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분단체제에 대한 2000년대 한국소설의 서사적 응전

        고명철(Ko, Myeong-Cheol) 한국문학회 2011 韓國文學論叢 Vol.58 No.-

        이 글의 목적은 분단체제에 대한 21세기 문학의 서사적 대응을 살펴보는 데 있다. 20세기의 분단과 관련한 서사들이 분단문학의 범주 안에서 한국전쟁의 원인과 그 과정에서 생긴 비극과 상처에 관심을 쏟음으로써 분단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문학적 성취를 일궈내었다. 무엇보다 분단이데올로기와 레드콤플렉스를 극복하여 분단으로 인한 뒤틀린 역사를 바로 세우고자 한 서사적 노력을 소홀히 할 수 없다. 하지만 20세기의 이러한 서사들이 일국적 경계의 안에서 집중되다보니, 남과 북의 문제를 좀 더 큰 틀에서 총체적으로 사유하지 못한 한계를 보인 것 또한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21세기의 분단 관련 서사들은 ‘분단체제’의 문제틀에 의해 종래의 분단문학보다 더욱 예각적이면서 심층적이고 웅숭깊은 서사를 탐구해야 할 새로운 과제를 떠안고 있다. 이 문제를 낡고 구태의연한 시각으로 접근해서는 곤란하다. 분단체제를 허물기 위한 서사적 응전은 지속되어야 한다. 그리하여 필자는 2000년대의 분단체제에 대한 서사적 응전의 세 가지 양상에 초점을 맞춰보았다. 1)분단체제 아래 이른바 2등국민으로 살아야 할 묵시록적 현실, 2)세계자본주의 체제 아래 난민의 신세로 전락하고 있는 약소자로서 탈북자, 3)분단체체의 현신을 내파(內破)하기 위한 남과 북의 존이구동(存異求同)의 서사 등이 그것이다. 여기서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것은 급변한 현실 속에서 남과 북의 정치사회적 추이를 예의주시할 뿐만 아니라 세계자본주의 체제와 밀접히 연동되어 있는 분단체제의 작동을 면밀히 파악해야 한다. 무엇보다 분단을 정략적으로 이용하여 배타적 차별의 논리와 적대적 대립 관계 속에서 영구 분단을 고착화시키는 남과 북의 분단기득권을 부정하고 넘어서는 새로운 사회적 상상력의 구체성을 서사화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work is to exam narrative deal of the 21st century literature about the divided systems. Narrations related with division of 21st century in the category of division of literature made literary achievements for solving the problem of division by having interest in tragedy and injury resulted from the cause and process of Korean war. Most of all, by overcoming the division of ideology and red complex we could not neglect narrative effort to correct rightly twisted history resulted from the division. However, as these narrations of the 21st century focused in inner of a country boundary, we had no choice but to neglect the limit not to think generally in bigger outline. As examining it so far, narrations related with division of 21st century by the problem shape of ‘divided systems’ have new task to inspect more acute, deep and profound narration than those of traditional division of literature. It is hard to approach with old and obsolete view. Narrative challenge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destroy the divided systems. However, not only does political and social progress of South and North Korea in the rapidly changing reality observe closely but also operation of divided systems closely related with a system of world capitalism should examine closely. Most of all, concreteness of new social imagination should be made narration to exceed and deny division acquired rights of South and North Korea to fix permanent division by using division politically in the logic of exclusive discrimination and hostile conflict relation.

      • KCI등재후보

        육사 소설의 '우회적 글쓰기'와 저항

        고명철(Ko Myeong-cheol) 국어문학회 2007 국어문학 Vol.43 No.-

        Yuksa's three posthumous novels in the form of creation and translation should be understood not a writing which yielded under fascism system of Japanese imperialism much gathered momentum from the end of 1930s, but a category of so-called a 'roundabout writing' which confronted against Japanese fascism and was one type of writing of writers at those times. Through three novels, he did a 'roundabout writing' which was different from poetry. Under Japanese political suppression, his writing was his suffering product of literary expression in which he could not neglect and directly confront dismal reality in colony. He stared at the dark side of colonial modem period and tried to make his way through his practical intention. I reviewed his two novels in translation. Through Nosin's <Kohyang>(고향), Yuksa expressed meaningful context having his frequent 'escaping hometown-leaving road' in the form of a roundabout writing. Being not content with life of Japanese colonial system, it was roundabout expression about his 'escaping hometown-leaving road' toward an anti-Japanese independence movement for overcoming colonial system and also expressed his intention for making the road newly. Through Kojeong's <Golmokan>(골목안) he caught sharply the dark side of colonial modern period through Chinese's miserable reality happened inside of the alley in Manchu. Staring at Chinese's miserable reality of colonial modem period in Manchu, he did not neglect the exposure of the dark side of modem period in which Japanese's suppression and plunder toward Chosun in the end of Japanese colony was much more extreme. In other words, by bringing out the darkness of Japanese colonial modern period, he revealed indirectly the problem having its suppressive modem period. Next, I examined his only creative novel <HwangYeupJeon>(황엽전). Even though <HwangYeupJeon>(황엽전) was immature in the form with the view of modern novel, its immaturity was the unique descriptive value. Therefore as the form of modem love, disillusive attitude of existence, which did not establish whole image of modern subject, tried to express indirectly was the right existence of ghost and it revealed indirectly daily suppression of colonial modern period through the narration of love and separation in which colonists could not take a position as the modem subject. Moreover through the dream of ghost, the dark reality of colonists experiencing all kinds of pain under the fascism system and the passion and intention toward the life of newborn which tried to overcome its reality were expressed in the form of a roundabout writing.

      • KCI등재

        특집1: 문학,문화콘텐츠의 지역성과 세계화-제주를 중심으로 : 새로운 세계문학 구성을 위한 4,3문학의 과제

        고명철 ( Myeong Cheol Ko ) 반교어문학회 2015 泮橋語文硏究 Vol.0 No.40

        4·3문학에 대해 괄목할 만한 창작 성과와 비평 및 연구 성과가 축적되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준열히 경계하고 성찰해야 할 것은 이 성과에 자족하거나안주해버린 채 4·3을 기념화·화석화해서는 곤란하다. 4·3문학은 늘 깨어있어야 하며, 예각화된 시선을 갖고 4·3을 한층 웅숭깊게 탐구해야 한다. 그리하여 4·3문학은 해방공간의 특수한 지역 문제에 한정된 ‘지역문학’으로만 인식되는 것도 아니고, 이 시기를 다룬 한국문학사를 온전히 구축시키는 차원에서 그것의 결락된 부분을 충족시켜주는 데 자족하는 한국문학, 곧 ‘국민문학’으로 만 인식되는 것도 아닌, 세계 냉전체제의 발아되는 현장과 현실에 연동되는 ‘세계문학’의 문제틀(problematics)로서 새롭게 인식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4·3문학은 해방공간에서 항쟁 패배자의 기억이 승리자의 기억, 즉 대한민국(미군정의 지원과 미국)의 공식기억(official memory) 속에서 억압·왜곡·부정된 측면을 세밀히 탐구하고, 승리자의 시선 아래 착종·왜곡·은폐된 승리자에 대한 기억 역시 천착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4·3문학은 유럽중심주의에 내밀화되지 않고 그것을 창조적으로 넘어, 유럽중심주의로 심화·확산되는 근대성에 매몰되지 않는 ‘또 다른 근대성’을 함의하는 것들 사이의 연대이고, 4·3문학과 트리컨티넨탈의 연대이다. 그런데 이와 함께 4·3문학이 새로운 세계문학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참여적 실현’을 통해 유럽중심주의의 근대세계를 보증하는 문자중심주의의 한계를 넘을 수 있는 문화적 자양분을 4·3 관련 현장으로부터 섭취해야 한다. 특히 4·3문학처럼 언어절(言語絶)의 역사적 참극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 우리에게 낯익은 문학의 형상적 사유만으로는 4·3을 온전히 다루는 데 한계에 직면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요컨대, 4·3문학은 폐색적(閉塞的) 내셔널리즘에 갇힌 지역문학과 국민문학의 문제의식과 다른 지구적 국제성을 획득하는, 그리하여 새로운 세계문학 구성에 적극 개입함으로써 4·3이 지닌 평화의 원대한 가치를 실현할 수 있을 것이다. The literary works, criticisms and researches on 4·3 literature have remarkably been accumulated. However what we strictly watch and retrospect is that the April Third Uprising should not be memorized, fossilized so far as we are satisfied with them. Therefore 4·3 literarture is not recognized as ‘local literature’, restricted the special problem of Emancipation Space, and as ‘nation literature’, Korean literature of which is particularly a role to supply some lacks in order to equipment complete the history of Korean literature that has been described Emancipation Space, is capable to be recognized as a problematics of ‘world literature’, linked both place and reality sprouting cold war system. Regarding this, 4·3 literature should investigate in detail what the defeated memory has been oppressed, distorted, denied by the winner memory, the official memory of Korean governments (including U. S. military rule and USA) in Emancipation Space. And 4·3 literature should concentrate on the winner memory which has been entangled, distorted, hided before the winner’s sight. Meanwhile 4·3 literature is not trained by Eurocentrism but overcome creatively it, and can obtain internationality, through global solidarity between them, which it is not wrapped up the Eurocentric modernity, emerging ‘the other modernity’ not to be buried by Eurocentrism. It is solidarity between 4·3 literature and eastern Asia as well as 4·3 literature and tricontinental. By the way, in order to construct new world literature 4·3 literature should ingest cultural ingredients from Jeju through diverse ‘participatory practice’, which can go beyond the limit of literacy centrism, guaranteeing Eurocentric modern world. Especially, in case of 4·3 literature which could not be sufficiently described a horrible historical tragedy, it has no choice but to confront limit on describing 4·3 completely with just imaginary thought to be familiar to us. In other words, 4·3 literature should try to obtain global internationality which is different from problematic consciousness of local and nation literature, closed enclosure nationalism. Moreover, 4·3 literature can accomplish peaceful sublime value of which the April Third Uprising possesses as take an intervention constructing new world literature.

      • KCI등재

        제1차 세계대전의 시계(視界)를 통해 본 조명희의 문학

        고명철 ( Ko Myeong Cheol ) 한국언어문화학회(구 한양어문학회) 2018 한국언어문화 Vol.0 No.66

        조명희의 문학은 남북한문학사에서 공유하고 있듯 일본 제국주의 및 식민주의 근대에 대한 부정과 저항으로서 카프문학의 주요한 문학적 성취를 보여준다. 그런데 조명희의 문학이 카프문학으로서 일궈낸 값진 문학적 성취는 존중하되 그의 문학 세계 전반을 카프문학의 프레임으로 가둬놓는 것은 경계해야 한다. 왜냐하면 조명희의 문학은 카프문학의 프레임으로 온전히 포착할 수 없는 카프문학과 또 다른 진보적 문제의식(내용형식)을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와 관련하여, 조명희의 전 생애에서 소련 망명 이전까지 문학적 생애는 중요하다. 이 시기는 전 세계가 제1차 세계대전(1914~1918)의 파장 속에 놓여 있는바, 이 시기에 일본 동경 유학생활을 경험한 적 있는 조명희를 이러한 국제정세로부터 유리시켜 이해하는 것은 조명희의 삶과 문학을 너무 단조롭게 생각하는 셈이다. 특히 동경 유학에서 인도철학을 공부한 적 있는 조명희가 조선으로 돌아온 후 심취한 타고르와 그의 시집 ≪기탄잘리≫가 갖는 정치적 문제의식을 안이하게 파악해서 곤란하다. 타고르가 1차 대전 와중 동경을 방문하여 유럽의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국민국가의 폭력적 근대에 대한 준열한 비판적 성찰을 한 강연에 대해 조명희가 전혀 모를 리 없다. 뿐만 아니라 조명희의 희곡 <김영일의 사>와 단편 소설 < R군에게 >, <아들의 마음>, <춘선이>의 등장인물에서 읽을 수 있듯, 1차 대전과 연관된 국제정세를 동경에서 접하면서 사회주의 혁명가의 의지를 벼리는 것은 조명희가 폭력적 근대 세계에 대한 뚜렷한 정치의식을 갖고 있다는 것을 말한다. 그것은 타고르의 ≪기탄잘리≫를 창조적으로 섭취한 조명희의 시집 『봄 잔듸밧 위에』의 ‘어린 아기’의 시적 심상으로 형상화되고 있다. 뿐만 아니라 조명희의 문학에서 새롭게 주목되어야 할 것은, 단편 <낙동강>이 유럽중심주의 서사전통에서는 카프문학이든 그렇지 않든 관계없이 서사적 완성도에서 흠결이 있는 것으로 평가하고 있지만(물론 조선의 카프문학사에서는 높은 평가를 받고 있다), 기실 조명희가 적극 구사하고 있는 민요조 ‘낙동강’의 노래 및 장례 만장(輓章) 행렬에서 보이는 구술연행(口述演行, oral performance)은 <낙동강>의 작중인물 혁명가의 낙천적 혁명성과 새로운 세대 혁명가의 탄생과 절묘히 어울리면서 조선적 리얼리즘의 빼어난 성취를 거두고 있다. 말하자면, 기존 유럽 중심주의 서사전통에 수렴되지 않는 주체적 서사를 선보이고 있다. 이것은 1차 대전을 일으킨 유럽의 근대서사에 대한 길항이자 저항으로 볼 수 있는 것이다. Cho Myeong-Hee’s literature in south and north Korean literature history sharing as the denial and the resistance against the modern of Japanese imperialism, colonialism shows an important literature accomplishment. Although his literature should be respected as KAPF(Korea Artista Proleta Federatio) literature realized a valuable accomplishment, we should watch that a whole his literature world is jailed inside of the KAPF’s frame. The reason is that his literature which can’t catch up as KAPF’s frame has the other progressive problematics. Regarding this, his literature’s life before an exile toward USSR is important in total life. This period is a part of the 1st World War’s influence. What we understand him who has experienced abroad school(1919~1923) in Tokyo, capital city of Japan where he studied about Indian philosophy separated from the international circumstances considers his life and literature so simple. It comes hard to understand easily his political consciousness of which is related to R.Tagore and Tagore’s poem Gitanjali(<기탄잘리>) being absorbed by him. Maybe he knows Tagore’s historical excellent speech(1916) which emerges significant critical retrospect against the nation state’s violent modern being based on Europe nationalism. As we read the character of his drama Kim Young-il’s death(<김영일의 사>), short story Mr. R(< R군에게 >), Son’s Mind(<아들의 마음>), ChunSun(<춘선이>), what he sharps the will of socialist, while he is confronting on international circumstances concerning the 1st World War, tells that he has the distinct political consciousness against violent modern world. It is emerged to poetic image of baby in his poem on Spring Grassplot(<봄 잔듸밧 위에>) being creatively absorbed in Tagore’s Gitanjali(<기탄잘리>). And there is one thing that we focus on his literature newly. Although his short story Nakdong River(<낙동강>) has been evaluated to show something problem in narrative completeness when it comes to Europe narrative history without considering of KAPF literature, the oral performance of which he performs actively folksong ‘Nakdong River’ and funeral parade with funeral flag memorial written writing obtains an excellent accomplishment Korean realism. Above all his such works get along with a birth of new generation’s revolutionist. In other words, he shows the subject narrative being independent from Eurocentrism. This emerges rival, resistant against Europe modern narrative especially concerning what happened the 1st World War by Europe imperialism.

      • KCI등재

        시대고(時代苦)를 견디는 몽환의 비의성(秘儀性)과 자기존재의 정립 -윤후명의 실크로드 여행서사를 중심으로-

        고명철 ( Myeong Cheol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1 한민족문화연구 Vol.38 No.-

        윤후명의 소설에서 새롭게 보아야 할 것은 모순된 현실에 대한 총체적 인식과 세계고(世界苦)를 해결하기 위한 전망을 향한 서사적 의지의 투철성 여부가 아니라, 현실의 폭력으로부터 치유하기 힘든 상처를 입은 사람들의 일상 깊숙이 파고든 슬픔과 구조화된 폭력이 배태하는 소멸과 죽음의 두려움을, 윤후명 특유의 ``몽환적 서사``로 응전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윤후명은 이 서사적 응전을 통해 1980년대 파시즘적 정권의 죽음과 맞서는 ``영원한 생명``의 가치를 천착한다. 여기서 윤후명의 자기존재의 탐구는 합리적 인식론에 기반한 근대적 주체를 탐구하는 데 몰두해 있지 않다. 과거의 시간과 현재의 시간을 겹겹으로 포개놓고, 주체와 주체를 에워싸고 있는 것들과의 비의적(秘儀的) 관계를 통해 자기존재의 세계에 천착하는 것이다. 때문에 윤후명의 ``나``는 세계와 단절된 자아가 결코 아니다. 비록 폐허와 같은 세계로부터 상처를 받아 세계로부터 소외를 당하지만, ``나``와 세계의 서사적 긴장은 ``나``로 하여금 폐허 속의 ``나``의 존재를 근원적으로 성찰하도록 하고, 그 과정에서 ``나``는 역설적이지만 폐허가 지닌 생성의 힘을 새롭게 발견한다. 즉 폐허의 세계는 ``나``에게 부정과 환멸로 억압하는 것만이 아니라 세계의 폐허성과 그 폐허에 놓인 ``나``의 존재를 성찰하는 여정의 길을 떠나도록 한다. 따라서 윤후명의 실크로드 여행서사를, 자기존재에 대한 탐구의 여정을 하기 때문에 탈사회적(혹은 탈정치적) 맥락으로만 이해하는 것은 이제 지양되어야 할 것이다. 윤후명의 독특한 소설쓰기, 곧 몽환의 서사와 ``응시``의 소설쓰기는 폐허의 세계를 견디는, 민족민중문학 리얼리즘 계열의 소설쓰기와 또 다른 서사적 응전을 펼쳤다는 것을 간과해서 곤란하다. The thing to see newly in the novel of Yunhumyung(윤후명) is not the narrative will to solve the world pain and overall awareness for contradictory reality. Therefore the sadness deeply digging into everyday life of the hurted people who can not recover from actual violence and the fear of extinction and death due to structured violence was accepted a challenge in his unique ``dreamlike narration``. He searched for the value of ``forever life`` which stands against the death of fascism political power in the 1980s through this narrative challenge. The investigation of his self existence was not absorbed in studying modern subject based on western rational epistemology. His existence was studied through mysterious relation with a subject and a thing surrounding subjects and duplicating past time and present time. Therefore ``I`` of Yunhumyung(윤후명) was never disconnected with the world. Though he was isolated from the world because of hurted by the world like ruins, narrative tension of world and ``I`` made introspection fundamentally existence of ``I`` in ruins. In this process, even though ``I`` was paradoxical, creative power with ruins was newly discovered. In other words the world of ruins was not suppressed with denial and disillusion to me but left the road of a journey to study existence of ``I`` located in ruin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Silk Road journey narration only in the escaping-social(or escaping-political) context should be sublated. His unique novel writing, in other words dreamlike narration and a novel writing of ``gaze`` would spread another narrative challenge with a novel writing of the national popular literature realism.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일반 논문 : 민족의 주체적 근대화를 향한 『한양』의 진보적 비평정신 -1960년대의 비평 담론을 중심으로-

        고명철 ( Myeong Cheol Ko ) 한민족문화학회 2006 한민족문화연구 Vol.19 No.-

        한국의 현대 지성사에서 잡지『한양』의 존재는 주목할 만하다. 『한양』은 한국의 진보적 지성사, 특히 1960년대의 진보적 지성의 흐름을 재정립시키는데 매우 중요한 지점을 확보하고 있다. 그동안 한국의 지성사 혹은 한국의 진보적 지성사에서 그 가치를 소홀히 간주해온 『한양』을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한국의 진보적 매체의 역사를 재평가하고, 진보적 매체의 맥락을 재정립함으로써 그동안 특정 매체가 배타적으로 점유해온 진보적 전통의 상징권력을 발전적으로 해체시켜 그 역사적 위상을 온전히 세워야 할 것이다. 이것은 『한양』을 연구하는 현재적 의의이기도 하다. 필자는 이러한 연구를 진행하면서 『한양』이 그동안 한국문학사에서 변방으로 밀려나 있는 데 대한 문제제기를 통해 이제 1960년대의 한국문학사에서 온전히 자리매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무엇보다 한국문단에서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는 4.19와 5.16으로 표상되는 근대적 기획에 대한 『한양』 나름대로의 모색은 종래 1960년대의 한국문학을 상징권력으로 전유한 4.19세대의 인정투쟁을 내파(內破)하여 1960년대의 한국문학사에 대한 온당한 이해를 하는 데 가늠자로 작용할 것이다. 특히 기존의 진보적 매체로 범주화된 틀을 벗어나 진보적 매체의 또 다른 진보성을 새롭게 인식함으로써 진보적 지성사의 지평을 심화·확장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달리 말해 『한양』은 1960년대의 한국문학을 포함한 진보적 매체 혹은 진보적 지성의 전통을 추인하는 게 아니라 『한양』의 새로운 문제의식과 근대적 기획을 통해 1960년대를 새롭게 읽어야 할 과제를 우리들에게 제시해준다. The existence of magazine 『Hang Yang(한양)』 is noticeable in the modern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Its role in the process of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could not be overemphasized. Especially its value of existence could not be neglected because its ideology and directness in the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1960s have a close relationship with concrete reality in the 1960s characterized by 4.19 and 5.16, and the progressive practice of intellect has been continually considered. In other words, 『Hang Yang(한양)』 has placed a very important position for reconstructing the stream of the progressive intellect in the 1960s. The various problems raised through 『Hang Yang(한양)』 by the progressive intellect who played in Korea as well as Japan, which could not be considered indifferently at all in the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in the 1960s, take a primary medium status. In the process of discoursing on practical concreteness and historical reflection about the spirit of 4.19 revolution, 『Hang Yang(한양)』 should be taken a notice because it pursued the subjective modernity with modern enlighten intention combined with on the creative renewal of tradition based on the spirit of creating new things with old things and discovered the national identity not pursing the western modernization. Therefore, by recognizing newly 『Hang Yang(한양)』 which was neglected in the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or intellectual history of Korea, the progressive media history of Korea should be reevaluated, and by reconstructing the context of a progressive medium and absorbing symbolic power of progressive tradition which was occupied by a specific medium into a new organization its historical status should be erected firmly. It is a significant meaning currently to study 『Hang Yang(한양)』. It should also understand the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During doing these study, I think that 『Hang Yang(한양)』 should be placed rightly i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in the 1960s through raising a problem which 『Hang Yang(한양)』 was placed in the edges i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Most of all, the solution for 『Hang Yang(한양)』 about modern planning which was characterized by 4.19 and 5.16 would play an role as the sights for understanding on the literary history of Korea in the 1960s. Especially, by recognizing newly another progressiveness in order to escape the categorized frame as the existing progressive medium, it would show the possibility to deepen and extend the view of progressive intellectual history. In other words, 『Hang Yang(한양)』 would suggest to us a task that we should see newly the period of 1960s through the new problem awareness and modern planning of 『Hang Yang(한양)』, not confirming the tradition of the progressive intellect or a progressive medium including the Korean literature in the 1960s.

      • KCI등재

        김석범의 `조선적인 것`의 문학적 진실과 정치적 상상력 -김석범의 『화산도』 연구(2)-

        고명철 ( Ko Myeong-cheol ) 한민족문화학회 2017 한민족문화연구 Vol.57 No.-

        이 연구는 김석범의 `조선적인 것`의 문학적 진실과 정치적 상상력을 이해하기 위해 세 가지 차원에서 『화산도』를 살펴보았다. 김석범에게 `조선적인 것`은 구미중심의 근대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국가 공동체`와관련한 것, 말하자면 재일조선인으로서 조국의 민족적 정체성을 회복하기 위한 차원으로만 수렴되지 않는다. 이러한 면모는 『화산도』에서 제주 공동체의 독특한 풍속문화인 제사의례를 통해 해방공간에 대한 정치적 은유의 상징형식으로 작동한다. 이를 통해 제주 공동체를 폭력으로 압살하는데 전위에 서 있던 서북청년단의 실체가 드러날 뿐만 아니라 그것에 조금도 굴복하지 않고 비타협하는 작가의 정치적 상상력이 부각된다. 다음으로, 『화산도』에서는 제주 민중이 4 · 3무장봉기를 지지하는 가운데 혁명의 기치 속에서 해방의 정념을 북돋우며 부르는 노동요(`맷돌·방아노래`, `해녀노래`)와 항쟁노래(`민중의 노래`)는 제주의 구술연행이 혁명과 결코 무관하지 않음을 증명해준다. 오히려 4 · 3무장봉기는 제주 민중의 새로운 사회 건설을 향한 정치적 염원이 자연스레 동반되는 노동요와 항쟁노래의 구술연행으로 한층 실감을 얻는다. 이처럼 김석범의 `조선적인 것`은 문제지향적 공간으로서 제주가 지닌 정치적 상상력과 밀접히 연동된 것으로 『화산도』에서 보이는 `밀항의 상상력` 또한 예외가 아니다. 밀항하는 도정에서, 해방공간에서 청산되지 못한 식민주의를 청산하고 반혁명분자의 배신행위를 응징한 것은 신생을 향해 떠나는 밀항선의 정치적 상상력을 배가시켜준다. 요컨대, 『화산도』에서 보이는 김석범의 `조선적인 것`은 해방공간의 혼돈에서 새롭게 모색되고 구축되어야 할 정치체(政治體)가 기존 근대 내셔널리즘으로 구축되는 국민국가와 다른 정치적 상상력을 함의한, 그것은 바로 제주라는 `지역 공동체`와 밀접한 연관을 맺는다. This study inspects Japanese Korean novelist Kim Seok-Bum`s roman fleuve Hwasando in terms of three dimensions to understand his literary truth of `Things Chosun` and political imagination. `Things Chosun` is not concentrated on national community based on Eurocentric modern nationalism. In other words, it is not focused on recovering national identity as one of Japanese Koreans. This emerges the political metaphor`s symbol form through the specific fork culture traditional ritual of Jeju community in Hwasnado. Through this, Seobuk young people`s group`s substance has been completely improved that it stood up forward to crush to death into Jeju community. And Kim`s imagination has not been surrendered as well as has not been compromised against lots of fatal violences of Seobuk young people`s group. And then, the labor song (Maeddol song, Bang-a song) and the resistance song (Haeyneo song) with Jeju people sang by supporting the April Third armed Uprising to encourage the liberal enthusiasm with a revolutionary ideology has been improved that the oral performance of Jeju is never unconcerned a revolution. Moreover the April Third armed Uprising obtains historical truth through the oral performance that performed the labor song and the resistance song accompanied naturally the political wish of establishment new society by Jeju peole. Regarding this, Kim Seok-Bum`s `Things Chosun` is closely connected with Jeju`s political imagination as the problematic space. The imagination of secret passage is also not exception in Hwasanado. Among the process of secret passage what colonialism, remained in emancipation space, is not only rooted out but also to punish anti-revolutionist`s betrayal is notable the political imagination of a smuggler forward rebirth life. In short, Kim Seok-Bum`s `Things Chosun` in Hwasando emerges that what the political substance, being capable of establishing newly amid the chaos of emancipation space, is different from the political imagination implicated nation state being structured with existing modern nationalism. It is closely connected with the very Jeju local community.

      • KCI등재

        김산, 동아시아의 혁명적 실천, 그리고 "문제지향적 증언서사"

        고명철 ( Myeong-cheol Ko ) 한민족문화학회 2016 한민족문화연구 Vol.54 No.-

        이 글은 김산과 님 웨일즈가 함께 작업한 『아리랑』을 ``문제지향적 증언서사``의 측면에 초점을 맞춰 중국의 대지에서 피식민지 조선인 혁명가 김산의 전 생애를 통해 실현하고자 한 혁명적 실천을 살펴보았다. 『아리랑』이 동아시아를 벗어나 세계인들의 감명을 얻는 데에는 기록성에 비중을 둔 ``재현적 서사``의 힘이 아니라 김산의 삶의 뿌리와 촉수를 건드리는 그 세밀하고 아름다운 김산의 구술성이 작동하는 ``문제지향적증언서사(the porblematic testimony narrative)``의 힘에 기인한다. 그리하여 우리는 혁명가로서 자기갱신을 위한 ``승리``의 지경에 이르기까지 철저한 자기혐오와 자기파괴를 통한 ``패배``를, 사랑과 죽음의 난관을 감내한 혁명가로서 자기윤리를 김산에게서 발견한다. 특히, 민요``아리랑``에 대한 김산의 구연적 상상력은 그와 연관된 개별 사실들 사이의 혁명적 실천의 맥락을 ``아리랑`` 특유의 구술적 연행(口述的 演行,oral performance)의 감동으로 생성해낸다. 이러한 혁명가로서의 삶은 연안에서 비운의 죽음을 맞이한다. 그런데 주의 깊게 살펴보아야 할 것은 중국 혁명의 리더로서 모택동에 의해 그려지는 혁명공화국의 청사진이 김산이 실천하고자 하는 조선의 민족해방운동으로 실현될 독립공화국의 그것에 역투영(逆投影)되고 있다는 사실이다. 즉, 구미식 근대를 지탱하고 있는 내셔널리즘에 기반한 근대의 국민국가도 아니고, 마르크스.레닌주의 또는 스탈린주의에 맹목화된 소련식 근대의 국민국가도 아닌 반전세계평화를 위해 조선과 세계의 인민들이 연대하고 민족 구성원 모두가 자유와 해방의 가치를 만끽하는 그런 근대의 공화국을 추구하는 모택동의 청사진과 김산의 기획이 포개진다. 때문에 조선의 독립공화국에 대한 이러한 청사진을 『아리랑』의 행간에 그리는 김산의 ``문제지향적 증언서사``는 새로운 아시아를 상상하는 데 생산적 논의거리를 제공한다. I studied a revolutionary practice through Song of Arian by Kim San & Nim Wales, which a colonialized Chosun revolutionist Kim San wanted to accomplish a radical revolution in China``s territory by focusing on ``the problematic testimony narrative``. What has been impressed around world beyond East Asia is not a power of ``the representative narrative`` but a power of ``the problematic testimony narrative`` of which has been emerged to detailed beautiful Kim San``s orality, touching his life``s root. Therefore, we find the defeat, through extreme self-hatred and self-destruction, which is approached to a boundary of victory for self-rebirth as a revolutionist. And we also find from Kim San a self-moral as a revolutionist who has endured predicaments of love and death. Especially, Kim San``s oral performative imagination on the folksong ``Arirang`` generates the revolutionary practice context between his relevant diverse facts through the impression of Arirang``s oral performance. This revolutionary life confronts an unlucky death in Yen-an. We should not neglect that the blueprint of revolutionary republic is pictured by Mao Zedong as a leader of China``s revolution is projected the blueprint of independent republic which Kim S an w ishes to p ractice for Chosun``s national emancipation movement. In other words, their blueprints are overlapped in terms of pursuing modern republic which all nation is emerging the value of freedom as well as liberation for antiwar and world peace, and then not only modern nation state based a nationalism sustaining western modernism but also soviet modern nation state blind Marxism-Leninism and Stalinism. Hence, Kim San``s ``the problematic testimony narrative``, pictured this blueprint on Chosun``s independent republic space between lines of Song of Ariran, has supplied productive discussions on imagination towards new Asia.

      • KCI등재

        오키나와 폭력에 대한 문학적 보복과 `오키나와 리얼리즘` -메도루마 슌의 초기 작품을 중심으로

        고명철 ( Ko Myeong-cheol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현재 활동하는 오키나와의 작가 중 오키나와의 독립론을 뚜렷한 정치의식으로 표방하면서 그것을 직접 행동으로 실천하는 메도루마 슌(目取眞俊, 1965~)에 대한 이해는 그의 문학과 분리시켜 생각해서 곤란하다. 이것은 메도루마의 초기 작품부터 매우 중요한 문제의식으로 자리하고 있다. 초기 작품은 메도루마의 문학적 행동주의와 결코 무관할 수 없는바, 오키나와의 폭력 양상과 그에 대한 문학적 대응이기 때문이다. 그의 작품 속에서 드러나는 폭력은 오키나와를 덧씌운 전`후`의 위선적 현실-평화 그 자체가 얼마나 폭력을 은폐하고 있는지, 이는 오키나와전에 대한 기억과 투쟁의 정치를 순치시키고 무화시키려는 국민국가의 제도적 폭력을 드러내는 것으로 그려진다. 물론 이 과정에서 메도루마는 오키나와전의 트라우마를 드러내고 천황제를 과감히 비판할 뿐만 아니라 미군점령이 야기한 숱한 폭력에 대한 대항폭력(counter violence), 즉 문학적 보복을 가한다. 뿐만 아니라 그는 오키나와의 일상에 깊숙이 침전된 온갖 폭력의 양상을 응시함으로써 오키나와를 일방적 폭력의 피해자로서 인식하는 것을 넘어 오키나와 내부에 똬리를 틀고 있는 오키나와에 침전/전도된 제국의 폭력의 양상과 이러한 현실 속에서 분열증적 증후를 앓고 있는 오키나와에 대해서도 매서운 비판을 보인다. 따라서 우리는 메도루마의 작품 속에서 주목되는 오키나와를 에워싼 폭력의 양상이 그의 문학적 행동주의로 어떻게 드러나고 있는지를 살펴본다. 메도루마는 그만의 독특한 문학적 보복을 통해 표면상 오키나와의 일상을 위태롭게 하고 있는 미국-미군 기지와 이것의 이해관계에 편승한 일본을 겨냥한 대항폭력을 실천한다. 물론 여기에는 오키나와 폭력의 기제에 대한 발본적 문제제기와 합리적 해결책 없이 일본이 기만적으로 포장하는 평화의 쉼터와는 거리가 먼, 그래서 유무형의 폭력으로 점철된 지옥도가 바로 오키나와의 현실로 도래할 수 있다는 문제의식이 자리한다. 따라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대항폭력을 단순히 판단해서 안 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메도루마의 문학적 보복은 `오키나와 리얼리즘`의 한 양상에 대한 이해를 돕는다. Among the Okinawa`s working novelists what the understanding about Medoruma Shun who has not only independent agenda of Okinawa in terms of absolute political consciousness but also practices directly it for himself can`t be consider being separated from his literature. This has been placed the most important problem from his early works. Medoruma`s works can never be indifferent to his literary activism. It is the literary correspondence on Okinawa`s violence aspects. What the violence emerging in his works is described how to hide violence through hypocritical reality of post war being covered Okinawa, the politics of memory and struggle on Okinawa War tamed are revealed by nation state`s systematic violence. Meanwhile Medoruma does not only criticize the Emperor System of Japan, shows the trauma of Okinawa War, but also performs counter violence i.e. literary revenge on something kinds of violence being influenced by USA dominates. Besides he gazes diverse Okinawa violence aspects sanctioned deeply in Okinawa daily lives that`s why beyond acknowledgement recognition as victim for unilateral violence shows sharp critical position towards Okinawa being troubled schizophrenic symptoms in this reality. Therefore we inspect how to emerge the violence aspects surrounded Okinawa being focused on Medoruma`s works through his literary activism. He practices counter violence against Japan of which is related to the interests with USA-USA military base risking Okinawa`s daily lives. Of course there is a significant watch on what the hell will approach to Okinawa`s reality unless the radical questions and reasonable solutions on the mechanism of violence in Okinawa will be submitted for us. Hence there is the very reason why we don`t simply recognize his literary revenge-counter violence. So, his literary revenge helps the understanding on Okinawa Realis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