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과정을 이수한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변화

        이종국(Jong-Gook Lee),이용석(Yong-Suk Lee),최연선(Yeon-Seon Choi),장화순(Hwa-Soon Chang),유명이(Myung-Yee yu)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3 사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과정이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및 정신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봄으로써 그동안 수행되어온 전문요원 수련과정의 성과를 평가해보고 향후 수련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방안들을 제안하기 위하여 실시되었다. 방법: 2002년 3월에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을 시작한 수련생들을 대상으로 수련 시작하는 시점과 수련을 마치는 시점에 각각 정신 보건문제에 대한 인식 및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조사 도구를 사용하여 조사하였다. 두 차례 조사에 모두 참여한 대상자는 간호사 119명, 사회복지사 24명 등 총 143명이었다. 통계분석은 paired t-test를 사용하였다. 결과: 1) 수련생들은 정신보건 문제들의 심각도에 대해 수련전후에 인식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다만 치매 문제의 심각도 순위가 5위에서 2위로 높아졌다. 2) 정신보건 서비스의 필요도에 대해 수련전후 인식의 차이를 보인 것으로는 입원(입소) 시설, 가족모임 혹은 상담이었고 두서비스의 필요도가 수련후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직업재활은 수련전후 모두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3) 수련과정을 이수한 수련생들은 자비심이 증가하고 사회생활제한은 감소하는 등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그러나 권위주의, 지역정신보건개념에는 변화가 없었다. 결론: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을 통해 수련생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정신보건문제의 인식에도 부분적으로 변화를 보였다. 수련전후에 변화가 있는 것과 변화가 없는 것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수련과정에서 다루고 있는 세부 과목과 주제들과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부족한 부분들을 보완하고 개선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 119 구급대원들의 정신보건에 대한 인식 및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조사

        김로사(Rosa Kim),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9 사회정신의학 Vol.14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119 구급대원이 정신질환자를 대상으로 구급 활동 시 겪는 어려운 점과 욕구를 파악하고 이들의 정신보건 문제에 대한 인식도 및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와 그에 관련된 특성들을 분석하여 향후 이들을 대상으로 교육을 시행하고 위기개입 대책 마련 등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반영할 기초자료를 얻고자 실시하였다. 방 법: 2009년 3월 현재 경기도에서 근무하고 있는 119구급대원 160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형 설문조사를 하였다. 설문지에는 조사대상 자의 일반적 특성에 119 구급대원들의 직무 특성 및 욕구를 파악하기 위한 문항이 추가되었고, 정신보건 문제의 심각도 12문항과 정신질환에 대한 태도를 묻는 CAMI 40문항들로 구성되었다. 결 과: 정신질환자에 대한 구급 활동 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환자의 비협조 다음으로 환자 이송병원 결정의 어려움과 정신질환에 대한 지식과 정보 부족으로 인한 판단의 어려움 등을 호소하고 있었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위기개입을 위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은 지역 내 관련기관 사이의 긴밀한 협조체계를 꼽은 반면 위기개입이 필요한 정신과적 문제에 대한 교육 및 정보제공에 대한 필요성은 비교적 낮게 평가하고 있었다. 정신보건 문제에 대해서는 전반적으로 심각한 편이라고 생각했으며 알코올 중독과 자살, 우울증을 가장 심각한 문제라고 하였다.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살펴보는 CAMI 4개 하위척도를 살펴보면 권위주의=35.4 ±3.8, 자비심=23.0±3.9, 사회생활제한=31.2±4.8, 지역정신보건개념=27.3±5.3으로 일반 주민들에 비해서는 보다 온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으나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생이나 비정신과 의사들에 비해서는 덜 온정적이고 덜 긍정적인 태도를 갖고 있었다. 학력 그리고 가족이나 친지 중 정신질환자가 있어 환자를 접해본 경험이 있는지 여부가 사회생활제한에, 최근 1년간 정신질환자 이송경험 유무가 권위주의와 지역사회 정신보건 개념에 영향을 주는 요인인 것으로 나타나, 정신질환자에 대한 접촉 경험이 이들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형향을 미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확인 되었다. 결 론: 119구급대원들을 대상으로 하는 알코올 중독, 자살, 우울증, 중증 정신질환에 대한 체계적인 교육과 지역사회관련기관에 대한 정보 제공 및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정신질환자와 접촉을 해보았던 이들이 더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는 점을 고려하여 정신질환자들과의 접촉 기회를 확대할 수 있는 다양한 방안을 시도한다면 구급대원들의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assess the needs of 119 rescuers when they work for people with mental illnesses. Other purposes of the study were to identify awareness of mental health and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of the 119 rescuers and to propose strategies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program and crisis intervention system. Methods:The study subject consisted of one hundred and sixty 119 rescuers. The study tool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2-item severit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40-item CAMI scale. Results:The most severe obstacles in transfer of the mentally ill were uncooperativeness of patient, difficulty of choice of hospital, and difficulty in decision making due to insufficient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mental illness. The Most important strategy for crisis intervention was collaborating system in the community, but demand for education and information about mental illness was relatively low. The 119 rescuers generally perceived the mental health problems to be severe and tended to take alcoholism, suicide, depression more seriously. The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general population, but less positive attitudes than mental health professional trainees and the non-psychiatric physicians, in all 4 subcategories of CAMI scale. The high academic level rescuers were less positive attitudes than others. Experience of psychiatric problems in family and experience in transferring people with mental illness in the previous year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others. Conclusions:It is necessary to develop effective education program and information system about alcoholism, suicide, depression and psychosis for 119 rescuers and build up well-organized crisis intervention system such as collaborating system in the community. Through the strategies to increase chance of contact with the mentally ill, the attitude of the 119 rescuers can be improved.

      • KCI등재후보

        5-HTTLPR과 COMT 유전자 다형성과 성격 특성에 대한 연합연구

        하지현,함병주,류성곤,황태연,이종국,이유상,이정식,강대엽,최인근,이민수,Ha, Jee-Hyun,Ham, Byung-Joo,Ryu, Sung-Gon,Hwang, Tae-Yeon,Lee, Jong-Gook,Lee, Yu-Sang,Lee, Jung-Sik,Kang, Dae Yeob,Choi, Ihn-Geun,Lee, Min Soo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4 생물정신의학 Vol.11 No.2

        Background:Serotonin transporter gene-linked polymorphism region(5-HTTLPR) and catechol-O-methyltransferase( COMT) genes are thought to be important factors in some personality traits and the etiology of anxiety disorder.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role of these genes in personality traits. Method:The participants included 116 healthy adults with no history of psychiatric disorders and other physical illness for the last 6 months. All participants were tested by Temperament and Character Inventory(TCI). The 5-HTTLPR, COMT val158met gene polymorphisms were analyzed with PCR(Polymerase Chain Reaction). Differences on TCI dimensions and sub-scales among groups were examined with t-test and ANOVA. Result:There were possible relationships of the 5-HTTLPR with self-transcendence(P=0.050) and COMT val158met polymorphism with cooperativeness(P=0.053). Conclusion:We found associations between 5-HTTLPR, COMT polymorphisms and the some TCI character dimensions. Further studies of polymorphisms of other genes and their interactions may clarify the complex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ity and genes.

      •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

        윤광현(Kwang Hyun Youn),김병창(Byung Chang Kim),최종혁(Jong Hyuck Choi),이종국(Jong Gook Lee),황태연(Tae Yeon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6 사회정신의학 Vol.11 No.1

        연구 목적: 본 연구는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의사들을 대상으로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고, 정신보건문제의 심각도와 정신 보건서비스에 대한 필요도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향후 정신보건사업의 수행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활용하고 정신질환자에 대한 올바른 태도를 갖도록 수련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대책들을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방 법: 2003년 9월 현재 일 종합병원에 근무하고 있는 67명의 의사들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정신과 의사는 제외하였다. 조사도구는 직접 설문지를 작성하는 자기기재 방식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설문지에는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정신보건문제의 심각도 11문항, 정신보건서비스에 대한 필요도 14문항, 40문항의 CAMI Scale이 포함되었다. 결 과: CAMI 4개 하위 척도 모두에서 비정신과 의사들은 일반지역 주민들에 비해 보다 온정적이고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그러나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생들보다는 보다 덜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고 있었다. 정신보건 문제의 유형에 있어서는 알코올 중독이 우리나라에서 가장 심각한 정신보건의 문제라고 응답하였고 다음으로는 성폭력과 청소년 비행, 우울증 순이었다. 정신보건 서비스 필요도에 있어서는 알코올 치료/교육 모임이 가장 많이 필요하다고 생각했고, 다음으로는 직업재활, 가족모임 혹은 상담, 교육 및정보의 제공 등이었다.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에서 중요한 프로그램 중 하나인 가정방문에 대해서는 필요성은 있다고 생각하였으나 가장 낮은 순위를 보이고 있었다. 결 론: 정신질환자에 대한 태도에 있어서 비정신과 의사들의 인식도가 정신보건전문요원 수련생들에 비해 낮은 것은 일반 의사들에 대한 교육과정이나 수련과정에 정신질환 교육이 잘 되지 않고 있는 실정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시킬 수 있는 교육과정이 필요하다. 또한 정신보건문제의 심각도에 있어서 알코올 중독, 성폭력은 일반인과 수련생 및 비정신과 의사 모두 심각하다고 인식하고 있어서 최근 우리 사회의 심각한 정신보건의 문제들임을 알 수 있으며 정신보건정책을 수립할 때 이에 대한 대책을 반드시 포함시 켜야 하겠다. Objectives:This study was performed to identify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patients of the non-psychiatric physicians at National Medical Center in Seoul, Korea. We also intended to measure the severity of mental health problems and the prior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that perceived by the non-psychiatric physician. Methods:The Study tool was a self-report questionnaire including general characteristics, 11-item severity of mental health problems, 14-item priority of mental health services and 40-item CAMI scale. The study subject was composed of 67 non-psychiatric physicians. Results:1) The non-psychiatric physicians tended to take alcohol dependence, sexual abuse, adolescent delinquency and depression more seriously. however, psychosis such as schizophrenia was less significantly. 2) They believed that alcohol treatment meeting, vocational rehabilitation, family counselling, social campaign, education to be more important than either home visit or crisis intervention. 3) They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s than general population, but less positive attitudes than mental health professional trainees, in all four sub-categories of CAMI scale. 4)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demographic factors such as age, sex, marital status, religion and experience with the mentally ill patients in all four sub-categories of CAMI scale. Conclusion:We believe that further medical school education and residency training programs can change the attitudes toward the mentally ill of the non-psychiatric physicians.

      •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의 정신사회재활 성과에 대한 3년간의 추적조사

        황태연(Tae-Yeon Hwang),박찬일(Chan-Il Park),이종국(Jong-Gook Lee),고영(Young Ko),이명수(Myung-Soo Lee),이우경(Woo-Kyung Lee),이원혜(Won-Hye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01 사회정신의학 Vol.6 No.2

        서울, 경기 지역에서 1995년도부터 시행된 지역사회 정신보건사업은 정신보건센터를 중심으로 정신장애인들과 그 가족에게 포괄적인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왔고, 많은 정신장애인의 사회복귀와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해 왔으나, 프로그램의 효과와 만족도를 평가하려는 노력은 부족했다. 본 연구는 정신보건센터에서 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회원들을 대상으로 한 3년간의 추적 조사를 통하여 정신사회재활 프로그램의 성과를 검토해 보고자 하였다. 1998년 10월부터 1999년 3월까지 서울 및 경기지역의 6개 정신보건센터와 재활센터에 등록되어 있는 16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한국판 정신사회재활성과 측정도구’와‘한국판 정신사회적 기능-증상 척도’를 적용하였고, 2001년 5월부터 7월까지 대상환자를 추적하여 재평가를 실시하였다. 전체 169명의 대상자 중 128명이 추적 조사되었다. 이중 남자 78명, 여자 50명이었고 대부분의 회원은 정신분열병과 정동장애 환자였다. 평균 나이는 38.4세, 첫 발병은 24세, 첫 입원연령은 26세였다. 추적조사 기간 중 평균 입원은 0.35회, 입원일은 1.9개월, 총 지역사회 경과일은 27.8개월이었다. 조사기간 중 주거형태가 다양해지고 독립주거가 증가했고, 다양한 형태의 직업을 가지면서 독립적, 경쟁적 고용 등 경제 활동과 만족도가 증가하였다. 한달 평균 임금을 비롯하여 전체 수입 및 생활비가 증가했고, 문화비 지출은 감소하였다. 센터 프로그램에 대한 회원 설문조사 결과 전반적인 만족도와 자긍심이 증가하였고 정신사회적 증상과 기능 평가에서는 이전에 비해 더 많은 우울 및 정신병적 증상을 호소하였으나 일상생활 기능은 호전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정신사회재활적 성과를 고려할 때 정신보건센터 프로그램이 만성정신장애인의 삶의 질과 기능, 자율성을 증가시켰음을 알 수 있었기에, 향후 지역사회 정신보건센터를 확충시키는 정신보건정책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또한 만성 정신질환자들의 프로그램 만족도를 포함하는 정신사회재활 성과의 지속적인 추적조사를 통하여 프로그램의 평가와 발전이 이루어져야 될 것이다.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CMHCs) have provided patients with mental illness and their families with comprehensiv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and contributed to community integration and improvement of quality of life of the patient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the effectiveness of and patients’ satisfaction to the programs. This study was performed to measure the outcomes of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CMHCs through 3 year’s follow-up. At the baseline, The Korean version of Toolkit for measuring psychosocial rehabilitation outcomes and The Korean Version of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BASIS-32) were administered to 169 subjects who were members of 6 CMHCs and 1 psychiatric rehabilitation center in Seoul City and Kyonggi province. 128 subjects were followed out of 169 subjects. Authors re-evaluated the same subjects 29 months after the baseline study using same measures. Male members were 78(60.9%) and females were 50(39.1%). Most of them are under diagnosis of schizophrenia( 82.8%) or schizoaffective disorder(7.9%). The mean age was 38.4yr., mean age of onset was 24yr., mean age of first hospitalization was 26yr. Number of hospitalization was 0.35, length of stay at the inpatient unit was 1.9 months, and community tenure was 27.8 months during the 29 months’ period of study. Residences were diversified and independent living was increased. Jobs were also diversified and independent competitive employment wes increased. Total monthly income including labor income and total monthly expenditure were increased. Member survey showed improvement of program satisfaction and improved self-esteem. BASIS-32 showed that the members had more difficulties in the areas of symptoms but reported improvement of daily functioning compared with the baseline. These outcomes tells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s of the CMHCs increased the quality of life, functioning, and autonomy of the chronic mentally ill patients in the community that the national mental health policy should be directed to establishment of more CMHCs. In the future, there must be periodic monitoring of the psychosocial rehabilitation program through comprehensive outcome measures.

      • 정신보건법 관련 격리 강박 지침의 개정안 개발

        김건우(Kunwoo Kim),홍진표(Jin Pyo Hong),이기경(Ki Kyoung Yi),나리지(Ri Ji Na),용효중(Hyo Joong Yong),이유진(Yu Jin Lee),황태연(Tae-Yeon Hwang),이종국(Jong-Gook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2 사회정신의학 Vol.17 No.1

        연구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첫째, 정신질환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격리 강박 지침 개정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둘째, 현 격리 강박 지침의 문제 점을 고찰하고 선진국의 국제적인 기준을 소개하는 것이다. 방 법 : 우리나라의 격리 강박 지침과 관련 법령을 미국, 영국, 호주, 뉴질랜드 등 선진국의 지침 및 법령과 비교 고찰하였다.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간호사, 사회복지사, 국가인권위원회, 의료관리학 교수 등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와 자문회의를 실시하였다. 결 과 : 기존 격리 강박 지침의 적응증과 지시 규정은 정신보건법과 모순되어 지침의 수정이 필요하겠다. 선진국의 지침과 비교하여 기존 지침의 내용은 세부적이지 못하여, 의사와 간호사의 의무가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 않다. 의사의 지시 형태, 의사의 의무적인 진찰, 의무 기록, 허용된 격리 강박 시간 등에 대한 명확한 내용이 필요하겠다. 결 론 : 개정 지침이 정신보건 상황에서 실제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며 정신질환자의 인권 향상에 기여할 것이다. Objectives : The primary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revised guideline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to protect the human rights of mentally ill patients. The second purpose was to critically review the current status of guidelines and to introduce international standards of developed countries. Methods : We reviewed current guideline and administrative status in Korea and examined guidelines and regulations for seclusion and restraint in developed countries: U.S.A., United Kingdom, Australia, and New Zealand. In addition, survey of related specialists, advisory conference: advice of related and administrative experts, public hearing were done. Results : Current recipient indications and order regulations concerning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contradict those of the Mental Health Act, thus, modification is needed. Compared to other countries, current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are less specific. The responsibilities of physicians and nurses have not been clearly divided, and details concerning the form of the physician’s order, physician’s obligatory examination, medical recording and allowed time of seclusion and restraint are in need of clarification. The new seclusion and restraint guidelines have been revised and reviewed by experts in mental health field. Conclusion : Revised guidelines could be used practically in real life mental health situations and strengthen of human rights of current psychiatric inpatients.

      • KCI등재

        종합병원 입원 환자에서의 불면증의 임상적 특징

        이종국,유태혁,한창환 大韓神經精神醫學會 1991 신경정신의학 Vol.30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linical characteristics of insomnia in 300 new inpatients of general hospital with semistructured interview and questionaires. Among 4 clinical groups-129 noninsomniacs, 171 insomniacs (100 insomniacs with past insomnia history and 71 without past history), we compared the following variables ; age, sex, associated significant diseases, usual life habits, environmental variables influencing sleep pattern, types of insomnia, causes of insomnia, coping methods with insomnia, and usage of hypnotics. In insomniacs we also compared the changes of types and causes of insomnia, coping methods with insomnia after admission. The prevalence of insomnia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ssion, and was higher in female patients but not significantly different in age. The frequencies of associated significant disease(angina, arrhythmia, asthma, duodenal ulcer etc.), naps, smoking, alcohol and coffee drinking showed no difference between insomniacs and noninsomniacs. Among environmental variables, “apprehension about illness”, “noise”, “nurse's visit”, and “bed discomfort”were significantly more frequent in insomniacs. Presence or absence of past insomnia history gave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types, causes of insomnia and coping methods with insomnia. Difficulty in maintaining sleep(DMS)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ssion but difficulty in falling asleep(DFA) was decreased. The causes of insomnia were physical illness, sleep environmental variables, and psychological variables in order ; first two of thes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ssion. After admission as well as before admission, the most coping method with insomnia was “effort to forget problems”. Among the methods, “exercise or walking” was significantly increased after admission. Afterwards the study on the psychopathology and characteristics of personality which related with insomnia will be needed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about insomnia and to establish proper management plan of insom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