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김명진 충남대학교 국가정책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71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과 지원정책 영향 - BK21사업을 중심으로 - 스위스 국제경영개발원(IMD)이 매년 발표하는 세계 인재랭킹에서 우리나라는 30위권에 정체되어 있다. 우리나라는 인재개발을 위한 투자와 발전이 우수한 편인 반면 인재를 유치하는 매력도가 저조한 것이 주된 원인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청년과학자의 불안정한 신분, 단기성과 위주의 평가, 과도한 경쟁 유도, 프로젝트 기반 인건비 지원제도 등 불안정한 연구환경을 조성하는 정부정책 영향과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정부는 이공계지원특별법을 제정하고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추진 예산을 지속적으로 확대하는 등 과학기술 연구 인력양성을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로인해 대학원 입학자 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하였고, 대학원 졸업자의 취업률도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특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정책대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세부 연구로 구성되어 있다. 첫 번째 연구는 조직 차원의 접근을 통해 인력양성 지원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양적연구이다. 정부의 대표적 연구인력양성 정책인 BK21사업 수행 대학을 대상으로 대학의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 주요 대학의 대학원생 진로 지원제도 현황들을 살펴보았다. 두 번째 연구는 개인 차원의 접근을 통해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영향을 분석하는 질적연구이다.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과 Csikszentmihalyi의 체제모형을 응용하여 BK21사업 수혜자인 과학자 7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실시하였다. 과학자의 성장단계별 주요 질의응답 결과를 바탕으로 과학자의 전문성 발달과정 주요 특성과 정책영향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에서 전체 대학을 연구대상으로 분석한 결과 교수 연구비는 대학원생 취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대학원생 장학금은 진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학생 취업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교수 연구비를 확보에 집중해야 하고, 진학률을 높이기 위해서는 장학금 확보에 집중하는 운영전략을 세워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세부적인 대학 유형별로 샘플을 분리하여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국공립 대학에서는 재정수혜의 영향이 확인되지 않고, 사립대학에서는 연구비와 장학금의 영향이 확인되는데 그 결과가 소재지에 따라 완전히 다르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지방 사립대학에서는 장학금 지급 여력이 부족하여 학생들의 진학률이 떨어지는 것은 아닌지 추가 점검의 필요성을 도출하였다. 이후 계량 연구의 한계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국내 주요대학의 대학원생 진로지원 제도들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진로에 대한 전주기적 맞춤형 지원 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제도들을 운영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많은 대학이 공통적으로 취업지원 교육과정 개설, 취업박람회 및 상담지원과 같은 제도를 운영하고 있었고, 특히 지방대학은 자교 학생이 수도권 대학으로 진출하지 않고 자교로의 진학을 유도하기 위해 자교 출신학생 장학금 제도 등을 시행하면서 학생 수급에 많은 재원을 투입하고 있었다. 이것은 재정수혜가 대학원생 진로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양적연구와도 일관성 있는 타당한 결과로 볼 수 있겠다. 두 번째 연구를 통해 과학자들의 발달과정은 각기 다양하였지만 공통적인 특성들도 상당수 존재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과학자들은 Bloom의 이론과 일치하게 입문기인 학부생 시절에는 자신의 전공영역에서 수업을 통해 흥미있는 분야를 발견하는 시기였고, 과도기인 대학원생과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자신의 세부 전공분야에서 자기주도적 스스로 학습, 의사소통능력, 시간활용능력 등을 습득하였다. 마지막 단계인 완성기에는 자신의 분야에서 과학자로 뛰어난 업적을 남기고 싶어 하는 특성이 나타났다. 인터뷰 결과로 확인된 과학자들의 전문성 발달단계별 특성은 Bloom의 전문성 발달이론이 정부정책 수혜자들에게도 적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입문기, 과도기, 완성기로 단계별로 진화하면서 전문성이 발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각 발달과정에서 Csikszentmihalyi의 모형에 따라 전문성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가지 요인들이 상호작용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BK21사업 중심으로 각 발달과정에서의 지원정책 영향을 분석하였는데, 대학원생 시기에는 등록금 등 학비 지원과 해외연수 지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확인되었고, 박사후연구원 시기에는 해외로의 박사후연구원 진출을 기본경력으로 고려하고 있었다. 해외 박사후연구원으로 진출 하기 전 공백기간 동안 연구활동이 단절되지 않도록 BK21사업 신진연구인력 지원제도가 징검다리 역할을 하고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수로 임용된 후에는 연구활동과 학과 운영에 정부정책 및 평가의 영향을 많이 받고 있었고, BK21사업의 과도하게 많은 평가지표로 인해 실효성 없는 단기 프로그램들을 운영하는 부작용도 일부 발생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결과와 연구배경, 선행연구 분석결과 등을 종합적으로 연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 정책 및 BK21사업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 정책 개선방안을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정책제언들은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대비하여 과학기술 인력양성을 고민하는 정부의 정책 기획자, 정부 예산을 어떻게 집행해야 인력양성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을지 고민하는 준정부기관의 관리자에게 좋은 참고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과학기술 인력양성, 전문성 발달, 대학원생, BK21사업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expertise of scientists and the influence of support policies - Focused on the BK21 program - Myeongjin Kim Department of Public Policy, Graduate School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aejeon, Korea (Supervised by Professor Kwanpyo Bae) In the world talent ranking announced yearly by the Swiss Intern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IMD), our country is stagnant in 30th place. While our country has excellent investment and development for talent development, the attractiveness of attracting talent is low. This is related to the impact of the government policy that creates unstable research environments such as the volatile status of youth scientists, short-term evaluation, excessive competition inducement, and project-based systems. In this situation, the government is making a lot of efforts to foster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by enacting a special law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upport and expanding the budget for promoting the promo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Due to this, the number of graduate school students has continued to increase, and the employment rate of graduate graduates is steadily rising.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policy characteristics of human resources policy in science and technology, draw problems and propose policy measures to improve this. This study consists of two detailed studies. The first study is a quant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policy impact of support for manpower through an organizational approach.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the careers of graduate students was analyzed for the universities participating in the BK21 program, the government's representative research human resources, and the current status of career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at major universities was examined. The second study is a qualitative study that analyzes the impact of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hrough personal access. We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seven scientists who are the recipients of the BK21 program by applying the system model of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and Csikszentmihalyi. Based on the results of the major questions and answers by the scientists' growth stage, we analyzed the major characteristics and policy impact of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scientists. The main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In the first stud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ntire university as a research subject, it was confirmed that professors' research funding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graduate students' employment, and scholarships had a positive effect on advancement. This means that if we want to increase the employment rate, we should focus on securing research funds for professors, and if we want to increase the entrance rate, we should set up an operational strategy that focuses on securing scholarships. Next, the sample was separated by detailed college type and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 pathways was analyzed. The National University has confirmed that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is not confirmed. The impact of research funds and scholarships at private universities is confirmed and the results are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location. In particular, the local private universities have been asked to further check whether the students' entrance rate is low due to a lack of scholarship allowance. To compensate for the limitations of the quantitative studies, we have analyzed the pathway support systems of major universities in Korea. It has been confirmed that many institutions are operating the system to build customized support systems for graduate students. Many universities have commonly operated institutions such as the opening of the job support curriculum, job fairs, and counseling support, and the local universities have invested much of their student scholarships to encourage students to enter the self-governing school. This can be seen as consistent with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of the impact of financial benefits on graduate students' careers. The second study showed that the development process of scientists varied, but there were many comm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Bloom theory, scientists in their undergraduate years found their field of interest through classes in their major and learned about their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the ability to utilize their specialized field during their graduate school days. The final stage showed the characteristics that wanted to leave outstanding achievements with scientists in their field. The characteristics of the expertise development stages of scientists confirmed as the result of the interview show that Bloom's expertise development theory can be applied to government policy recipients. It was confirmed that expertise develops as it evolves through the stages of entry, transition, and completion, 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 development of expertise appear to have mutual influences in each development process. Next, the impact of support policies at each stage was analyzed, focusing on the BK21 program. Tuition support and overseas training during graduate school had an impact, and postdoctoral research students valued their research experience abroad. It was shown that the BK21 program manpower system is playing a stepping stone to preventing research activities during the vacuum period before going to the overseas postdoctoral researcher. After being appointed professor, it was confirmed that the government policy and evaluation influenced the research activities and the operation of the department, and the excessive evaluation of the BK21 program was found to have some side effects operating inefficient short-term programs. By synthesizing the research results, research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of the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training policy and the BK21 program policy were presented, and policy improvement plans were presented. The policy proposals of this study will be a good reference for government policymakers who are thinking about fostering science and technology manpower in preparation for the rapidly changing future society and quasi-governmental institution managers who are thinking about ways to maximize the efficiency of science and technology. Keywords : the science and technology human resources training, expertise development, graduate student, the BK21 program

      •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성적과 학업성취도 및 국가시험성적과의 관계

        장기완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RANK : 24867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entrance examination scores for dental school students, grade point averages of dental students, and national examination scores of licensed dental students. In Korea, the traditional education for a dentist has been a 2 year pre-dental course after high school followed by a 4 year dental college course. Since 2005, a new 4+4 system has been implemented for the graduate school of dentistry. In this study, the research problems were as follows: (1) How do the five criteria of the dental school entrance examination affect the dental school admission process? (2) Is there any correlation among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3)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in the dental school? (4) Is there any correlation between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and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license? (5) How would the five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affect the dental school admission process if the ratio of five contents of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was changed? Data of the applicants' entrance examinations to ‘C’ dental school was collected for 5 years. The sample population was a total of 306 people; 194 passed and 112 failed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The contents of the dental entrance examination at ‘C’ dental school were composed of 5 factors: the grade point averages (GPA) of their college life, authorized English test scores (TOEFL or TEPS by Seoul National University), 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 (DEET) scores, an assay, and a constructed interview. All the data of the candidates for dental entrance examination were analyzed by SPSS V12 program. The GPA earned at dental school and the points earned on the National Examination for Dental License were also input. Pearson's correlation test was performed among the variables.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as performed for the outcome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pass or fail. Multiple linear regressions were used to predict the grade point average earned at dental school by the scores earned on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the dental school.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Predisposing variables for the dental entrance examination were, in order, the authorized English test, DEET, GPA in college, and finally the constructed interview. 2. According to Pearson's correlation test, there was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 achieved on the DEET and the scores achieved on the authorized English test. 3. Two factors, the grade point average (GPA) of a candidate's college life and the success of the constructed interview, had a statistical significance on the academic achievement at dental school. 4. Among the 5 factors of the entrance examination for dental school, there was only one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scores of the DEET and the scores of Korean National Examination of dental license.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 the authorized English test, DEET, GPA in college, and finally the constructed interview in order affect the pass or fail for the dental school entrance examination. Second, the higher the scores of the authorized English test, the lower those of DEET. Third, GPA earned during a candidate's college life and the success of the constructed interview can predict the scores of academic achievement at dental school. Fourth, among the 5 criteria of the entrance examination, only DEET scores can predict the score of the Korean National Examination of dental license. 대학입학전형은 사회적으로 큰 관심사라고 할 수 있다. 이 연구의 목적은 치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전형성적과,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의 학업성취도,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간의 관계를 탐구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입학전형시험 구성요소별 합격·불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은 어떠한가? 2. 입학전형시험의 구성요소 간 상호 상관관계는 어떠한가? 3. 입학전형성적은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입학전형성적과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은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입학전형시험의 구성요소별 반영비율을 달리 할 경우, 합격·불합격의 변화는 어떠한가? 연구대상은 2005학년도부터 2009학년도까지 C치의학전문대학원의 입학전형시험 합격자 194명과 불합격자 112명 총 306명이었다. 연구자료는 입학전형자료, 입학 후 학업성취도,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이었다. 입학전형 구성요소는 치의학교육 입문검사(Dental Education Eligibility Test)성적, 공인영어점수(TOEFL 혹은 TEPS), 대학의 학사과정 총성적 평점(Grade Point Average), 심층면접, 서류심사이었는데, 이들 자료는 대학당국에 요청하여 확보하였다. 입학 후 학업성취도 자료는 치의학전문대학원 4년간의 학년별 평점과 총평점이었다. 그리고, 졸업생에 한하여, 한국보건의료인국가시험원에서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을 확보하였다. SPSS PC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연구문제에 따라 상관관계분석, 중다회귀분석, 로지스틱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별로 학생선발에 있어 실제로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결과, 입학연도에 따라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전반적으로 볼 때 공인영어, DEET, GPA, 심층면접 순으로 나타났다. 서류심사는 합격ㆍ불합격에 실질적인 영향력이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 간의 상호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더니, 통계적으로 유의하기는 하지만 대체로 낮은 상관도를 보였다. 특히, DEET와 공인영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GPA만이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 졸업까지 4년 동안 학업성취도와 꾸준히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입학전형 구성요소별 입학 후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전학년 총평점을 기준으로 DEET, 심층면접, GPA의 순이었으나, 각 학년별 평점과는 그 순서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넷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과 치과의사 국가시험간의 관계를 확인해 보았더니, 국가시험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은 DEET 뿐이고 나머지 요소들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밝혀졌다. 다섯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별 현행의 입시반영비율 중에서 공인영어와 GPA의 반영비율을 맞바꾸어 설정한 후 합격ㆍ불합격에 미치는 영향력을 분석해본 결과, DEET, GPA, 공인영어 순으로 나타났다(현행의 경우, 공인영어, DEET, GPA 순). 심층면접과 서류의 영향력은 변함이 없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현행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선발 입학전형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공인영어점수이고, 그 다음은 DEET, GPA, 심층면접 순으로 영향을 미친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들간 상호 상관관계가 비교적 낮은 사실에 비추어 각 구성요소들은 입시전형에서 어느 정도 독립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셋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에서 GPA만이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 후 학업성취도에 4년 동안 계속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영향을 미친다. 넷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에서 DEET만이 치과의사 국가시험성적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다. 다섯째, 입학전형 구성요소의 반영비율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서 합격ㆍ불합격에 변화가 온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치의학전문대학원 입학전형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할 수 있다. 첫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 GPA만이 모든 학년에서 입학 후 학업성취도와 정적 상관관계를 맺고 있다는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입학전형에서 GPA의 비율을 좀 더 확대시키는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 둘째, 입학전형 구성요소 중 DEET는 치과의사 국가시험과 정적 상관관계를 보이나, DEET와 공인영어점수는 부적 상관관계를 보인다. 따라서, 치의학전문대학원 신입생 입학전형에서 공인영어점수의 반영비율을 현재보다 축소하는 것이 바람직 할 것이다.

      • 캠퍼스 안내사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위원군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As the society gradually goes into pluralism, cultural exchange between countries happens much more frequently, and foreign students have increased in Chungnam University. Therefore, the campus sign system is newly designed for foreign students. The sign system should reveal guidance, warning, direction, classification and the other functions. The campus shows not only overall education of the university and the visualization of physical and spiritual shape of the university. From this point of view, the sign system reveals the strategy of the university brand. The campus in university needs the different sign system from the commercial and other environmental sign system. The university could show its own differentiated characteristics of planning and designing of the buildings. The sign system in campus has played a important role as a way of expressing the identity and differentiation of its campus. The important value of sign system is the transportation of information. In the sign system of the university campus, their own historical and contents and their contemporary culture should be involved. And their tradition, spiritual phase and even their culture should be expressed. Furthermore, the sign system should keep the concept that it is a space of exchanging the university's various unique culture. Above points would be distinguishable points from the sign system used in enterprise, medical hospital and the other managing places. The campus system should be directed not only to the future but also based on the convention because UI itself affected to the behavior pattern of university's members. The campus sign could be the expression that the university want to show its pursuit in condense to the people who visits the campus first time. The all signs installed in campus is all things of designs that directly transports the guide, signs, and regulation of the university. But most of university's campus signs are largely directed only to the design-form effects and it seems not to effectively transport its original purpose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it could be a problem. In this study, the func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sign system of nine universities in Korea, China and United States was investigated through the literatures and spot survey. In order to get the correct and exact information, the investigation was carried in and the data was got from the students, staffs, foreign students and visitors to Chungnam University. The result of the survey are follows. First the location of the integrate sign system would be moved into the enterance of campus and the visitors easily find their destination. Second, the realistic pictogram and english title should be included and the foreigners could go beyond language barrier. Third, the color of the pictogram and the logo should be much more match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llege. Fourth, the compass should be included in sign system. Finally, the number of the lighting system should be increased and sign system is much more readable at night. After analyzing the data, the new effective sign system would be suggested with the result of showing the applying method to establish the concept of more scientific, effective, and artistic sign system. The improved sign system is more humanized and it enhances the functionality of the signs. Therefore, the obstacles of communication and culture difference could be reduced and the atmosphere of campus would expect to become more active

      • 초등교사의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 연구

        신혜선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655

        2021년, 교육부는 ‘초ㆍ중등 교원양성체제 발전방안’을 발표했으며 주요 내용은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한 교육대학원의 재교육 기능을 강화하고, 교원양성 기능을 대폭 축소하겠다는 것이다. 국가의 정책 전략과 더불어 현직교사의 전문성 신장을 위하여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의 강화를 위한 방향과 전략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에 교육대학원의 교사재교육 기능과 관련하여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하고 졸업한 초등교사의 경험을 통해 의미를 탐색해 보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 문제는 첫째, 교사는 왜 교육대학원에 지원하는가, 둘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에서 교사는 무엇을, 어떻게 경험하는가, 셋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교사에게 무엇을 남겼는가. 연구 문제를 다루기 위하여 2011년~2021년 사이에 교육대학원을 졸업한 초등 교사 11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해 심층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 방법으로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녹음한 면담 내용을 전사해 4차례의 분석 과정을 거쳤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교사가 교육대학원에 진학하게 된 이유는 인정받는 교사가 되기 위해, 진로를 위한 보험 차원에서, 소진 상태를 회피하기 위해서, 또 특정 교육대학원을 선택한 이유를 통해 교육대학원을 지원하는 동기가 매우 다양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초등교사는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속에서 학교 현장에 활용되는지에 많은 관심을 나타냈고, 다양한 방식으로 진행되는 수업을 듣고 적응을 하면서 수업을 대하는 태도에 변화를 보였다. 또 대학원 생활에서 논문을 쓰느냐, 쓰지 않느냐에 큰 의미를 두었고, 교과 전공인지 비교과 전공인지에 따라 수업에 대한 인식에 서로 차이가 있는 모습을 보였다. 학교(직장) 생활과 병행하며 공부하는 교사로 어려움을 겪는 모습을 보였고, 교육대학원을 다니는 동안 교육과정 안에서만 교류를 갖는 것이 나타났다. 셋째, 초등교사에게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과정 경험은 계속 배움의 길로 이어지도록 하였으며, 교육에 대한 시야를 확장시켰고, 학교 현장에 활용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그러한 모습은 연구참여자 중 소수에 해당되었고, 변화의 활용의 모습은 일부분이었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통하여 교육대학원의 재교육기능과 관련하여 논의하였다 .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plays a critical role in retraining in-service teachers and fostering teacher education as a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However, the ambiguous part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has led to problems with diversity in educational curricula, lack of quality management, and ineffective operation due to the mixture of its roles and demands for improvement continued. In 2021, the Ministry of Education established a plan for improvement measures in educating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terms of strengthening re-education of in-service teachers with reduced function for teacher training. Establishing direction and strategy to support the graduate school's re-educating operations to enhance in-service teachers' professionalism with national policies is critical. Therefore, this paper aims to investigate the experi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studied and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related to the re-education of teachers and to explore the meaning of it. For this purpose, this paper presented questions as follows. First, why do teachers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Second, what and how do the teachers experience during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ird, what do the teachers learn from re-education experience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1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graduated from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etween 2011 and 2021 were chosen as participants for in-depth interviews a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The data were analyzed with four analysis processes by transcribing the interviews record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asons for elementary school teachers to apply to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ere various with motivation to be a recognized teacher, to secure a career, to avoid exhaustion, and to choose a specific graduate school. Second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showed a great interest in whether they were used in the school field in the re-education process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and changed their attitude toward classes while taking classes and adapting to course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hey put a significant meaning on whether to write a thesis or not in graduate school,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perception of classes depending on whether they were subject courses or extracurricular. In-service teachers had difficulties studying and working simultaneously and only had exchanges within the curriculum while attending graduate school. Thirdly, the experience of re-education in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makes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continue learning, expand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using what they have learned in the school field. However, only a small number of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such features and utilized such changes Finally, this study discussed the re-education function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hrough the research results.

      • 상담자 정책민감성 향상을 위한 대학원 교육과정 개발

        김춘희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8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책민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보다 주체적이고 옹호적인 상담자를 양성할 수 있는 교육적 방안을 마련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국가의 정책이 상담의 주요한 맥락이 되고 있는 우리나라 상담의 특성은 공공상담기관의 전문적 활동역량을 키우고 내담자를 적극적으로 옹호할 수 있는 정책역량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담자에게 정책 민감성을 향상할 수 있는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정책민감성을 증진할 수 있는 상담정책교육에 대한 여러 측면의 요구를 확인하고 실제 대학원 교육과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원과정의 상담정책교육에 대한 요구는 무엇인가? 둘째, 대학원과정의 상담정책교육은 어떻게 실시되어야 하는가? 연구는 Tyler의 교육과정개발모형을 참조하여 상담정책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을 위한 연구 1과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연구 2를 실시하였다. 연구 1에서는 상담자, 사회, 교과 측면에서 대학원 과정에서의 상담정책교육요구가 어떠한지를 조사, 분석하여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답을 구하고자 하였다. 상담자 측면 연구는 공공상담기관 경력을 갖고 있는 5명의 상담자를 대상으로 인터뷰하여 일반적인 귀납적 자료 분석을 실시하였다. 사회 측면 연구는 25개의 언론지와 언론사에 27년간 보도된 내용과 현행 상담정책을 분석하였다. 교과 측면 연구는 127개 상담관련 전공 대학원의 교육과정을 분석하고 11명의 상담자교육전문가들을 대상으로 상담정책교육에 대한 교육목표를 수집하여 귀납적으로 분석하였다. 주요 결과로 첫째, 학습자들은 대학원과정에서 상담정책교육을 받지 못했고 현장에서 필요한 맥락적 지식들은 상담자 개인의 다른 경험을 활용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초기에 기관 체계에 적응하는 것에 어려움이 있었고 업무환경이 불안전하다고 지각하였다. 참여자들은 대학원과정에서 미리 예상할 수 있도록 현장을 안내해 줄 수 있는 내용과 구체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육, 공공상담기관의 현장실습 등이 교육과정에 포함되기를 요구하였다. 둘째, 현대사회는 심리적 치료와 지원에 대한 인식과 요구가 많아지고 있다. 사회문제 해결을 위해 각 정부부처들은 정책의 도구로써 심리상담을 활용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예비상담자들에게 공공상담기관에 맞는 직무수행을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확인되었다. 셋째, 상담자양성 대학원에서 상담정책관련 교육을 실시하는 곳은 미미한 반면, 상담교육전문가들은 상담정책관련 교육의 필요성을 매우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상담자, 사회, 교과영역에서 대학원 상담정책교육에 대한 요구를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2에서는 상담정책 교육과정 안을 마련함으로써 두 번째 연구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교육과정 안의 개발은 대표적인 상담관련학회의 운영진 경력을 가진 15명의 전문가패널을 대상으로 3차에 걸친 델파이 조사를 통해 이루어졌다. 주요 결과로 첫째, 교육과정 안은 크게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과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로 구성되었다. 교육과정 운영의 방향에서는 추구하는 인재상, 교육역량, 교육목표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교육과정 운영의 실제에서는 교과목, 교육내용, 교수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상담정책교육은 크게 공공상담영역에서의 상담수행역량과 상담정책역량증진을 위해 상담제도, 상담정책, 상담경영, 상담실제, 상담윤리 부분에서 이루어질 것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상담자의 정책민감성 증진을 위한 교육에 초점을 맞추어 대학원 교육과정을 체계적으로 개발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한국적 상담의 특성을 반영한 예비상담자교육을 논의하였다는 점, 상담자의 공공상담기관의 직업적 적응을 위한 대학원교육과정을 마련한 점에도 의의가 있다. 또한 상담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내담자를 옹호할 수 있는 정책역량을 증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육과정 안을 마련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An Inquiry of Cultural Experience in South Korea through the Studying Experience of Ghanaian Graduate Students

        Yi Yin Chen 忠南大學校 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8639

        Since the institution of the “Study Korea Project” in 2004, there has been a dramatic rise in the number of international students in the Republic of Korea. At the same time, also providing plenty of opportunities for African student to study in South Korea. Among them, Ghana ranks first among African countries studying in South Korea. Also, the number of Ghanaian students is increasing year by year. But because of the cultural difference, the percentages of the situations of negating, rejecting or ignoring the local culture are also increasing.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ture review, there is no research on the study experience of Ghanaian graduate students in South Korea, and there is no high-quality research that can deeply understand the actual ideas of the Ghanaian graduate students and understand their experience on camp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ampus life of Ghanaian graduate students during their studies in South Korea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are two Ghanaian graduate students who studying at an engineering school of national university in South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e difficulties and challenges faced by Ghanaian graduate students due to cultural differences during their studies in South Korea,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ir campus life. This research went deep into the campus where the Ghana graduate students are studying, and shared their experience in South Korean campus through interviews which often used in narrative inquiry research. The research firstly collected interview materials and sorted out the experiences of two Ghanaian graduate students on the South Korean campus in chronological order. After careful consideration and reading for many times, with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ism, the topic of "the recognition of difference", "the issue of cultural assimilation, marginalization and domination", "unconscious exploitation under capitalism" were discussed. 2004년 "스터디 코리아 프로젝트"의 시행 이후, 한국에서 유학생의 수가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다. 동시에, 아프리카 학생들이 한국에서 공부할 수 있는 많은 기회도 제공한다. 이 중에 가나는 한국에서 공부하는 아프리카 국가 중 1위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가나 학생들의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하지만 문화 차이 때문에, 지역 문화를 부정하거나 거부하거나 무시하는 상황의 비율도 증가하고 있다. 참고문헌의 관점에서 보면, 한국에 있는 가나 대학원생들의 연구 경험에 대한 연구는 없고, 가나 대학원생들의 실제 생각을 깊이 이해하고 캠퍼스에서의 경험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 높은 연구도 없다. 이 연구의 목적은 가나 대학원생들이 한국에서 공부하는 동안 비판적인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캠퍼스 생활을 탐구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참가자들은 한국의 국립 대학의 공학 대학에서 공부하는 두 명의 가나 대학원생들이다. 가나 대학원생들이 한국에서 공부하는 동안 문화적 차이로 인해 겪는 어려움과 도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그들의 캠퍼스 생활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가나 대학원생들이 공부하고 있는 캠퍼스 깊숙이 들어가 종종 서술형 조사에 사용되는 인터뷰를 통해 한국 캠퍼스에서의 경험을 공유했다. 이 연구는 우선 면접 자료를 수집하여 두 명의 가나 대학원생의 한국 캠퍼스 경험을 연대순으로 정리하였다. 비판적 다문화주의 관점에서 여러 번 숙고하고 읽은 후에, "차이의 인식", "문화 동화, 소외, 지배", "자본주의 하에서 무의식적인 착취"라는 주제가 논의되었다.

      • 대학교 교양과목으로 개설된 음악 관련 교과 분석 : 대전지역 대학교를 중심으로

        변서연 충남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amines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based on which it comparatively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8 four-year universities in Daejeon. The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 theoretical background of liberal arts and music education, legitimacy of music education as liberal arts based on the above, and cases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urriculums in universities overseas. This study then investigates the objectives of education, liberal arts curriculums and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f 8 universities in Daejeon select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are comparatively analyzed by categorizing them into four items: current stat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osi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and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The following is the result and analyzing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First, the biggest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proportional to the number of students in the university was in KAIST (Korea Advanced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followed by Mokwon University,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Pai Chai University, Daejeon University, Hannam University, Hanbat National University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KAIST and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had the highest ratio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compared to the number of students, showing about 35 times difference in terms of ratio. Secon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each university by field, genre and connectivity shows that there are more courses on theory than practice, with 5.5 times more courses in Western music than Korean music. In addition, convergence courses were all in private universities. Third,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regarding whether there is a music department shows that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9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n average, and those without a music department had 6 courses. Universities with a music department had 1.48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than those without, indicating that the existence of a music department has an effect on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ourth, a classification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according to national and private universities shows that there are about 3 times mor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private universities than national universities in general. However, there were a few exceptions in which a national university has many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or a private university has only a few, depending on its goal of liberal arts education or educational policy. Based on the results above, this study makes a few suggestions for more effect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First, it is necessary to increase the number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Students will be able to more frequently receive music-related liberal arts education if such courses are included in the liberal arts curriculum as the basic liberal arts courses for freshmen or a program that must be completed before graduation. Second, there must be more emphasis on the importance of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erms of practice and training. The portion of practice must be increased within the regular liberal arts curriculum in universities so that students can have more direct experiences with music and increase the level of interest and focus. Third, there is a need to increase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the genre of Korean music. Courses that provide simple interpretation of gugak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practical training of gugak for actual experience must be increased in order to perceive the need for music-related liberal arts courses in Korean music. Fourth, it is necessary to increase convergence courses with connectivity to other fields. By constantly studying convergence courses and linking them with other fields, it will be possible to lead to liberal arts education that creates values meeting the goal of basic liberal arts education. 본 연구에서는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해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대전지역 8개 4년제 대학교의 음악 관련 교양교육과정의 현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 내용은 교양교육과 음악교육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조사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교양교육으로써의 음악교육의 당위성과 외국 대학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음악 관련 교양과정에 대한 사례를 제시하였다. 이러한 문헌 연구를 바탕으로 선정된 대전지역 8개 대학의 교육목적, 교양과정, 음악 관련 교양과목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각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 음악 관련 교양과목 구성, 음악과 유무,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의 네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비교·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하여 각 대학별로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학 학생 수에 비례한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현황은 카이스트(한국과학기술원)-목원대학교-침례신학대학교-배재대학교-대전대학교-한남대학교-한밭대학교-충남대학교 순으로 많았으며 학생 수에 비해 음악 교양과목 비율이 가장 높은 카이스트와 충남대학교는 비율 수치가 약 35배 차이를 보였다. 둘째, 대학별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구성된 분야, 장르, 연계성의 항목에 따라 분류해보았을 때 실기보다는 이론 목적의 교양수업이 많으며 한국 음악보다 서양 음악 과목이 5.5배 더 많이 개설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융·복합 수업이 이루어지는 과목은 모두 사립대학에 개설되어 있었다. 셋째, 음악과가 존재하는가의 여부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음악과가 있는 학교는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평균적으로 9과목 개설되어 있었고, 음악과가 없는 학교는 6과목이 개설되어 있었다. 음악학가 있는 학교가 없는 학교보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이 1.48배 정도 더 많이 개설되어 있어 음악과 존재 여부가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국립대학과 사립대학에 따른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분류해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사립대학에 개설된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가 국립대학보다 약 3배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각 대학마다 교양교육의 목표나 교육 정책에 따라 국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많거나, 사립대학임에도 음악 관련 교양과목 개설 수가 적은 예외의 경우도 나타났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더욱 효과적인 음악 관련 교양교육이 되기 위한 몇 가지 방안들을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음악 관련 교양과목 수의 증설이 필요하다.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교양 과정의 커리큘럼에 편성하여 학부의 신입생을 위한 기초 교양과목이나 졸업 전까지 이수하는 한 과정으로 선정하면 학생들이 음악 관련 교양교육을 받을 수 있는 빈도수가 많아질 것이다. 둘째, 실기 분야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중요성을 더 부각시킬 필요가 있다. 대학교의 정규 교양교육과정 안에서도 실기의 비중을 늘려 학생들로 하여금 음악에 대한 직접적인 체험 기회와 관심도의 집중을 향상시킬 필요가 있다. 셋째,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을 늘려야 한다. 국악에 대한 쉬운 해설과 실제 체험해 볼 수 있는 국악 실기 과목을 늘려 한국 음악 장르의 음악 관련 교양과목의 필요성을 인식할 필요가 있다. 넷째, 타 영역과 연계성을 가진 융·복합 교양과목을 증설할 필요가 있다. 타 영역과 융·복합된 과목을 지속적으로 연구하고 여러 분야와 연계시킨다면 교양기초교육의 목표에 부합하는 가치 창출적인 교양교육으로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

      • 현직교사의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수학 경험 연구

        석재현 忠南大學校 敎育大學院 2020 국내석사

        RANK : 248639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is a representative program of the teacher re-education process, but the number of major installations and freshmen is decreasing. The study sought to clarify the meaning of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by analyzing the experience of incumbent teachers in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s. To that e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incumbent teachers who studied at the National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which was operated on a seasonal basi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Motives for applying for the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Extremely for students," "to see the forest of education," and "a spoonful of promotion." The course experience was shown as "school field rather than theory," "study on the education system," "time of healing camp," "like Argos' eyes," "papers is that student do for oneself" and "fellowship like soldiers". The use of experience has been shown as 'use the knowledge of education administration major in the school field',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 policy', 'understanding and accepting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reflection on teaching life'. Through this experience, the meaning of the major in education administration turned out to be "educational administration what we are doing now," while the overall experience in the re-education process at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turned out to be "the sweet and salty experience of the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은 교사 재교육과정의 대표적인 프로그램이나, 최근 전공 설치와 신입생 수가 감소하고 있다. 이 연구는 현직교사가 교육행정 전공에서 과연 어떠한 경험을 하는지 분석함으로써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를 밝히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계절제로 운영되는 국립의 교육대학원에서 수학한 현직교사를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수행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직교사의 지원 동기는 ‘궁극적으로는 학생을 위하여’, ‘교육이라는 숲을 보기 위해서’, ‘승진 한 숟가락’으로 나타났다. 과정 경험은 ‘이론보다는 교육현장’, ‘교육시스템에 대한 공부’, ‘힐링캠프의 시간’, ‘아르고스의 눈과 같이’, ‘논문은 스스로’, ‘전우애’로 나타났다. 경험 활용은 ‘교육행정 전공의 지식을 현장으로’, ‘교육정책의 이해와 수용’, ‘교육 환경에 대한 이해도 제고’, ‘교직 생활에 대한 성찰’로 나타났다. 이러한 경험을 통해 교육행정 전공의 의미는 ‘우리가 지금 하는 것이 곧 교육행정’으로 나타났으며, 전반적인 교육대학원 재교육과정 경험은 ‘단짠단짠 교육대학원 경험’으로 나타났다.

      • 대학도서관의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연구 : 충남대학교를 중심으로

        박선정 충남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21st century, university libraries face intense competitive environment. So they need to do 'library marketing' aimed at the organizations which they belong to and customers whom they serve for their survival and success. This study suggests the concept of 'library marketing', the cases of 'library marketing' in Korea, and concrete marketing management strategies for university libraries at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is paper consists of literature research, present status research, a questionnaire survey, and case studies. The literature research includes the university library marketing's definition, its features and the necessity of its marketing. First, in an attempt to build the marketing strategy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 this study collects the data from conducting homepage analysis and interviews to three librarians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Theses interviews are conducted during form April 2 to 20 in 2009, three times. To analyze the present status research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Library's marketing, this study classifies the research standard elements as 4P(product, place, price, promotion) mix. Based on the findings from the interviews, this study elicits the problems from the library and thus built the foundation of the marketing strategy. The case studies are conducted by targeting 5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and analyzed their present status of marketing. To analyze the market information, research method for this study is occupied a survey for 200 students in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uring May in 2009. Results of the survey can be regarded as users needs and can be used for fundamental data of marketing strategy.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urvey, users want to improve the place, product, promotion elements in order. This paper tries to find solution by utilizing the analysis of STP(market segmentation, targeting, positioning). Market segmentation strategy was used for segmenting the market(professors, school personnels and students) and Targeting strategy is used for targeting the student's market. Finally, this paper shows the stages for user analysis, positioning and process of operational marketing for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And also suggests the marketing mix - place strategy, product strategy and promotion strategy - that can be applied to university libraries.

      • 전면 문제중심학습이 문제해결과정, 메타인지, 내적동기에 미치는 영향 : J치의학전문대학원의 사례를 중심으로

        장기완 忠南大學校 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639

        J치의학전문대학원에서는 전면문제중심학습방법으로 교육이 실시되고 있다. 본 연구자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 PBL)방법이 치의학전문대학원에 적절한 학습방법인지 확인하기 위하여 문제중심학습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 메타인지, 내적 동기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알아보고자 하는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기술하면 아래와 같다. 1) PBL이 학습자의 문제해결과정을 변화시키는가? 1-1 PBL 경험 유무에 따라 문제해결과정에 차이가 있는가? 1-2 PBL 경험 기간(1학기, 3학기, 5학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PBL이 학습자의 메타인지, 혹은 내적동기를 변화시키는가? 1-1 PBL 경험 유무에 따라 메타인지, 내적동기에 차이가 있는가? 1-2 PBL 경험 기간(1학기, 3학기, 5학기)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학생들이 PBL 방법에 대하여 흥미를 느끼는가? 본 연구에서는 비교집단은 PBL에 대한 경험이 전혀 없는 P치의학전문대학원의 231명이었으며, 실험집단은 전면 PBL을 실시하고 있는 J치의학전문대학원 120명이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검사도구는 문제해결과정, 메타인지, 내적 동기, 흥미도 검사이었다. 그 후, PBL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에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더불어 PBL 경험 전후와 경험 학기 수에 따른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실험집단만을 대상으로, 반복측정에 의한 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을 경험한 실험집단이 경험하지 않은 비교집단보다 문제해결과정의 전략이 우수하였다. 더불어 실험집단의 경우, PBL 전후 간에는 유의한 차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BL 실시 학기수에 따른 문제해결과정의 전략의 차이는 인정되지 않았다. 둘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메타인지가 우수하였다. 더불어 실험집단의 경우, PBL 경험 전후 간에는 메타인지에 변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경험 학기 수에 따라 메타인지의 긍정적 변화 정도가 다르다는 것을 확인하였고, 1학기 경험군에 비하여 3학기 경험군이 유의하게 높았으나, 3학기 경험군과 5학기 경험군 간에는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셋째, 실험집단이 비교집단보다 내적 동기가 우수하였다. 더불어 실험집단의 경우, PBL 경험 학기수에 따라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즉, 1학년의 경우, PBL 경험 후에 오히려 내적 동기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3, 5학기 PBL경험군에서는 내적동기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3학기군과 5학기 군간에는 유의한 차가 인정되지 않았다. 넷째, 학습자들이 PBL로 진행되기를 희망하는 학기 수는 응답자의 50.8%가 4학기라고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PBL은 문제해결과정과 메타인지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다. 둘째, 내적 동기의 경우 1학기만으로는 오히려 내적동기가 감소하였으며, PBL 경험학기수가 3학기 이상이 되어야 긍정적인 효과를 얻을 수 있었다. 셋째, PBL 시행 학기 수는 3학기가 적당하였다. 요약하면, 우리나라의 치과대학이나 치의학전문대학원 과정에서 PBL을 시행하려는 타 대학에게 실증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치의학교육과정에서는 전학년 동안보다는 일정기간 동안에만 전면문제중심학습을 실시하는 것이 권장된다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problem based learning in dental education, especially problem solving process, meta-cognition, and intrinsic motivation at 'J' National University Dental School. The problems to be investigated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Does the PBL change the strategy of problem solving process? 2. Does the PBL improve the ability of meta-cognition? 3. Does the PBL change the intrinsic motivation?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20 students in experimental group and 175 students in control group. The measurement tools of this study were problem solving process test, meta-cognition test, and intrinsic motivation test by the present researcher. The data was analyzed by the two-way ANOVA and ANOVA with repeated measure.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Experiment group showed better strategy of problem solving process than control group. 2.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meta-cognition than control group. 3. Experiment group showed higher level of intrinsic motivation.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on this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made. Firstly, problem based learning has positive educational effect compared to lecture based learning. Secondly, the appropriate length of PBL is 3 semesters or one year and half. It could be recommended that dental education in Korea should be blended the PBL and the learning with briefly lectured or block lecture by teach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