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공연예술로서의 굿

        이애현 한국무용연구회 2008 한국무용연구 Vol.26 No.2

        본 연구는 현장성, 집단성, 그리고 즉흥적 창조성으로 특징되어지는 우리 전통 문화의 특성들이 오늘날 새로운 공연 예술의 양식으로 재구성되고 재창조되는데 필요한 분석의 틀을 찾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따라서 굿을 연구 대상으로 하며 퍼포먼스적 공연의 시각으로 리차드 쉐크너의 이론을 바탕으로 해서 분석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굿은 3단 구조의 틀을 가지고 있으며 이런 3단 구조는 반게넵의 분리, 전이, 통합의 제의 분석 개념의 적용이 가능하게 하며, 퍼포먼스의 특성인 총체성과 현장성, 개방성, 즉흥성, 유동성, 공동 참여자로서의 관객, 집단성 등이 굿에서도 그대로 찾을 수 있는 특성들인 것으로 나타났다. 또 굿의 진행형식을 리차드 쉐크너의 7단계 분석이론으로 분석한 결과 퍼포먼스적 공연 예술의 범주에 굿의 적용이 가능하다는 결론과 더불어 퍼포먼스와 굿의 공통적 특성을 바탕으로 굿을 자연발생적 공연예술인 내츄럴 퍼포먼스로 정의할 수 있었다. The study was aimed to look the base of analyzing works in order to restructure and newly invent our traditional cultural specialties. The "Gut" was selected for the study from the viewpoint of performance art and investigated analyzed based on the Richard Shakes theory. The study proves that the "Gut" consists of 3 step structure, applicable to Van Gennep`s concept of separation, transfer, assembly abd contains the typical characteristic features of performance arts such as totality, openness, improvisation, field work, unsteadiness, audience as participants. The procedure of `Gut` performance can be analyzed by the 7 step analysis concept of Richard Shake and, therefore, the `Gut` can be categorized as a performance art as a conclusion of the study. Furthermore, the `Gut` could be defined as a natural performance art which has been created by nature, with the bases of its own common characters.

      • KCI등재

        무당내력류의 감응청배 거리와 제석거리에서 나타난 굿춤의 도상적 해석

        이애현 서울역사편찬원 2016 서울과 역사 Vol.- No.94

        Mudang Naeryeok is an illustrated book that describes the tunes of major guts in Seoul in 19th century using pictures and is known to have been written by Nangok (蘭谷) The editions of Mudang Naeryeok are comprised of seven different books with four recently excavated books added to the original three books. Examining a full collection of Mudang Naeryeok editions, including newly found books has identified that individual dance moves convey independent symbolisms instead of being identical although they look similar to one another. An in-depth iconographic analysis on the movements of Gameungcheongbae and Jeseokgeori gut-chum described and illustrated in a collection of Mudang Naeryeok editions along with the analysis on three major elements of gut-chum movements has obtained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the Gameungcheongbae and Jeseokgeori gut-chum contained in a collection of Mudang Naeryeok editions look similar but are comprised of different movements with one another. Second, I was able to identify the information on the space where chum is performed, venue of performance and on the social status of performances. Third, I have been able to understand the progress direction of chum, an analysis factor on the connectivity of body parts among bodily analysis as well as the analysis factors of bodily formation. Fourth, I have understood the symbolic movements of each tune through the movement of arms that falls under the category of movement analysis. Fifth, an analysis on the shapes could be made by understanding the direction of shamanic materials, and I was able to understand what shapes drawn in the air represent by examining and inspecting the directions pointed by shamanic materials. A single picture goes a long way in helping us guess and identify a lot of movements and their symbolic meanings and physical beauty. Today, the iconographic interpretation of Mudang Naeryeok style gut chum should be conducted on an individual geori (tune) basis, based on which we are expected to identify the framework of prototypical symbolic movements of Seoul Gut Chum. In addi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facilitate a further development and transition of relevant studies from the first-phase iconographic analysis to the second-phase iconographic technology and the third-phase iconographic interpretation, eventually leading us to understand the original symbolic meanings and implications and the beauty of implicit expressions and forms of gut chum through Mudang Naeryeok. 무당내력은 19세기경 서울지역 큰 굿의 각 거리를 그림으로 설명한 책으로 蘭谷이지은 책으로 알려져 있다. 무당내력의 이본들은 총 일곱 종으로 원래 세 종류로 알려져 있었으나 최근에 네 종류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새롭게 발굴된 이본들이 포함된 총 일곱 종의 巫黨來歷 이본들을 검토한 결과 그려진 굿춤의 동작들이 유사한 형태로 보이지만 각각의 동작들은 동일한 동작이 아닌 각기 독자적 상징성을 지닌 동작들로 그린 것이라는 점이 파악된다. 무당내력이본들의 감응청배와 제석거리 굿춤의 동작을 움직임, 자세, 몸짓의 3요소 중심의 분석과 더불어 무용 도상적 연구방법을통한 연구를 진행한 결과 다음과 같은 연구결과가 도출되었다. 첫째, 무당내력이본들의 감응청배와 제석거리의 굿춤은 비슷해보이나 각각 다른 동작들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둘째, 춤이 이루어지는 공간에 대한 파악 및 연행 장소 및 연행자신분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있었으며, 셋째로는 신체 형태화의 분석요소들인 동시에 움직임의 분석 중 신체 부위 연결성의 분석 요소인 춤의 진행 방향을 알 수 있었다. 넷째, 동작(action) 분석 중 몸짓(gesture)분석에 해당하는 팔동작을통해 나타나는 거리 별 상징동작에 대한 파악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무구의 방향성 파악을 통한 형태(Shape)분석이 가능한데, 무구가 가르치는 방향성을 통해 허공 속에서 그려지는 형태 의미를파악할 수 있었다이처럼 단 한 컷의 그림을 통해 우리는 많은 움직임을 추측하고 그움직임의 상징의미와 형태미를 찾을 수 있다. 현재 무당내력류 굿춤의 무용 도상적 해석은 각 거리별로 이루어져야 하며 이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서울굿춤의 원형적 상징 동작들 의 틀을 찾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또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의 단계가 심화 발전 되어져 무당내력을 통해 굿춤의 본원적 상징의미와 함축적 표현 형식미를 파악해야 할 것이라 여겨진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