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군사관학교 생도의 소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 동료관계의 질의 매개효과

        이규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의 목적은 소명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소명이 조직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기효능감과 동료관계의 질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공군사관학교 신입생도 146명을 대상으로 1개월 간격으로 3회에 걸쳐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소명은 조직몰입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소명과 조직몰입의 관계를 자기효능감과 동료관계의 질이 부분적으로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학문적 의의 및 실무적 함의, 그리고 제한점과 미래 연구과제를 논의하였다.

      • PP 나노복합재의 물리적 물성과 해석이론에 관한 연구

        李圭浩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1839

        고분자 나노복합재는 고분자에 나노 크기의 클레이(clay)가 보강재로써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복합재료이다. 최근 고분자 층상구조 실리케이트 나노복합재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데 나노 크기의 얇은 디스크 형태(platelet)로 이루어져 있는 적층된 클레이가 고분자 내에 분산되었을 때 넓은 표면적과 큰 종횡비(aspect ratio)를 가진다. 따라서 이러한 고분자 층상구조 실리케이트 나노복합재는 높은 경도와 강도, 가스 차단성, 치수 안정성의 특성을 나타낸다. 나노복합재 제조에서 주로 사용되는 Montmorillonite(MMT)의 층간 구조 사이에 고분자를 삽입하는 방법은 용액법, 중합법 그리고 용융혼합(compounding)법이 있다. 최근 용융 분산법을 이용한 나노복합재 연구에서 우수한 물성이 나타나고 있음이 보고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 분야에서의 나노복합재료의 개발에 중요한 가공방법으로 적용되고 있다. 본 실험에서 고분자에 분산되는 보강재를 유기화 처리한 재료로는 Cloisite??20A를 사용하였고, 보강재의 분산을 향상시키기 위한 상용화제로써 maleic anhydride로 개질된 PP를 사용하였다. 고분자수지로는 사출용 고결정성 수지와 Random Terpolymer 수지를 사용하였다. 이축압출기를 이용하여 용융분산하였고, 보강재의 함량에 따른 물성을 측정하기 위해 사출기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용 시편을 제조하였다. 나노복합재의 제조시 클레이의 함량의 변화에 따른 기계적 특성을 측정하였고, 열적특성의 변화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클레이의 분산을 WAXS과 TEM을 이용하여 관찰하였다. 그리고 클레이의 함량에 따른 Mori-Tanaka와 Halpin-Tsai의 이론으로부터 계산된 나노복합재의 이론적 인장모듈러스 값은 실험으로부터 얻은 순수한 고분자의 물성과 문헌으로부터 구한 클레이의 물성을 이용하여 계산했다. 또한 나노복합재에 분산된 클레이의 길이와 종횡비에 대한 이론적 계산값과 실험에서 관찰된 값을 비교하였다. 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복합재의 인장모듈러스 증가함을 보였다. IZOD충격강도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으며, 재료의 충격강도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반면 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항복강도의 변화는 거의 나타나지 않았고, 증가하는 모듈러스의 영향에 의해 신율은 감소함을 보였다. 따라서 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복합재의 기계적 물성이 향상되었다. 열적 물성의 측정에서 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저장모듈러스는 증가하였고, 일정한 하중하에서 기계적 물성을 발휘할 수 있는 열변형온도가 증가하였다. 따라서 클레이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나노복합재의 열적물성이 향상되었다. 사출성형을 통해 제조된 시편의 WAXS 측정결과에서 표면층의 일부 클레이가 완전히 층간박리되지 않았음을 회절피크를 통해 확인하였고, 내부중심부분의 클레이는 완전히 박리되어 분산되었음을 확인하였다. 1개의 클레이 두께(tparticle)를 Fornes과 Paul은 0.94nm로 가정하였으며, 측정 사진에서 근사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보강재의 형태와 함량에 따른 Halpin-Tsai 모델과 Mori-Tanaka 모델의 이론해석을 통해 나노복합재의 물성을 해석할 수 있었다. Halpin-Tsai 모델과 Mori-Tanaka 모델에 의한 인장모듈러스에 대한 이론값과 측정값의 비교에서 PP실험군은 Mori-Tanaka 모델의 결과에 근접하는 경향을 보였고(Figure 6), TPP실험군은 클레이의 함량이 적은 경우 Halpin-Tsai 모델의 결과에 근접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Halpin-Tsai와 Mori-Tanaka 모델에서의 이론적 모듈러스 계산값은 실험에 의해 측정된 모듈러스값과 일부 차이를 보이나 유사하게 접근함을 확인하였다. Layered aluminosilicates are composed of extremely thin, sheet like platelets that possess very large surface areas and high aspect ratio in polymer-layered silicate nanocomposite. Nanocomposites potentially offer high stiffness and strength, gas barrier properties, dimensional stability and other attractive physical properties. Nanocomposites have been formed by various techniques such as solution polymerization, in-situ intercalation polymerization and melt compounding.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these benefits can be achieved by melt compounding. And reports about automotive application have emphasized that melt compounding plays a pivotal role in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ly viable materials. In this study, maleated polypropylene/organoclay (organically modified montmorillonite) blend prepared by melt intercalation method with twinscrew (Baker-Perkins MPC30, intermeshing co-rotating type) extruder. HCPP (High crystalline polypropylene) and Random terpolymer were used as the matrix material. Melt compound composites were prepared using twin-screw extruder, one with HCPP, the other with HCPP and Random terpolymer. Compounding was carried out at a barrel temperature of 170℃-180℃-190℃- 190℃-190℃, a screw speed of 280rpm. Both composites were injectionmolded in injection machine (LG IDE 140EN). Test specimens were prepared using a barrel temperature of 185℃-195℃-205℃-195℃, injection time of 15s and cooling time of 70s. Tensile modulus of nanocomposite increased with MMT loading. While IZOD impact strength and Yield strength didn’t show hardly and kept strength of material just as it is. But yield strain decreased by increasing modulus. Therefore, confirmed that 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improved with MMT loading. According as content of MMT increases in measurement of therm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storage modulus increased, and when constant loading is given, Heat Distortion Temperature that it means thermal ability increased. Therefore, confirmed that thermomechanical properties of nanocomposite improved according as MMT loading increases. In WAXS experiment about injection molded nanocomposite specimens, clay was fully exfoliation in core part but it is not exfoliated in core part. Fornes and Paul1 supposed thickness of clay particle by 0.94nm, so it was confirmed with reasonable result in TEM measurements. In comparison about Halpin-Tsai model and Mori-Tanaka model by shape and volume fraction of clay, calculated modulus and measured modulus of tensile modulus show part difference but were reasonable.

      • APSD(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의 타당성 연구 : 청소년범죄자의 충동성과 공격성을 중심으로

        이규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아동 및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반사회적(Antisocial)인 성향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되고 있는 APSD(Antisocial Process Screening Device)를 우리나라의 범죄청소년들에게 적용시켜 그 타당성 검증을 주목적으로 한다. 범죄경력이 1회이상 있는 범죄청소년 106명을 대상으로 그들의 공격성과 충동성을 측정하고 APSD가 범죄청소년의 충동성과 공격성을 얼마나 잘 설명을 해줄 수 있는지를 검증한다. 본 연구에서 쓰인 측정도구중 공격성 측정도구와 충동성 측정도구는 자기보고식으로 측정이 되었으며, APSD는 교사척도를 사용하였는데 이는 제3자 입장에서 그들을 평가하는데 의의가 있다. 여기서 자기보고식 측정도구와 제3자가 대상을 평가한 측정도구가 관계성이 있다면 APSD는 타당성이 있는 도구인 것으로 설명이 된다. 특히 청소년들의 반사회성을 측정하는데 쓰이고 있는 다른 측정도구와 달리 APSD가 가지고 있는 CU(Callous-Unemotional) 하위요인과 범죄청소년의 공격성, 그리고 충동성과의 관계성을 중심으로 두고 검증한다. APSD의 신뢰성과 타당성을 알아본 결과 신뢰도는 많이 높지는 않았으나 안정선에 위치하였으며 각 하위요인별 신뢰도 중 CU척도는 전체의 신뢰도 보다 약간 낮게 나왔다. APSD의 신뢰도가 낮게 나온 것을 바탕으로 APSD의 요인을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해 재분석하고 하위척도별 문항을 재구성하였다. 재구성한 요인으로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한 결과 기존과 같이 3요인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신뢰도는 APSD의 총점 및 각 하위척도별로 약간의 상승이 확인되었다. 가장 큰 변화는 문항이 이동하고 삭제되면서 요인이 재구성되었고 신뢰도 역시 상승하였다. 또한 문항이 재구성된 APSD에서 CU(냉담-비정서성)척도가 공격성의 하위척도와의 상관이 높게 나왔다. 이는 재구성된 APSD가 공격성과 충동성에 대한 설명력이 높아졌음을 의미한다.

      • 화장품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화장품 구매형태 및 사용실태에 관한 연구 : 창원지역 거주 남성을 중심으로

        이규호 창원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21세기에 들어 기존의 남녀가 구별되던 문화에서 남녀가 함께하는 유니섹스로의 새로운 문화로 변화하고 있다. 화장품의 경우 여성의 전유물로 취급되어 왔으나 현대에 들어와 이러한 외모 및 피부 가꾸기는 여성뿐만 아니라 남성들에게도 많은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남성의 미용에 대한 관심은 사회적 요구에 따른 필요성이 증가되었다. 이러한 남성의 외모를 중시하는 사회현상 속에서 가장 주목을 받고 있는 분야가 바로 남성화장품 시장이며, 국내외적인 경기 불황에도 불구하고 화장품 산업은 꾸준히 성장을 하고 있다. 남성 화장품의 성장과 더불어 남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남성 화장품과 관련한 선행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주로 20대와 30대의 젊은 남성의 화장품 사용실태를 중심으로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수명주기가 길어짐에 따라 남성 화장품 사용 가능 연령이 늘어나게 되었고, 고가의 화장품의 경우 경제력이 있는 40대와 50대가 주된 소비자가 될 수 있음에 대한 연구가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였음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남성화장품 시장에 대한 선행조사 연구결과를 근거로 하여 연구자가 거주하고 있는 창원지역을 중심으로 남성의 화장품에 대한 사전지식, 구매, 사용 형태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하였다. 특히 본 연구를 통하여 남성화장품 사용에 관하여 각 세대별 구매 및 사용 실태를 조사함으로써 과거 선행 연구결과와의 차이점을 파악함과 동시에 세대간 구매 및 사용형태에 대한 특징들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연구대상의 표본은 창원지역 거주 20대에서부터 50대까지의 남성을 대상으로 화장품의 사전지식 수준이 화장품 구매 적극도와 사용 만족도에 어떤 형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으며, 설문조사를 통하여 총 405개의 설문지를 수거하여 의미 없는 설문지를 제외한 360개의 설문지를 대상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남성화장품 시장 확대와 화장품의 종류가 다양해짐에 따라 남성들의 화장품에 대한 사전지식을 파악할 수 있었고, 화장품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화장품의 구매 적극도를 파악할 수 있었으며, 화장품 사전지식 수준에 따른 사용 만족도를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창원지역 거주 남성들 가운데 화장품을 사용하는 사람의 연령, 학력, 결혼유무, 직업 등에 대하여 화장품 지식, 구매 적극도, 사용 만족도의 차이를 알 수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화장품의 지식이 구매 적극도와 사용 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파악할 수 있었다. 본 논문의 결과는 남성화장품 시장에 대한 다양한 계층의 의견을 반영한 자료라고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남성화장품에 대한 마케팅의 기초 자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향후 창원지역 남성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로써 전국 또는 타지역 남성의 실태와 비교분석이 필요하며, 남성의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는 만큼 추후 남성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보완 될 필요성이 있다.

      • Irreversible Carbon Dioxide Indicators for Monitoring Food Freshness and Makgeolli Application : Irreversible Carbon Dioxide Indicators for Monitoring Food Freshness and Makgeolli Application : 식품 신선도 모니터링을 위한 비가역적인 이산화탄소 지시계 및 막걸리 적용 연

        이규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식품의 품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기 위하여 포장 내부의 이산화탄소의 분압을 측정하여 식품 품질의 지표로 사용될 수 있는 비가역적인 반응을 가지는 이산화탄소 지시계를 개발하였다. Whey protein isolate (WPI)를 기반으로 하는 지시계와 키토산을 기반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지시계를 개발하였고, 비가역적인 키토산 기반의 이산화탄소 지시계는 막걸리의 저장 기간 중의 품질을 모니터링하는 포장에 적용하는 실험을 하였다. WPI를 기반으로 하는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WPI 농도 조절과 염 첨가에 따른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반응성을 측정하여 그에 따른 지시계의 반응성을 조절하는 기술을 개발하였다. WPI 분말을 증류수에 넣고 10분간 교반하여 pH를 7.0으로 조정하였다. WPI의 농도는 0.1, 0.3, 0.5, 1, 2, 4%로 하였으며 염을 첨가한 지시계는 WPI 0.3%에 NaCl의 농도는 0.5, 1, 2, 3, 10%로 하여 100% 이산화탄소 조건에서 저장하고 20분마다 pH와 투과도를 측정하여 실험을 진행하였다. 또한 WPI 기반의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비가역성에 대한 이화학적 특성을 연구하였다. WPI 기반의 이산화탄소 지시계는 WPI 농도가 높을수록 반응성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염을 첨가할 때도 염의 농도가 높아질수록 반응성이 낮아지는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hysteresis 연구에서 pH가 다시 상승하는 동안 투과도는 유지하여 비가역적인 반응을 가짐을 보였다. 색소를 포함한 키토산 기반의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대한 연구는 키토산만을 이용한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비가역성을 더하고 시각적인 효과를 개선하는 것을 목표로 하여 식품 포장 내부 헤드스페이스에서의 이산화탄소 분압을 측정하였다. 또한 막걸리의 포장에 적용하여 식품 품질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것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0.1M HCl에 키토산을 용해한 후 0.3%의 brilliant blue R-250 dye (BB)를 넣어 pH를 7.0으로 조정한 후 2시간 교반하여 BB-incorporated chitosan기반의 이산화탄소 지시계 용액을 제조한다. 막걸리 저장이 시작할 때 지시계는 중성 조건(pH 7.0)이기 때문에 입자가 떠있는 상태이다. 막걸리의 발효 진행에 따라 포장 내부의 이산화탄소 농도가 증가하여 지시계 용액의 pH가 감소하여 키토산 입자가 풀어지며 BB 입자가 방출되어 용액은 투명하고 푸른 색을 띠었다. 이러한 이산화탄소 지시계의 반응성 조절 기술을 개발함으로써 호흡작용 및 부패로 인해 식품에 따라 다양한 농도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를 지시하여 식품의 품질을 예측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였다. Irreversible carbon dioxide (CO2) indicators were developed to monitor the freshness of foods. A whey protein isolate (WPI)-based CO2 indicator and a chitosan-based CO2 indicator were developed. In addition, irreversible chitosan-based CO2 indicator was applied to monitor the quality of Makgeolli during storage. WPI-based CO2 indicator was studied under CO2 conditions. WPI-based CO2 indicators were prepared and subsequently incubated in a CO2 filled chamber in order to investigate their CO2-dependent transition behavior in visual change. Transparency of the WPI-based CO2 indicator with 0.1% WPI changed from 91.8 to 24.6% while that of the indicator with 0.3% WPI changed from 73.7 to 7.7% which was a definite change in visual appearance at the transition point. The WPI-based CO2 indicator showed an irreversible visual change due to the hysteresis behavior of the indicator from which desorption of CO2 did not restore its appearance transparently. The chitosan-based CO2 indicator exhibited prominent visual change depending on different CO2 levels due to the partial pressure of CO2 in headspace of food package. For fabricating a CO2 indicator, 0.3% brilliant blue R-250 dye (BB) was incorporated into the chitosan dissolved in 0.1 M HCl aqueous solution. The pH of the chitosan-dye mixture was adjusted to 7.0 with agitation for 2 h to form BB-incorporated chitosan-based CO2 indicator solution. At the start of storage of Makgeolli, the indicator was opaque because chitosan was insoluble at neutral condition (pH 7.0). With the increase of CO2 levels in the headspace of the package by after-fermentation in the Makgeolli, chitosan suspension developed transparency due to its dissolution at low pH by CO2 and simultaneously blue dye encapsulated in the flocculated chitosan particles was released. In conclusion, WPI-based CO2 indicator could be used to detect CO2-dependent spoilage and over-ripeness of a variety of foods. In addition, the irreversibly appearance-changeable CO2 indicator could be used as a quality indicator to predict freshness, ripeness, and spoilage for CO2 generating foods such as Makgeolli and kimchi during storage.

      •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여가제약이 팀 응집력과 폭력 허용도에 미치는 영향

        이규호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839

        The study aims to analyze and investigate how leisure restrictions affect team cohesion and violence acceptability of college athletes in dormitory environments.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significant sampling method was used for 340 college athletes who lived in college dormitories in Seoul and Gyeonggi area in 2021. The data processing was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t-test, one-way variance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Version 23.0 program. As a result,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eisure restrictions, team cohesion, and violence acceptability, depending on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athletes from dormitory environment universities. Second, the restriction on leisure in the dormitory environment of college athletes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eam cohesion. Third, leisure restrictions on college athletes in dormitory environment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violence acceptability. Fourth, the team cohesion of college players in the dormitory environment has a great influence on violence acceptability. To sum up the above results, the leisure restrictions on the dormitory environment significant impact on team cohesion and violence acceptability for college athletes. 본 연구는 기숙 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여가제약이 합숙 훈련을 하는 과정에서 사회 심리적으로 팀 응집력과 폭력 허용도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2021년도 서울, 경기 지역 대학교 기숙사에 합숙 생활을 하는 대학운동선수들을 대상으로 340명을 유의표본추출법을 사용하였다. 자료처리는 SPSS Version 23.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성 분석, 요인분석, t-검정, 일원변량분산분석, 상관관계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제약, 팀 응집력, 폭력허용도에서 부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여가제약이 팀 응집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여가제약이 폭력 허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팀 응집력이 폭력허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기숙환경 대학운동선수들의 여가제약이 팀 응집력과 폭력 허용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Road Environment Recognition using Vision and LiDAR Sensor Fusion for Multi-channel V2X System : 다중 채널 V2X 시스템을 위한 비전 및 LiDAR 센서 융합을 사용한 도로 환경 인식

        이규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은 카메라와 라이다를 융합하여 차량 주변의 환경을 인지하고, 차량용 통신 시스템에 영향을 미치는 객체를 탐지하는 알고리즘이다. 일반적인 자율 주행 자동차용 객체 탐지 알고리즘은 차량 주변의 보행자, 표지판, 차량 등을 검출한다. 하지만,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객체 탐지 알고리즘과는 달리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주변 상황을 탐지한다. 대표적인 상황으로는 큰 트럭 혹은 버스 등과 같이 부피가 큰 차량을 탐지하거나, 빌딩 혹은 터널, 방음벽 등과 같이 부피가 큰 구조물이 있다. 이러한 객체들은 기존의 연구를 통해서 밝혀진 결과를 활용해 정의되었다. 제안된 알고리즘은 총 3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카메라와 라이다를 수신하고 데이터를 전 처리하는 단계이다. 이미지 데이터는 왜곡을 보정하고, 밝기를 조절한다. 또한, 라이다 데이터는 지면 점군과 비지면 점군을 분리한다. 두 번째, 포인트 데이터 군집화 단계다. 전처리 과정을 통해서 얻은 비지면 점군에 대하여 유클리디안 거리를 기반으로 한 군집화를 수행한다. 클러스터링 결과로 라벨링 된 클러스터는 3차원 형태의 바운딩 박스를 출력한다. 세 번째 단계는 캘리브레이션 단계이다. 본 논문에서는 2대의 라이다 센서와 1대의 카메라를 사용한다. 장착된 센서들의 좌표계는 본 논문에서 제안된 매칭 포인트 추출 방법을 통해 변환 행렬 결정에 필요한 데이터를 얻는다. 추출된 매칭 포인트를 활용해 센서들의 변환 행렬을 결정한다. 세 번째 단계에서는 통합된 좌표계에서 이미지 좌표계 내에 위치한 클러스터를 기준으로 센서 퓨전하는 단계다. 센서 퓨전은 클러스터 결과와 이미지 기반 객체 탐지 알고리즘의 결과를 융합한다. 카메라 데이터는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을 적용해 객체의 이미지 좌표와 클래스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합성곱 신경망 기반의 딥러닝 알고리즘은 처리 속도를 고려한 실시간 탐지 알고리즘을 사용했다. 마지막으로, 포인트 클라우드에서 구해진 클러스터 정보와 객체 이미지 좌표를 최종적으로 융합하여 주변 환경을 인지한다. 제안된 알고리즘을 통해서 지면 점군 제거의 성능이 향상되었다. 또한, 캘리브레이션 오차를 줄이고, 센서 융합을 통해 객체 탐지 정확도를 향상시켰다. 또한, 제안된 방법은 사전에 통신 성능에 영향을 미치는 객체를 검출하고 멀티채널 통신 보드의 채널 파라미터를 변경함으로써 통신의 신뢰성 및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 TM4SF5-mediated Invasion Cell Behaviors in 3D Gel Systems Consisting of Collagen I and/or Matrigel : 삼차원 세포외기질 환경에서 TM4SF5 발현 세포의 침윤능력 연구

        이규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Unlike 2 dimensional (2D) culture system, extracellular matrix (ECM)-surrounded 3 dimensional (3D) conditions differentially modulate cellular behaviors. Transmembrane 4 L six family member5 (TM4SF5), a branch of the tetraspanin superfamily, is a transmembrane glycoprotein. TM4SF5 is highly expressed in hepatocarcinoma. Previous studies showed that TM4SF5 is involved in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cell migration and invasion. Here, we explored the TM4SF5-mediated behaviors of HCC cells embedded in 3D ECM gels, with regards to invasive properties. To growing cells in 3D ECM Gel, I used 3D Matrigel (basement membrane) and/or Collagen Type I gel systems. In 3D Matrigel contidion, TM4SF5-positive cells formed aggressively invasive foci depending on PI3K or JNKs activity, and actin cytoskeletal organization, whereas TM4SF5-null cells did not. No invasive foci formation of TM4SF5-null cells in 3D Matrigel were recovered by ROCK inhibition itself, or by adding collagen I into Matrigel and additional EGF treatment in collagen I plus Matrigel condition. This TM4SF5-mediated invasive foci formation was inhibited by suppression of either p27kip1, TM4SF5 or pharmacological inhibition of either JNK or AKT and also RhoA activation inhibited the invasive foci formation. However, ERK or RacI inhibition didn't affected this invasvie foci formation. Further, when cell spheroids were embedded in 3D collagen I gels, TM4SF5-positive spheroids showed more protrusive morphology, compared with TM4SF5-null spheroids. Also, TM4SF5-positive spheroids showed dramatic formation of invadopodia enriched with F-actin and cortactin at the tips of protrusive edges. Moreover, when TM4SF5-positive or TM4SF5-null cells were co-cultured in 3D Matrigel, even TM4SF5-null cells exhibited invasive foci formation surrounded by TM4SF5-positive cells. All these observations suggest that TM4SF5 can play crucial roles in regulation of invasive properties in 3D ECM enviro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