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뷔페 레스토랑의 선택요인 차이비교 연구 : 호텔 vs 뷔페 레스토랑

        이광호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현대 외식 대중들의 사회적, 경제적 여건 변화에 따라 다양해지고 있는 식당고객의 욕구는 차별화 된 상품, 시설, 분위기, 및 색다른 외식경험을 추구하고 있다. 과거의 외식은 배고픔을 극복하는 먹거리로써 인식되어 왔으나, 현재는 여가활동의 하나로서 보편적인 생활의 일부로 인식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고객의 기호와 욕구는 다양하고 급속하게 변하고 있으므로 메뉴 교체주기도 점점 짧아지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다양한 욕구를 충족한 메뉴상품을 이용한 뷔페음식은 음식 각각의 특성과 이미 수반된 운영의 노하우를 필요로 하게 되었다. 외식 고객들은 외식 할 장소를 선택하려고 할 때, 개인의 취향이 각자 다르기 때문에 레스토랑 선택의 어려움을 겪는 경우 또는 다양한 음식을 맛보기위해 뷔페 레스토랑을 선호하는 경향이 있다. 인터넷 상의 동호회나 회사 모임, 단체 또는 소모임, 돌잔치, 가족모임 등 공식적인 행사를 위한 적합한 장소로도 뷔페 레스토랑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증가하면서 일반뷔페 레스토랑이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일반뷔페 레스토랑은 호텔뷔페 레스토랑에 비해 저렴한 가격과 편리한 접근성, 브랜드별 차별화된 인테리어, 다양한 메뉴 구성 등을 내세워 신규 고객유입은 물론 기존의 뷔페형식을 선호하는 고객들의 방문을 유도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호텔뷔페 레스토랑이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증가추세에 의해 운영상에 영향을 받을 것이라고 가정하였다.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증가와 뷔페 레스토랑의 유ㆍ무형적 서비스형태가 계속해서 빠르게 변화함에도 불구하고 호텔뷔페 레스토랑은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이 미흡하며, 외부의 변화에 소극적인 태도로 일관하고 있다. 따라서 호텔뷔페 레스토랑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을 모두 이용해본 경험이 있는 고객을 대상으로 호텔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이용형태에 대한 차이를 비교분석하고 호텔과 일반뷔페 레스토랑 선택 시 고려하는 요인을 파악하여 향후 호텔뷔페 레스토랑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운영전략을 제시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선행연구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추출된 연구변수들을 활용하여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총 300부를 배포하여 유효설문지 240부를 실증분석을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이용 장소에 대한 결과는 호텔뷔페 레스토랑은 교통이 편리한 시내 중심에 위치한 호텔이용 빈도가 높았으며, 일반뷔페 레스토랑은 인지도가 높은 뷔페 레스토랑을 가장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용 빈도는 호텔뷔페는 월 1회 미만이 163명(67.9%)로 가장 많았고, 일반뷔페 또한 월 1회 미만이 140명(58.3%)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이용경로에 대한 결과는 호텔뷔페의 경우 주변의 권유가 121명(50.4%), 과거의 방문경험이 70명(29.2%)로 나타났으며, 일반뷔페 역시 주변의 권유가 84명(35%), 과거의 방문 경험이 84명(35%)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지출비용은 호텔뷔페의 경우 5~6만원 99명(41.3%), 4~5만원 44명(18.3%)으로 나타났으며, 일반뷔페는 2~3만원 95명(39.6%), 3~4만원 80명(33.3%)으로 분석되었다. 다섯째, 이용시간은 호텔뷔페는 주로 저녁시간이용 빈도가 높았고, 일반뷔페는 점심과 저녁시간에 고루게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두 집단 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여섯째, 이용목적에 있어서 호텔뷔페는 가족모임과 사교적 모임이 많았고, 일반뷔페는 가족모임과 단순식사목적이 많아 다소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일곱째, 방문 시 선택기준에 대한 분석 결과는 호텔은 가족친지가 많았고, 일반뷔페는 친구, 동료와 가족친지 순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서울 지역의 호텔뷔페 레스토랑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을 모두 이용한 경험이 있는 고객을 중심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기에 국내 모든 뷔페 레스토랑에 일반화되기에는 한계가 있고, 일반뷔페 레스토랑의 증가로 인해 호텔뷔페 레스토랑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으나 정확한 매출과 고객 수 변화에 대한 자료 확보에 어려움이 있어 두 집단 간 비교연구만 진행되었다. 따라서 향후 연구에서는 동일한 상권 내에 호텔뷔페 레스토랑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이 함께 위치하고 있는 곳을 지역적 범위로 선정하고, 이곳에 위치한 호텔과 일반뷔페 레스토랑을 모두 이용한 고객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실증연구와 일반뷔페 레스토랑 입점 시점에서부터 호텔뷔페 레스토랑의 매출 및 고객 수 변화에 대한 수치적인 검증이 함께 이루어졌으면 한다.

      • 늦부모와 일반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에 관한 비교 연구

        이민자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paren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between delayed and young parents. The sample were 276 delayed parents who gave birth after 35 years old and 313 young parents who gave birth before 34 years old with children aged between 2 and 5 in 53 day care center, kindergarten, and play center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Date were gathered total 587 parents by a method of surve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Park Ju-hee(2001) for measuring of parenting behaviors in this research, Anh Jee-young(2001) developed by questions of 'Parenting Daily Hassles' of Crnic and Greenberg(1990) for measuring of parenting stress, Hyun On-gang, Cho Bok-hee(1994) developed from 4points scale to 5points scale for parental satisfaction, and Schumm, Jurich and Bollman(1986) for marital satisfac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12.0 Program, of t-test, 𝝒2, ANCOVA, MANCOVA, Pearson's Correlation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Cronbach's alpha.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delayed parents and young par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first child's age and birth order of child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 addition, first child's age of the delayed parents was higher than the young parents and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parents' age, the number of children, parents' marriage age, years of marriage, and monthly income and thus it was concluded that the delayed parents was higher. Second, the two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ccording to parental satisfaction and parenting behaviors, but parenting stress and marital satisfaction not showed differences. In case of the delayed parents showed warmth-encouragement but the young parents showed rejection-control in parenting behaviors. Moreover young parents was higher than delayed parents in parent's role conflict. Third, in parenting behaviors the two were shown influences by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ing stress, parental satisfaction, marital satisfaction. In other words, delayed parents' warmth-encouragement showe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arent-child relationship, support of children, maternal education, and parents' role conflict in order but, young parents showed considerable effec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parent's role conflict, general satisfaction, children's sex distinction in order. Delayed parents' rejection-nonintervent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support of children, characteristic of child act,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s age, and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but, young parents showed considerable effec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difficulty of mother's role, characteristic of child act, and monthly income in order. Delayed parents' overprotection-permission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difficulty of mother's role, the number of children, and mother's education in order but, young parents showed considerable effects on difficulty of mother's role, parent's role conflict, and mother's education in order. Also, delayed parents' independence showed significant relations with characteristic of child act, support of children, general satisfaction, parent-child relationship in order but, young parents showed considerable correlations with parent-child relationship, child's age in order. Finally, delayed parents' consistent restriction had considerable effects on parent-child relationship, support of children, and spouse support in order, but young paren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on child's age, parent-child relationship, difficulty of mother's role, marital satisfaction in order. To conclude, the Delayed parents and young parents had a difference in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Delayed parents showed warmth- encouragement but young parents showed rejection-control in parenting behaviors. The two showed different influences in factors of parenting behaviors. Thus, the mean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for expecting to the late parents increasing in our society are able to be offered the objective information about demographic characteristics, parenting behaviors and helped understanding of in-depth analyses. Second, for being offered a basic data about child consultation and maternal education to late parents for reducing the vague anxiety and the burden. Third, for expecting as a basic data of this study to help delayed parent‘s delivery that not to health problems related to low birthrates. 본 연구는 유아기 자녀를 양육하는 늦부모와 일반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 결혼만족도 및 양육행동에 대한 차이를 파악하고 이러한 요인들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의 차이를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53곳의 어린이집, 유치원, 놀이학교에 다니는 만 2~5세 유아의 부모 중, 만 35세 이후에 자녀를 출산한 늦부모 276명과 만 34세 이전에 자녀를 출산한 일반 부모 313명으로, 총 589명에게 설문 조사 방법으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의 양육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박주희(2001)가 개발한 도구를 설문 대상자가 이해하기 쉽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고, 양육스트레스의 측정은 Crnic과 Greenberg(1990)의 ‘Parenting Daily Hassles'의 문항을 안지영(2001)이 번안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부모역할만족도에 대해서는 현온강․조복희(1994)가 개발한 도구를 설문 대상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 4점 척도를 5점 척도로 수정 · 보완하여 사용하였고 결혼만족도는 Schumm, Jurich와 Bollman(1986)이 개발한 도구를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12.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검정, 𝝒2 검정, 공변량분석, 중다공변량분석, pearson 적률상관분석 및 단계적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설문 도구의 타당도와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요인 분석과 Cronbach's α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늦부모와 일반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의 차이를 비교한 결과, 자녀관련요인 중 첫 자녀의 연령 및 출생 순서에서 두 집단 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늦부모들의 첫 자녀 연령이 일반 부모 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자녀의 출생 순서에서 늦부모와 일반 부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뿐만 아니라 부모관련 요인에서는 부모연령, 자녀수, 부모결혼연령, 결혼지속연수, 월수입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늦부모 집단이 부모의 연령, 자녀수, 부모결혼연령, 결혼지속연수 및 월수입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늦부모와 일반 부모 간에 부모역할만족도, 양육행동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지만 양육스트레스와 결혼만족도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즉, 늦부모의 경우 온정․격려적인 양육행동이 높게 나타났고, 일반 부모의 경우 거부․통제 양육행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부모역할만족도에서는 일반 부모가 늦부모 보다 부모역할 갈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늦부모와 일반 부모의 인구학적 특성, 양육스트레스, 부모역할만족도, 결혼만족도 중에서 온정․격려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늦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지지, 모학력, 부모역할 갈등 순으로, 일반 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 부모역할 갈등, 일반적 만족감, 자녀의 성별 순으로 나타났다. 또한 늦부모의 경우 자녀의 지지, 유아행동특성,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연령, 결혼만족도 순으로, 일반 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 어머니역할의 어려움, 유아행동특성, 월수입의 순으로 거부․통제적 양육행동에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더불어 늦부모의 경우 어머니역할의 어려움, 자녀수, 모학력 순으로, 일반 부모의 경우 어머니역할의 어려움, 부모역할 갈등, 모학력 순으로 부모의 과보호․허용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늦부모의 경우 유아행동특성, 자녀의 지지, 일반적 만족감, 부모-자녀관계 순으로, 일반 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연령순으로 독립성 지향적인 양육행동에 영향력을 가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늦부모의 경우 부모-자녀관계, 자녀의 지지, 배우자의 지지 순으로, 일반 부모의 경우 자녀의 연령, 부모-자녀관계, 어머니역할의 어려움, 결혼만족도 순으로 일관적 · 규제적인 양육행동에 영향력이 큰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늦부모와 일반 부모의 두 집단 간에는 인구학적인 특성에 있어서 차이가 있었다. 그리고 늦부모의 경우 온정․격려적인 양육행동을 나타낸 반면 일반 부모는 거부․통제적인 양육행동을 하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각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있어서도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갖는다. 첫째, 최근 우리 사회에서 증가하고 있는 늦부모 집단의 인구학적인 특성 및 부모양육관련요인에 대한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이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둘째, 부모양육관련요인에 대한 늦부모들의 불안감과 부담을 덜어주고 모든 부모를 위한 아동 상담,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에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출산율이 급속하게 감소하고 있는 현 시점에 늦부모들의 건강상 의학적 문제가 제기되지 않는다면, 본 연구의 기초적인 자료정보 제공은 출산장려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지정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다문화가족의 원활한 문제해결과 한국사회 적응을 위해서는 다문화가족의 문제 해결을 위해 활동하는 사회복지사의 인식이 중요하며, 그 중에서도 사회복지현장에 투입되기 전인 예비사회복지사의 다문화가족에 대한 인식이 제일 중요하다는 인식하에 연구를 시작하였다.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설정하기 위하여 선행연구 분석 결과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이라는 3가지 범주로 요인을 분류하였다. 그리고 이 범주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을 측정?분석하였으며, 분석을 위해 표집된 설문지 304부에서 결측치와 미회수된 설문지를 제거한 후, 총 282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에는 독립변수가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독립변수와 종속변수와의 관계를 파악하기 위한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변수들의 상대적인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해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 측정결과, 5점 만점을 기준으로 일반기능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6점, 수업기능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1점, 인간관계 증진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4.32점,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의 다문화 효능감은 3.93점, 마지막으로 다문화 효능감은 4.01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의 평균 차이를 보기 위해 실시한 독립표본 T-검정, 일원배치 분산분석 검정 결과, 일반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학년이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이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관련 교과목 수강경험이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접촉요인에 따른 다문화 효능감에서는 다문화 관련 대중매체 접촉경험이 일반기능, 수업기능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들의 일반요인?교육요인?접촉요인과 다문화 효능감과의 관계를 살펴보는 회귀분석 결과, 일반요인에서는 학년이 높을수록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요인에서는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이 있을수록, 다문화가족 배려측면 다문화 효능감,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문화 관련 교과목 수강경험이 있을수록, 일반기능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외국어 능력에서는 외국어를 잘할수록, 일반기능,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과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접촉요인에서 다문화 관련 대중매체 접촉경험이 있을수록, 일반기능, 수업기능, 인간관계 증진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중매체 접촉시간이 많을수록 인간관계 증진, 다문화가족 배려 측면 다문화 효능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의 다문화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육요인에서 다문화 관련 연수경험, 교과목 수강경험, 외국어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이 다문화 효능감 교육을 받을수록 다문화 효능감이 향상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미래의 사회복지사인 사회복지전공 대학생에게 제공될 사회복지 교육과정에서는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측면에서의 교육이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 주요어 : 다문화 효능감, 사회복지전공 대학생, 다문화, 일반요인, 교육요인, 접촉요인

      • 연령단계별 강간통념과 인지왜곡이 청소년들의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

        황순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논문의 주요 목적은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학년(연령)별 강간통념과 인지왜곡이 청소년들의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청소년의 인지왜곡, 자아존중감, 일반비행, 강간통념의 일반적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청소년의 학년(연령)과 인지왜곡, 자아존중감이 강간통념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기 위해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연구설계된 청소년의 학년(연령)이 인지왜곡, 강간통념과 자아존중감을 거쳐 최종 종속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력 검증을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안양시 소재 초등학교 5․6학년, 중학교 1․2․3학년, 고등학교 1․2학년생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최종적으로 299부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강간통념을 측정하기 위해 Burt(1980)가 개발한 척도를 토대로 이석재(1999)가 개발한 강간통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인지왜곡을 측정하기 위해서 전복기(1989)가 사용한 인지왜곡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 Rosenberg(1965)가 개발한 자아존중감 척도를 이훈진과 원호택(1995)이 번안한 한국판 척도를 사용하였다. 일반비행 측정은 곽금주 등(1993)의 연구에서 사용한 척도를 수정하여 유재훈(2000)이 사용한 비행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의 목적에 따라 t-test, 일원분산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최종 종속 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경로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청소년의 성별에 따른 강간통념의 변화는 유의미한 영향을 보이지 않았으나, 학년(연령)에 따른 인지왜곡, 일반비행, 강간통념의 차이 분석에는 정적인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학교 1학년에서 2학년으로 올라가는 단계부터 인지왜곡, 강간통념 점수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중학교 2학년부터 점차 인지왜곡과 강간통념의 수준이 사회적 통념으로 변화하는 지점으로 분석결과 나타났다. 인지왜곡 하위 요인 중 다른 사람을 비난하기, 축소화 잘못명명하기는 강간통념의 변인인 여성의 행동에 대한 오해와 성폭행 피해의 책임귀인으로 이어지는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로 청소년의 학년(연령)이 인지왜곡, 강간통념과 자아존중감을 거쳐 최종 종속 변인인 성비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구조방정식 경로모형을 분석한 결과, 인지왜곡과 강간통념은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그러나 자아존중감은 성비행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와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점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rape myths and cognitive distortion on juvenile sex offenses by age and/or grade. To this end, teenager’s views regarding cognitive distortion, self-esteem, delinquent behavior, and rape myths were explored. Then, the influence of respondents’ age, cognitive distortion, and self-esteem on rape myths was examine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effects of the age/grade variable on the dependent variable sex offense mediating cognitive distortion, rape myths, and self-esteem were examined through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path analysis. Surveys were distributed to 5th and 6th graders, to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students in the first two years of high schools located in the city of Anyang. For the analysis, 299 responses were used. The Rape Myth Acceptance Scale developed by Lee Seokjae (1999), based on the RMA scale by Burt (1980), was used in order to measure the subjects’ rape myth acceptance. The Cognitive Distortion Scales that Jun Bokgi (1989) used were employed to assess cognitive distortion. Self-esteem was measured by the Rosenberg self-esteem scale developed by Rosenberg (1965)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by Lee Hoonjin and Won Hotaek (1995). Delinquent behavior was measured by scales that Yoo Jaehoon (2000) used, which is his modification of the scales that Kwak et al. (1993) used in their study. The data compiled was analyzed using SPSS 18.0 through t-tests, one-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ath analysis. There were several significant results that follow. First, rape myths did not have a significant difference by gender, though cognitive distortion, delinquent behavior, and rape myths were significantly different by age/grade. In particular, it was shown that the scores on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began to increase from the 1st grade of middle school. The scores from the 2nd grade of middle school on reached the level of adults on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Blaming others, minimization, and mislabeling for cognitive distortion were correlated with misinterpreted women’s behavior and attributions of responsibility for rape myths. With regard to delinquent behavior, in appropriate attire and hairstyle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rape myths. Second, the model fit was satisfactory overall in the path analysis. Age and/or grade had an impact on sex offenses and mediated cognitive distortion, rape myths, and self-esteem. In particular, cognitive distortion and rape myths had significant effects on sex offenses. However, as in the results of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elf-esteem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sex offenses. Discussions were made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Proposals for further study were also suggested.

      •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 :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비교를 중심으로

        손윤옥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This study has examined the influence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have on their anger expression. The data for this study have been collected from 1,006 subjects, including 215 adolescents who have experienced an investigation by the police and 791 middle and high schoolers belonging to some schools located in Ansan, Gyeonggi-do by utilizing Inventory of Parent Attachment, Social Support Scale and State-Trait Anger Expression Inventory. The collected data have been analyzed by conducting a t-test, a simple regression analysis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19.0.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comparison between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and their anger expression level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in terms of parental attachment and anger expression level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erms of social support from family and teachers. By contrast, social support from friends demonstrated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Secondly, the study on the effect parental attachment and social support perceived by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have on their anger expression levels suggested that parental attachment perceived by both groups influenced anger expression levels. When it comes to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from family significantly influenced anger-in and anger-control of the two groups. As for non-delinquent adolescents, however, social support from family influenced only anger-out. Social support from teachers had significant influence on anger-in and anger-control only for non-delinquent adolescents. Social support from friends significantly influenced anger-in/control of non-delinquent adolescents and anger-out/control of delinquent adolescents. Thirdly, the analysis of the relative effect on resentment expressed by delinquent and non-delinquent adolescents demonstrated that both paternal and maternal attachment have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on anger expression levels. The total results of this study have confirmed that parental attachment is the most influential factor in anger expression levels. Therefore, thes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be employed to provide useful basic materials appropriate for parent education and help address anger-expression issues of adolescents. 본 연구는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이를 위하여 경찰서에서 조사받은 청소년 215명과 경기도 안산시 소재의 중·고등학교 재학 중인 청소년 791명, 총 1,006명을 대상으로 자기 보고식 척도인 부모애착 척도, 사회적지지 척도, 분노표현 척도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9.0을 사용하여 t-test, 단순회귀분석과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 사회적지지, 분노표현의 수준 차이를 비교한 결과, 두 집단은 부모애착과 분노표현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대상별에서는 가족의 지지와 교사의 지지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친구의 지지는 두 집단 간 차이가 발생하지 않았다. 둘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애착과 사회적지지가 분노표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두 집단 모두 부모애착이 분노표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지지 대상별에서 두 집단 모두 가족의 지지가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으나 분노표출에는 일반청소년만 영향을 미쳤다. 교사의 지지가 일반청소년은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비행청소년은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친구의 지지가 일반청소년은 분노억제와 분노조절에 영향을 미쳤으나 비행청소년은 분노표출과 분노조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일반청소년과 비행청소년의 분노표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에 대해 알아본 결과, 부 애착과 모 애착이 가장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통하여 분노표현에 부모애착이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상담 현장에서 바람직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 청소년의 건강한 분노표현을 돕는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청소년 문제 행동에 조절초점(Regulatory focus)이 미치는 영향 :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간의 비교

        이용성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일반 청소년과 비행 청소년의 조절초점 즉, 향상 초점과 예방 초점의 수준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해 고등학생 199명과 비행이나 범죄행동을 한 청소년들 112명의 조절초점 동기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청소년들이 저지르는 일반적인 문제행동, 범죄 경력, 그리고 인구통계학적 변수를 알아보았다. 그 결과, 일반청소년들의 문제행동에 비해 비행청소년들의 문제행동 횟수의 평균이 높았고, 문제행동에 더 많이 개입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중, 비행 청소년들이 개입했던 문제행동을 범죄유형에 따라 살펴보았는데, 비행청소년의 범죄중에 가장 빈도가 높은 것은 절도(68), 폭력(41)이었고, 다음으로 성범죄(14), 강도(14)순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순위는 일반적으로 청소년들이 많이 저지르는 범죄의 순위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조절초점의 경우, 일반청소년에 비해 비행청소년들이 예방초점 수준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향상초점의 경우는 일반청소년에 비해 비행청소년들의 향상초점 수준이 더 높은 경향성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문제행동과 향상초점과는 상관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제행동과 예방초점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청소년들의 문제행동이 예방초점에 관여한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며, 예방초점의 조절에 따라 문제행동이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 것이다. 주제어: 조절초점, 향상초점, 예방초점, 비행, 범죄, 청소년 비행 The present research was conducted to find out what influence regulatory focus has on juvenile delinquencies, through Regulatory Focus theory of Higgins(1997). In this research, the result from 199 high school students and 112 juvenile delinquents in temporary shelter, rest area, classification center or youth center and so on. Regulatory focus scale, delinquencies questions, criminal recode, and demographic variables were measured. In results, stealing(68), violence(41), sex crime(14), and robbery(14) were high ranked crimes. And It turned out juvenile delinquents were in the lower level of prevention focused motivation than general teenagers.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on the promotion focused motivation. Moreover, juvenile delinquencies positively correlated with prevention focused motivation. It means that juvenile delinquency is related to prevention focused motivation, so controlling this motivation could change juvenile delinquency. Implications and limits were discussed. Keywords: Regulatory focus, Prevention focused motivation, Promotion focused motivation, Delinquent behavior, crime, Juvenile delinquency.

      • 탈북청소년의 진로교육을 위한 학교도서관의 역할

        오덕성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964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role of a school library to suggest a solution for wha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need for their career and academic concern, how to prepare for them, and issues that they are faced with. Thus, in this study, I adopted following research methods to look into frequently used media and overall understanding of tendency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o obtain career information in daily and school life. First, I conducted a research on related documents to figure out present facts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the adaptation of their life in South Korea. Second, In order to grasp general understanding of their present problems in school life, I conducted interviews of thre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by utilizing a Delphi method. Third, for the enhancement of researcher's understanding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 searched their behavior characteristics by taking a part in education, counselling, seminars and so on held by related groups. Fourth, for the purpose of figuring out ways for obtaining career information and recognition of the role of a school library, I carried out a survey and conducted a quantitative research which verifies a hypothesis by analysing a research result. Fifth, to minimize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which the group of subjects is limited to a specific group, th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I observed the subjects in a small scale by groups based on a verified result, and suggested a model for a career education of a school librar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s. First, it is the difference of provision and acquisition of career information between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were feeling the sense of unequality due to the lack of career information. However, it is recognized that they are provided more career information in their school. In order to overcome this reality,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m with reading for career and career information service to give them career information and career maturity. Second, it is the gap between career information acquisition and the use of data.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South Korean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they have little difficulty in acquiring career information with more frequent visit of a school library. For this, we need a market strategy and services for educating the users of the library to promote the use of a school library for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hird, it is the difference of consciousness for career education programs generated by a result of consciousness gap of career information given by a school. The more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and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find it difficult to obtain career information given by a school, the more they want to take a part in a reading program for career. Forth, it is the necessity for customized career development service which takes account of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characteristic. They have more positive recognition about the career information provided by a school library than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In other words, it was verified that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need more career education than the ordinary high school students. So, in sum, a school library can help North Korean Refugee Adolescents through career information service, reading guidance, reading for career provided by the role of a school library. Also, a school library can develop and offer individually customized career education programs to them. 이 연구의 목적은 탈북청소년이 학업과 진로를 위해 무엇을 필요로 하고, 어떻게 준비하고 있는지, 그리고 이들이 직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해결책 제시를 위해 학교도서관이 할 수 있는 역할을 모색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탈북청소년이 남한 생활과 학교생활에서 진로정보를 얻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매체와 전반적인 경향성 파악과 동시에 학교생활에서 진로정보를 얻기 위해 어떻게 노력하고 있는지 등을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방법을 채택 하였다. 첫째, 탈북청소년들의 현황 및 한국 생활에서의 적응 정도 등 현황적 사실에 대한 파악을 위하여 관련 문헌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둘째, 탈북청소년들의 학교생활과 그들이 현재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개괄적 파악을 위하여 서울에 소재한 일반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탈북고등학생 3명에게 델파이 기법을 활용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셋째, 탈북청소년들에 대한 연구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그들을 대상으로 관련 단체에서 실시하는 교육, 상담, 세미나 등에 직접 참가하여 그들의 행동 특성을 조사하였다. 넷째, 탈북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진로정보 획득을 위한 수단, 학교도서관의 역할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조사결과를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는 양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조사 대상 집단이 탈북청소년이라는 특정 집단에 한정되어 있다는 연구의 제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검증된 결과를 바탕으로 집단별로 소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관찰을 실시하고 학교도서관의 진로교육을 위한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탈북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의 진로정보 제공과 획득의 차이이다. 탈북청소년은 진로정보 부족으로 불평등의식을 느끼고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탈북청소년들에게 진로정보를 제공하고 진로성숙도를 높일 수 있는 진로독서와 진로정보서비스 제공이 필요하다. 둘째, 학교도서관 이용 빈도에 따른 진로정보 취득과 자료이용의 차이이다. 탈북청소년들과 일반 고등학생들은 학교도서관의 이용 빈도가 높을수록 진로정보 획득이 어렵지 않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를 위해 탈북청소년의 학교도서관 이용을 촉진하기 위한 마케팅과 도서관 이용자교육 서비스가 필요하다. 셋째, 학교에서 제공하는 진로정보 획득에 대한 인식의 차이에 따른 진로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차이이다. 학교에서 제공하는 진로정보 획득에 대하여 진로정보 획득이 어렵다고 인식할수록 탈북청소년과 일반 고등학생은 진로독서 프로그램에 참가하기를 원하였다. 넷째, 탈북청소년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진로개발 서비스의 필요성이다. 탈북청소년들은 일반 고등학생들에 비해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진로정보에 대하여 더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탈북청소년들에게 학교도서관에서 제공하는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더 필요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보면 학교도서관은 진로정보서비스와 독서지도, 진로독서 등의 학교도서관의 역할을 통해 탈북청소년을 도울 수 있다. 또한, 탈북청소년에게 개인별 맞춤형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제공할 수 있다.

      • 개인가치성향이 외식기업의 PPL과 브랜드이미지 및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박정연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9647

        현대사회의 외식소비자들은 가치 추구형 소비자들로 진화하고 있다. 이러한 개인의 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들의 소비충족을 만족시켜주기 위해 기업들은 존재가치를 형성 하고 있다. 즉, 기업의 브랜드 이미지 존재가치가 곳 소비자들의 가치성향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외식소비자들의 개인가치 성향에 따라서 추구하는 PPL과 브랜드 이미지, 상표태도 대한 선택적 사항과 고객만족, 재방문의도 방안에 미치는 영향 요인들과 그 요인을 이용한 앞으로의 활용방안들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체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가치 성향, PPL, 상표태도, 브랜드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대한 이론 적 선행연구를 통하여 개념적 의미를 고찰한다. 둘째, TV 드라마에 노출 되는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태도유형 특성을 파악 한다. 셋째,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유형에 따른 상표 태도 및 브랜드 이미 지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한다. 넷째, PPL광고에 대한 수용자들의 유형에 따른 재방문의도의 영향 관계를 파악 한다. 다섯째, 실증분석 결과를 토대로 외식시장의 성향 및 미래 지향적인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을 수행하기위해 문헌적 연구방법으로 논문, 정기간행물, 서적, 연구보고서, 관련기사자료들의 이론적 고찰을 재조명 하고, 이러한 이론적 근거인 선행연구를 통해 가설을 설정하였다. 또한 문헌적 연구방법을 토대로 실증연구도 병행하였다.본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2013년을 기준 연도로 설정하고, 2013년 5월 1일부터 5월 20일 까지 20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공간적 범위로는 서울과 경기 지역에 거주하는 20~40대 까지 PPL에 노출된 일반인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내용적 범위로는 개인가치성향, PPL광고, 상표태도, 브랜드 이미지, 재방문의도에 대하여 선행연구를 토대로 재조명하였다. 즉, 제 1장은 서론으로 개인가치성향과 외식기업 PPL 및 재방문 의도와 관련된 문제의 제기 및 연구목적, 연구범위 및 방법을 설명했고, 제2장 에서는 개인가치성향과 외식기업 PPL 및 재방문 의도에 대한 국내.외의 선행연구들을 분석하였다. 또한 제 3장 에서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재방문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요인을 선정하여 연구모형을 구성하고, 연구가설을 설정하여 이를 검증하기 위한 설문 및 측정도구를 설명하였다. 제 4장 에서는 설문조사와 관련하여 표본의 신뢰성, 타당성을 평가하고, 실증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가설들을 검정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결과가 나타내는 시사점과 이에 따른 개선방안을 제시 하였으며, 제 5장 에서는 연구결과에 대한 결과를 요약하고 본 연구를 통한 한계점을 기술함으로써 앞으로의 보다 발전된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한 문헌연구(literature study)와 실증연구(empirical study) 두 가지 방법으로 연구하였다. 문헌연구 로는 외식소비자들의 개인가치성향에 관한 이론, PPL에 관한 이론, 상표태도, 브랜드 이미지에 관한 이론, 재방문의도에 관한 이론 및 선행연구를 구내.외 문헌을 중심으로 고찰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실증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실증분석을 위한 자료수집은 자기기입 설문 조사법을 사용하였고, 서울,경기 거주 하는 일반인을 500명을 대상으로, 응답된 자료는 첫째,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PPL경험실태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셋째, 개인 가치성향, PPL, 브랜드 이미지, 상표태도, 재방문의도를 알아보고,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였으며, 사후검정으로 Duncan test를 실시하였다. 넷째, 각 변수간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가설 검증을 위하여 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개인 가치성향은 PPL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내며, 외적가치를 추구하는 소비자 일수록 PPL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가 높아지는 반면 내적가치가 높아지면 PPL에 대한 긍정적인 효과는 낮아짐을 알 수 있다. PPL 긍정적 효과는 개인가치성향의 하위요인별 내. 외적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PPL긍정적 효과는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서비스품질 이미지와 고객추구 이미지 모두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PL 상표태도에도 긍정적 효과가 높아짐으로 상표태도도 상승하는 것으로 알 수 있다.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인 고객추구이미지, 서비스품질 이미지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의 하위요이인 심리적 요인은 상승한다. 이는 심리적요인의 향상은 브랜드 이미지의 하위요인별 서비스품질 이미지 향상이 중요한 요인임을 알 수 있다. 또한 브랜드이미지의 하위요이인 서비스품질 이미지와 고객추구 이미지가 상승 하면 물질적 요인은 상승함을 알 수 있다. 상표태도가 높아지면 재방문의도의 하위요인인 심리적 요인과 가치적 요인은 상승 하게 된다. 개인가치성향에 따른 재방문의도에서는 외적가치가 높을수록 재방문의도는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재방문의도는 개인가치 성향의 외적가치가 중요한 요인임을 시사해 준다. 외적 가치가 높은 소비자들 일수록 PPL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외식기업은 외식소비자들의 개인의 가치 성향을 파악하는데 중점을 두고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소비자가 지향하는 가치에 따라서 PPL에 대한 신뢰도를 향상시키고, 긍정적인 브랜드 이미지 와 상표태도의 향상으로 고객만족과 재방문으로 연결시킬 수 있도록 확대해야 한다. PPL 역시 소비자들로 하여금 긍정적인 감정을 유발 하도록 개발하여 소비자들로 하여금 강한 촉진 수단이 될수록 노력하여야 한다. 본 연구의 수행과정에서의 한계점 및 후속연구를 위하여 제언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표본집단을 서울. 경기지역의 일반인들을 통한 양적조사에 국한 되었던 점이 연구의 한계점으로 나타났으며 후속연구에서는 좀더 지역적으로 확대하여 여러 표본집단을 통해 연구를 하는 것이 좀더 정확한 결론을 도출할수 있을 것이라 사료된다. 둘째. 단계별 구매행동에 대한 결론이 아닌 부분적인 구매행동에 관한 연구결과 한계점을 나타냈으며, 후속연구에서는 구매행동의 단계별 세분화 연구를 통해 고객들의 원하는바에 반응함으로써 경쟁기업들과의 차별화 전략과 경쟁 우위를 확보해야 할 것이다. 셋째, 외시기업의 PPL광고를 측정함에 있어서 광고효과에 대한 수용자 유형별 측정을 통한 선행연구에서는 광고반응에 대한 태도연구가 통제되어진 실험법에 의해 연구 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부분을 수용하지 못한 것이 한계점으로 사료 된다. 마지막으로 본연구의 제언을 정리 하자면 개인가치 성향에 따른 수용자 태도별 유형화 작업을 통해 외식기업의 보다 세분화된 마케팅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기여 할 수 있으며, 외식기업은 PPL의 신뢰성을 높이고 차별화 전략수립으로 잠재적 충성고객의 확보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 사료 된다. 또한 고객의 외식가치 측정에 따른 고객욕구 마케팅에 기여 할 수 있으며 개인가치 성향에 유형화 특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이들을 대상으로 한 틈새시장을 고려하여 한 집단의 특성을 파악 적용하여 경제적인 시장 세분화에 기여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사료 된다.

      • 한국 전자산업의 대중국 직접투자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동취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中韩两国是一衣带水的邻邦,中韩文化也有着深厚的渊源关系。1992年8月24日,两国建立正式外交关系,建交19年来,双边友好合作关系不断发展。目前,中国是韩国第一大贸易伙伴国,第一大出口市场,第一大进口来源地和最大的海外投资对象国。2007年7月,两国政府宣布建立全面合作伙伴关系,2008年5月,双边国家关系进一步提升为战略合作伙伴关系。2008年8月,胡锦涛主席访问韩国,两国元首确定2010年和2012年为“中韩友好访问年”。两国在各领域的友好合作关系必将进一步扩大和深化。 韩国国内企业的经营环境正在发生巨大的变化。由于频繁的劳资纠纷和劳动力不足,工资和地价上涨,以及环境保护意识的兴起,使经营环境恶化,以国际竞争力减弱的轻工业为中心,将生产基地转移到了工资相对低廉的中国和东南亚国家。在这样的环境里,韩国企业正在通过海外直接投资谋求新的生存和发展之道。 本论文考察了韩国一般企业及国电子产业对中国投资的特征后,分析了在中国投资的韩国一般企业及电子产业的投资决定要因,并分析了韩国企业对中国直接投资究竟是属于利用生产要素价格差异的生产效率追求性投资,还是属于以打入投资地区的市场为目的的市场追求型投资。本论文的数据引用了中韩相关机关部门及研究所发行的材料。相关韩国数据引用了韩国进出口银行,韩国贸易协会,对外经济政策研究院,产业研究院,三星经济研究所,国际统计网站等的最新相关数据;相关中国数据引用了清华大学图书馆主页,中国国家统计局,中国电子产品世界,中华人民共和国商业部,中国经济统计数据查询系统等的最新相关数据。收集了1988年~2010年的中国和韩国的实际工资指数,贷款利率,RMB/USD汇率,消费者物价指数和GDP等最新数据。在韩国企业对中国一般及电子产业直接投资的起决定性影响的要因分析里,从属变数使用了韩国企业对中国一般及电子产业直接投资额,独立变数使用了中国的实际工资指数,RMB/USD汇率,贷款利率,消费者物价指数和GDP。统计分析软件使用了SAS 9.0,对以上数据进行了回归分析和相关关系分析。 本论文的分析结果是,第一,在对中国一般企业投资模型里,中国的GDP越高,中国的市场规模就会变大,那么韩国企业对中国一般企业直接投资的规模就会增加。但是之前所期待的中国实际工资指数,RMB/USD汇率,贷款利率,消费者物价指数对中国一般企业直接投资并没有太大影响。第二,在韩国企业对中国电子产业的投资模型里,中国的GDP增长幅度越大,对中国电子产业的投资就会增大,相反,中国的通货膨胀越厉害,韩国企业对中国电子产业的直接投资越萎缩。 所以,韩国企业特别是电子产业的投资可以归为具有市场指向性动机的投资,但是和预想不同的是,除了所得收入变数外的其他宏观经济变数,对投资没有太大影响。 韩国电子产业对中国直接投资的扩大必然会积极促进两国的经济合作。但是最近考虑到对中国投资的决定要因时,难免会有些使人担忧的地方。首先对中国的投资必然会引起韩国国内投资环境的恶化;第二,虽然对中国的投资扩大使输出暂时有所增加,可是使其持续增加的可能性很小。中国产业正处在高度发展的阶段,从韩国进口的比重也会逐渐减少,中国人民币升值,物价上升,这些因素都使得韩国企业对中国投资会逐渐减少。 한국 국내기업의 경영환경이 많이 바뀌어 가고 있다. 빈번한 노사분규와 노동력 부족, 임금과 토지비용 상승, 환경보호의식의 대두 등으로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국제경쟁력이 약화된 경공업부문을 중심으로 임금이 저렴한 중국과 동남아로 생산기지를 이전하였다. 이러한 환경 속에 한국 기업들은 해외직접투자를 통해 새로운 생존과 활력을 모색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체기업들의 대중국투자의 특징과 전자업체들의 대중국투자의 특징을 고찰한 후 이들 기업의 대중국 투자결정요인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찾아내려 하였다. 특히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체 및 전자업체의 직접투자 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함에 있어 종속변수는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체 및 전자산업의 직접투자 금액을 사용하였고 독립변수로는 중국의 실질임금지수, 환율, 대출금리, 소비자물가지수, GDP 등을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르면 첫째, 대중국 전체 투자모형에서는 중국 GDP가 높아져 중국시장규모가 커질수록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체 및 전자업체의 직접투자규모가 증가함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기대했던 중국의 실질임금지수, 위안/달러 환율, 대출금리, 소비자물가지수는 대중국 전체투자규모에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한국 기업의 대중국 전자업체의 투자모형에서 중국GDP가 커질수록 대중국 전자산업의 투자가 증가하는 반면에 중국 인플레이션이 높아질수록 한국기업의 대중국 전자산업의 투자는 위축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점에서 한국기업 특히, 전자업체의 투자는 시장지향적 동기에 의한 투자로 규정 지을 수 있으며 여타 거시경제변수는 소득변수 외에는 예상과 달리 투자에 별 영향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The business environment in Korea is changing much. As the environment is worsening due to rising wage and land cost as well as people's consciousness of the natural environment, many firms, especially those light industries less competitive in the international markets, have been moving their production bases to China and Southeast Asian countries to take advantage of the lower wage. In such an environment, it may well be wise for our domestic companies to explore the ways for their survival through foreign direct investment.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the determinants of investment of all Korean industries especially electronic industries in China after a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from all Korean industries to China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vestment from Korean electronic industries to China. More specifically, in the analysis of the decisive influence of the direct investment from Korean industries to all industries and electronic industries in China, the dependent variables are the amount of investment that used in direct investment from Korean industries to all industries and electronic industries in China, while th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ing real wages in China, RMB/USD exchange rate, loan interest rate, consumer price index and GDP. The result of analysis is, first of all, regarding the investment model of all industries in China, the higher the GDP in China, the bigger the market size in China, hence the scale of direct investment from Korean industries to all Chinese industries will increase. However, there is no prominent influence of real wage index of China, RMB/USD exchange rate, loan interest rate and consumer price index toward the direct investment in all Chinese industries. Second, regarding the investment model of Korean industries in Chinese electronic industry, the higher the GDP in China, the larger the investment in the electronic industries in China. On the other hand, if the inflation in China is higher, the direct investment from Korean industries to Chinese electronic industries will be lowered. Therefore, Korean industries, especially electronic industries could be classified as a market oriented investment. Except the GDP growth variable other macroeconomic variables have no prominent influence on the overall and electronic sector investment unlike the general expectation.

      • 수형자의 규율위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 Agnew의 일반긴장이론을 중심으로

        이보람 경기대학교 일반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의 목적은 애그뉴(1992)의 일반긴장이론을 한국 수형자에게 적용하여 규율위반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는 것이다. 애그뉴는 일반긴장이론에서 긴장을 목표성취의 실패, 긍정적 자극의 소멸, 부정적 자극의 직면 세 가지로 나누어 이러한 긴장이 지속되면 비행 및 범죄행동을 이끌 수 있다고 설명한다. 또한 대처요인을 추가해 자아존중감, 자기통제력, 자기효능감 등이 높은 사람은 비행에 관여할 가능성이 더 낮아진다고 설명하였다. 애그뉴는 후에 긴장을 경험한 사람이 부정적인 감정을 느끼게 되면 비행에 관여할 가능성이 더 높아진다고 주장하면서, 부정적 감정이 매개적인 역할을 한다고 설명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긴장이 수형자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규율위반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끼치는 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전국 20개 교도소의 986명의 수형자를 대상으로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Amos 18.0으로 분석하였다. 일반긴장이론은 애그뉴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연구하였기 때문에 각각의 긴장의 요소는 수형자에 맞게 변형시켜 사용하였다. 목표성취의 실패는 교도소 내 직업훈련 및 프로그램 등의 참여 기회 제한으로 측정하였고, 긍정적 자극의 소멸은 부모, 또는 친구들의 서신 및 면회 등의 소멸로 측정하였으며, 부정적 자극의 직면은 교도소 내 피해경험으로 측정하였다. 분석결과 교정처우의 참여기회가 있을수록, 긍정적 자극이 소멸될수록, 부정적 자극의 직면할수록 규율위반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정처우의 참여기회가 있을수록 규율위반을 하는 것은 예측했던 것과는 반대의 결과를 얻었다. 매개 효과를 보기 위해 부정적 감정을 폭력정 성향으로 측정하여, 긴장을 경험한 수형자들이 폭력적 성향을 가지고 있을 때 더 규율위반에 가담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다. 또한 조건변인으로 자아존중감을 측정하여, 긴장을 경험한 수형자가 낮은 자아존중감을 가지고 있을 때 규율위반행동에 더 가담할 것이라는 예측은 그 효과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일반긴장이론은 애그뉴가 청소년의 비행 및 범죄행위를 설명하기위하여 연구한 것으로 애그뉴가 사용한 변수를 수형자에게 적용하기 위해서는 향후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교도소 내 환경은 수형자에게 긴장을 주기에 충분한 조건을 가졌기 때문에, 향후 연구에서 수형자 개인수준의 긴장 뿐 아니라 교도소 내 환경적인 조건까지 고려하는 보완이 이루어진다면 좀 더 발전된 연구결과를 낼 수 있을 것 이라고 생각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he Agnew's General Strain Theory can be applied in explaining inmates' misconduct. Generally speaking, inmates' misconduct can be explained through the following three categories: (a) Deprivation model, (b) Importation model, (c) Coping model. This study propose that these three seemingly competing models can be integrated within Agnew's general strain theory(GST). Therefore, this paper explores the extent to which the elements of the Agnew's GST and the foresaid coping mechanism contributes towards the display of inmates' misconduct behavior in prison. Agnew's GST studies have been premised upon disruptive and criminal activities as displayed by youth, and so are the precedent studies hitherto conducted. Against this background, only have Blevins et al(2010) applied the GST to the general population in prisons and to the misconduct behavior displayed by the inmates. This paper therefore sets out to empirically validate the said hypothesis of Blevins et al(2010) by modifying the necessary variable according to the personal circumstances of each inmate. Using the data from the sample of inmates from prisons in South Korea, it has gained a partial support. The first hypothesis examined the extent to which the elements of strain affects the likelihood for the inmates to commit breaches of the prison rule and regulations;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ss the availability for the inmates to participate in corrective prison programs, the less likely that the inmates are to commit breaches of the prison rules and regulations. As for the second element of strain,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ss the availability for the inmates to access the outside world, including their sending and receiving mails and the availability of money kept inside the prison, the less likely that the inmates are to commit breaches of the prison rules and regulations. As for the third element of strain, it has been shown that the greater the inmates' experiences of victimization within the prison, incurring either mental or physical harm, the more likely that the inmates are to participate in committing breaches of the prison rules and regulations, conforming to Agnew's observations. The second hypothesis examined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train and their rule-breaching behavioral pattern will affect the inmates' violent tendencies (the negative emotive state) as a self-standing parameter; and it has been shown that the less the availability for the inmates to access the outside world, and the more their incidences of victimization experiences, the inmates are more likely to participate in committing breaches of the prison rules and regulations. However, it has also been confirmed that this finding is without statistical significance. Finally, as for the third hypothesis, as to whether the interaction between strain and their rule-breaching behavioral pattern will affect the inmates' self-esteem as a self-standing parameter has been rejected; and no meaningful parameter effects have been show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