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려시대 서울 연구의 흐름과 과제

        김도연 서울역사편찬원 2018 서울과 역사 Vol.- No.100

        Seoul has history of 2,000 years, and it was second level metropolis during middle ages-Goryeo Dynasty. It was called Yangju, Namgyeong, Hanyang. After King Munjong set up the city, it was called Namgyeong. It was not a capital, but it was second largest and nearest city of capital Gaegyung. And now it is biggest city and capital of Korea. But there is a very short study of the Seoul area in the Goryeo Dynasty. Early studies are focused on installation of Namgyeong, and its change processes. King Munjong set up Namgyeong, King Sukjong rebuilt the city and the palace. And the scholars of early days thought the purpose of building Namgyeong was based on feng shui geography. In the 1990s the studies on Namgyeong was further deeper. People, administrative organization, king’s march, population of Namgyeong had been studied. But only two research books were published in the early 2000s, there is no more specialized research books on Namgyeong. In 2014~2016 Seoul Historiography Institute published <2,000 history of Seoul>. And It has 3 books of Goryeo period section. There are studies on politic, economy, religion, culture, etc. of Namgyeong. Of course,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the lack of new theories in the existing discussions and the lack of discussion in the socioeconomic and ideological cultures, but it is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earch of Namgyeong in the Goryeo period has been faithfully compiled. However, the research on Namgyeon in the Goryeo Dynasty is still lacking. The main reason is the lack of historical data. Eventually we have to find another way. And excavation of artifacts and relics can be a good solution. They will fill the shortage of historical data. 서울의 2,000여 년의 역사에서 중세사회였던 고려시대에는 부도로 서 존재하였다. 고려시대의 서울 지역은 수도는 아니었지만, 그 다음 의 위격을 갖는 주요 대도시로서 지방 행정 조직의 최상단에 위치해 있었으며, 수도 개경의 가장 근거리에 위치한 중요 도시였다. 그러나 이러한 위격에 비해 고려의 남경에 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다. 초기의 연구는 문종・숙종 조의 남경 설치와 변화 과정을 순차적으 로 주목하였고, 남경의 설치 원인을 주로 풍수지리사상과 연결해 해 석하였다. 1990년대 이후에는 남경 연구가 조금 더 심화되어 남경의 인물, 남경 관원과 행정조직, 국왕의 남경 순행, 남경의 인구와 사회 등으로 연구 범위가 확장되었다. 더불어 남경 설치의 정치적 배경을 다시 살피기도 하고, 문종조의 남경 설치를 다시 생각해야한다는 주 장 등 다양한 논의가 펼쳐지기도 했다. 하지만 종합연구서가 2000년대 초반에 2권 발표되었을 뿐, 남경에 대한 정치・경제・사상・문화 등을 종합적으로 살피고 우리나라 역사의 통사적 입장에서 중세 서울을 다룬 연구서적이 등장하지 못한 한계 도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서울역사편찬원(구 서울특별시 시사편찬위 원회)에서 발간한 서울2천년사 고려편은 매우 의미있는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물론 기존 논의에 새로운 이론을 더하지 못해 논의 확장 하지 못한 점, 사회경제・사상문화 부분 등에서 사료의 부족으로 추론 이 많다는 점 등은 한계를 갖고 있지만, 지금까지의 고려시대 남경 연구를 충실히 정리하고 이를 편찬했다는 점은 주목해야할 부분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고려시대 남경은 연구도 부족하고, 연구에 대한 인식도 부족한 상태이다. 부족한 사료가 가장 큰 원인이겠지만, 고려 시대의 남경의 위상과 현재 수도 서울의 위상에 비춰볼 때 중세사회 인 고려시대의 부도 남경에 대한 연구는 아직도 매우 부족한 것이 현 실이다. 高麗史 세가와 지리지의 일부 기록과 백관지의 행정조직, 식화지의 관리 녹봉 규정 등이 전부인 사료로는 남경의 구체적인 운 영, 경제생활, 사상과 문화 등을 심도 깊게 살펴보기란 사실 상 불가 능하다. 결국 다른 방식의 연구만이 부족한 사료를 채울 수 있는 유일한 해 결책이라고 생각되는데, 바로 고고학적 발굴 성과를 좀 더 주목할 필 요가 있다. 그리고 새로운 발굴지를 찾는 것도 중요하다. 먼저 이미 알려진 고려시대 유물과 유적에 대해서도 재조명이 필요하다.

      • KCI등재

        영상자료로 보는 서울의 공간 이미지 변화와 주체의 시선-1950~60년대 문화영화와 극영화를 중심으로-

        이하나 서울역사편찬원 2021 서울과 역사 Vol.- No.109

        This article is an essay that attempts to read Seoul through video materials by examining the changes in the spatial image of Seoul in culture and feature films in the 1950s and 1960s in terms of the subject's perspective. Tracking Seoul's image and sensibility historically is a matter of perception, attitude, emotion, and gaze toward Seoul, and films are suitable media to deal with moving images and changing gazes. When viewed through cultural films and drama films in the 1950s and 1960s, the change in the image of Seoul is based on the actual change in scenery, but it is also a change in the visual experience of looking at it. The change from a south-to-north perspective in the past to a north-to-south perspective in the 1950s represents the progress of democracy, and the shift from left-right to top-down movement in the 1960s corresponds to the changes of this period and at the same time symbolizes such changes. Both culture and feature films avoided traces of colonization and war in the 1950s in the mood of romance, and during the transition period in the early 1960s, subjects standing uneasy at the crossroads of despair and hope tried to seal the anxiety with joy. From the mid-1960s to the late 1960s, society became more conservative, and Seoul was trapped in a typical discourse on development that construction and expansion were development. Culture films during this period have an attitude that Seoul's developed appearance is evidence of happiness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but the feature films presents a view of reflection through people wandering around the city's streets with a simple belief that they will someday achieve happiness if they live hard under given conditions. The way the spatial image of Seoul is reproduced in the movie eventually displays the way the emotions and affects of the people of Seoul of the time are expressed. 이 글은 1950~1960년대 문화영화와 극영화에 나타난 서울의 공간 이미지 변화를 주체의 시선이라는 측면에서 살펴봄으로써 영상자료를 통한 서울 읽기를 시도해 보는 시론이다. 서울의 이미지와 心象을 역사적으로 추적한다는 것은 서울에 대한 인식과 태도, 감성 그리고 시선의 문제이며, 움직이는 이미지와 변화하는 시선을 다루기에 영화는 적합한 매체이다. 1950~1960년대 문화영화와 극영화를 통해 보았을 때 서울 이미지의 변화는 실제 풍광의 변화에 기반한 것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바라보는 시각 경험의 변화이다. 서울을 바라보는 시선이 과거 남쪽에서 북쪽을 바라보는 시선에서 1950년대에 북쪽에서 남쪽을 바라보는 시선으로 변화한 것은 민주주의의 진척을 표상하고 있으며, 1960년대 서울을 바라보는 시선이 좌우 이동에서 상하 이동으로 전환되어 가는 것 등은 이 시기 시대의 변화에 상응한 것이자 동시에 그러한 변화를 상징하는 것이기도 하다. 문화영화와 극영화 모두 1950년대에는 식민지나 전쟁의 흔적을 낭만의 이름으로 회피하고 있으며, 1960년대 초의 과도기에는 절망과 희망이 교차하는 선택의 기로에 불안하게 서있는 주체들이 애써 그 불안을 유쾌함으로 봉합하려는 시도가 엿보인다. 1960년대 중반에서 후반으로 넘어가면서 사회는 더 보수화되었고, 서울은 건설과 확장이 곧 발전이라는 전형적인 발전 담론 속에 갇혀 있었다. 이 시기 문화영화는 서울의 발전된 모습이 곧 개인과 공동체의 행복의 증거라는 식의 태도를 취하고 있지만, 극영화는 주어진 조건에서 열심히 살면 언젠가는 행복을 이룰 거라는 순박한 믿음이 여지없이 배반당하는 현실과 개인이 따라갈 수 없는 속도감으로 움직이는 도시의 거리를 배회하며 방황하는 인물들을 통해 성찰의 시각을 제시한다. 영화 속에서 서울의 공간 이미지가 재현되는 방식은 결국 당대 서울 사람들의 심성과 감성이 표출되는 방식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1960년대 서울의 확장과 市營버스의 등장

        최인영 서울역사편찬원 2019 서울과 역사 Vol.- No.101

        This paper examines the expansion of Seoul's administrative district in the 1960s and the subsequent muncipal bus. The emergence of the muncipal bus meant that the traffic system of Seoul in the past focused on the streetcar transportation had changed, and served as an opportunity for the undeveloped areas to become new locations for the life zone in Seoul. At that time, Seoul needed to deal with the rapid population growth and urban problems. Mayor Kim Hyun-ok(金玄玉), who took office in 1966, made his first pledge <to ease traffic congestion in Seoul>, and resolutely took over the streetcar business of Korea Electric Power Corporation(KEPCO), which was a deficit business. That was done by urban development, but it also replaced the city-limited streetcar traffic with bus traffic in line with Seoul's expansion. Accordingly, in 1967,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et the development of the outskirts as its goal of the municipal administration with the slogan ‘The Year of Construction Rush’. In the outskirts of the city, a settlement had been formed for the relocated residents from dwellings to be demolished, who had moved to urban development. They were given more than eight to twelve pyeong(坪) of land per household, and some returned to the urban area after resale of that land.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d to arrange transportation so that the relocated residents wouldn't return to the urban area. However, it was difficult to expect this from private transport companies that only sought the ‘golden route’. Eventually,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begun the bus business in the name of ‘Establishment of Comprehensive Countermeasures for Capital Transport’ and ‘Civil Service-focused Transportation System’. In addition, the muncipal bus operation was designed to help employees prepare countermeasures after the removal of the streetcar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accommodated the streetcar employees who have obtained driver's licenses in the bus business as much as possible. Those muncipal buses were operated by setting up migrant settlements in the urban border areas as the last stop. There were 6 bus routes in total, of which all but the Sanggye-dong Rout were located in south of the Han River. At that time, Seoul expanded to the wide areas of south of the Han River, but at the time of the opening of the muncipal bus, there were only three bridges(Hangang Bridge, Gwangjin Bridge, and Yanghwa Bridge). In this way, the operation of the muncipal bus has become a long and rough journey with the addition of bypass sections to long distances. The muncipal bus reviewed above was the first mass transportation to reach the new locations of Seoul.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started the bus business with challenges of the era of urban movement of the residents living in the migrant settlement and the removal of the streetcars. In the end, the muncipal bus served to connect the a newly incorporated border areas in Seoul as one living zone. 이 논문은 1960년대 서울의 행정구역 확장과 이후 등장한 시영버스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시영버스의 등장은 그 동안 전차교통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교통체계가 변화되었음을 의미하며, 서울의 생활권으로 미개발지였던 신편입지가 포함되는 계기가 되었다. 이 시기 서울은 급격한 인구증가와 도시문제의 해결이 필요한 상황이었다. 1966년 부임한 김시장은 ‘서울의 교통난 완화’를 첫 공약으로 내세웠고, 이를 위해 적자사업이었던 한국전력(주)의 전차사업을 과감히 인수하였다. 이는 도심개발에 의한 것이었지만, 장기적으로는 도심에 한정된 전차교통을 서울의 확장에 맞추어 버스교통으로 대체하는 작업이었다. 이에 따라 1967년 서울시는 ‘건설 돌진의 해’라는 구호와 함께 변두리 개발을 시정목표로 삼았다. 시 외곽지역에는 도심 개발로 이주해 온 철거민들의 정착지가 형성되어 있었다. 이들에게는 가구당 8~12평 남짓한 토지가 주어졌고 일부는 자신의 토지를 전매한 후 도심으로 회귀하였다. 이러한 상황 속에 서울시는 철거민들이 도심으로 돌아오지 않도록 교통편을 마련해야 했다. 하지만 ‘황금노선’만 찾는 민간 운수업체에게 이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상황이었다. 결국 서울시는 ‘수도교통의 종합적 대책 수립’과 ‘대시민서비스 위주의 교통체계’라는 미명 하에 버스사업을 시작하게 된다. 더욱이 시영버스는 전차철거 이후 종업원들의 대책마련을 위한 것이기도 했다. 서울시는 자동차 운전면허를 취득한 전차종업원을 최대한 버스사업에 수용하였다. 이러한 시영버스는 시 경계지역의 이주정착지를 종점으로 운행하였다. 버스노선은 모두 6개였으며, 이 중에서 상계동을 제외한 지역이 모두 한강 이남에 분포한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당시 서울은 한강 이남의 넓은 지역까지 확대되었으나, 시영버스가 개통된 시점에 한강 교량은 단지 3개(한강대교, 광진교, 양화대교) 뿐이었다. 이처럼 시영버스의 운행은 장거리에 우회구간이 추가되면서 멀고 험난한 여정이 되었다. 지금까지 살펴본 시영버스는 서울의 신편입지역까지 운행한 최초의 대중교통이었다. 서울시는 이주정착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도심 이동과 전차 철거라는 시대적 과업을 안고 버스사업을 시작하였다. 결국 시영버스는 새롭게 서울이 된 시 경계지역까지 하나의 생활권으로 연결하는 역할을 하였다.

      • KCI등재

        노래로 기억하는 6.25전쟁과 서울-1950년대 노래책 『대중가요』 제1,2,3집 수록곡을 중심으로

        장유정 서울역사편찬원 2021 서울과 역사 Vol.0 No.107

        This paper examines the appearance of popular songs in the 1950s, with the Korean War and Seoul as the key words. Seoul songs released in the 1950s can be divided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depending on the lyrics. A series of events that led to the Korean War, the armistice, and postwar reconstruction that broke out in 1950 completely changed our daily lives. The family was disbanded and many people lost their hometowns and homes and had to wander. In particular, during the war period, "Busan" became the capital of the country, and popular songs often featured spaces of refuge, including Busan. Therefore, Seoul songs of the 1950s need to look at the previous and subsequent periods together. There were already concerns about war before the war, and after the armistice, the aftermath of the war continued until the 1960s. For this reason, this paper focused more on the "space" of Seoul than the "event" of war and looked at the relevant aspects. In particular, three popular song books released in the late 1950s, which were not well known until now, were the main subjects of the analysis. It is a collection of songs related to Seoul by researching all the song books. After dividing it into positive and negative songs, we looked at how each of them appeared. Among the songs in Seoul released in the 1950s, positive content was largely divided into 'Seoul of Reconstruction and Hope' and 'Seoul of Love and Youth'. These songs, which depicted reconstruction and hope-filled Seoul after the war, were characterized by the use of foreign words. And musically, there were many pop songs of medium tempo. Next, the Seoul songs, which contain negative contents, can be largely divided into the Seoul song of "Unkindness and Relentlessness " and the Seoul song of "Parting and Sadness." These songs capture the scars and pain of people who came to Seoul from the provinces in search of work after the war. It was also confirmed that Myeong-dong appeared frequently in songs from the 1950s as ‘Myeong-dong’ emerged as a city of culture and romance after the war. In the song, Myeong-dong was depicted as a space where the joy of love and the sorrow of parting coexisted. This paper looked at the aspects of Seoul songs by listening to specific works from the 1950s. However, it is also true that the information of songs of the 1950s is relatively inaccurate compared to songs of other times, and that they are not aimed at numerous works. Nevertheless, impressive features could be captured. Thus, supplementation and reinforcement of data are required in the future. 본고는 6・25전쟁과 서울을 핵심어로 하여 1950년대 대중가요의 모습을 살펴 본 것이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들은 노랫말에 따라 크게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눌 수 있다. 1950년에 발발한 6・25전쟁과 휴전, 그리고 전후 복구로 이어지는 일련의 사건들은 우리의 일상을 송두리째 바꾸어 놓았다. 가족은 해체되었고 많은 사람들이 고향과 터전을 잃고 떠돌아야 했다. 특히 전쟁 시기에는 ‘부산’이 피란 수도가 되면서 대중가요에도 부산을 위시한 피란지의 공간이 종종 등장했다. 그러므로 1950년대의 서울 노래는 1950년대를 기준으로 그 이전 시기와 이후의 시기를 아울러서 살펴볼 필요가 있다. 전쟁 이전에 이미 전쟁에의 우려가 있었고, 휴전 이후에는 전쟁의 여파가 1960년대 이후로도 계속되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사정이 있어서 본고는 전쟁이라는 ‘사건’보다 서울이라는 ‘공간’에 더 주목해서 그 양상을 살펴보았다. 특히 본고에서는 이제까지 잘 알려지지 않았던 1950년대 후반에 나온 세 권의 대중가요 노래책을 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노래책을 전수 조사하여 서울과 관련된 노래들을 모두 모았다. 이를 다시 긍정의 노래와 부정의 노래로 나눈 뒤, 그 각각의 모습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1950년대에 나온 서울 노래 중 긍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노래들은 크게 ‘재건과 희망’의 서울과 ‘사랑과 청춘’의 서울을 그린 노래로 나뉘었다. 전쟁 이후 재건과 희망이 넘치는 서울 모습을 그린 노래들은 주로 외래어를 사용한다는 특징을 드러냈다. 그리고 음악적으로는 미디엄 템포의 팝 계열의 음악이 많았다. 다음으로 부정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서울 노래는 크게 ‘비정과 매정’의 서울 노래와 ‘이별과 슬픔’의 서울 노래로 나눌 수 있다. 이러한 노래들은 전쟁 이후, 일자리를 찾아 지방에서 서울로 올라온 사람들의 상처와 아픔을 담아냈다. 또한 전쟁 이후, 명동이 문화와 낭만의 도시로 부상하면서 1950년대 노래에 명동이 자주 등장한 것을 확인하였다. 노래에서 명동은 사랑의 기쁨과 이별의 슬픔이 공존하는 공간으로 그려졌다. 본고는 1950년대에 나온 구체적인 작품을 들어 서울 노래의 양상을 살펴봤다. 하지만 1950년대 노래의 정보가 다른 시대의 노래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정확하지 않고, 수적으로 많은 작품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닌지라 여러 한계를 지니는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인상적인 특징은 포착할 수 있었다. 이에 앞으로 자료의 보완과 보강이 요구된다.

      • KCI등재후보

        서울 ‘광포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성

        권도경 서울역사편찬원 2009 서울과 역사 Vol.- No.73

        This paper was studied on 'Gwangpocheonseol' nationwidely distributed in Seoul legend. This study was attended to inquire into what discriminate Seoul lengend against another regions's and the way in which it is related to Seoul's identity. In Seoul 'Gwangpocheonseol‘ recorded to the present, exisit the lower types like 'baby-general legend'·'elder's pond legend'·'brother and sister's strength contest legend'·'moving mountain legend'. The identity and values, confirmed from these, can be indicated to three dementions. The first is the 'Centrality'. Seoul 'Gwangpocheonseol‘ make much more emphasis on contention for social hegemony and urban success-story in life. It seems that this shows Seoul's identity having been located as center of hegemony since Chosun(朝鮮) dynasty. This Seoul's 'Centrality' appears to relative distance to another resions or goods, natural object's moving to Seoul. The second is 'urbanism'. Seoul 'Gwangpocheonseol‘ is transformed to the way emboding the secularism. Giving much more empasis to the social, cultural strength than the mythical, physical's, it seems that Seoul 'Gwangpocheonseol‘ reflects urban values like social success. The third is 'metropolitan culturism including Gyeonggi-do(京畿道)'. Seoul is forming metropolitan culturism with Gyeonggi-do, because of giografical charicteristics being surrounded by it. This originality is confirmed by being condition of Seoul 'Gwangpocheonseol‘ that is possessed in the County of present Seoul with Seoul spaces, natural objects, mans, by Seoul citizen, but handed down in the County of Gyeonggi-do with Gyeonggi-do spaces, natural objects, mans, by Gyeonggi-do citizenin the past. 본 연구는 ‘서울 전설’ 중에서도 전국적으로 분포하는 ‘광포전설’을 대상으로 하여, 타 지역과 어떠한 차별성을 가지고 존재하는가, 그리고 이러한 차별성이 지니는 의미는 서울의 지역성과 어떠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가의 두 가지 문제를 고찰함으로써 서울 ‘광포전설’에 나타난 지역성을 규명하고자 한 것이다. 현재 채록된 서울 ‘광포전설’에는 한국 전역에 전승되는 ‘광포전설’의 하위유형 중에서 ‘아기장수 전설’, ‘장자못 전설’, ‘오뉘힘내기 전설’, ‘산이동 전설’이 존재하는데, 이들 서울 ‘광포전설’의 하위유형에서 확인되는 정체성과 가치관은 세 가지 국면으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중심성’이다. 서울 ‘광포전설’은 자연물의 유래 자체 보다는 계층적인 헤게모니 다툼이나 일상적 인간의 도시적 출세담을 중심으로 하고 있다. 이는 조선시대부터 기득질서의 중심지로 확고하게 자리잡은 서울의 정체성을 보여주는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서울의 ‘중심성’은 타 지역과의 상대적인 거리, 물자 , 재화, 자연물의 서울로의 이동 등으로 형상화되기도 한다. 두 번째는 ‘도시성’이다. 서울의 ‘광포전설’은 현실적 삶의 모습과 욕망을 반영한 도시적 ‘세속성’과 ‘일상성’을 구현하는 방향으로 변형되어 있다. ‘광포전설’의 기본형에서 확인되는 신화적, 물리적 힘의 크기 보다는 사실은 사회적, 문화적인 그것이 상대적으로 강조되어 있어서 사회적 성공이라는 도시적인 가치관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세 번째는 ‘경기도와의 광역문화성’이다. 서울은 경기도에 둘러싸여 있다는 지리적 특수성 때문에 경기도와 광역문화권을 형성하고 있다. 이러한 서울의 ‘경기도와의 광역문화성’은 현재의 서울 행정구역 내에서 서울의 공간과 자연물, 인간을 등장시켜 서울의 지역민에 의해 향유되지만, 과거에는 경기도의 행정구역 내에서 경기도의 공간과 자연물, 인간을 등장시켜 경기도의 지역민에 의해 전승되고 채록된 서울 ‘광포전설’ 일부 텍스트의 존재 기반에 의해 확인된다.

      • KCI등재후보

        미군정기 서울시 식량배급의 실제

        최영묵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1

        Reorganizing the administration and organizations regarding food which had been in chaos after the Liberation of Korea,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gave temporarily the authority of food distribution to Seoul city. Based upon this, Seoul city continued to demand to power for the control regarding rice distribution to the Government. But the Military Government tried to use the power regarding food distribution not through Seoul city itself but through Donhoe, basic administrative unit of Seoul city. This reflects the mistrust of the Military Government in Seoul city. The Government also thought that Seoul city could not justly perform food administration, because Seoul city was involved in bribes. Thus, the authority to distribute food distribution remained in the Military Government. The citizen of Seoul city was given about 2 hops(360 ml) of rice during the period of U.S. Military Government in Korea. Regarding food distribution free market policy was adopted after U.S Army had landed in South Korea. But Seoul citizens faced with the problem of soaring increase of food price owing to food crisis. Thus, Seoul citizens came to take socio-political activities including demonstration against the rapid increase of food price before Seoul city hall. However, Seoul citizens were obliged to survive with 1 hop(180 ml) of rice in the first half and imported grains in the second half of 1946 through food distribution. Of course, its quantity was not enough for a citizen to live off, and being short of food, one was impelled to get necessary food in black market or market located in countryside. In view of food distribution, the year of 1946 might be regarded as one of worst years for Seoul citizens. This serious food problem could be mitigated because the rice and summer grain produced in 1946 were collected forcedly. Nevertheless, the shortage of food did not disappear due to deficient quantity of food distribution, 1.3 or 1.4 hop, and Seoul citizens had to rely on 'black grain' sold in black market. On the other hand, Seoul city had another great problem of ghost population with respect to food distribution. The Military Government and Seoul city together tried to respond actively to the problem, because it was too important to decide whether the success or failure of the food distribution policy in final stage. The measures to find out the ghost population had been taken into action by both since April 1946. So within one year from that date, ghost population of 200 thousands was revealed through them. But in solving the ghost population Seoul city met the obstacle of the connection between Donghoe and local youth organizations. Without reasonable reform of the basic administrative unit of Seoul city, Donghoe, it was impossible to solve fundamentally it. In other words, the feature of the food distribution of Seoul city laid in the strong control by the Military Government and its minimum supply of the food as well. The food distribution of Seoul city had the limit not to have overcame the connection between Donghoe and local youth organizations, because administrative authority of Seoul city could not penetrate into its basic unit, Donghoe, Nevertheless, Seoul city tried to seek for its own rationality regarding food distribution by investigating and getting remove of ghost population. 미군정은 해방 이후 혼란에 빠진 식량행정과 관련 기구를 정비해 나가는 한편 서울시에 일시적으로 식량배급에 관한 통제권을 넘겨주었다. 서울시는 이것을 근거로 삼아 식량배급 권한을 계속해서 요구하였으나 군정은 서울시가 아닌 조선생활품영단을 통하여 식량에 대한 통제권을 행사하고자 하였다. 이것은 서울시의 하부조직인 정회(동회)가 식량의 배급과 관련하여 그 자신이 부정 사건의 당사자인 경우가 많은 등 식량 행정을 원활히 수행해 나갈 수 없다고 보았기 때문이었다. 이에 따라 서울시 식량 배급권은 미군정이 계속해서 장악하고 있었다. 미군정기 서울시민은 해방 직전 2홉 내외의 식량을 배급받고 있었다. 그러나 해방 후 미군이 진주한 뒤 실시한 미곡의 자유시장정책에 의해 자유 매입을 하기도 하였으나 곧이어 도래한 식량 위기로 인하여 천정부지로 뛰어오르는 가격을 맞이할 수밖에 없었다. 이에 서울시민들은 시청 등지에 가서 생존의 위기를 호소하는 등 정치사회적 행동에 나섰다. 그러나 서울 시민들은 1946년 전반에는 쌀 1홉씩, 후반에는 주로 수입 잡곡을 중심으로 한 배급을 받아 생활할 수밖에 없었다. 그리고 턱없이 모자라는 식량은 어쩔 수 없이 암시장에서 구입하거나, 지방에 가서 직접 식량을 소량씩 구입하거나 얻어오는 수밖에 없었다. 서울 시민에게 1946년은 배급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 어려운 해였다고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서울 시민에 대한 배급은 1946년산 미곡과 하곡이 강제 수집되고 어느 정도 성과를 내면서 점차 완화되어 갔다. 그러나 1947년에 들어서도 미곡의 배급이 1.3~1.4홉에 그치는 등 여전히 배급량의 부족으로 이른바 ‘야미 양곡’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다. 한편 서울시 식량 배급을 제약하고 있었던 커다란 문제는 유령인구의 존재였다. 유령인구의 문제는 식량 배급의 최종 단계에서 정책의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이 되었기 때문에 미군정과 서울시는 이에 적극 대처하여야 했다. 따라서 미군정과 서울시는 1947년 4월부터 유령인구 단속을 본격화하여 1년 사이에 약 20만 명의 유령인구를 단속, 정리하였다. 하지만 서울시 말단 행정을 담당하고 있던 동회와 청년단체의 유착으로 인하여 유령인구 정리 작업은 상당한 한계를 가질 수밖에 없었으며, 말단 행정의 합리적 개혁 없이는 근본적인 해결을 기대하기 어려웠다. 요컨대 미군정기 서울시 식량 배급은 점령 초기의 격심한 식량 위기 속에서 미군정이 식량을 강력히 통제하면서 최소한의 식량을 배급하는 구조였다. 그리고 말단에까지 행정력이 미치지 못하는 가운데 서울시는 동회와 청년단체 등으로 이루어진 식량을 둘러싼 유착 구조를 넘어서지 못하는 한계 속에서 유령인구를 단속, 정리하여 일정한 배급의 합리성을 추구하였다.

      • KCI등재

        조선시대 서울 연구의 흐름과 과제

        유승희 서울역사편찬원 2018 서울과 역사 Vol.- No.100

        본 논문은 지난 60년간의 서울 연구 성과의 동향을 조선시대를 중심 으로 종합적으로 고찰해 본 것이다. 서울 역사 연구는 한국사 연구의 흐름 속에서 진행되었다. 1960년대 서울 지역 문화유산에 대한 고증에 서 시작되어 1970, 80년대에는 사회경제사 연구의 일환으로 서울의 상 업양상이 연구되었다. 1990년부터 최근까지는 문화사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면서 조선시대 서울을 미시적으로 접근하려는 추세를 보였다. 그 결과 조선시대 서울연구는 양적으로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으며, 새 로운 관점에서 서울을 재해석해 질적으로 큰 성과를 거두었다. 하지만 연구의 시기적 불균형과 지역적 편중이 드러나는 한계가 있었다. 조선후기를 대상으로 한 서울 연구가 활발한 데 비해 조선전 기 연구가 적었으며, 도성 안에 집중되어 있어 서울의 다양성에 주목 하지 못하는 경향이 있다. 조선시대 서울 연구는 조선 한 시대를 조 망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근대 도시로의 전환을 전망하는 것이기도 하다. 따라서 조선의 시간 축을 세밀하게 구분, 확장하여 조선 건국 이래 19세기 까지 서울의 모습을 미세하게 고찰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개항기, 식민지기 서울과의 접속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사대문 안에 국한된 지역보다 도성 안과 그 주변 지역과 의 관계를 파악하는 연구가 절실하다. 서울의 지역성은 도성 주변 지 역과의 관계성 속에서 그 특성이 두드러지게 정의될 수 있으며, 이는 서울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핵심이라고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는 서 울관련 공공기관 및 대학연구소가 긴밀하게 공조할 필요성도 있다. 심포지움 또한 집중 연구가 필요한 주제나 새로운 주제를 중심으로 서울 연구기관 간 협력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과제들이 충 족되어야만 서울 연구가 더욱 활성화되고 서울의 지역성이 확립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trends of research on Seoul for the last 60 years centering around the era of Chosun generally. Research on Seoul’s history has been carried out within the flow of research on Korean history. It started from historical investigation on cultural heritages in Seoul during the 1960’s, and in the 70’s and 80’s, research on the aspects of commerce in Seoul was conducted as part of research on socioeconomic history. From 1990 up to now, researchers have paid attention to cultural history more and have tended to approach Seoul in Chosun microscopically. As a result, a lot of research on Seoul in Chosun has been done quantitatively, and in new perspectives, Seoul has been reinterpreted, which has led to great fruition qualitatively as well. The research, however, reveals some limitations, for example, imbalance between periods or unequal distribution between regions. Although research on Seoul in late Chosun has been actively carried out, that on early Chosun is rarely found. Also, research is focused on the inside of the castle town and fails to pay attention to the diversity of Seoul. Therefore, it is needed to collect and organize new data about Seoul and extend the spectrum of research into the present area of Seoul in order to diversify research on Seoul afterwards.

      • KCI등재후보

        서울 ‘지역전설’의 존재양상과 지역성

        권도경 서울역사편찬원 2008 서울과 역사 Vol.- No.72

        본 연구는 서울에 전승되는 ‘지역전설’의 존재양상과 그 속에 구현되어 있는 지역성을 고찰해 보았다. 본 연구의 성과를 정리하여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는 서울전설의 영역과 범주 정립이다. 서울의 인구증가와 도시적 성장속도에 따라 시역의 팽창이 반복적으로 행해지고, 인구의 유입과 전출 규모가 타 지역에 비해 상대적으로 큰 서울이라는 도시의 특성상 서울전설의 범주 규정 문제는 서울의 ‘지역전설’을 연구하기에 앞서서 반드시 해결해야 할 선결과제가 된다. 본 연구는 현재의 서울시 행정구역에서 전승 및 채록되고, 서울 지역민에 의해 향유되는 서울에 관한 이야기로 서울전설의 협의의 범주를 상정하고, 서울 시역의 확장 정책에 따라 근대 이후 서울시 강역에 포함된 지역에 전승되는 해당 지역에 관한 이야기를 광의의 서울전설 범주에 포함시키는 방향으로 서울전설의 범주를 규정하였다. 두 번째는 서울 ‘지역전설’의 존재양상과 그 특징이다. 본 연구는 서울 ‘지역전설’의 존재양상을 크게 ‘자연전설’과 ‘인문전설’로 나누어 텍스트의 존재양상과 특징을 분석하였다. 세 번째는 서울 ‘지역전설’에 나타난 지역성에 관한 고찰이다. 서울 ‘지역전설’은 타 지역 전설에 나타난 지역성과 분지되는 지역적 정체성을 首都로서의 정체성 부각, 서울의 지리적·지형적 특수성의 반영, 경기도와의 지리적·문화적 공동체성, 조선조 왕권신화의 설화적 구현성, 서울 지역문화에 대한 애착 등 크게 다섯 가지 영역으로 항목화하여 제시하였다. 이상의 연구 작업을 통해 서울 ‘지역전설’의 존재양상과 특징을 총체적으로 드러내고자 하였으며, 이러한 연구성과가 서울학의 일부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서울의 지역적 정체성·특수성과 연동시켜 그 의미를 모색해 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서울 ‘지역전설’과 타 지역 ‘지역전설’의 세부 하위유형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서울 ‘지역전설’의 지역적인 특수성과 정체성을 보다 미시적으로 규명해 가는 작업이 뒤따라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This paper studied on the being aspects of Seoul ‘Regional legend’ and it's regional originality. Firstly, this study made a category of Seoul legend. This paper prescribed Seoul legend as a story about Seoul transmitting from Seoul citizen to generation. But category of Seoul legend in this paper, includes stories handing down in jurisdictions that were belonged to Seoul according to Seoul’s expansion after the modern age. The second is the consideration on the being aspects of Seoul ‘Regional legend’. This study analyzed the being aspects of Seoul ‘Regional legend’ to devide into ‘nature legend’ and ‘human legend’. The third is the inquiry on the regional originality in Seoul ‘Regional legend’. This study hold up it as five items like originality as capital, reflections of regional characteristics, prperty of group sharing nature and culture with Gyeonggido, making legend of Chosun myth, possessiveness and pride to Seoul tradition.

      • KCI등재

        서울기록원의 정체성과 당면과제

        손동유 서울역사편찬원 2015 서울과 역사 Vol.- No.89

        Identity and Roadmap of 'Seoul Archives' Sohn, Dong-you Seoul is a huge city and the capital of the country. Seoul Archives has the representation and symbolism as the first local records & archives management agency. And Seoul Archives is the organization & space to manage the records & archives permanently and systematically. The main function of the Seoul Archives are records management, documentation of private archives in Seoul, preservation of digital records, archives & records services and operational support. Records management is receiving a production record (more than 30 years record retention periods) in connection with the official duties of Seoul, evaluation and screening, and to manage. This includes records the Mayor of Seoul. Documentation of private archives in Seoul is collecting a variety of materials contained in the nature and the life of Seoul citizens and And registration, classification, description, preservation. Seoul Archives is the field of administrative responsibility to communicate directly with citizens of Seoul and a cultural organizations representing Seoul. So, that must be operated as a cultural space and space for education and research to improve the quality of people's lives. Seoul Archives is to be well organized to match the functions. In this study, we propose a manpower scale to 120 people. Also sought the friendly cooperative relations with major agencies in Seoul. Since large-scale projects in terms of budget and physical space should be conducted in the long run. Also in preparation should proceed to develop a specific and careful planning. In this study, we present a roadmap that covers the previous and after establishment Seoul Archives. Before opening to proceed with the core business that meets the functions and oriented in Seoul Archives shall prepare after the actual opening to allow efficient and perfect service. For example, it is necessary to secure the electronic records after check condition of digital records and environment. Through such preparations, Seoul Archives will have to be established safely. 서울기록원은 우리나라 최초의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대표성과 상징성을 가진다. 우리나라의 수도이자 거대도시인 서울의 기록물에 대한 수집․관리의 책임을 갖고 체계적으로 영구히 관리하는 공간이자 조직이다. 서울기록원에서 수행하게 될 주요기능은 행정기록관리, 서울기록화, 실물기록 보존, 전자기록 보존, 기록정보 서비스로 정리할 수 있으며 이러한 기능이 원만하게 수행되도록 하는 기획 및 운영지원 기능도 주요기능에 속한다. 행정기록관리란 서울특별시와 관할기관의 공적 업무수행과 관련하여 생산 또는 접수된 기록 중 보존기간 30년 이상인 기록을 이관 받고, 관리 및 평가․선별하는 기능을 말한다. 여기에는 서울시장 기록물도 포함된다. 서울기록화는 서울시의 특성과 시민의 생활상이 담긴 다양한 기록을 수집하거나 기록화하고, 서울기록원으로 입수된 기록을 등록, 분류, 기술하여 보존하는 것을 말한다. 서울기록원은 단순한 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의 위상과 역할을 넘어서 서울시와 시민이 직접 소통하는 책임행정의 현장, 서울을 대표하는 문화기구로서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여주는 문화공간, 다양한 교육과 연구가 진행되는 배움의 장으로서 운영되어야 한다. 서울기록원이 위와 같은 지향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조직체계가 규모 있게 구성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실현하기 위한 인력규모를 120명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서울시 내의 주요 관련기관과의 우호적 협력관계를 모색하였다. 서울기록원 건립은 예산과 물리적 공간의 측면에서 대규모 프로젝트이므로 장기적인 안목에서 진행되어야 하고, 준비과정에 있어서도 구체적이고 꼼꼼한 계획을 수립하여 진행해야 한다. 서울기록원의 건립 시점을 중심으로 건립 이전과 이후를 포괄하는 로드맵을 제시하였다. 개관 전부터 서울기록원의 기능과 지향에 부합하는 핵심 사업을 진행하여 실제 개관 이후 효율적이고 완벽한 서비스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전자기록 이관에 대한 점검사업을 통해 기본적인 상황을 점검한 뒤에 전자기록물 이관사업을 추진하여 이관 받을 수 있는 전자기록물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준비를 통하여 공공기록물법 시행 이후 처음으로 설립되는 지방기록물관리기관으로서 서울기록원 건립이 안정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울 한양도성의 기능과 방위체제

        나각순 서울역사편찬원 2012 서울과 역사 Vol.- No.80

        조선 건국 초에 축조된 서울 한양도성은 대외적으로는 외적의 공격이나 내란을 막을 수 있는 실용적 조형물로서 나라의 안정과 주권수호의 상징이 된다. 대내적으로는 왕권의 위엄과 국가의 권위를 국민들에게 보여줌으로써, 사회신분구조와 통치체제의 안정을 꾀하는데 기여하였다. 즉 왕권의 상징이라는 관념적․정치적 이념의 실질적 상징물로서의 기능이 부여되었다. 이는 우리나라 역대 왕조의 도성제를 통하여 확인되는데, 삼국시대와 고려시대를 이어 조선시대에도 도성은 방위 기능보다 왕권의 상징으로서의 의미가 더 컸다. 조선왕조는 한양 천도 직후 궁궐과 도성을 갖추었다. 궁궐을 에워싼 4산의 구릉과 평지를 이어 연장 18.627㎞로 축조되었다. 한편으로 한양도성 인근에는 북한산성․탕춘대성․남한산성 등 산성 체제와 수원․광주․강화․개성의 4유수 체제에 의한 도성 방어체제를 구축하였다. 산성과 유수부에는 왕과 군사들의 생존을 위한 필수적인 시설물과 더불어 승병을 유지하기 위한 사찰과 정자 등이 지어졌다. 또 도성 방위체제는 국경 관문에서 원교문․근교문․도성문․궁성문의 성문체제로도 이어졌다. 조선시대 한성부는 삼국시대 이래의 전통을 이어 평지성과 산성 체제를 갖춘 방위구조를 갖추었다. 평지성과 산성 체제로 이루어진 도시구조는 도성을 보호하거나 왕을 비롯한 주민 전체의 피난과 농성을 위한 군사적인 목적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나아가 서울 한양도성은 도성과 산성(북한산성)을 잇는 중간 성곽(탕춘대성)이 축조됨으로써, 세계문화유산의 탁월한 보편적인 가치를 가진 성곽체제를 이루고 있다. 한편 15세기 중엽 조선시대 도성 방어체제를 유지하기 위해 군사제도에 편제된 중앙군은 오위, 즉 의흥위․용양위․호분위․충좌위․충무위로 구성되었다. 이들 오위에는 각기 중앙군의 13개 병종과 한성부와 전국의 지방군까지 편제되었다. 그러나 오위제는 하나의 훈련체제였고, 중앙군의 실체는 갑사를 위시한 직업군인으로 이루어졌다. 이어 16세기 전반기에는 변방지역 방위체제로 이루어진 진관체제를 보강하여 중앙에서 도원수 등 지휘부가 파견되어 군사를 지휘하는 제승방략이 시행되었다. 한편 1592년 임진왜란과 1636년 병자호란을 겪은 조선왕조는 군사제도를 개편하여 한양 방위체제를 개편하였다. 즉 훈련도감이 신설되어 포수·사수·살수 등 삼수병이라는 특수부대를 편성하여, 일반 양민과 천민들을 편제하였다. 그 뒤 인조 2년(1624) ‘이괄의 난’이 일어나자 서울과 경기 지방의 경비 강화를 위해 총융청을 설치하였으며, 후에 북한산성 수비를 전담하였다. 또 인조 초에 남한산성을 쌓고 그 안에 수어청을 신설하여 그 인근의 여러 진을 경비하게 하였다. 효종 3년(1652)에는 어영청을 신설, 총포병과 기병을 주로 하는 부대를 편성하였다. 또 숙종 8년(1682)에는 도성의 방위를 강화하기 위해 금위영을 신설하였다. 이리하여 도성 방위체제는 훈련도감․총융청․수어청․어영청․금위영의 5군영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5군영 체제는 19세기 말 근대식 군사제도가 도입될 때까지 수도 서울 방위를 담당하는 체제로 유지되었다. 한편 숙종은 1710년 한양도성을 수축하고 북한산성을 축조하면서 도성사수체제를 유지하고자 하는 의지를 보였다. 이후 1751년 영조의 왕명에 따라 「수성절목」을 제정하여, 국가 유사시 한성부의 백성들은 모 ...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built in early period when Joseon was established was the practical structure to block the invasion of enemies or rebellion and was the symbol of national stability and protection of sovereignty of a state. It contributed on securing stability of governing system and social class system by demonstrating the dignity of sovereign power and authority of a state to the public internally. In other words, it had the function as the practical symbol of ideological and political philosophy, the symbol of sovereign power. Such function was proved by the castle town system in dynasties of many generations in Korea. A castle town in Joseon period following Three States period and Goryeo period had more significant meaning as the symbol of sovereign power than as the defense function. Joseon dynasty built the palace and castle town right after moving the capital to Hanyang(present Seoul). The fortress wall was built in 18.627km along the hills of four mountains and fields around the palace. The fortress system including Bukhansanseong, Tangchundaeseong and Namhansanseong and capital town defense system having 4 magistrates in Suwon, Gwangju, Ganghwa and Gaeseong around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 were built as the defense system for the capital town. The fortresses and magistrate provinces had essential facilities for survival of a king and soldiers and temples and pavilions to keep monk soldiers. Furthermore, the fortress gates including Wongyomun gate, Geungyomun gate, Doseongmun gate and Gungseongmun gate were a part of capital town defense system on the gateways on the border. Hanseongbu had the defense system with the castle on the field and fortress system in Joseon period as inheriting the defense system used since Three States period. The capital town structure with the castle on the field and fortress might be for military purposes to protect a capital town or help the public or a king to flee. Furthermore, the Fortress Wall of Seoul(Hanyangdoseong)had the fortress system having the distinguished common value as the World Heritage because it had the intermediary fortress(Tangchundaeseong) connecting the capital town and the fortress(Bukhansanseong). The central command organized in the military system for the defense system of capital town in Joseon period in mid 15thcentury comprised five camps, Uiheungwi, Yongyangwi, Hobunwi, Chungjwawi and Chungmuwi. Five camps had the regional forces as well as Hanseongbu and 13 branches of central command. However, five camps system was one of training systems and the central command was organized with professional soldiers Gapsa(armed bodyguard). Jingwan system(garrison-command structure) comprising the defense system for border areas was supplemented in early 16thcentury. The command group including commanding generals was sent from the central government to the regional camps and so local self-defense was implemented as those command groups commanded the soldiers. Meanwhile, the Joseon dynasty passing through Japanese invasion in 1592 and Manchu invasion in 1636 reorganized the military system and defense system for Hanyang. In other words, Hunryeondogam(military training agency) was established and Samsubyeong(three combat forces) including Posu(musketeers), Sasu(archers) and Salsu(lancers and swordmen), the special forces, was established using the general public and the lowest class of people. When Yi Gwal’s rebellion broke out in 1624(2nd year of King Injo’s reign), Chongyungcheong(command of Northern approaches) was organized to strengthen the defense of Seouland Gyeonggi region. Later, it wholly took charge of defense for Bukhansanseong. Furthermore, Namhansanseong fortress was built in early period during King Injo’s reign and Sueocheong(command of Southern approaches) was established in Namhansanseong for guarding several Jins(camps) around. Eoyeongcheong(capital guard units) was established in 1652(3rd year of Ki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