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성인 생체 간이식에서 시행한 미부 중간정맥 줄기 보존 우간절제술의 필요성 및 안정성

        유제호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1839

        Abstract Purpose: Multiple hepatic vein(MHV) tributaries draining segment 5 are found commonly in conventional modified right lobe graft, and multiple anastomoses are inevitable. Partial or total sacrifice of MHV tributaries draining segment 4a can simplify bench work and avoid graft congestion. But it can be harmful to some donors in previous simulation studies. This study aimed to evaluate donor safety & necessity of caudal MHV trunk preserving right hepatectomy. Methods: We performed a retrospective analysis of surgical outcomes of initial 100 consecutive living donors who underwent right hepatectomy at our center from May 2010 to October 2014. Modified right lobe(MRL) hepatectomy was carried out in 35 donors and caudal MHV trunk preserved right lobe(CMP-RL) hepatectomy was carried out in 63 donors. Operation time, number and diameter of hepatic vein draining segment 5(V5), and posroperative parameters of donors were evaluated in MRL and CMP-RL donors. Results: There was no donor mortality, and no blood transfusion during operation. Major complications beyond Clavien-Dindo classification III were occurred to 6 patients, and they all recovered after intervention. Bench work time & operation time was significantly decreased in CMP-RL graft(p<0.001). All CMP-RL graft had single V5 and diameter of V5 was significantly greater than that of MRL graft.(P<0.001) Postoperative recovery of liver function, hospital stay, and complication rate were comprable between MRL group and CMPRL group. Conclusion: CMP-RL hepatectomy compared with MRL hepatectomy is not greatlly harmful in the live liver donors. Donors with any type of V4 could be proper candidates for CMPRL graft if remnant liver volume is greater than 30% with minima fatty change.

      • 진정성 리더십, 자기 효능감, 조직 유효성의 관계

        유제호 高麗大學校 勞動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조직의 목적 달성도를 측정하는 조직유효성 향상이라는 방법을 모색하기 위해서 진정성 리더십, 구성원의 자기 효능감, 조직유효성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진정성을 갖춘 리더십은 조직 유효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경영자의 진정성 리더십은 구성원의 자기 효능감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구성원의 자기 효능감은 조직 유효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를 위하여 SNS, 인스턴트 메신져로 설문을 독려하여 온라인으로 설문을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설문지를 토대로 PL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측정모형 및 구조모형에 대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얻어진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경영자의 진정성을 갖춘 리더십은 본 연구에서 조직 유효성을 측정하기 위한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 중 조직 몰입에만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둘째, 진정성 리더십은 자기효능감을 구성하는 변수인 자기 조절감, 자신감, 과업도전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자기조절감, 자신감, 과업도전감 중 직무만족에는 자기조절감과 과업도전감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으며, 조직몰입에는 자신감만이 유의한 영향을 나타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로부터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진정성을 갖춘 리더십은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구성원이 조직의 목표와 가치를 믿고 받아들여 그들이 속한 조직에서 지속적으로 근무하기를 바라고 조직을 위해 상당한 노력을 제공할 것인지는 경영자의 진정성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할 수 있다. 둘째, 리더의 진정성은 구성원의 자아개념인 자기효능감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만큼, 경영자의 진정성을 키우기 위한 노력이 요구됨을 알 수 있다. 진정성을 키우기 위해서는 단지 자신의 내적가치, 신념, 생각과 행동이 일치하도록 규범적 개념만을 강조하기 보다는 개발해야할 주요 영역에 대한 이해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구성원이 지각하는 자기 효능감은 직무 만족과 조직 몰입에 영향을 미친다. 다만 조직 몰입을 위해서는 구성원의 자신감을 키우기 위한 노력이 요구되는 반면 직무 만족을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조절감과 과업도전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이 요구된다는 것이다. 즉, 리더가 모든 문제에 방향성을 제시하기 보다는 구성원이 직면한 문제에 대한 답을 찾고 실행할 수 있도록 격려하고 도와줘야 할 것이다.

      • 第 6·7次 敎育課程 社會科 政治敎育 內容 比較·分析 : 初等學校 4·5·6 學年 敎科書를 中心으로

        유제호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1839

        본 논문의 목적은 정치교육에 대한 이론적 탐구를 바탕으로 정치교육 내용이 다루어지는 초등학교 4, 5, 6학년 제 6.7차 교육과정 사회과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그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밝혀보는 데 있다. 연구의 방법으로는 사회과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 분석의 모형을 마련하기 위하여 여러 학자나 단체, 선행 연구자가 제시한 모형을 근거로 하여 분석 모형을 정립하였다. 분석 모형에 따라 주제별 정치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하고, 주제 내용별로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 빈도 수를 양적 분석 방법으로 비교.분석하였다.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을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정치 이념과 형태, 정치 과정, 정치제도, 정치 문화, 정치 발전, 국제 정치, 한국 정치의 특수성 8개의 내용 영역과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25), 정치이념과 형태(6), 정치 과정(14), 정치 제도(5), 정치 문화(2), 정치 발전(6), 국제 정치(7), 한국정치의 특수성(4), 등 영역에 따른 정치교육의 주요 용어 69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이론적 배경에서는 정치교육의 개념과 주요 내용,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정의 배경, 초등학교 제 6.7차 교육과정 사회과의 목표와 정치교육의 관계 등을 살펴 보았다. 제 6.7차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을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 사회과 제 6.7차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에서 시민성의 기초와 본질 영역이 가장 강조되어 다루어지고 있으며, 제 7차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정치교육 내용이 제 6차 교과서 내용 보다 적게다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8개 영역 정치교육 용어들이 대부분 6학년 교과서에서 빈도수가 많게 나타나고 있다. 비교.분석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었다. (1) 정치교육 8개 영역 내용이 균형있게 다루어지고 있지 못하다. 영역별 강조점의 차이는 있겠으나 초등학교 정치교육이 체계적인 정치교육의 입문기란 점을 감안한다면 정치교육의 내용 구성 및 주요용어에 대한 학습 활동이 특정 학년에 치우치지 않게 학년간의 계열성이 유지되도록 영역별 균형성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2) 사회과 교과서의 정치교육 내용이 정치체제 유지에 치중되어온 점이 있다. 정치체제 유지와 아울러 정치체제에 대한 비판적 안목도 다루어져야 건전한 정치발전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3) 제 6차 교과서에서는 인간의 존엄성과 삶의 질에 관련된 내용이 소홀하였으나 제 7차 교과서에서는 국민의 기본권, 시민단체, 인권 등이 많이 다루어진 점은 바람직하였다. (4) 제 7차 교과서에서 다루어지는 정치교육 8개 영역 내용이 제 6차 교과서 보다 대부분 적게 다루어지고 있어 재량활동 시간이나 현장학습 등을 통하여 일선 교육현장에서 정치교육에 대한 보완 지도가 필요하겠다. This thesis has been aimed at not only comparing and analyzing, on the basis of theoretical search for political education,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 social textbooks belong to the fourth, fifth and sixth grades in the sixth and seventh of the curriculums, but also making current suggestions clear according to the result. In the method of the study I constructed a model of the analysis on the basis of precedential models by several scholars, groups and students in order to prepare for a model of analysis of the social political education. According to a model of analysis, I compared and analyzed not only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by subjects, but also the frequency of main terms in the way of quantitative analysis about political education. I divided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to the eight realms of the contents, such as basis and essence of the citizenship, political ideology and shape, political process, political system, political culture, political development, international politics, speciality of Korean politics, and I also analyzed the 69 main terms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oretical ground I looked over the concepts of the political education and main contents, the revisional ground of social curriculum, connections between a goal of social department in the 6th and the 7th curriculums and political education. The result of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which was compared and analyzed is as follows. When it comes to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 6th and the 7th of textbooks of the elementary social department, the basis and essence of citizenship was carried well, and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in the 7th of textbooks was handled, compared to the 6th of textbooks, and the terms of political education belong to eight realms represented lots of frequency for the most part in the 6th grade. I could find out the following suggestions in the result of the comparison and analysis. (1) The eight realms of the contents of political education were not dealt with balance. There were some differences of focus but if we consider elementary political education as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ally political education, learning activities to the structure of contents and main terms should be dealt with balance by realms not to incline toward specially fixed grade, but to continue order. (2) The politically educational contents of the social textbooks could be specially fixed on sustaining and supporting political system, but we can expect a politically healthy development when we have a sense of appreciation to criticize politics. (3) The contents relating to the dignity of human and the quality of life was some neglected in the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but it is very desirable that they are carried on the basic human right, the groups of citizen and human rights in th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4) The eight realms of the politically educational contents in the textbooks of the 7th curriculum have less been handled than the textbooks of the 6th curriculum, so that there should be need of an supplementary political education at the very educational field of schools through school activities and field trips.

      • 발전기 동기화 기술 고도화를 위한 동기 파라미터 측정 및 제어 알고리즘 개발에 관한 연구

        유제호 상명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1839

        산업혁명 이후로 꾸준히 증가한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온난화가 가속화되었고, 세계 곳곳에서 심각한 이상기후가 발생하고 있다. 그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탄소 중립을 비롯하여 온실가스 배출 감량을 위한 규제와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19, ‘20년에 영국과 EU가 탄소 중립 목표를 발표한 뒤, 잇달아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들도 탄소 중립을 선언하였다. 우리나라의 경우, ‘15년에 국가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20년에 탄소 중립을 선언하였다. 이에 따라, 탄소 중립을 달성하기 위해 재생에너지원의 보급이 크게 늘어났으며, 최근 들어 지구온난화로 인한 악영향이 뚜렷하게 나타나고 있기 때문에 재생에너지원이 전체 설비용량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더욱 증가할 전망이다. 태양광과 풍력으로 대표되는 신재생발전원은 비동기 발전기이기 때문에, 태생적으로 출력이 불안정한 재생에너지원의 변동성을 감당할 관성이 없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가상 관성을 공급하는 그리드 포밍(GFM)과 같은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그러나, GFM이 전력계통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동기발전기를 완전히 대체할 수 없으므로, 기존의 증기 터빈은 기저부하를 담당하고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경감시키기 위해서 여전히 필요하다. 또한, 출력제어가 용이하고 예열이 빠른 가스 발전기는 피크부하를 담당하기 때문에 잦은 기동정지를 시행하므로 동기화 절차를 빈번하게 수행한다. 따라서, 발전기를 계통에 투입하는 동기화 기술은 전력계통 운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운영 중인 전력계통에 발전기를 투입하기 위해서는, 전력계통과 발전기의 사이의 전압 크기, 주파수, 위상각이 같아야 한다. 과거에는 운전원이 전압 크기와 주파수, 위상차를 육안으로 확인하고, 수동으로 여자기와 조속기를 조작하여 동기화를 진행하였으며, 직접 차단기를 닫아 계통과 발전기를 연결하였다. 양측의 전압이 일치하지 않은 상태로 발전기를 투입하게 되면, 양측 모선 사이에 발생한 전위차가 발전기로 역조류가 흐르게 하여 물리적인 손상을 입힐 수 있다. 심각한 경우에는 손상당한 발전기가 탈락하여 정전이 발생할 수도 있다. 따라서, 조작 미숙으로 인한 사고를 방지하기 위해, 동기화 작업은 숙련된 운전원이 필요하였다. 그러나 현대의 발전소는 자동동기화장치와 동기검출계전기가 운전원의 역할을 대신하여 자동으로 동기화 절차를 진행한다. 자동동기화장치가 여자기와 조속기를 제어하여 발전기의 전압을 계통의 전압과 일치시키면, 동기검출계전기는 동기화 조건이 충족되었는지 확인하고 차단기를 닫는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력계통과 발전기 사이의 전압 크기, 주파수, 위상각 차이를 측정하고, 발전기 전압이 계통 전압과 일치하도록 여자기와 조속기를 제어하는 것이 동기화 기술의 핵심이다. 본 논문에서는 발전기 동기화 기술 고도화를 위해, 동기화 절차 및 조건에 관하여 서술하고 동기 파라미터 측정 및 검정, 그리고 제어 알고리즘을 다룬다.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측정 및 제어 알고리즘을 소개하고,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동기 파라미터 측정 알고리즘은 기존에 사용되고 있는 측정 기법의 신호처리 루트를 통합하여 구성한 시간 영역 기반의 동기 파라미터 측정방법과 주파수 영역 기반의 동기 파라미터 측정방법을 소개하고, 음성신호 해석 기법으로 사용되고 있는 Teager Energy Operator(TEO)를 이용한 동기 파라미터 측정방법을 소개한다. 그리고 각 방법의 성능과 장단점을 비교 분석한다. 동기 검정 알고리즘은 힐버트 변환과 해석적 신호를 활용하여 전압 포락선을 추출하는 것으로 동기 파라미터를 직접 측정하지 않고 발전기 동기화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을 소개한다. 동기 파라미터 제어 알고리즘은 발전기 동기투입시간 단축을 위해, 발전기 시스템 추정 및 제어 펄스 신호를 최적화하는 알고리즘을 소개한다. 본 연구를 통해 기대할 수 있는 효과는 크게 두 가지 측면이 있다. 첫 번째는 다양한 동기 파라미터 측정 알고리즘을 통한 안전성 강화이다. 현재 발전소에서 사용하는 동기화 장비는 자동동기화장치와 동기검정계전기로 이중화되어있다. 이는 하드웨어를 분리하여 장비 오류로 인한 비동기 투입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러나 하드웨어와 달리 소프트웨어는 이중화되어있지 않은데, 일반적으로 두 장비의 동기화 제어 및 확인을 수행하는 측정 알고리즘이 동일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측정 알고리즘에 문제가 발생하면 하드웨어를 분리하여도 안전성 강화 효과를 보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다양한 동기 파라미터 측정 알고리즘과 동기 검정 알고리즘을 제시하여 소프트웨어 이중화를 통한 안정성 강화를 꾀하고자 한다. 두 번째는, 발전기 제어 알고리즘 개선을 통해 동기화 절차에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하고 발전기에 가해지는 부담을 줄이고자 한다. 발전기 제어는 자동동기화장치의 제어 신호를 전달받은 여자기 및 조속기에 의해 이루어지며, 발전기의 전압이 계통과 일치하도록 조절한다. 이때, 자동동기화장치는 둘 사이의 전압, 주파수, 위상각 차이를 측정하고 피드백 제어를 통해 동기 파라미터가 일치할 때까지 Raise/Lower 신호를 반복하여 내보낸다. 그러나 자동동기화장치는 각 발전기들의 입력신호에 대한 출력특성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제어값이 목표치에 도달할 때까지 같은 길이의 제어 펄스를 반복적으로 내보내는 방법을 사용한다. 이는 발전기 특성에 의존하지 않고 오버 슛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안정적이지만, 두 시스템 사이의 동기 파라미터 차이가 클수록 제어시간이 늘어나며, 계통의 전압은 계속 변하기 때문에 도중에 목표치가 변하여 제어시간이 더 지연될 수 있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만일, 설정된 동기화 시간 내에 발전기 투입에 성공하지 못하면 동기화 장치는 동기화에 실패한 것으로 간주하여 동기화 절차를 다시 진행하여야 한다. 이는 결국 터빈 가감속의 반복으로 인해 발전기에 부담을 주게 된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적화된 발전기 제어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발전기 동기화 기술은 전력계통 태동기부터 연구됐으며, 안정적인 전력계통 운영에 필요한 핵심 기술이다. 신재생발전원의 보급이 확대되면서 석탄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을 대체할 것이라 기대하였으나, 오히려 재생에너지의 변동성을 감당할 관성이 있는 기존 동기발전기가 일정 비중 이상 필요하게 되었다. 결과적으로 기존 증기 터빈은 여전히 필요하며, 이들을 계통에 연결하기 위한 동기화 기술은 계통운영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논문의 동기 파라미터 측정, 동기화 검정 그리고 제어 알고리즘이 발전기 동기화 기술을 고도화시킬 뿐만 아니라, 나아가 전력계통 안정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continuous increase in greenhouse gas emissions has accelerated global warming, leading to severe climate anomalies worldwide. Consequently, efforts to regulate greenhouse gas emissions and promote research for carbon neutrality have become increased globally. Following the announcements of carbon neutrality goals by the UK and the EU in '19 and '20, major countries such as the United States, Japan, and China have declared their commitment to carbon neutrality. South Korea set its national greenhouse gas reduction target in 2015 and declared carbon neutrality in 2020. As a result, the adop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has significantly increased to achieve carbon neutrality. Given the evident adverse effects of global warming, the propor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the total installed capacity is expected to further rise. Renewable energy sources like solar and wind power operate as asynchronous generators, causing instability in output and an inability to tolerate power intermittency due to the lack of inertia. To address this issue, technologies like Grid-Forming (GFM) systems, which provide virtual inertia, are being researched. However, GFM cannot completely replace synchronous generators, which dominate most of the power grid. Traditional steam turbines are still necessary to handle the base load and mitigate the variability of renewable energy. Furthermore, gas turbines with easy output control and rapid preheating are responsible for peak loads, often requiring frequent starts and stops. Therefore, synchronization procedures are crucial in terms of power system operation. To connect a generator to the operating power grid, the voltage amplitude, frequency, and phase angle between the power grid and the generator must match. In the past, operators used to visually confirmed voltage RMS, frequency, and phase differences, and manually operated the exciter and governor and circuit breaker to connect the generator to the grid. If the voltages on both sides do not match when connecting the generator, a potential difference may cause reverse power flow, leading to physical damage. In severe cases, the damaged generator might trip, causing a blackout. Skilled operators were required to prevent accidents due to mishandling. However, modern power plants use auto-synchronizer and sync-check relay, automating the synchronization process. The auto-synchronizer controls the exicter and governor and the sync-check relay verifies synchronization conditions and closes the circuit breaker to match the generator's voltage with the grid voltage. Thus, measuring and controlling the voltage amplitude, frequency, and phase angle differences between the power grid and the generator constitute the key points of synchronization technology.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improving generator synchronization technology. It introduces synchronization procedures and conditions, as well as measurement methods for sync-parameters, sync-check algorithms, and generator control algorithms. the existing measurement and control algorithms are introduced and improved methods to overcome their drawbacks are proposed. Synchronization parameter measurement algorithms are introduced by analyzing the existing time-domain-based measurement methods specified in the IEC standard. Additionally, frequency-domain-based measurement methods and the application of the Teager Energy Operator (TEO) for sync-parameter measurement are also introduce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each method are compared and analyzed. The sync-check algorithm is proposed as a method to verify generator synchronization without directly measuring synchronization parameters. It utilizes the Hilbert transform and the analytic signal. An algorithm for controlling sync-parameters is proposed, optimizing pulse signals for exciter and governor control to reduce the time required for generator synchronization. This study is expected to have two significant effects. Firstly, it improves safety through various sync-parameters measurement algorithms. Current synchronization equipment in power plants is dualized using the auto-synchronizer and sync-check relay to prevent asynchronous connection due to hardware errors. However, unlike hardware, software is not dualized, as a measurement algorithm is generally the same for both devices. If a problem occurs in the measurement algorithm, even if the hardware is separated, the safety enhancement effect may not be achieved.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esents various sync-parameters measurement algorithms and a sync-check algorithm to enhance safety through software dualization. Secondly, it aims to reduce the time and to alleviate the stress imposed on the generator during synchronization procedures through an improved generator control algorithm. The exciter and governor, receiving signals from the synchronizer, perform generator control by adjusting the generator's voltage to match the grid voltage. The auto-synchronizer measures the voltage, frequency, and phase angl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and repeatedly sends Raise/Lower signals until the sync-parameters match. However, it lacks information on the output characteristics of the input signal for each generator. As a result, it generates control pulses of the same duration until the control values reach the preset values. This method is stable as it does not depend on the generator's characteristics, but if the sync-parameters differences between the two systems are large, the control time increases, and the grid voltage continues to change, which may cause further delays in reaching the target values. If the generator fails to synchronize within the set time, the synchronizer considers it a synchronization failure and restarts the synchronization process. This results in repeated turbine acceleration and deceleration, causing stress on the generator. Hence, this dissertation proposes an optimized generator control algorithm to address these issues. Generator synchronization technology has been studied since the early days of power systems, and it is a key technology required for stable power grid operation. With the expans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conventional synchronous generators with inertia to handle the variability of renewable energy sources have become more necessary than expected. Consequently, traditional steam turbines are still essential, and synchronization technology for connecting them to the power grid is crucial for power system operation. Therefore, the synchronization parameter measurement, sync-check, and control algorithms proposed in this dissertation not only advance generator synchronization technology but are also expected to contribute to the stabilization of power systems.

      • 한국침례교회 건강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유제호 침례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1839

        본 연구는 침례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진행된 신학석사학위 연구논문이다. 침례교회의 건강성 측정 진단도구 개발을 위해 건강한 침례교회의 정의와 침례교회의 건강성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먼저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건강성 요인별로 가중치를 도출하고, 요인별로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문항을 개발했다. 건강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우선순위 식별을 위해 건강성 증진 요구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 문헌 연구, 개방형 질문 그리고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건강한 침례교회의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삼각검증방식(Data-Triangulation)으로 침례교회의 건강성 요인 초안을 도출했다. 건강성 요인의 타당성을 제고하고 건강성 요인별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신학교수, 사역자, 신학생, 목회자 사모 등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했다. 수치화된 침례교회 건강성 수준 제시가 가능하도록 침례교회 건강성 요인들의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한 계층분석절차(AHP: Analystic Hierarchy Process)가 이루어졌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건강성 요인별 진단문항을 가지고 예비검사를 하여 진단지 질문 문항의 적합성 확인을 했다. 쿼터 샘플링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한 서울과 경기, 대전과 세종, 충청지역의 침례교회 청․장년 성도 390여 명을 대상으로 본검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기초로 요인분석과 요구분석이 실시됐다.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됐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변수를 줄여가는 R-type 주성분 분석이 직교회전(Varimax rotation) 방식으로 진행됐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진단도구가 논리적으로 얼마나 타당한가를 검증하기 위해서 개념 타당성 중에서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 지표가 활용되었다. 집중 타당성은 표준화 값이 .5 이상, 평균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값이 .5 이상, 개념 신뢰도(C.R.) 값이 .7 이상이 적합도 판단 기준이 되었다. 판별 타당성 검증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평균분산추출(AVE) 값이 상관계수 제곱 보다 크고 상관계수-2표준오차(S.E)와 상관계수+2표준오차(S.E). 사이에 1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모델의 적합도 검사는 절대 적합도, 증분 적합도, 간명 적합도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졌는데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NFI(normed fit index), AGFI(adjusted goodness-of-fit-index) 등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모델의 적합도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건강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통합하고 건강성 증진 노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가 요구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을 위한 요인별 우선순위 도출은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최종적인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 결정은 우선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에서 Ⅰ분면에 속한 요인 수에 해당하는 요인을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이어서 2가지 방식 모두에 포함된 요인이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 요인으로 결정되었다. 연구결과 건강한 침례교회에 대한 개념화와 정의가 내려지고 침례교회의 건강성 1, 2차 요인이 도출되었다. 건강한 침례교회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로서 침례교회의 본질적 특성과 정체성을 지니고 교회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신자들의 공동체로 정의 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4가지로 구속적 공동체성, 교회 기능의 충실성, 침례교회 정체성, 침례교회의 본질적 특성이다. 이들의 하위 요인으로 믿음의 공동체, 예배, 전 신자 제사장, 사도성 등 17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2차 요인의 가중치는 침례교회의 공동체성이 .25, 침례교회 기능의 충실성이 .20, 침례교회 정체성이 .25, 교회의 본질적 특성이 .30으로 결정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1차 요인으로 분류된 17개 요인의 건강성 측정은 119개 진단문항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이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53개 또는 23개 진단문항으로 축소될 수 있다. 119개 진단문항으로 구성된 완전한 형태의 진단도구는 중장기적인 교회진단 및 비전 설계 차원에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개 요인 53개 진단문항 구성된 진단도구는 2년 내지 3년 단위로 교회를 정기적으로 진단하여 교회의 건강성을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7개 요인 23개 진단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는 가장 축약된 형태로 담임목회자나 교회의 리더들이 늘 거울을 보듯이 교회의 건강수준을 진단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17개 건강성 1차 요인의 건강성 증진 요구분석 결과 교육(양육), 사랑의 공동체성, 선교에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는 한국 침례교회의 건강성 증진 활동이 교인을 주님의 제자로 훈련시키고, 교회가 주님과 세상을 향해 사랑이 넘치는 사랑의 공동체로 분명한 자리 매김을 하고, 성령과 함께 역동적 선교를 하는데 주안점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순시치 기반의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활용한 전력품질 분석기능의 고도화 기법에 관한 연구

        유제호 상명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1839

        전력전자 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IGBT, GTO 등 대전력스위칭 소자와 다양한 용도의 마이크로프로세서가 널리 보급되고, 대전력 아크로의 사용이 늘어남에 따라 전력공급계통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요인들이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전력계통을 왜곡시키는 장비들이 급속히 늘고 있기 때문에 전력품질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시점이지만, 현재 상용화된 전력품질 해석 장비들은 IEC 61000-4-30에 근거한 측정방법을 사용한다. 그러나 전력품질 이벤트는 단순히 전압강하/상승, 주파수 변동, 고조파 왜곡으로만 발생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다양한 이벤트들을 감지할 수 있는 기법들을 갖추고 있어야 한다. 특히 순간적으로 발생하는 이벤트를 감지하지 못하여 설비의 고장을 미연에 방지하지 못하는 사고는 매년 발생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고가 광역정전으로 피해가 확대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하지만 기존의 전력품질 해석 장비는 상하한 레벨 트리거링, ROC(Rate of Change) 트리거링, 이벤트 트리거링 등 실효치 한계값 기반의 일반적인 트리거링을 사용하므로 순간적인 이벤트의 감지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논문은 순시치 기반의 신호처리 알고리즘을 필두로 파형왜곡 감지 알고리즘을 소개하며, 나아가 통기기반의 이벤트 감지 알고리즘을 제시한다. 파형왜곡 감지 알고리즘은 반주기 실효치를 이용한 이벤트 감지와 THD 계산, 이산웨이블릿변환, TEO & DESA, 적응제거기법, Combined TEO & STFT를 구현하여 이벤트 감지 성능을 검토한다. 순시치 레벨의 데이터를 다루는 기법이기 때문에 크기와 주파수는 물론, 보다 정확한 이벤트 발생/종료 시점을 감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지속시간 역시 측정할 수 있다. 통계기반의 이벤트 감지 알고리즘은 Shewart 컨트롤 차트와 EWMA 컨트롤 차트, CUSUM 컨트롤 차트를 사용하여 이벤트 감지 성능을 검토한다. IEEE에서 전력품질 이벤트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였지만, 계통운영자나 수용가 입장에서는 이벤트 기준과는 별도로 관리 기준을 정해야 하는 경우가 있다. IEEE 이벤트 발생 기준을 충족하지는 않았지만 설비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으며, 반대로 IEEE 이벤트 발생 기준을 충족하였지만 설비에 큰 영향을 주지 않는 경우 또한 존재한다. 이러한 사이트에서는 신호의 패턴을 관찰하여 이벤트 발생을 관리해야 하는데, 이에 적합한 것이 컨트롤 차트이다. 마지막으로 PQPM(Power Quailty Predictive Maintenance) 실측사례 분석을 통해, 본 논문에서 제시한 파형왜곡 감지 알고리즘과 통계기반의 이벤트 감지 알고리즘의 활용방안을 모색한다. 하나의 알고리즘이 모든 이벤트를 정확히 감지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며, 다양한 패턴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이벤트 별로 적절한 감지 기법이 필요하다. 고정밀 전력품질 해석 장비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는 지금, 본 논문에서 제시한 알고리즘이 유저들의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With the development of power electronic technologies, the use of more micro-processors, large-scale arc furnaces and high power switching devices such as IGBT and GTO have been consistently increased. This condition can deteriorate the quality of supplied power and lead to the wide-area system accidents in the worst case. This is the reason why power quality(PQ) monitoring devices to measure and analyze the status of PQ have been installed in the real power systems. Most of the commercial PQ analyzers are equipped with the measuring and analyzing functions according to the IEC Std. 61000-4-30. However, since the power quality events in highly industrialized power systems are not simply categorized into voltage sag, voltage swell, frequency variation and harmonic distortion, they need to be assessed and analyzed from the various aspects including their magnitude, duration, frequency spectrum and so on. In other words, the PQ events which may tend to appear in tens of micro-seconds should be analyzed in an instantaneous manner, because they cannot be generally recognized and detected by the existing commercial PQ meters or PQ analyzers.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s of measurement standards based on the root-mean-square(RMS) values, the event detection algorithms applying waveform analysis techniques and statistic methods will be introduced in this thesis. And their performance will be compar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method will be studied in detail. The algorithms based on instantaneous values can detect some defects at very high speed, when compared with the general triggering schemes such as upper/lower level triggering, ROC(rate of change) triggering and event triggering. It is because that it needs some time delays to extract information on the RMS values and the frequency component from the sampled voltage and current signals. Additionally,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PQ status between normal and abnormal conditions. The statistic approach can provide a good solution for it. The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Section I and II will deal with an introduction of the research background and the general concept of power quality events. Section III gives an introduction to the waveform distortion detecting algorithms applying half-cycle RMS method and its application to THD(Total Harmonics Distortion) calculation, Discrete Wavelet transform, TEO(Teager Energy Opeartor) & DESA(Discrete Energy Separation Algorithm), Adaptive cancellation and Combined TEO & STFT(Short-Time Fourier Transform). In Section IV, the event detection methods based on the statistic processes or quality control techniques such as Shewhart control chart, EWMA(Exponentially Weighted Moving Average) control chart and CUSUM(CUmulative SUM) control chart will be presented. The last section will describe an application plan for the algorithms which are explained through the previous sections. It can be applied to an asset maintenance strategy known as PQPM(Power Quality based Predictive Mainten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