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PIR 센서와 카메라를 이용한 사용자 위치 기반 낙상 감지 시스템 설계

        김건우(Kunwoo Kim),박상현(Sanghyun Park),송찬호(Chanho Song),유준민(Junmin Yoo),정진우(Jin-Woo Jung) 한국정보기술학회 2022 Proceedings of KIIT Conference Vol.2022 No.12

        낙상사고는 고령자에게 흔하고, 주로 주거시설에서 발생한다. 기존 비전 기반 및 웨어러블 디바이스들을 사용한 낙상 감지 방법들은 이런 환경에서 문제점이 나타난다. 감지를 위한 장비들을 착용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휴식 공간에서의 동작을 낙상으로 오판단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해당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생활 패턴을 수집하고 카메라를 통한 낙상 감지 후 생활 패턴을 이용하여 이차적으로 판단하는 이차 검증을 거쳐 기존의 낙상 감지 시스템보다 높은 정확도를 가지는 낙상 감지 시스템을 제안한다. Fall accidents are common in the elderly and occur mainly in residential facilities. Fall detection methods using existing vision-based and wearable devices have problems in this environmen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uncomfortable to wear equipment for sensing and that the movement in the rest space is misjudged as falling. Therefore, to solve these problems, this paper proposes a fall detection system with higher accuracy than the existing fall detection system by using the life pattern which leads to double-verification of making judgments.

      • 정신보건법 관련 격리 강박 지침의 개정안 개발

        김건우(Kunwoo Kim),홍진표(Jin Pyo Hong),이기경(Ki Kyoung Yi),나리지(Ri Ji Na),용효중(Hyo Joong Yong),이유진(Yu Jin Lee),황태연(Tae-Yeon Hwang),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격리 강박 지침 개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현 격리 강박 지침의 문제 점을 고찰하고 선진국의 국제적인 기준을 소개하는 것이다. 방 법 : 우리나라의 격리 강박 지침과 관련 법령을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의 지침 및 법령과 비교 고찰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국가인권위원회, 의료관리학 교수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기존 격리 강박 지침의 적응증과 지시 규정은 정신보건법과 모순되어 지침의 수정이 필요하겠다. 선진국의 지침과 비교하여 기존 지침의 내용은 세부적이지 못하여, 의사와 간호사의 의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의사의 지시 형태, 의사의 의무적인 진찰, 의무 기록, 허용된 격리 강박 시간 등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필요하겠다. 결 론 : 개정 지침이 정신보건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신질환자의 인권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vised guidelin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entally ill pati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guidelines and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Methods : We reviewed current guideline and administrative status in Korea and examin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in developed countries: U.S.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addition, survey of related specialists, advisory conference: advice of related and administrative experts, public hearing were done. Results : Current recipient indications and order regulations concerning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contradict those of the Mental Health Act, thus, modification is need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are less specific. The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and nurses have not been clearly divided, and details concerning the form of the physician’s order, physician’s obligatory examination, medical recording and allowed time of seclusion and restraint are in need of clarification. The new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mental health field. Conclusion : Revised guidelines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real life mental health situations and strengthen of human rights of current psychiatric inpatients.

      • 인간 관점의 정보보호 연구동향 분석

        김건우 ( Kunwoo Kim ),김정덕 ( Jungduk Kim ) 한국정보처리학회 2017 한국정보처리학회 학술대회논문집 Vol.24 No.1

        정보기술의 발달은 조직의 업무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동시에 다양한 정보보호 위협에 따른 사고 발생 등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조직에서는 보안사고 예방을 위하여 다양한 노력들을 경주하고 있지만 기술적 보안 솔루션에 의존하는 경향이 있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보안 사고를 완벽히 예방하는 것은 불가능하다. 최근 기존의 정보보호 접근방법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방법인 인간중심 보안(People Centric Security)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며, 임직원의 자발적인 정보보호 정책준수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향후 인간 관점의 정보보호 연구의 발전을 위해 기존의 수행된 연구들을 분석하여 통합된 관점에서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연구동향 분석 연구로서, 해외 4개의 저널에서 수집한 134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연구 추세, 연구 주제, 연구 방법론 등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국내의 인간 관점에서의 정보보호 관련 연구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며, 조직에서 임직원의 정책준수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참고하여 정보보호 정책 수립 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제스쳐 인식 시스템 설계 및 구현

        김건우(Kunwoo Kim),김창현(Changhyun Kim),전창호(Changho Jeon),이원주(Wonjoo Lee) 한국컴퓨터정보학회 2008 한국컴퓨터정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16 No.1

        컴퓨터 및 주변기기의 성능이 발전함에 따라 영상처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영상으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얻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에서 움직임 추적, 특정 사물 추출, 동영상 검색 등으로 정보를 추출하는 과정은 높은 시스템 자원을 요구하기 때문에 멀티태스킹이 어렵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시스템 자원의 사용을 최소화하는 제스쳐 인식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한다. 이 시스템은 동적테이블 마스킹을 이용하여 노이즈를 제거하고, 가이드라인 인식 방법을 적용하여 손동작 제스쳐를 인식한다, 또한 안연 비율 분할 방법과 음영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눈과 입술의 제스쳐를 인식한다.

      • KCI등재

        사회적 공간의 노모스와 사회신정론 ― 『사회학자와 역사학자』에서의 사회학적 성찰성

        김건우 ( Kim Kunwoo ) 한국사회사학회 2019 사회와 역사 Vol.0 No.122

        본 논고는 부르디외와 샤르티에의 대담집인 『사회학자와 역사학자』에 대한 두 가지 접근을 시도하고 있다. 하나는 이 대담의 진행에 따라 부르디외 사회학의 성격을 포괄적으로 따라가면서, 그가 말하고 있는 것과 말하지 않았지만 그가 말하고 생각하고 개념화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조건과 범주를 확인해보고자 한다. 생각할 수 있는 것을 한계짓고, 사고를 규정하는 사고의 사고되지 않은 범주에 대한 탐색은 부르디외적인 의미에서 성찰성이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고는 그의 성찰성의 사회학을 그 자신에게 돌려주는 하나의 시도이기도 하다. 이런 맥락에서 본고는 그의 사회학에 새로운 이름을 부여하고자 한다. 성찰성의 무대가 되는 장은 ‘근본적 법칙과 분할의 원리’라는 노모스를 따른다. 이는 부르디외의 ‘상징혁명’ 개념을 파악하기 위해 중요할 뿐 아니라, ‘아노미의 제도화’로서 장의 구성을 사회학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도 중요하다. 본고는 이런 의미에서 그의 사회학을 ‘사회적 공간의 노모스’에 대한 사회학이라고 이해한다. 그에게 ‘구별’의 문제가 중요했던 이유 역시 이 점에 있었다. 이러한 노모스의 사회학으로서 부르디외 사회학은 그 역사사회학적인 계기와 동력을 갖고 있는데, 이는 “신정론은 언제나 사회신정론 Soziodizeen 이다.”라는 그의 정식으로 확인하게 된다. 이러한 사회신정론은 국가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의 중요한 계기가 된다. 더불어 사회신정론은 곧, 사회적 세계의 노모스를 탈신화화하기 위한 성찰적 사회학의 다른 이름이기도 하다. This article applies a dual approach to analyzing Pierre Bourdieu and Roger Chartier’s The Sociologist and the Historian, a compilation of radio interviews between the scholars. The first investigates the categorical frameworks that shed light on Bourdieu’s understanding of the social world and space with these stimulative interviews with Chartier, a prestigious historian. The second focuses on his sociological problematique, conspicuously absent that makes it possible for him to think sociologically and conceptualize the social world and social space. It is reflexivity in Bourdieu’s sense to delimit what is recognizable and to explore classifications that often determine how we visualize social space without considering the conditions of the ‘distinction’. This work thus aims to turn his reflexive sociology to his own manifest and latent work. In this context, a more general name-giving attempt is necessary to comprehend Bourdieu’s sociology, namely ‘Nomos of social space’. The field, champ, which is no other than the stage of reflexivity follows Nomos, a fundamental law and a principle of division, which means to divide, to partition, principles of division and vision. This is crucial to Bourdieu’s ‘symbolic revolution’, but essential to apprehend the constitution of the field as ‘an institutionalization of anomie’. Nomos of the social space is intrinsic to the reflexive sociology of Bourdieu. And his historical-sociological confirmation for this is as follows: “Theodicy is constantly sociodicy.” This sociodicy is also interwined with a sociological understanding of the state. Sociodicy/sociodicee turns out to be nothing more than another name for a reflexive sociology aimed at de-mystification of the Nomos of the social world.

      • KCI등재

        니클라스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과 차이의 사회학: 체계이론의 사회학적 이념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김건우(Kim, Kunwoo) 한국이론사회학회 2020 사회와 이론 Vol.37 No.-

        본 논고는 루만의 ‘사회학적 계몽’ soziologische Aufklärung을 해명하고자 한다. 사회학적 계몽은 사회의 역량을 증가시키는 기능적 질서를 해명하기 위해 요구되는 사회학적 이념이다. 이를 위해서 본고는 루만의 사회학을 ‘차이의 사회학’으로 파악한다. 이 차이의 사회학은 철학적인 의미를 넘어서, 사회와 행위의 복잡성과 우연성을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 파악한다. 루만은 기능을 규제적인 의미도식으로 파악하면서 가능성들의 ‘과잉’을 생산하는 근대사회의 구조적인 측면, 즉 기능적 분화와 기능적 질서를이론화한다. 이는 세계의 복잡성을 체계의 복잡성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잠재력을 갖는 매체로 사회적 체계를 파악하는 것이다. 또한, 사회학적 계몽은 계몽을 무한히 확장하는 ‘계몽유토피아’ Aufklärungsutopie 가 아니라 사회적 체계의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으로서 ‘계몽의 해명’ Abklärung der Aufklärung 이다. 이를 이론적으로 해명하기 위해서 복잡성과 차이의 사회학의 관계를 살펴보고, 사회학적 계몽을 사회적 차원에서의 계몽의 재생산으로 이론화한다. 더불어, 선택성 강화의 재귀적 메커니즘으로서 사회적 체계의 작동을 통해서 계몽은 ‘자기계몽’ Selbstaufklärung 이 된다. 사회의 역량을 사회적 체계를 통해 증가시키고자 하는 이런 시도는 잠재성의 기능을 사회학적으로 재구성하는 것이며, 사회적 체계가 행위의 사건화 능력과 부정잠재력을 어떻게 조건화할 수 있는지 이론화한다. 결국, 이는 ‘사회학의 사회학’이며, 사회의 확장을 사회학적 계몽을 통해서 이론화하는 작업이다. 사회학적 계몽의 담지자는 사회적 체계이며, 이 때 계몽은 자기와의 차이를 산출하면서 재생산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런 의미에서 사회학적 계몽은 체계포비아로부터의 해방을 사회학적으로 기획하고, 계몽을 유지하고 지속하고자 하는 ‘계몽의 계몽’이라고 할 수 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elucidate Niklas Luhmann’s soziologische Aufklärung.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a sociological idea to explain functional orders, which multiply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In order to grasp this constellation, this work presents Luhmann’s sociology as ‘Sociology of Difference’. Beyond the philosophical sense, this determination contends the complexity and contingency of society and action in society to be comprehended by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Luhmann conceptualizes function as a regulative meaning-schema, which makes it possible to theorize functional differentiations and functional orders, the structural level of modern society to produce the ‘surplus’ of possibilities. It is nothing less than to understand social systems to be medium having the potential to transform the complexity of world into the complexity of systems. In additi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is not Aufklärungsutopie (Enlightenment-Utopia) to extend without limit, but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of social systems, that is Abklärung der Aufklärung (Elucidation of Enlightenment). For this theoretical purpose, it is necessary to look into the relation of complexity to ‘Sociology of Difference’ and to theorize Sociological Enlightenment as a reproduction of an enlightenment at the societal level. By this, enlightenment comes to be Selbstaufklärung (Self-Enlightenment) as reflexive medium to intensify selectivity through the operations of social systems. This attempt that increases the potentialities of society through social systems is to reconstruct the function of latency sociologically and to examine how the ability of action and its potential of negation could be conditioned by social systems. At last, it leads to ‘Sociology of Sociology’, which intends to extend society by Sociological Enlightenment. The bearers of Sociological Enlightenment are social systems and enlightenment is able to reproduce itself by producing a difference to self. For this reason, Sociological Enlightenment refers to a sociological emancipation from system‘phobia’ and could be ‘Enlightenment of Enlightenment’ to preserve and continue enlightenment.

      • KCI등재

        정보보호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 분석

        김건우(Kunwoo Kim),김정덕(Jungduk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6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6 No.2

        정보기술의 급속한 발달에는 다양한 혜택과 정보유출 등과 같은 위협이 공존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정보보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증가하고 있다. 기술적인 솔루션도 중요하지만 점차 고도화되는 보안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보안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정보보호 교육은 보안역량 강화를 위한 대표적인 방법 중의 하나로, 국가, 기업, 학계에서 다양한 노력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하지만 거시적인 측면에서의 발전방향을 도출하기 위해서는 현재까지 수행된 연구들을 분석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논문은 국내외 정보보호 교육에 대한 연구 동향을 분석하여 개선사항을 도출하는 탐색적 연구로서, 해외 4개의 저널, 국내 2개의 저널에서 수집한 정보보호 교육, 훈련, 인식관련 177개의 논문을 대상으로 게재현황에 대한 기본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이 중에서 정보보호 교육 관련 70개 논문을 대상으로 상세 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의 경우 교육과정 분석에 대한 연구가 대다수이며, 향후 교육 분야의 다변화와 실험연구 등을 통한 교육 효과성 측정관련 연구가 수행될 필요가 있다. Nowadays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security has been increased because there are many benefits and threats like information leakage caused by rapid growth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is important to apply technical solution, however enhancing security capability is more important to respond evolving security threats.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is one of typical way to enhance security capability and there are various efforts at the dimension of nation, company and academic community. However it is required to analyze previous research until now and derive future research direction for long-term development plan. In this study, we analyzed a publication status about 177 paper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training and awareness from 4 foreign journals and 2 Korean journals. Additionally, we analyzed in detail about 70 papers related to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As a result, the most part of study is about curriculum, and in the future, it is required to expand educational area as well as study about effectiveness measurement of information security education by experimental research.

      • KCI등재

        정보보호 위원회 활동에 따른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현 효과에 관한 연구

        김건우(Kunwoo Kim),김정덕(Jungduk Kim) 한국정보보호학회 2015 정보보호학회논문지 Vol.25 No.4

        정보보호 거버넌스의 주체는 최고경영층이지만 여전히 정보보호 활동에 대한 최고경영층의 참여는 미흡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정보보호 위원회는 최고경영층의 정보보호 활동 참여를 활성화 하는데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으며, 결국 정보보호 위원회 활동은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현을 위한 필수 요소라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보호 위원회의 활동이 정보보호 거버넌스 구현과 보안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며, 실증연구 분석을 위해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자료는 PLS(Partial Least Square)를 이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 검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가치전달과 관련된 가설이 기각되었으며, 향후 정보보호가 비즈니스에 긍정적인 가치를 전달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commitment of top management is still insufficient for information security even the core of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is dependent on the leadership of top management. In this situation, information security committee can be a good way to vitalize the commitment of top management and its activities are essential for implementing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test that information security committee affects implementing information security governance and security effect. For a empirical analysis,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and the PLS(Partial Least Square) was used to analyze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 The study result shows that a hypothesis related value delivery is not accepted and it is required to study various methods about how the information security provides positive value to busines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