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제주지역 다문화 가족의 특징

        장승심 ( Seung Sim J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2 탐라문화 Vol.0 No.41

        정보화 세계화의 영향으로 인한 자본과 노동의 이전 등으로 제주지역에도 다문화 가족이 증가하고 있다. 외국인과 혼인을 통해 이루어진 제주지역 다문화가족은 대부분 촌락내혼으로 이루어진 제주 전통가족에 비하면 다를 수밖에 없으므로 생활의례나 삶의 만족도 또한 다르다. 조사결과 제주 다문화가족의 핵가족형 비율은 제주 전통가족보다는 낮았지만 전국다문화가족보다는 높았다. 또 부부중심의 생활을 하는, 한울타리 안에서 부모와 동거하지 않는 경우가 고부갈등이 적었다. 동거가족이나 비동거 가족 모두가 시부모의 협조는 많이 받고 있었는데 아기양육, 제주 전통문화 알려주기, 경제적·물질적 도움 등이었다. 의사결정 및 경제주도권은 제주 전통가족과 달리 남편이 가지는 경우가 많았으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배우자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었다. 또한 제주여성결혼이민자들은 제주생활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편이었으며, 장남분가집안이 재산균분상속 의지 비율이 높았고, 장남분가 안한 집안은 재산도 균분상속하지 않겠다는 비율이 높았다. 조사내용에 따라 지역별차이가 있었는데 눈에 띄는 것은 제주지역 다문화가족의 권역별 특징조사에서 성산읍의 경우 한울타리 동거비율이 높고 생활만족도가 낮았으며, 여성결혼이민자의 만족도는 애월읍 거주자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주사회에 급증하는 다문화가족이 제주 전통가족에 비해 어떤 특징을 갖는지 살펴보는 이 연구가 제주지역 다문화가족의 이해에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도움이 되길 바란다. Due to movement of capital and labor influenced by informatization and globalization, muticultural family has been increasing. Interracial families in Jejudo have different types of family courtesy and life satisfaction compared to Jeju traditional(local) families of village endogamy.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percentage of nuclear family of Jeju multicultural household is lower than the percentage of Jeju traditional family, but higher than the percentage of nationwide multicultural family. Also, the household which lives a couple-centered life and doesn`t live with their parents in law has less conflict between mother-in-law and daughter-in-law. Both family who lives or doesn`t live with their parents in law are received financial, child care, and study about Jeju traditional culture help from their parents in law. Unlike Jeju traditional family, husband has decision making and family finance in Jeju multicultural family, and their wife showed high contentment of their husband. Also immigrant women married to Jeju showed high satisfaction on their life in Jeju, and the family which the first son doesn`t live with showed a high will of equal inheritance, and the household which the first son lives with was opposite. The results of the research were different according to the locals, and the remarkable one is that there is a high percentage of family which live with their parents in law in Seongsan and the highest percentage of immigrant women married to Jeju live in Aewol. I hope his study, which shows characteristics of increasing jeju multicultural family compared to Jeju traditional family, will help bett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family in Jeju.

      • KCI등재

        제주 문화유산정책의 회통적 관점에서의 방향 -불교문화유산을 중심으로

        고상현 ( Sang Hyun K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5 탐라문화 Vol.0 No.50

        분절과 단절의 시대를 거쳐 융합과 회통(會通, Conciliation)의 시대이다. 문화유산을 바라보는 관점에서도 편의상 무형문화와 유형문화, 기념물, 민속문화재등으로 나누어 이해해 왔다. 문화유산을 회통적 관점에서 바라보는 정책을 펼쳐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제주의 문화유산정책의 현황을 불교사례를 통해 살펴보고 정책 방안을 제시하였다. 전제적으로 문화재에서 문화유산으로의 확장과 점, 선, 면의 분별적 관점에서 점과 선과 면을 아우르는 공간적인 복합적 개념의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불교문화재의 경우 유형유산인 불상과 화불 등 대부분이 무형유산인 의례와 직접적인 관련성을 지니고 있다. 제주 문화유산정책의 현황을 제주도에서 인터넷으로 서비스하거나 발행한 도서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온라인 정보로는 “멀티미디어 제주민속관광대사전 (www.jejuro.go.kr)”과 “제주학아카이브(http://www.jst.re.kr)의 디렉토리를, 도서로는 2009년 개정된 .제주어사전.과 2012년에 편찬한 .제주민속사전.에서 불교는 선정대상에서 제외되거나 내용에서 누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008년 제주문화상징 99선에서도 불교는 0.03%인 3개에 불과하였다. 이들이 제주의 불교문화를 누락시킨 것은 단순히 불교가 아니라 천여 년의 걸쳐 형성해 온 제주 민속과 문화를 말살하는 것과 다르지 않다.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도에서 발행되고 서비스되는 각종 자료에서 천여 년의 역사와 풍속인 불교를 반영하여 수정.보완해야 한다. 둘째, 제주라는 공간을 스토리텔링을 하는 것이다. 제주 전역을 공간콘텐츠와 에코뮤지엄화하는 불교문화축전의 개최를 예로 들 수 있다. 셋째, 복신미륵의 랜드마크화, 넷째, 힐링산업으로서의 참선(參禪, Meditation practice)문화를 토대로 한 마음산업(mind industry)의 육성, 다섯째, 이를 위해 (가칭)세계마음센터를 포함한 불교문화콤플렉스의 건립을 제안하였다. After periods of segmentation and disconnection, times have changed to bring a period of conciliation. For convenience, issues and items pertaining to cultural heritage can be categorized into tangible cultural issues, intangible cultural issues, monuments, and cultural properties. From such a standpoint, Cheju’s current cultural heritage policy was investigatedby observing cases, and developmental plans will be presented. Broad topics pertaining to the need for a comprehensive spatial concept that encompasses points, lines, and planes from a distinctive view, as well as the expansion of cultural assets to broader cultural heritage, were presented. In categorizing Buddhist cultural heritage, tangible heritage includes statues of Buddha; these have a direct correlation with intangible heritage as observed in ceremonies. The current status in Cheju regarding cultural heritage policies and how those policies have dealt with Buddhist cultural heritage over the past millennia were investigated through Internet sites and publications. The online data on religion, seasonal customs, and other cases pertaining to Buddhism is insufficient in “The Multimedia Cheju Cultural Tourism Dictionary” (www.jejorogo.kr), which was last updated on February 1, 2008. Based on the “Cheju Dialect Study” of 1962, the “Cheju Language Directory” comprising 25,350 sectors(revised and supplemented in 1995 and 2009), and the “Cheju Cultural Directory” compiled in 2012, certain data were omitted from the list of investigation sectors, and thus certain information is missing. In 2008, there were 99 cultural symbols in Cheju, although Buddhist cultural heritage symbols accounted for only 12.2% of that total (tangible heritage: 41%). Of the designated cultural heritage, only 0.03%, or three, were included. The developmental plan is as follows. First, published information regarding the Island of Cheju must be revised and supplemented to reflect the last 1,000 years of Buddhist history and customs. Second, a Buddhist cultural festival containing museums and involving the entire area of Cheju needs to be hosted. Third, the Boksin Maitreya needs to be declared a Landmark. Fourth, a “mind industry” should be developed as a healing business based on Chamseon or meditation. Fifth, a World Mind Center should be developed along with a Buddhist Cultural Complex.

      • KCI등재후보

        민속과 공연 사이: 탐라문화제 민속예술경연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한진오 ( Jin O Han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8 탐라문화 Vol.0 No.32

        제주도의 대표적 축제인 탐라문화제는 1958년에 시작된 제주문화제에서 비롯되어 한라문화제라는 이름으로 오랫동안 유지되어온 역사를 자랑한다. 이렇게 변화하는 과정에서 축제의 중심으로 성장한 것이 민속예술경연이다. 이 글에서는 46회에 이르는 탐라문화제의 중심행사인 민속예술경연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 탐라문화제의 역사적 배경과 민속예술경연의 실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탐라문화제의 탄생배경에 국가차원의 문화지배방식이 존재한다는 사실과 그것의 구체적 방법이 민속예술경연임을 확인했다. 정부 수립 이후 오랫동안 유지되었던 독재정권은 그들의 통치이념에 맞게 국민을 통치하기 위해 문화차원의 지배방식을 선택했다. 이 속에서 개인과 가족, 마을 등의 소규모 공동체에서 전승되던 다양한 민속은 국가의 통치이념에 맞게 각종 민속예술경연대회를 통해 공식화된 민속으로 변질되었다. 그렇다고 해서 이같은 민속예술경연이 부정적인 역할만 했다고 볼 수는 없다. 피지배집단은 미약하지만 국가의 지배가 일방적으로 관철되는 가운데 지배적인 힘에 저항하고 그들의 정체성을 유지하거나 새롭게 만들어 가려는 시도를 이어왔다. 그것은 탐라문화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제주도민의 움직임에서도 나타난다. 시기에 따라 민생현안을 출품작에 담아내는 노력들이 그것이다. 이렇게 탐라문화제의 민속예술경연은 부정과 긍정의 성격을 동시에 지니고 있다. 그렇지만 긍정적 효과가 미약한 탓에 폐지론이 심심찮게 대두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탐라문화제 민속예술경연의 변화양상을 두루 살펴 전면적인 개선방안과 부분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전면적인 개선방안은 현행되는 민속예술경연을 마을축제로 전환시키는 방법이고, 부분적인 개선방안은 민속예술경연이 지니는 공연장 재현을 지양해 전승현장의 실태 파악과 전승활동을 중심에 두는 쪽으로 개선하자는 방법이다. Tamna Cultural Festival, the typical festival of Jeju-do, takes pride of Hanra Culural Festival which has long maintained the history from Jeju Cultural Festival since 1958. On the course, Folk Arts Contest is standing in the main of Festival. This article searches the historical backgroud of Tamna Cultural Festival and the actual circumstances of Folk Arts Contest to grasp the problem of Folk Arts Contest which is the main event of the 46th Tamna Cultural Festival. The dictatorial government which had been maintaned for a long time had a choice of controling culture to take care of people on their rules. In this situation, the various lore transmitted by the minority community- an indivual and a family, a folk etc.-deteriorated the official lore from a variety of Folk Arts Contest adapting their rules. This Folk Arts Contest doesn`t take a negative role any the less. The subjects group was insignificantly against the rule power while the nation control penetrated into them over the transom, or has maintained their identity and tried to create. It can be found in the Jeju islanders` movements directly related in Tamna Cultural Festival. The Folk Arts Contest of Tamna Cultural Festival has both positive and negative ways. However, the abolition opinions represented by the in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ften rises up. This article indicates the whole and the part reform measure through all over searching positive effects and negative effects. The whole reform measure is the way of converting the present Folk Arts Contest into Folk Festival, the part reform measure is realizing the transmission spot and centering in the transminssion movements by supporting the reproduce performance with Folk Arts Contest.

      • KCI등재후보

        제주도민의 문화생활과 문화의식 실태

        이상철 ( Sang Cheol Lee ),김석준 ( Suk Joon Kim ),김준표 ( Jun Pyo Kim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이 연구에서는 제주도민의 문화의식 및 문화생활 실태를 진단하여 제주도민의 실질적인 문화 향유 수준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제주도의 문화 기반시설과 문화예술단체의 현황을 확인하고, 제주도민의 문화 생활여건·의식·욕구 등을 조사하였으며, 그 다음 제주도민의 문화 향유를 위한 발전방향을 설정한 후, 이를 뒷받침할 문화정책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얻은 효과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첫째, 제주 문화에 대한 연구 경향을 정리하는 기회가 되었다. 둘째, 제주도민의 문화의식, 문화생활 실태, 수혜자로서의 요구 등에 관한 기초자료를 얻었다. 셋째, 분석을 통해 제주도민의 문화향유 수준을 파악하고 문화예술의 섬 제주로의 가능성을 짚어볼 수 있었다. 넷째, 제주 문화의 성격을 정리하고, 이를 토대로 문화산업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할 수 있었다. 다섯째, 제주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향 및 바람직한 정책방안을 도출할 수 있었다. Jeju island is on UNESCO`s World Natural and Cultural Heritage List. Jeju island is said to have cultural sources fluently and its culture has been studied to be different from that of the main land of Korea. Many researchers have focused on the distinctiveness of traditional culture of Jeju, concerning cultural and social anthropology. But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realistic cultural life of residents in Jeju. How exist the conditions of the cultural infrastructure in Jeju? What cultural organizations are being constructed in Jeju? What status is the cultural life of residents in Jeju? How is the satisfaction degree felt by Jeju people? What policies are to be proposed for the improvement of cultural life in Jeju? According to our research, the cultural infrastructure of Jeju island had been poor until 1960`s but has been grown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nd tourist development project especially since 1995 and still is poor for the residents. The cultural organizations have been increased in Jeju for the last decade, though have been also revealed to be mainly the professional associations or federations of organizations. The financial structure of the cultural organizations in Jeju, futhermore, is investigated to be poor because they have been mainly supported by local government of Jeju. The enjoyment degree of the cultural life is revealed to be a little higher than that of the main land in Korea. The need for the practical participation in cultural life has been appeared to be getting stronger. Due to their need, their satisfaction degree has been showed to be a little lower. Thus, we propose the following policies such as the construction of the cultural amenity, the vitalization of mecenat movement, the extension of art market including a secured loan, the systematic support for the practical participations of the residents, and the positive drive forward `Jeju, the island of culture and art.`

      • KCI등재

        고려말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

        강만익 ( Kang Man Ik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6 탐라문화 Vol.0 No.52

        이 논문은 고려 말 원 제국이 탐라(제주)에 설치했던 탐라목장의 운영과 영향에 대해 조명한 것으로, 원 제국은 1273년 고려군과 함께 제주도에 있는 삼별초 군대를 진압했다. 그 후 탐라를 직할지로 삼은 원 제국은 1276년 8월 군마를 생산하기 위해 탐라 목장을 설치했다. 이 목장은 제주 地域史에서 최초로 등장한 것이었다. 원 제국은 탐라의 다루가치로 임명된 타라치에게 말 160필과 목축 전문가인 하치들을 보내 탐라목장을 운영하도록 했다. 이 목장은 1276년에 제주 동부지역의 수산평 그리고 1277년에 서부지역의 차귀평에 입지했다. 원 제국의 탐라목장 설치는 제주지역 목초지에 대한 정복과 지배의 여정을 알리는 신호탄이었다. 원 제국은 제주의 동부지역을 東아막, 서부지역을 西아막으로 삼아 이곳의 목장을 조직적으로 관리했다. 아막은 넓게는 道·郡 등에 해당하는 행정단위, 좁게는 목장을 관리하는 본부의 역할을 했으며, 동·서 아막 내에는 몽골인들의 전통 집인 게르와 城이 있었다고 추정된다. 목장이 설치된 초기에 원 제국은 일본 정벌을 앞두고 있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하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1295년에야 원 조정에서는 관리를 보내 탐라에서 말을 반출해갔다. 이것은 탐라목장이 안정적으로 운영되고 있는지 즉, 목장 운영시스템을 점검하기 위해 취해진 조치로 해석된다. 1296년 원 제국은 탐라목장을 전담해 운영할 단사관[자르구치]을 파견했다. 1300년 원 제국은 사망한 황후의 마구간 말을 탐라목장에 방목했고, 탐라총관부를 일시적으로 부활시키는 등 목장운영에 적극성을 보였다. 그러나 1350년대에 들어와 공민왕이 반원 정책을 전개하고, 명나라가 고려에 탐라 말 2,000필을 요구함에 따라 하치들이 집단적으로 저항했다. 이것은 ``목호의 난``으로 알려지며, 이에 따라 공민왕은 탐라에서 원의 세력을 척결하기 위해 최영 장군에게 탐라의 목호세력에 대한 정벌을 명령했다. 그 결과 목호군이 1374년 최영 군대에 의해 진압되면서 목호세력은 큰 타격을 받았으며, 몽골인이 운영했던 몽골식 탐라목장이 쇠퇴하기 시작했다. 탐라목장이 운영되는 과정에 몽골인 거주 마을이 형성되었으며, 다양한 몽골식 목축경관이 등장했고 몽골의 목축문화가 탐라사회로 전파되었다. 이 목장에 대한 탐색 결과, 조선시대 제주도에 설치되었던 국영목장과 산마장 등은 일정 부분 제국이 운영했던 탐라목장과 연관성이 있어 보인다. 탐라의 목축 방식 역시 원 제국의 하치들이 탐라에 전파했던 목축문화에 뿌리를 두고 있다고 본다. This paper sheds light on actual conditions and influence of the Tamra Ranch in the late Goryeo Dynasty that was established by Mongol Empire. In 1273, the Mongol Empire(the Yuan Dynasty) suppressed the Sambyeolcho[三別抄] army in collaboration with the Goryeo Army in in Jeju Island. Khubilai Khan of the Mongol Empire, who put Tamra under the direct control, established a ranch in Tamra to produce military horses in August 1276. The ranch, established for the first time in the history of Tamra, was operated by the Tarachi designated by the Darughachi of Tamra with 160 horses and the dispatched stock farmers(Khachi). The Tamra Ranch[耽羅牧場] was separately located in Susanpyeong [水山坪] in the Eastern area of Jeju in 1276 and in Chagwipyeong[遮歸坪] in the Western area in 1277. Establishment of the Tamra Ranch by the Mongol Empire was the signal to inform the journey of conquest and domination over the pasturelands in Jeju Island. The Mongol Empire built the Eastern Aimaq[阿幕] and the Western Aimaq to systematically operate the ranch. The Aimaqs served as a headquarters to manage the ranch, and Gers and castles were within the Aimaqs. The Mongol Empire did not take out horses from Tamra to the Mongol Empire at the beginning of the ranch, since the empire was planning to conquer Japan. The Mongol Empire started to take out horses from Tamra via the government officials in 1292. This was aimed to check whether the Tamra Ranch was operated in a stable manner and examine the ranch operation system. The Mongol Empire dispatched the Jarguchies[斷事官] to Tamra to operate the ranch in 1296. The Mongol Empire put the horses of the stable owned by the deceased empress to pasture in the ranch in Tamra in 1300, and actively operated the ranch by temporarily reviving the Tamlachonggwanbu[耽羅摠管府]. As King Gongmin developed the policies against Mongol in the 1350s and the Ming Dynasty requested 200 horses in Tamra to Goryeo, Karachies staged a revolt. With the revolt, known as the ``revolt of Mongol malchin``, King Gongmin ordered General Choi Young[崔瑩] to conquer the Mongol malchin[牧胡] to eradicate the Mongol forces. As the main military force of Mongol malchin in Tamra was collapsed by General Choi Young`s Goryeo troops in 1374, the Mongol malchin, who ran the ranch in Tamra, were hit hard, whereby the Tamra ranch started to be declined. With the operation of the Tamra Ranch, the Mongolian`s village was formed for the Mongolian officials, Khachies and prisoners and the culture of stock-farming was spread to the Tamra society. According to the research on the Tamra Ranch, it is concluded that Gukmajang[國馬場]-the national ranch of Joseon-Dynasty and Sanmajang [山馬場] established in Jeju Island in the Joseon Dynasty were mostly took over from the Tamra Ranch, which as ran by the Mongol Empire. It is also considered that the methods of stock-farming were rooted in the culture of stock-farming that was spread to Tamra by Mongolian Khachies.

      • KCI등재

        특집논문 : 제주와 미래가치 ; 제주문화의 세계화를 위한 방안 연구

        허남춘 ( Nam Choon He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4 탐라문화 Vol.0 No.44

        ‘세계화’가 시대적 소명이 되어가면서 한국문화의 세계화는 문화산업의 근간처럼 말하고 있다. 국가와 민족 단위의 문화를 논하는 단계에서 하위 단위의 지역을 중시하는 경향도 나타나 세방화(세계지방화, Glocalization)가 함께 추진되고 있다. 그래서 제주문화도 세계화에 관심을 두기 시작했다. 한국문화의 세계화 전략이 예술·전통·생활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모색되었고, 지난 세기에 비하면 비약적인 성공을 보인 점도 인정되지만 아직 초보 수준이다. 음악·드라마·영화에서 ‘한류’를 형성하고 그 상승기류를 타고 한식이 부상하고 있다. 전통문화를 활용한 문화콘텐츠 생산에도 심혈을 기울이면서 한국 문화의 정체성을 규명하고자 하는 연구도 활발하게 이루어진 점을 긍정적으로 평가한다. 제주문화의 세계화 전략도 그 정체성 규명에서 시작돼야 하고, 제주문화의 힘 내부에 작동하는 원리를 찾아야 한다. 문화의 이론화가 선행 작업이어야 한다. 그래서 문화 연구를 위한 연구자 양성이 필수적이다. 다음으로 문화의 이미 지화·정보화·기호화를 통해 이미지를 제고해야 한다. 아울러 문화를 활용하여 기획하고 연출하고 공연할 인력양성과 문화 확산에 주력해야 한다. 삶의 총체적 현상으로서의 문화를 산업화하는 데도 나서야 하니 문화콘텐츠 개발 전략이 21세기 화두다. 제주는 콘텐츠의 기반이 되는 이야기가 풍부하다. 특히 구비 신화는 세계적인 수준이어서 스토리텔링을 통한 문화콘텐츠 산업의 전망은 매우 밝다. 장수식품과 음식문화, 해녀를 위시한 해양문화, 돌하르방과 돌담과 같은 돌 문화도 세계인에 친숙하면서도 제주만의 독특함을 간직하고 있어 세계화가 폭넓게 진척될 수 있다. 세계화의 단서가 있으니, 문화 연구자 양성과 이론화 작업과 같은 문화 토대 사업이 전제조건임을 밝혔다. While ‘globalization’ becomes the calling of the times, the globalization of the Korean culture says like the basis of the culture industry. The tendency to make much of the area that was a national low rank unit appeared, and Glocalization became a target of the interest. So the Jeju culture has begun to establish interest for the globalization, too. A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Korean culture was groped for in various fields for example Art· Tradition·Life culture. There was success that was more rapid than a last century, but still a beginner level. ‘Korean wave’ was formed in a Music· Drama·Movie, and Korea food succeed in a globalization with such situation. Korea put the energe to the culture contents production that utilized traditional culture, and the study to think of identity of the Korean culture consisted lively. The globalization strategy of the Jeju culture must begin with the identity searching too. And we must look for a principle to operate in the power inside of the Jeju culture. There must be theorization of the culture by the precedent work. So the researcher training for culture studies is required. Next, we must improve an image of the culture. We must concentrate power on the talented person training and culture diffusion at the same time. If it comes to look like this, ability to plan culture, and to direct it, and to give a performance grows up. A development strategy of culture contents to make culture industry is a topic of the 21st century. A story to become the base of contents is rich in Jeju. The possibility of the culture contents industry is very bright because the folklore myth is a global standard. Also food culture, marine culture, the stone culture can be made the world. There is not only familiarity to cosmopolitan but also uniquity in Jeju culture. The handhold of the globalization is in Jeju. Therefore operation based on culture such as the culture researcher training and the theorization must be performed.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제주전통음식문화의 현대적 의미 모색 -인간관계망의 회복과 관련하여

        강수경 ( Soo Kyoung Kang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09 탐라문화 Vol.0 No.35

        본 연구는 제주의 전통음식의 현대적 의미 모색을 통해 오늘날 피폐해진 식문화의 개선 방안을 찾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주의 전통음식은 생태적 식자원의 사용과 전체 공동체를 유지하기 위한 자발적 음식자원의 배분방식의 특징을 보여주는데, 이것은 오늘날 살아가는 사람들의 음식문화에 많은 시사점을 던져주고 있다. 특히 생태적 식자원의 사용과 음식자원의 배분 이면에 담긴 총체적이고 신뢰적인 인간관계망의 형성과 전체 공동체 유지를 위해 자원을 윤리적으로 배분하는 제주전통음식문화의 특징은 오늘날 음식문화를 통해 드러난 인간 신뢰의 파괴와 집단 이기주의, 각종 불평등 현상 문제 등을 해결하는 데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는 제주전통음식의 많은 현대적 시사점에도 불구하고 인간관계망 회복과 관련하여 어떤 의미를 모색해 볼 수 있는지 살펴보았다. This study is on a traditional food of Jeju province. Today, with the modern food becomig poor, we have had some problems. This study aims at improvement of food culture and finds good methods through traditional food. There are a few good points in Jeju food. Most of all, Jeju cuisine uses a fresh food of nature and ecological raw materials. Especially, Jeju people share their food with neighborhood and form their relations by the medium of food. As a result, it helps greatly to make common prosperity through contributing food willingly in Jeju society. It gives moral lessons and implication to modern people who are too busy to eat nicely. Recently, we live in a busy social system. So, we eat a lot of artificial food such as fast food, junk food, etc. It has caused problems which are disease, collective selfishness, lack of humanism. We need to find solutions to a problem. The study is focusing on how we apply Jeju traditional cuisine`s merit to human nature by providing date to recover human relationship in our modern society.

      • KCI등재후보

        문화유산으로서 제주해녀의 관광자원 선택속성, 영향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관광객과 지역주민 간 비교를 중심으로-

        현홍준 ( Hong Jun Hyun ),서용건 ( Yong Kun Suh ),고계성 ( Kye Sung K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0 탐라문화 Vol.0 No.37

        본 연구는 사라져가는 제주지역의 해녀를 대상으로 지역주민과 관광객들이 느끼고 있는 선택속성 인식 및 관광자원화가 되었을 경우 나타날 수 있는 효과를 조사하고 원형 보존과 가치성을 모색하여 제주해녀가 지역주민과 관광객들과의 공생을 통해 나아갈 수 있는 보존 방향 모색에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경험적 연구를 병행하였는데 문헌연구에서는 문화유산관광, 관광상품화 영향인식과 관광정책적 접근방향에 대한 연구의 표본과 연구목적들을 중심으로 고찰하였으며, 통계프로그램인 SPSS 12.0과 빈도분석, 모든 변수들의 기술통계량을 제공받고자 기술분석, t-test, ANOVA, 회귀분석을 통해 연구결과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제주해녀를 바라보는 시각이 지역주민과 관광객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제주해녀가 "대표성을 띠고 있다", "희소성 가치가 높다"가 가장 높은 차이를 보이고 있으며, 다음으로 "지역문화적으로 가치가 높다", "지방적이다", "해녀에게 접근이 용이하다", "보전가치가 높다", "계승할 필요가 있다" 조사되었다. 제주를 대표하는 문화코드, 보존을 통한 가치성 지속 등 문제점 보안을 통하여 추후 제주해녀를 보존, 보전, 계승, 발전할 수 있는 문화정책을 찾아나가야 하며, 해녀에 관한 관광객과 지역주민간의 인식차이를 정확히 파악하여 향후 제주 문화유산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The study examined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tourists` perceptions on the woman divers known as Haeyeo, which has been recognized as the cultural heritage and regional icon. in Jeju island. Their numbers has declined but their value has increased as of one of the major cultural heritages to preserve originality. To find out the differences between residents and tourists, the 19 attributes were applied, and a total of 279 respondents are required to rate the perception for each attribute. Findings indicated that woman divers would be the best icon of cultural heritage and valuable asset for Jeju island. They also have very unique value for preservation to both tourists and residents. To be continue this, several things, including fund, facilities, programs for tourism and education for woman divers should be supported. Even though survey methods and used attributes may be a limitation of this study, this result of the paper might assist tourism policy for woman divers` preservation to be the sustainable asset.

      • KCI등재

        제주지역 불교(佛敎) 석조미술(石造美術)의 특징과 의의

        엄기표 ( Eom Gi-pyo ) 제주대학교 탐라문화연구소 2017 탐라문화 Vol.0 No.54

        제주지역은 오래전부터 육지를 비롯하여 외국과의 교류가 있었음이 기록이나 유적, 유물 등을 통하여 밝혀지고 있다. 따라서 제주지역에도 고대에 불교가 전래되었을 것으로 보이는데, 아직까지 이러한 사실을 입증해주는 결정적인 자료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가 성행하면서 제주지역도 불교 신앙이 확대되었으며, 여러 곳에 사찰이 창건되었다. 고려후기에는 제주도가 중요한 지역으로 부각되면서 여러 사찰들이 창건되면서 불교문화도 크게 발전했다. 조선시대에는 중앙정부에 의한 억불숭유정책이 추진되었지만 제주지역은 여전히 불교가 신앙되었다. 다만 조선후기 제주지역의 불교는 일시적인 훼불정책에 의하여 위축되기도 했지만 불교신앙은 지속되었다. 현재 고려와 조선시대 제주지역의 불교문화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유적은 수정사지, 법화사지, 원당사지, 존자암지 등이다. 그리고 제주지역 불교문화의 양상을 비교적 잘 보여주는 유물은 수정사지 청석탑, 원당사지 오층석탑, 존자암과 태암사지 부도, 동자복과 서자복 등 내구성이 강한 석조미술이다. 제주지역의 불교문화는 재래의 민간신앙과 습합된 양상을 보여 통불교로서의 특징을 가장 잘 보여주고 있다. 또한 동시대 육지의 불교문화와 친연성을 보이고 있어, 제주지역의 불교문화는 육지와 지속적인 교류가 이루어지면서 발전했음을 알 수 있다. 다만 제주지역에는 시대별 불교문화의 양상을 구체적으로 파악할 수 있는 유적과 유물이 많지 않은데, 앞으로 많은 자료들이 출토되기를 기대한다. The Buddhism has been officially recognized in the Three Kingdom Ages. It has become much larger and more brisk, buddhist culture was in flourish at the Unified Silla. It was centering around the East Asia in those days. At that time, the Ancient Jeju country was interchange between the land and the foreign country. This fact is identified as the relics and remains of the jeju province. In view of these facts, we can estimate that the Buddhist flow in Jeju province. But, we have no the certain evidence. The Buddhism was deeply religious in the Korea dynasty. The Buddhist temple had been established all over the country. It is not very long since the Jeju province was established the Buddhist temple. Especially, the Buddhist temple had been intensively established in the late Korea dynasty. Therefore, we can know that the Buddhist culture has great developed in the late Korea dynasty. The Buddhism keep the central religion of Jeju province in the Korea dynasty. This tendency maintain till the Chosun dynasty. At one time, many Buddhist temple were demolished by the Jeju government official. After a file, the Buddhism got back central religion in the Jeju province. Those representative temples were the Suchung-temple, Bubhwa-temple, Wondang- temple, Jonjaam-temple within the Jeju province. The Buddhist culture of Jeju province had been mixed with a popular belief more than the land. That is also reflected of the geographic specific character. The Buddhist center culture of Jeju province is the stone art. It was within the same range culture of the land. But, the Jeju region is not enough buddhist relics and remains for Buddhist history and culture, development, and aspect of the Jeju province. Put our hope in expectation of an epoch-making discove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