뒤를 이었다. 치료 시 소장을 조사야 외부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나 소변을 참는 등의 조치는 40.1%의 환자에서 시행되었다. 선량의 처방점은 회전중심점이 140예(45.3%), 등선량곡선이 123예로 비슷하게 나타났다. 실제 치료된 조사선량은 180∼7,740 cGy의 분포를 보였으며 목표선량의 90%이상이 투여된 경우가 287예(92.9%)였다. 결 론: 전국 각 병원들의 환자를 종합하여 관찰된 내용은 문헌상 권장되는 것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으며 수술의 범위와 항암화학치료의 방법은 병원에 따라 비교적 다양한 형태로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각 병원의 방사선치료 내용은 환자의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탓에 방사선량과 조사야의 선택에 있어 차이가 관찰되었으며 처방된 치료에 대한 환자의 순응도는 9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Purpose: To conduct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inciples in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and produce a database of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We developed web-based Patterns of Care Study system and a national survey was conducted using random sampling based on power allocation methods. Eligible patients were who had postoperative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without gross residual tumor after surgical resection and without previous history of other cancer and radiotherapy to pelvis. Data of patients were inputted to the web based PCS system by each investigators in 19 institutions. Results: Informations on 309 patients with rectal cancer who received radiotherapy between 1998 and 1999 were collected. Male to female ratio was 59:41, and the most common location of tumor was lower rectum (46%). Preoperative CEA was checked in 79% of cases and its value was higher than 6 ng/ml in 32%. Pathologic stage were I in 1.6%, II in 32%, III in 63%, and IV in 1.6%. Low anterior resection was the most common type of surgery and complete resection was performed in 95% of cases. Distal resection margin was less than 2 cm in 30%, and number of lymph node dissected was less than 12 in 31%. Chemotherapy was performed in 91% and most common regimen was 5-FU and leucovorine (69%). The most common type of field arrangement used for the initial pelvic field was the four field box (Posterior-Right-Left) technique (65.0%), and there was no AP-PA parallel opposing field used. Patient position was prone in 81.2%, and the boost field was used in 61.8%. To displace bowel outward, pressure modulating devices or bladder filling was used in 40.1%. Radiation dose was prescribed to isocenter in 45.3% and to isodose line in 123 cases (39.8%). Percent delivered dose over 90% was achieved in 92.9%. Conclusion: We could find the Patterns of Care for the radiotherapy in Korean rectal cancer patients was similar to that of US national survey. The type of surgery and the regimen of chemotherapy were variable according to institutions and the variations of radiation dose and field arrangement were within acceptable range.

      • KCI등재후보

        Patterns of Care 연구 개발을 위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적정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제안

        김종훈(Jong Hoon Kim),박진홍(Jin Hong Park),김대용(Dae Yong Kim),김우철(Woo Cheol Kim),성진실(Jinsil Seong),안용찬(Yong Chan Ahn),유미령(Mi Ryeong Ryu),전미선(Mison Chun),홍성언(Seong Eon Hong),오도훈(Do Hoon Oh),김일한(Il Han Kim)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3

        목 적 :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전문의들이 시행하고 있는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 원칙들을 취합하여 이를 바탕으로 표준적인 조사영역을 제시하고 향후 Patterns ofCare 연구를 위한 기본자료로 삼고자 한다. 대 상 및 방 법 : 경인지역 소재 18개 병원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모인 합의도출 위원회에서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 원칙을 파악하기 위해 개발한 항목들을 이용하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48개 병원 방사선 종양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전문의 별 치료원칙의 파악에 사용된 설문 항목들은 모의치료 시 조사영역 결정 19개 항목으로서 전후방 치료시의 상연,하연 및 측연과 측면 치료 시 전연, 후연 및 차폐물의 적용 범위 등을 묻는 내용이었고, 48개 병원 중 33개 병원의 전문의들로부터 회신된 내용과 해부학적,임상적 결과들을 바탕으로 일반적으로 권장할 만한 적절한 방사선 조사영역을 도출하였다. 결 과: 직장암의 수술후 방사선치료 조사영역 결정에 있어 권고 할만한 일반적인 원칙으로 다음의 사항들을 개발하였다. 상연은 제5요추 하단이나 중간부위,또는 천장골관절 상단,하 연 은 전 하방 절제수술 시에는 문합부로부터 일정거리 하방,복회음부 절제수술시는 회음부 봉합부로부터 일정거리 하방,전후방 치료시의 측연은 골반강내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외측,측면 치료시의 전연은 치골결합부 후 단,그리고 후연은 천골전면 또는 후면으로 부터 일정거리 후방으로 정하여 천골 전면부의 공간을 충분히 포함시키는 것이 합리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권고안과 비교할 때, 상연의 경우 23건(70%), 하연의 경우 전하방 절제수술시 13건(39%), 복회음부 절제수술시 32건(97%),측연의 경우 32건(97%), 후연의 경우 32건(97%), 그리고 전연의 경우 16건(45%)에서 부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 론: 직장암의 수술 후 방사선치료 시 적절한 방사선치료 조사영역의 결정을 위하여 표준적인 조사영역을 제시하였으나 개별 환자의 병변위치와 진행상태,수술 소견 등에 따라 적절한 변형은 필수적이라 하겠다.이 권고안의 임상적 타당성은 향후 시행될 Patterns of Care연구를 통하여 증명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Purpose To suggest the optimal radiation fields after a surgical resection based on a nationwide survey on the principles of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in the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 Materials andmethods A consensus committee, composed of radiation oncologists from 18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developed a survey format to analyze radiation oncologist's treatment principles for rectal cancer after a surgical resection. The survey format included 19 questions on the principles of defining field margins, and was sent to the radiation oncologists in charge of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in all Korean hospitals (48 hospitals). Thirty three (69%) oncologists replied. On the basis of the replies and literature review, the committee developed guidelines for the optimal radiation fields for rectal cancer. Results: The following guidelines were developed: superior border between the lower tip of the L5 vertebral body and upper sacroiliac joint; inferior border 23cm distal to the anastomosis in patient whose sphincter was saved, and 23cm distal to the perineal scar in patients whose an alsphincter was sacrificed; anterior margin a t t he posterior tip of the symphysis pubis or 2 3 cm anterior to the vertebral body, to include the internal iliac lymph node and posterior margin 1.52cm posterior to the anterior surface of the sacrum, to include the presacral space with enough margin. Comparison with the guidelines, the replies on the superior margin coincided in 23 cases (70%), the inferior margin after sphincter saving surgery in 13 (39%), the inferior margin after abdominoperineal resection in 32 (97%), the lateral margin in 32 (97%), the posterior margins in 32 (97%) and the anterior margin in 16 (45%). Conclusion These recommendations should be tailored to each patient according to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 s tumor location, pathological and operative findings, for the optimal treatment. Theadequacy of these guidelines should be proved by following the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 KCI등재후보

        방사선치료 Patterns of Care Study 개발을 위한 2002년 한국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의 직장암 방사선치료 원칙 조사연구

        김종훈(Jong Hoon Kim),김대용(Dae Yong Kim),김용호(Yong Ho Kim),김우철(Woo Cheol Kim),김철용(Chul Yong Kim),성진실(Jinsil Seong),송승창(Seung Chang Sohn),신현수(Hyun Soo Shin),안용찬(Yong Chan Ahn),오도훈(Do Hoon Oh),오원용(Wong Yong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3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21 No.1

        목 적 : 한국에서 발생빈도가 높은 암의 하나인 직장암의 치료에 있어 전국의 각 병원 치료방사선과(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하고 있는 치료 형태를 세부 항목별로 파악하여 방사선종양학 전문의 간의 치료원칙의 차이점을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Patterns of Care Study를 위한 연구의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 경인지역 소재 18개 대학병원 및 방사선종양학과가 있는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이 모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원칙 분석을 위한 consensus committee를 구성하고, 회합 및 설문조사를 통하여 각 의사들의 방사선치료 원칙을 파악하기 위한 세부 항목 설정과 이를 토대로 직장암 환자 개개인의 치료 내용을 측정하는 구체적인 항목들을 개발하였다. 이 항목들을 이용하여 직장암의 방사선치료를 담당하고 있는 전국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행한 후 각 전문의들의 의견이 일치하는 부분과 상이한 부분들을 분석하였다. 결 과 : 전문의 별 치료원칙의 측정에 사용된 항목들은 1) 치료대상환자의 선정기준 8개 항목, 2) 수술 전후 병기 및 예후 인자 검사 20개 항목, 3) 수술 및 항암화학요법과의 병용기준 7개 항목, 4) 환자의 setup 및 처치 9개 항목, 5) 모의치료시 조사야 결정 19개 항목, 6) 치료계획 5개 항목, 7) 치료 중 상태 확인 위한 이학적/병리학적 검사 4개 항목, 8) 치료 후 추적 관찰시 검사할 10개 항목 등 총 82개의 항목이 개발되었다. 이 항목들은 전국 각 병원들의 방사선종양학과 전문의를 대상으로 설문조사 되어 치료원칙에 대한 분석이 항목별로 이루어졌다. 설문조사 결과 전국의 각 병원 방사선종양학과에서 시행되고 있는 직장암의 방사선치료 형태는 일정 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나, 일부 항목에 있어서는 치료자 간 의견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중 전체 응답자의 50% 이상에서 합의가 되지 못한 항목들은, 1) 치료환자의 선정 기준 중 수술 전 방사선치료 대상, 2) 병기 결정 검사 중 직장내 초음파(EUS, endorectal ultrasound), 흉부 CT, 뼈 스캔 등의 시행 여부, 3) 항암제와의 병용 원칙, 4) 모의치료시 소장 위치 확인을 위한 조영제 사용, 5) 조사야의 경계선 결정, 6) 치료 후 추적 관찰 시 CEA와 대장내시경의 시행여부 등이었다. 결 론 : 이견이 많은 항목들에 대해선는 향후 담당 전문의들을 대상으로 consensus meeting등을 통한 체계적인 분석 및 합의의 도출이 필요한 것으로 보이며, 본 연구에서 밝혀진 각 병원들의 치료 내용을 토대로 향후 표준화된 치료 모델 개발을 위한 Patterns of Care Study가 진행될 예정이다. Purpose : To conduct a nationwide survery on the principles in radiotherapy for rectal cancer, and develop the framework of a database of Korean Patterns of Care. Study. Materials and Methods : A consensus committee was established to develop a tool for measuring the patterns in radiotherapy protocols for rectal cancer. The panel was composed of radiation oncologists from 18 hospitals in Seoul Metropolitan area. The committee developed a survey format to analyze radiation oncologist's treatment principles for rectal cancer. The survey items developed for measuring the treatment principles were composed of 1) 8 eligibility criteria, 2) 20 items for staging work-ups and prognostic factor, 3) 7 items for principles of combined surgery and chemotherapy, 4) 9 patient set-ups, 5) 19 determining radiation fields, 6) 5 radiotherapy treatment plans, 7) 4 physical/laboratory examination to monitor a patient's condition during treatment, and 8) 10 follow-up evaluations. These items were sent to radiation oncologists in charge of gastrointestinal malignancies in all hospitals (48 hospitals) in Korea to which 30 replies were received (63%). Results : Most of the survey items were replied to without no major differences between the repliers, but with the following items only 50% of repliers were in agreement : 1) indications of preoperative radiation, 2) use of endorectal ultrasound, CT scan, and bone scan for staging work-ups, 3) principles of combining chemotherapy with radiotherapy, 4) use of contrast material for small bowel delineation during simulation, 5) determination of field margins, and 6) use of CEA and colonoscopy for follow-up evaluations. Conclusion : The items where considerable disagreement was shown among the radiation oncologists seemed to make no serious difference in the treatment outcome, but a practical and reasonable consensus should be reached by the committee, with logical processes of agreement. These items can be used for a basic database for the Patterns of Care Study, which will survey the practical radiotherapy patterns for rectal cancer in Korea.

      • SCOPUSKCI등재

        비 상업용 3차원 치료계획시스템인 Plunc의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한 연구

        조병철(Byung Chul Cho),오도훈(Do Hoon Oh),배훈식(Hoonsik Bae) 대한방사선종양학회 1998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6 No.1

        목 적 : 비 상업용 3차원 컴퓨터치료계획시스템인 Plunc의 구축 사례를 소개하고 이의 임상적용 가능성에 대하여 검증하고자 한다. 대 상 및 방법 : 미국 Nortth Caolina 대학에서 개발된 3차원 치료계획시스템인 Plunc 의 소스코드를 제공받아, PC용 Unix인 Linux 환경의 Pentium Pro 200MHz(128MB RAM, Millennium VGA)에서 설치하였다 . 본과의 6MV 광자선(Siemens MXE 6740)에 대한 출력인자, 최대산란비, 최대산란인자, 쐐기의 모양 및 감쇄인자 등의 빔데이터를 입력한 후, 일반적인 치료조건인 10cm 깊이의 회전중심점에서의 심부선량백분율, 선량측면도, oblique 입사빔 및 공기간격 하에서의 선량계산 결과를 물팬톰에서의 측정치와 비교, 분석하였다. 결 과 : Plunc는 원래 CT 영상데이터를 이용한 모의치료기로써 개발되어, 빔 설계가 매우 편리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가 구성되어 있으며, BEV,DRR 및 영상합성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다. 선량계산은 10초 정도가 소요되는 3차원 선량분포나 선량체적히스토그람을 제외하고는 거의 실시간으로 실행되었다. 결 론 : Plunc의 광자선량계산의 정밀도는 일반적인 치료조건하에서 약 2-5% 내외의 오차로써, 측정치에 대한 보정에 근거한 알고리즘을 사용하는 일반 치료계획시스템과 비슷한 수준이라 사료된다. 현재로서는 전자선에 대한 선량계산이 불가능하기 때문에 완전한 형태의 치료계획시스템이 되기 위해서는 향후, 전자선에 대한 계산모듈의 개발과 광자선 선량계산 또한 보다 정밀한 선량계산이 가능한 컨벌류션 방법과 같은 3차원 선량계산모듈의 개발도 필요하다. Plunc는 상업용 3차원 치료계획 시스템의 사용이 현실적으로 어려운 여건의 병원에서 2차원 치료계획시스템과 상호 보완적으로 사용한다면 2차원 치료계획시스템이 갖는 많은 제약을 극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Purpose :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our installation of a non-commercial 3D planning system, Plunc and confirm it's clinical applicability in various treatment situations. Materials and Methods : We obtained source codes of Plunc, offered by University of North Carolina and installed them on a Pentium Pro 200MHz (128MB RAM, Millenium VGA) with Linux operating system. To examine accuracy of dose distributions calculated by Plunc, we input beam data of 6MV photon of our linear accelerator(Siemens MXE 6740) including tissue- maximum ratio, scatter-maximum ratio, attenuation coefficients and shapes of wedge filters. After then, we compared values of dose distributions(Percent depth dose; PDD, dose profiles with and without wedge filters, oblique incident beam, and dose distributions under air-gap) calculated by Plunc with measured values. Results : Plunc operated in almost real time except spending about 10 seconds in full volume dose distribution and dose-volume histogram(DVH) on the PC described above. As compared with measurements for irradiations of 90-cm SSD and 10-cm depth isocenter, the PDD curves calculated by Plunc did not exceed 1% of inaccuracies except buildup region. For dose profiles with and without wedge filter, the calculated ones are accurate within 2% except low -dose region outside irradiations where Plunc showed 5% of dose reduction. For the oblique incident beam, it showed a good agreement except low dose region below 30 % of isocenter dose. In the case of dose distribution under air-gap, there was 5% errors of the central-axis dose. Conclusion : By comparing photon dose calculations using the Plunc with measurements, we confirmed that Plunc showed acceptable accuracies about 2-5% in typical treatment situations, which was comparable to commercial planning systems using correction-based algorithms. Plunc does not have a function for electron beam planning up to the present. However, it is possible to implement electron dose calculation modules or more accurate photon dose calculation into the Plunc system. Plunc is shown to be useful to clear many limitations of 2D planning systems in clinics where a commercial 3D planning system is not availab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