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7 개정 이후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분석 : 교과용 도서 내용 비율을 중심으로

        박규상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가의 교육과정은 사회적인 교육 변화의 요구와 교육정책의 개발, 교과 교육의 발달로 연구되어 교육현장에 적용된다. 교과용 도서는 교육과정의 교육목적과 교과 교육을 구현하기 위한 교육적 도구로서 교육과정에 따른 교육정책의 적용과 시대적 변화에 따른 사회의 교육 변화의 요구에 대해 즉각적인 반응을 보이며 개선되고 있다. 본 연구는 2007 개정 이후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과 중학교 미술 검인정 교과용 도서를 분석하여 중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교육 내용체계 구성과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의 개선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에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내용체계 구성과 2007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 검정 교과용 도서 9종의 세부 내용체계 구성 비율, 2009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미술 인정 교과용 도서 11종의 세부 내용체계 구성 비율을 분석하였다. 2007 이후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용 도서 분석 결과를 통해 중학교 교육과정 미술 내용체계 구성과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의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성은 체험, 표현, 감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성은 교과 교육의 내용체계 구성임에도 너무 간소화되어있다. 중학교 미술 검인정 교과용 도서 내용체계 구성 비율 분석 결과 표현 내용체계 구성이 약 60% 이상으로 미술 교육은 표현중심 미술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표현 내용체계 구성은 세부적인 교과 교육내용과 구체적인 교육순서와 방향에 대한 제시가 너무 간소화되어 표현 교육내용의 체계성과 학년별 표현 교육내용의 연계성, 미술 교과용 도서별 표현 내용체계 구성의 통일성 등이 부족하다. 이후 미술 교육과정의 내용체계는 체험, 표현, 감상의 내용체계 구성을 체계적이고 세분된 교육내용과 구체적인 교육순서와 방향을 제시하여 미술 교육내용 구성 체계성과 학년별 교육내용의 연계성, 미술 교과용 도서의 내용체계 구성에 대한 통일성 등을 개선하여야 한다.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는 중학교 교육과정 개정과 변경으로 중학교 학년별 각 권에서 중학교 교육과정별 한 권으로 변경되었다. 현재의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는 대단원의 구성을 체험, 표현, 감상 순으로 중학교 교육과정이 제시한 미술 내용체계 구성 기준을 따르고 있다. 그러나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교과 교육내용 체계성, 학년별 연계성, 실제 교육환경의 적용성 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의 대단원 구성을 체험, 표현, 감상 순으로 통합된 내용체계 구성이 아닌 학년 마다 각각의 체험, 표현, 감상을 구성하는 분할된 내용체계 구성으로 재구성할 필요성이 있다.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는 미술 교육과정별 한 권의 통합된 내용체계 구성과 부족한 중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교육 시수로 인해 실제 교육환경에서는 교육자가 학년과 학급별로 미술 교과용 도서의 단원을 채택하여 재구성하고 연간 학습 계획을 따로 계획하여 교육하는 경우가 많다. 이후의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는 학년 마다 각각의 체험, 표현, 감상을 구성하는 분할된 내용체계 구성으로 재구성하여 교과 교육내용의 체계성과 학년별 연계성을 고려하고 교육과정의 미술 내용체계 구성과 교육자의 연간 학습 계획이 서로 통일 될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한다. 중학교 미술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용 도서는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두고 있다.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미술 검인정 교과용 도서 세부 내용체계 구성 비율 비교 분석 결과 표현중심 미술교육을 중점으로 체험과 감상의 내용체계 구성 비중이 높아지면서 2007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미술 검정 도서에 비해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미술 인정 교과용 도서의 미술 내용체계 구성 비율이 통상적으로 개선되었다. 그러나 중학교 미술 인정 교과용 도서 중에는 표현 70% 이상 표현영역에 과도하게 중점을 두거나 체험 10% 미만, 감상 15% 미만으로 체험과 감상영역이 다소 부족한 교과용 도서가 있다. 미술 교과 교육의 특성상 실기 중심의 표현 활동에 중점을 둘 수밖에 없으나 중학교 미술 교과용 도서의 체험과 감상의 내용체계 구성 비율 부족은 개선할 필요성이 있다. 현재의 우수한 품질 수준의 미술 교과용 도서를 교육환경에서 보유하고, 미술 교과용 도서의 자율적인 채택과 선택의 폭이 넓음에도 불구하고, 중학교 교육과정 분석에서 미술 시간 배당 시수가 타 교과에 비해 상당히 부족하기에 미술 교과의 내용분량을 교육자와 학습자가 모두 이수하기에는 교과 교육 시간이 절대적으로 부족하다. 단편적인 중학교 교육과정의 미술 교육 시수에 대한 변경을 요구하기 보다는 미술의 교육성과에 대한 연구 분석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 미술 교육을 통한 학교폭력의 저하 연구와 창의력 신장에 대한 연구, 국민교육과정과 선택교육과정의 미술 교육이 대학교 교육과정과 실생활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등 미술 교육이 직접적으로 학습자의

      • 中學校 數學科 補充學習 方法으로서의 敎育放送과 인터넷 活用에 관한 調査硏究

        민재홍 關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21세기 지식기반사회에서의 학교 수학교육의 목표는 학생 개개인의 능력과 진로 선택에 따른 수학적 문제 해결 능력,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수학적 의사소통 능력, 수학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능력, 컴퓨터 등의 과학기술 기기를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능력 신장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위해 학교 교육에서는 수학과목에 큰 비중을 두고 많은 시간을 학습하게 함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이 어렵고 재미없게 생각하여 수업을 기피하는 등의 학교 수업의 위기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먼저, 학생들이 수학 학습을 기피하고 흥미를 잃어 학력저하로 이어지는 현 수학교육의 실태 및 문제점을 살펴보고, 학교 수업 위기현상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학생들의 EBS 방송프로그램과 인터넷 학습사이트 활용을 중심으로 보충학습 실태를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토대로 학원이나 과외와의 선호실태를 비교 분석하고 학생들의 수학과목에 대한 관심과 흥미를 이끌어 낼 수 있는 EBS 방송프로그램과 인터넷 학습사이트의 교육현장 적용방안을 모색하고자 A 중학교 여중생 227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수학성적과 수학 학습시간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r=0.419의 상관계수로 나타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지만 다른 변인(흥미도, 자신감, 선호도)보다 학습시간이 수학성적과 비교적 상관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선호하는 보충학습의 유형을 조사한 결과 대부분의 학생들이 과외나 학원을 이용하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본 연구의 대상인 인터넷 학습사이트 활용과 EBS 방송프로그램 활용에 대해서도 28%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러나 과외나 학원에 대한 경제적 부담 등의 이유로 앞으로 그 선호도가 낮아질 것으로 예상되며, 교육방송의 경우에는 최근 대학 수능방송을 통해 학생들의 관심을 이끌어내는 교육부의 노력이 진행되고 있으며, 인터넷의 경우에도 학생들의 인터넷에 대한 선호도 증가 학교현장에서 ICT를 활용한 수업 등으로 앞으로 인터넷 학습사이트 활용과 E5S 방송프로그램 활용에 대한 선호도는 더욱 더 증가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셋째, 보충학습 방법의 인식도 조사에서는 먼저, 인터넷 학습사이트 활용이 "도움이 된다" 61%, "보통" 22%, "도움 안됨" 17%로 조사되었고, EBS 방송프로그램 활용에서는 "도움이 된다" 61%, "보통" 24%, "도움 안됨" 15%로 조사되어 두가지 모두 수학과 보충학습에 있어 비교적 도움이 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인터넷 학습사이트의 장점을 조사한 결과 "취약부분에 대한 선택 학습가능" 42%, "반복학습" 28%, "시·공간의 자유로움" 17%, "기타" 13%로 조사되었다. 이는 시간과 공간적인 제약 없이 학생들 각자의 부족한 내용에 대해서 선택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점과 동영상 강의인 경우 이를 반복적으로 들을 수 있는 점을 장점으로 생각하였다. 다섯째, 온라인 수학교육의 불만사항을 조사한 결과 콘텐츠에 대한 내적 측면의 불만사항이 33%, 인터넷의 하드웨어적인 외적측면의 불만사항이 48%로 나타나 인터넷 기반의 온라인 수학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내·외적측면의 문제점을 동시에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보충학습 방법의 학습형태에 따른 선호도 조사결과 가장 선호하는 학습형태는 "문제은행방식"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동영상 강의", "전자칠판을 활용한 음성강의", "게임방식", "퀴즈방식", "이메일강의 방식"의 순으로 조사되었다. 따라서 수학과목에 대한 인터넷 학습사이트 개설시 소단원 수준별 텍스트자료 및 동영상 학습자료 제작이 필요하며, 무엇보다 학생들의 궁금증을 바로 해소해 줄 수 있는 학습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끝으로 수학과 보충학습 방법 중 EBS 방송프로그램과 인터넷 학습사이트의 교육현장 적용 방안으로 개별학습 요소로서의 보충학습, 상호작용 요소로서의 보충학습, 실생활과 연결 고리로서의 보충학습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In the knowledge-based society of the 21st century, the purpose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in school can be said to be in developing mathematics problem-solving skills for individual abilities and career capabilities, mathematical communication skills for linguistic expressions, mathematical reasoning skills, and skills to adequately used computers and other science and technology tools. For such a purpose, the formal Korean school education allots a large portion of time for mathematics, but most of the students are finding the subject difficult and are unwilling to engage in active learning of the subject. Therefore, this research aimed to diagnose the current conditions and problems of the mathematics education where students are losing interest and performance for mathematics, and research the current conditions of the EBS (Education Broadcast System) programs and the Internet learning sites as supplementary learning tools for overcoming the imminent challenges. Also, based on this, surveys were conducted on 227 female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in order to analyze students' preference of supplementary schools and private tuitions, and identify application methods of the EBS programs and the Internet learning sites for stimulating students' interest in mathematics.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mathematics grade and number of hours studied showed a correlation coefficient of r=0.419, indicating that the number of hours studied had the closest correlation with mathematics grade than any other variables (interest level, confidence, and preference). Second, survey on preferred supplementary learning methods revealed that most students utilized private tuitions or supplementary schools. Internet-based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and EBS programs were also found to be used by 28% of the respondents. However, preference for the Internet learning sites and EBS programs is expected to increase, as preference for private tuitions and supplementary schools is currently decreasing due to the growing economic burdens,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recently begun to push EBS as a primary means for supporting university entering students, and schools are more actively utilizing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y). Third, research on perceptions of supplementary learning methods showed that 61% responded the Internet learning sites as "helpful," 22% as "okay," and 17% as "not helpful." Also, 61% of the respondents described the EBS programs as "helpful," 24% as "okay," and 15% as "not helpful." This implies that the both methods were relatively helpful for supplementary learning of mathematics. Fourth, for research on advantage of using the Internet learning sites, 42% of the students answered "selective learning for weak areas," 28% answered "repeated learning," 17% answered "freedom of time and space," and 13% answered as otherwise. Most of the students thought that the Internet resources were good for use without limitations in time and space, were useful for selective learning for weak areas, and for video lectures, repeated learning was possible. Fifth, research on problems of online mathematics education indicated that 33% of the complaints concerned the contents and other software factors, and 48% concerned hardware factors including difficulty of using the Internet. This calls for a way to solve software and hardware issues in parallel to one another. Sixth, the most preferred learning method for supplementary learning was found to be the "question banks", followed by "video lecture", "electronic whiteboard-based audio lecture? "games", "quizzes", and "e-mail lectures." Therefore, for developing Internet learning sites for mathematics, it is important to produce text materials and video learning resources for each sub topic, and the learning system must be designed to answer students' questions on the spot. In addition, for ways to apply EBS programs and Internet learning sites in actual school mathematics education, this research discussed supplementary learning as individual learning elements, supplementary learning as interactive elements, and supplementary learning as connection to daily life.

      • 통합형 고등학교의 운영에 관한 연구

        김성기 關東大學校 敎育大學轅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 실업계 고등학교는 '60년대에서 '80년대에 걸친 개발연대에 국가 경제발전에 필요한 기능인력을 양성·공급하는데 큰 기여를 하였다. 그러나 산업구조가 점차 고도화되어 가고, 최근 들어 전통적인 산업에 기반을 둔 체제에서 지식·정보산업에 기반을 체제로 경제구조가 급속히 변화되어 감에 따라 이에 적응하지 못한 현 실업계 고등학교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시련에 직면하여 있다. 또한, 우리나라의 현행 고등학교 교육체제는 학생들의 다양한 적성과 흥미, 능력 개발 및 신장에 미흡하고, 특히 실업계 고등학교에서는 취업보다 진학을 희망하는 학생들이 증가하고 있어 조기 진로결정의 의미가 약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대한 대안으로서 우리나라에서도 인문교육과 실업교육의 통합적 운영을 위한 통합형 고등학교 체제 시범 운영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학생들의 적성, 흥미, 취미에 맞는 다양하고 신축성 있는 교육과정을 운영함으로써 고등학교 단계에서 진로를 결정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실업계 고등학교가 당면하고 있는 문제를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실업계 고등학교의 발전방안으로 통합형 고등학교 체제를 제시하였다. 이에 따른 통합형 고등학교의 종합적 운영 방안은 통합형 고등학교 운영목표, 학생선발, 교육과정 편성·운영, 교원, 진로지도, 행·재정적 지원 차원에서 각각에 대한 방안들을 마련해야 한다. 위와 같이 우리나라의 실업계 고등학교 발전의 새로운 대안으로 제시된 통합형 고등학교의 종합적 운영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통합형 고등학교의 운영 목표는 수요자의 요구와 지역 및 학교의 특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단위 학교 차원에서의 행동목표를 구체화해야 한다. 둘째, 학생 선발은 추천입학제, 가산점 제도 도입 등을 통해 다양화하며 전형시기 또한 실업계 고등학교 전형 전에 특차전형 방식을 도입해야 한다. 아울러, 시도교육청과의 연계 속에서 다양한 홍보 전략을 개발해야 한다. 셋째, 교육과정 편성 운영에 있어 계열분리식 통합형 고등학교에서는 일정 비율의 직업계열 선택을 돕기 위한 교과목을 편성·운영해야 하고 교과 선택의 폭을 확보하며 교차 이수제를 확대·적용해야 한다. 아울러, 종합고등학교와의 차별성을 두기 위해 통합학과의 설치 등을 고려해야 한다. 계열통합식 통합형 고등학교에서는 학급정원을 탄력적으로 조정, 직업기초교육을 실시하여 학생의 진로선택을 도와야 하고, 연계교육 및 산학협동 교육을 효과적으로 실시해야 한다. 또, 타기관과의 과정 이수를 위한 연계운영 및 유사교과에 대한 이수 단위를 인정하는 방안이 필요하다. 교차 이수제의 효율적 운영을 위해서는 교과 수준, 선수과목, 대상에 대한 명확한 규정이 필요하고 교차 이수 대상 과목의 단위 수를 높여 단기간에 제 2전공을 취득할 수 있도록 하며 교과 제한 및 시기에 대한 제한 또한 없애야 한다. 한편, 다양한 교수-학습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인정도서 및 보조교재가 개발되고 활용되어야 하고, 팀티칭, WBL(web-based teaming) 등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과원교사 발생에 대한 대책으로 학급당 학생수 축소, 복수자격취득을 위한 지원, 진로상담교사 또는 산학협동 전담교사로 활용, 정원 외 교원 활용, 시·도 교류 1:1 원칙의 한시적 예외 인정 등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고, 부족교사 발생에 대한 대책으로 학교장에게 교사의 내신권 및 유예권한의 권한 여부, 산학겸임교사에 대한 적정한 보수체계 수립, 순회교사 가산점 부여 등의 방안이 요구된다. 아울러, 통합형 고등학교 내 교사연구회 활동을 지원하여 교사 스스로 교육 과정 운영에 탄력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통합형 고등학교의 특성을 최대한 구현하려면 전문상담교사의 적정한 배치, 체험학습방법 및 진로지도 요소의 학습지도안 포함, 재량활동 12단위를 진로지도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는 방안, 합리적인 진로결정을 위한 진로 판단 권고제 실시 등이 요구된다. 여섯째, 교육과정 편성 및 운영권의 학교장에게로의 이양, 교사의 행정적 업무의 축소, 실험·실습 기자재 활용 등 전문대학 또는 4년제 대학과의 연계 구축, 실습·기자재 확보를 위한 예산 지원, 인정 도서 개발 활용 지원, 유관 기관과의 연계 구축 지원 등에 행·재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Vocational high schools, which have made enormous contributions in the nurturing of skilled workers vital in past Korean economic development, have been faced with challenges--both internal and external--due to the rapidly changing environment in the last decade. The advent of a knowledge-based economy, changes in industry and occupation structures, the realization of a life-long learning society, the spread of secondary education, and the decrease in the school-age population all demand the reformulation of the vocational high school system in areas such as program type, curriculum, and career opportunities available to students. In addition, the inflexible management of vocational high school education and negligence of school activities on the part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are among the factors threatening the identity of vocational high schools as valuable institutions of education. These challenges and threats illustrate the necessity of a fundamental restructuring of the system so that vocational high schools can rightfully carry out their functions as educational institutions. With this in mind, this research attempts to analyze and suggest measures for the improvement of vocational education in high schools through a systemic approach.

      •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가 여가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금시현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가 여가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1)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른 여가스포츠 태도의 차이 2)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가정도에 따른 여가스포츠 태도의 차이 3)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동기가 여가스포츠 태도에 미치는 영향 4)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종목에 따른 여가스포츠 태도의 차이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강원도 영동지역에 소재한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중등학교 재학 시 1년 이상의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자 총 400명을 조사 대상으로 표집 하였다. 표집 된 자료 가운데 불성실하게 응답했다고 판단되거나 조사내용의 일부가 누락된 16명의 자료를 제외하고, 실제 분석에 사용된 표본 수는 384명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조사도구는 설문지이다. 먼저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관한 설문문항은 사회과학 연구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성, 연령, 가계소득, 부모의 교육수준 등의 문항을 설정하여 사용하였다. 체육 특기․적성교육 활동의 참여정도에 관한 문항은 Loy, McPherson & Kenyon(1978), 김형용(2005)이 사용한 문항을 본 연구의 목적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참여동기에 관한 설문 문항은 Iso-Ahola와 Allen (1982)이 개발한 스포츠참여 동기 설문지를 이철화(1995)가 번안․사용한 것을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참여종목에 관한 문항은 Snyder & Spreitzer (1983)와 문화관광부(2003)에서 사용한 설문문항을 기초로 하여 개인, 대인, 단체종목으로 구분하여 사용하였다. 여가스포츠 태도에 대한 문항은 Ragheb와 Beard(1982)에 의해 개발되고 김경태(1996)가 번안하여 사용한 설문지를 강형길(2003), 김형용(2005)이 수정․보완하여 사용한 설문을 이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자료 분석을 위하여 사용한 통계분석방법은 신뢰도 분석, 빈도분석, t검증, 일원변량분석, 상관분석, 중다회귀분석 등이다. 이상의 연구방법 및 결과분석을 통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인구통계학적 특성에 따라 여가스포츠 태도의 차이는 연령과 가계소득 변인에서만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연령이 만 23~24세인 경우 행동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계소득이 300~350만원인 경우는 인지적 태도와 정의적 태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정도에 따라 여가스포츠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동기는 여가스포츠 태도에 부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스포츠 태도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은 기술발달과 즐거움으로 나타났으며, 외적과시와 사교는 각각 행동적 태도와 인지적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체육 특기․적성 교육활동 참여종목에 따라 여가스포츠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中國의 對外中國語敎育에 대한 國家政策의 硏究

        양수화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1. 연구의 목적 연구목적은 다음과 같은 3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지난 60여 년 간의 중국정부의 대외중국어정책을 정리분석하고, 역사적 측면에서 중국어교육을 평가하며, 그 성과와 부족한 부분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둘째, 국가정책이 교육과정의 개설에 미친 영향과 상호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셋째, 교육과정의 변화가 국가의 대외중국어정책에 미친 영향도 살펴보고자 한다. 중국어의 대외보급과정에는 어떤 결점이 있고, 중국어교육과 중국문화를 함께 보급하는 것이 순조롭게 진행될 수 있느냐 하는 문제도 분석해 보고자 하였다. 2. 논문의 주요 내용 본 논문의 연구목적에 따라 나눈 연구내용은 크게는 세 가지로 요약될 수 있다. 1) 국가대외중국어정책의 연구의 역사에 대한 연구이다. 시기별로 중국정부의 대외중국어교육정책문제를 분석하기 위해서 각 시기별 국제 국내환경의 분석을 통해서 정책제정의 배경을 살펴보고, 구체적 대외중국어교육정책의 경험과 문제점을 논하고 있다. 또한 시기별 대외중국어 교육과정과 개설상황에 대한 연구이다. 이 문제는 대표적인 몇 개의 대학의 교육과정을 선택해서 그 교육과정의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였다. 2) 중국 내에서 개설되어 있는 대외중국어교육과정에 대한 연구이다. 중국어예비교육과정, 단기중국어교육과정, 유학생진학교육과정, 대외중국어학력과정, 그리고 기타의 방송통신과정이나 사이버강좌 등을 중심으로 그 교육과정과 교과목의 특색과 운영상의 문제들을 분석하고 있다. 3) 중국정부의 대외중국어교육의 발전정책과 지원의 방향에 '國家漢語國際推廣領導小組와 國家對外漢語教學領導小組辦公室(간칭, 漢辦) 그리고 여기에서 추진하는 孔子學院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공자학원은 단순히 유학생을 배양하는 그러한 형태가 아니라, 개방적이고 더욱 광범위한 언어문화협력모델로 발전하고 있다. 하지만 발전과정에 문제도 있다는 점을 고려해야 할 것이다. 첫째, 공자학원의 보급과 발전규모에 관한 문제이다. 예산의 지원과 투입의 문제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고, 현지국가의 중국어교육기구들과의 경쟁과 공존의 문제도 연구해야 할 것이다. 둘째 공자학원의 교육과정에서 각국의 국정과 교육방침 그리고 교육정책의 차이를 고려하여 차별화된 중국어문화교육과정이 필요할 것이다. 3. 결론 중국의 대외중국어교육에 대한 정부정책은 정치외교적 차원에서 보면 대외중국어교육은 중국정부의 대외정책의 중요한 실현 방법의 하나이다. 중국역사의 발전의 차원에서 보면 이러한 대외중국어교육의 정책과 보급체계의 발전, 예를 들면 孔子學院의 세계적 확대는 새로운 세기 중국의 발전의 상징이자, 중국현대화의 성과로 새롭게 인식할 수가 있을 것이다. 문화적 차원에서 보면 중국의 대외중국어교육의 보급은 21세기 동서양의 문화를 새롭게 접목하고 조화로운 발전을 추구하는 큰 시도라고 할 수 있다. 언어교육의 차원에서 보면 자국언어의 세계화에 대한 새로운 교육모델을 중국어의 보급정책과 공자학원체계를 통해서 보여주고 있다. 하지만 대외중국어교육과 보급정책의 추진과정이 ‘중국문화’의 세계적 패권화라는 인식을 외국인들에게 주지 않도록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본다. 중국정부가 원래 의도한 바와 같이 이러한 중국 언어와 문화의 세계적 보급과 지원정책을 통해서 중국과 세계 각국의 우호와 협력관계를 증진시키고 和諧世界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With the strengthen ness of comprehensive national strength and the promotion of national status, China which has long history and culture is getting more and more attention by the world. As a huge investing and consumer market, China will play more and more important roles in international society in the future. Chinese language is getting more importance as other mighty languages too. In this kind of situation, Chinese language is being concerned by all over the world. As a subject who takes the responsibility of popularizing Chinese language, the subject --Teaching Chinese as the second language is gett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is study aims on the national policies which influences the subject of Teaching Chinese as the second language and its curriculum provision. We try to comb all the national policies affected this subject since the time this subject begins, and analyze the affection of national policies on the whole subject and the curriculum provision from macroscopic and microscopic views. Mean while here research if the curriculum provision perform the national policies appropriately and the influence the curriculum provision brought to the national policy. And the role and influence of the Confucius Institute will also study here.

      • 초등학교 특기·적성교육에 관한 연구 : 바이올린 지도를 중심으로

        전혜정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초록 초등학교 특기·적성 교육에 관한 연구 -바이올린 지도를 중심으로 - 전 혜 정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지도교수 류 석 원) 오늘날 현대사회는 정보화, 다양화, 세계화 사회로 급변하면서 창의성과 다양성 및 전문성을 요구하는 시대로 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대 속에서 지금까지의 학교교육에서 다루어 온 교육내용전반에 걸친 근본적이고 종합적인 검토와 개혁을 요구하기에 이르렀다. 이런 교육과정의 현실은 개혁과 유지의갈등속에서 학교교육 자체가 안고 있는 내재적인 문제와 선행되어야 할 개선과제도 동시에 추진되어야 하기 때문에 이에 대한 효율적인 대응방안이 절실히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대응방안으로 마련된 것이 특기⋅적성교육활동이다. 특기⋅적성 교육활동은 학교 밖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학원, 과외 활동을 학교 안으로 끌어들이며, 사교육비의 절감 및 학교가 학생들에게 방과 후 건전한 취미생활과 여가 선용의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에 부응하는 효율적이고 실제적인 교육을 실시할 수 있을 것이 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러한 특기·적성교육의 활성화에 따른 효율적인 교재는 많지 않으며, 교육방법, 또는 지도과정에서 사용 되어지고 있는 교재의 사용 등 특기·적성교육제도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검토 되어야할 문제들이 많다. 본 연구에서는 음악의 조기 교육으로 시행되어지고 있는 초등학교 특기·적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외국의 여러 나라들은 어떠한 형태로 특기·적성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현재 특기·적성교육에서 사용 하고 있는 시노자끼, 스즈끼 교재를 분석하여 실제 교육현장에서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현재 우리나라의 특기·적성 교육은 지금도 끊임없는 변화를 모색하고 있는 중이라고 생각 할 수 있다. 그러므로 특기·적성교육이 교과이외의 교육으로 임시적인 교육이 되지 않게 하려면 특기·적성 교육에 대한 깊은 이해와 인식을 갖고 올바른 교육으로의 정착이 될 때까지 교재나 교육방법등의 지속적인 연구와 계발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관의 개설내지는 교육기관의 운영이 절실히 요구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 교회 평신도교육을 위한 목회자의 역할

        김용덕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교회에서 목회자들이 무엇을, 어떻게 평신도들에게 가르치느냐에 따라 평신도들의 신앙성장과 그리스도인으로서 전인적인 변화가 다가온다. 이는 인간의 어떤 도덕적 지식과 경험보다, 성경말씀을 기반으로 하여 가르칠 때 평신도들의 신앙이 성장되고 또한 교회가 성장됨을 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교육을 받은 평신도들은 신앙 성장과 함께 전인적인 인격의 변화를 가져옴으로써, 이 사회에서 중요한 빛과 소금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처럼 평신도 교육은 오늘날 교회에 목회자들이 반드시 수행해야 될 중요한 역할 가운데 하나이다. 교회는 그 기원에서부터 일반 평신도들의 모임으로 출발했다. 평신도는 하나님의 백성인 동시에 그리스도의 사절이며, 왕 같은 제사장의 직분을 수행할 자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목회자는 영혼의 목양처인 교회에서 하나님의 자녀인 평신도들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잘 소화할 수 있도록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담아 성경강해를 기반으로 설교하며, 또한 전인적인 그리스도인의 인격에 대하여 교육하고 지도하며, 영육간의 어려움을 겪는 자들을 보살피고 위로하며 양육하여 끝까지 신앙으로부터 실족치 않도록 신앙의 길을 인도하는 안내자요 봉사자인 것이다. 평신도 교육의 목적은 모든 성도들로 하여금 바른 삶을 살고, 하나님의 소명에 응답하도록 하는데 있다. 또한 평신도 교육 내용은 평신도들이 그리스도인으로서 세상에서 모든 사람들에게 예수 그리스도와 하나님을 전파하기 위해 받은 은사를 더욱 발전시키는 것이다. 구약시대는 제사장과 예언자들이 히브리인의 교육을 하였고, 회당과 학교에서 유대주의 교육을 시행해 왔다. 신약시대에는 예수그리스도께서 평신도들을 제자로 직접 부르시고 교육을 시켰으며, 부활 후 제자들에게 가르치는 사역을 위임하실 정도로 평신도 교육을 중요시 하였다. 사도들을 중심으로 한 초대교회 평신도 교육도 말씀과 신앙을 목양하는 교육이었다. 성경에 나타난 모범적인 평신도 교육은 가르치시는 예수님을 통해 볼 수 있었으며, 또한 부활하신 예수님께서 하늘로 올라가시기 전에 제자들에게 마지막으로 명하신 대위임 명령 “그러므로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베풀고, 내가 너희에게 분부한 모든 것을 가르쳐 지키게 하라 …”(마 28:19~20)에서도 가르침에 대한 예수님의 뜻은 가장 최종적으로 분명하게 묘사되고 있다. 이것은 오늘날에도 목회자들에게 내리시는 주님의 변함없는 명령으로, 목회자들은 평신도들에게 참 그리스도인으로서 삶을 영유할 수 있도록 교육할 사명이 있다. 또한 평신도들은 목회자의 목양에 대하여 순종과 이해로 대해야 하며, 가르침에 대해 배워야 할 의무가 있다. 중세시대 종교개혁의 대표자인 칼빈은 1537년 신앙고백서를 제출하여 당시 제네바 시에 로마 카톨릭교인과 그 잔재가 남아 있는 상황에서 교리 교육의 중요성과 그 목표가 무엇인지를 밝혀 주었다. 칼빈의 교리 교육의 목표는 구원에 대한 교육과 하나님에 대한 교육이었다. 또한 그의 교육 방법은 성경를 주석하고 강해를 기반으로 하는 설교를 하였다. 그는 성경 복음을 중심으로 설교하였으며, 이러한 설교는 하나님의 은혜를 평신도들에게 연계시키는 가장 중요한 수단이 되었다. 이러한 평신도 교육의 효과는 제네바의 종교개혁을 성공적으로 수행하게 했으며, 말씀 중심의 설교와 강해는 평신도들의 신앙을 바르게 회복시키고, 삶에 있어 말씀을 적용하고 응용하여 전 유럽에 종교개혁을 일으키게 되는 계기가 되었다. 현대 교회의 성공적인 평신도 교육 모델 가운데 하나인 은혜와 진리교회는 25년의 목회사역 기간 동안 전국에 36개 교회를 설립하고, 30만명의 성도 수로 부흥한 세계 두 번째 규모의 교회이다. 은혜와 진리교회의 성장 원동력은 구역단위의 평신도 교육 시스템에 그 기반을 두고 있다. 이 교회의 목표는 첫째 세계선교의 적극화, 둘째 일천 교회의 개척, 셋째 전성도 성령 충만을 들 수 있다. 은혜와 진리교회의 성도생활의 목표는 전도와 봉사에 힘쓰고, 모이기에 힘쓰며, 성도다운 교양과 품위를 가지자는 것인데 이를 통해 평신도가 가져야 할 자세와 교육의 중요성, 그리고 배려하는 신앙생활에 대해 강조하고 있다. 예배시간에는 주로 성경 강해를 기반으로 한 설교와 기도회가 주를 이루며, 교육 프로그램으로는 평신도 성경대학과 성경학교, 구역장 대학, 교사 대학, 아동구역 대학, 새신자 교육 등이 있다. 결론적으로 중세시대의 대변혁을 가져온 제네바 교회의 예배와 오늘날 은혜와 진리교회의 예배를 통한 교육 프로그램에는 거의 차이가 없음을 볼 수 있다. 목회자들의 비전과 전략은 예배를 통한 말씀 중심의 교육을 평신도들에게 실시하여 중세시대나 오늘날 시대를 초월한 교회성장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변화를 생활 속에서 경험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평신도들에게 있어서 신앙성장과 그리스도인으로서의 인격적인 변화가 예배와 기도회 시간을 중심으로 한 신앙생활에서 이루어지도록 교회와 목회자는 평신도 교육에 심혈을 기울 The growth of a church in its standard of faith on the range of quality and of quantity of it is depended on the teaching the word of God in a way of good provided program to the lay believers of the church. And the lay believers who are educated with the word of God on understanding that point of view could cause the realization for the role of the salt and the light in their social life. The lay believers education is the most important factor for a church ministry, nowadays. The christian church starts in its origin from the meetings of lay believers. The sense of lay believers are the people who should act as the people of the kingdom of God, as the ambassadors of Christ, and as the priests like kings, simultaneously. Indeed the pastor of a church is the guidance and the servant for the lay believers in the church where is a pasture of spiritual life to preach the gospel, to educate and lead on the word of God, to take care of them and govern and bring up for them could come to the kingdom of God, finally. Now we can find a typical lay believers education written in the bible through Jesus Christ when He teaches. The authority of Jesus as teaching Christ is described in His great commission finally and clearly. In 1537, John Calvin, one of the greatest leaders of the Reformation declared clearly what were the importance and the goal of educating christian doctrine by proposing the confession of faith to Geneva City government at that time when still there were many remnants of Roman Catholic in the City of Geneva. The goal of education of christian doctrine for Calvin was teaching salvation and God. Also his method of education was interpreting Bible and gave church expository sermon. The effects of those kinds of efforts for lay believers education made the Reformation of Geneva successfully. Furthermore the sermon centered on the word of God and the exposition of the bible rehabilitated the faith of lay believers rightly, and the Reformation which is centered on the word of God could spreaded out all over the Europe through application and practicing the word of God in every day life of the people. The Grace and Truth Church is the 2nd in the size of church members through out the world. The church is one of representative models of lay believers education in contemporary churches has set up 36 churches in the country of Korea with reviving 300 thousand members. The main pastor of the church have been working during 25 years of ministry with the church as of 2008. The major growth engine power of the Grace and Truth Church is the basis of lay believers education system organizing with units of home cell groups. The goal of ministry of the church is, "firstly, revitalizing the world mission; secondly, newly founding of 1 thousand churches; thirdly, all the members of the church filled with Holy Spirit;" The goal of the life of saints of the church is that to serve and mission, gathering diligently, fulfilling culture and dignity deserves saints. Acknowledging the goal of the church, they emphasize the importance of education and attitude of the saint, and faith living of caring each others. At the church services the main pastor mainly delivers the sermon of exposition on the bible with common prayer session. Adding this, the church has many lay believers educating programs like bible college and bible school for lay believers, college for home cell group leaders, college for church school teachers, college for children teachers and education for the new comers. Eventually we can see that the lay believers education programs through church services are little differences between those of the Geneva Church who made great change in the middle ages, and those of the Grace and Truth Church The vision and strategy of the pastors are to make in experience the lay believers in their daily lives the church growth surpassing the times of the middle ages and today through the practicing church education centered in the word of God in the services for the lay believers, and the change of them as christian. Therefore the churches and the pastors should hold deep minded and bleeding efforts for lay believers education to make them get growth of christian faith and experience the change of personality through everyday life of faith centered on participating the services and prayer sessions.

      • 교회에 있어서의 노인복지(강릉시 노인복지 실태) 및 교육방안

        윤영태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9663

        우리나라 65세이상 노인인구의 추세를 보면 1970년의 경우 노인인구 비율이 3.4%, 85년에는 4.1%, 91년에는 5.1%로 점차 증가해 가고 있다. 한국 인구 비율이 2000년대 초에는 6%를 넘을 것으로 예측했지만 지금 같은 추세로는10%로 선까지 육박할 것으로 추정한다. 증가하는 노인문제를 어떻게 할 것인가? 그래서 본 논문의 연구 동기는 물론 점차 사회 문제화 되어 가고 있는 노인문제에 대해 교회가 그 책임을 수행할 수 있지 않겠느냐 하는 현실적 방안에서 시작되었다. 한국 사회가 근대화되고 산업화해 가는 과정에서 도시화, 핵가족화로 인해 노인들은 사회 속에서 외면을 당하고 있고 가난과 질병, 무위와 고독 속에서 불행한 노후를 보내고 있는 경우가 급증하고 있다. 이러한 노인들이 가지는 문제는 극단적인 경우 노년에 적응하지 못하고 자살을 하는 사례로까지 발생하고 있다. 그러므로, 노인들로서 자신의 삶을 의미 있게 보낼 수 있도록 선처하는 노력이 범사회적으로 요구된다고 하겠다. 그러나, 사실상 우리 사회에 있어서는 그들을 위해 마련된 사회 복지시설이 미비할 뿐 아니라. 정책적인 배려도 충분히 마련되지 않은 채 소외시키고 있는 형편이다. 더구나 인구의 노령화 추세로 더욱 그 문제점이 심각하게 대두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점에서 이러한 환경에 처한 노인들을 위하여 노후를 보람 있게 지낼 수 있도록 교회적 차원에서 그들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을 최대한으로 마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이 지역에(강릉시) 노인복지의 실태를 살펴봄으로 교회가 어떤 전략으로 노인복지를 실행하며, 특히 교육적인 방안을 세울까에 도움을 얻고자 하였다. 그리고 영적 관점에서 노인 문제는 새로운 차원에서 부상된다. 영혼 구원과 신앙의 유전, 새로운 일꾼 발굴의 관점에서 노년부에 대한 관심은 도외시 할 수 없다. 노인에 대한 공대는 축복의 연속성과 밀접한 관계에 있다. 또한 여가와 유휴 시간이 풍부한 노인들의 여력이 교회 활동에 투입되도록 유도하여 활성화시키는 노력이 절실히 요청된다고 본다 이렇게 함으로써 노인 문제의 궁극적 해결책인 영혼의 문제가 자연스럽게 해결될 수 있다고 본다. 의미를 상실하기 쉬운 노인들에게 가장 절실히 요구되는 것은 바로 예수 그리스도이시기 때문이다. 한국 교회가 노년부에 대하여 별다른 노력없이 무관심하게 생각하고 있다는 것은 현실적인 증거로 보아 분명하다. 한마디로 황금 어장을 무시하고 있는 것이다. 다른 교육 부서에 못지 않는 노인부의 육성이 목회적 관점에서 반드시 요구된다. 이를 위해서는 과감한 헌신과 투입이 필요하다고 본다. 사회적인 관점에서 사회문제를 교회가 감당해야 한다는 점도 중요하지만, 영적 관점에서 노년부의 조속한 설치와 교육운영은 지연시킬 하등의 이유가 없다고 본다. 노인문제에 대한 교회의 복지활동 교육방안은 교회 학교 노년부 설치, 경로당방문, 생계보장 노인의 생계보조, 무료진료 등 여러 가지가 있겠으나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이러한 활동을 개시하여 한국 교회 내에서 노년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이 문제가 의식화되어 이 방면에 대한 헌신과 투입이 자연스러운 것이 되는 일이다 또한, 노인에 대해 헌신하는 일꾼들이 반드시 나와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될 때 사회적으로는 큰 문제가 되고 있는 노인 문제에 대해 일반인의 의식도 새로워져, 범국가적인 대책도 가능해질 것이다. 한국 교회는 급격한 발전과 성장을 하였다 목회자의 목회 또한 많은 분야에 관심과 역할을 담당해야 한다 이러한 현실에서 목회자가 혼자의 힘으로는 모든 분야의 일을 충실히 하기란 불가능하다. 그래서 교회 학교 아동부, 중고등부, 대학, 청년부, 등에는 지도 교역자(전도사, 목사)가 있어서 그들의 연령과 지식에 알맞은 교재로서 교육, 지도하고 있지만 노인들을 위해서는 거의 관심조차 못 가지는 형편이지만 그러나 노인들의 신앙 교육운동이 다른 분야보다 더욱 시급하다는 것을 절감하고 힘을 쓴다면 교회 성장은 더욱 가속화되는 동시에 일반 사회에서도 교회에 보다 큰 관심을 가지게 될 것이고 구원받는 사람은 날로 더해질 것이다. 교회가 노인을 우대하는 미덕을 꼭 보여주어야 하겠다. "자녀들아 너희 부모를 주 안에서 순종하라 이것이 옳으니라(엡6;1) 네 아버지와 어머니를 공경하라 이것이 약속 잇는 첫 계명이니(엡6;2) 이는 네가 잘되고 땅에서 장수하리라."(엡6;3) 이는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할 때에 하나님의 축복이 교회에 임할 것이다. 노인인구의 증가추세를 생각하면 앞으로 범국가적인 차원에서 노인문제를 위한 대책이 강구되어야겠지만 기독교 교계에서도 노인문제해결 운동에 앞장서서 적극 참여하여야 할 것이다. 또한 노인 복지 운동을 교회가 적극적으로 추진하며 노인교육 또한 지대한 관심뿐만 아니라 구체적이고 심도있게 그리고 실제적으로 실시하여 나아간다면, 선교 가장 효과적인 성과를 거둘 것이고, 주님의 지상명령을 이루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is master thesis project addresses "what approach do we have to take and develop for the operative dimension of social welfare especially for the elderly people?" There are a variety of analytic methods about the social phenomena of social welfare policy. This has called for many forms of studies that have closely examined and clarified the social phenomena of social welfare policy in the perspective of non-Christian world views. But we have indeed hardly found any research that analyzes and criticizes the contemporary social welfare policy and its diverse social phenomena in terms of a Christian perspective. For this reason, I have decided to launch this research project that analyzes and evaluates some major problems of the present social welfare policy in a way of proposing my own Christian idea, based upon the biblical thought, as a critical foundation of dealing with social welfare problems especially in the city of Kangnung.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over several decades points our eyes to the fact that contemporary social problems have been made worse, due to the misuse of many social welfare policies. This makes us confront a serious crisis of social welfare: "how do we form and enforce social welfare policy?" "what is the cause of this crisis?" "How can we overcome the critical social welfare problems of our contemporary society?" Thus it is highly important for us to look into the history of social welfare. Its history lets us know where we should go. In this regard, my thesis project starts from a conviction that the realistic method of analysis and reflection helps us find out an alternative policy of social welfare, appropriate to the present social situation of human life. It is a fundamental point from which I suggest a Christian strategy for understanding and reforming social welfare policy. It is greatly important to point out that our Korean society has undergone many complications of difficult problems throughout its whole history. "What is the relation between the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and the social problem of sin and evil?" "How much did the Korean system and policy of social welfare receive the influence of both individual and social evils?" Answering to these questions, I will discuss the five historical stages of the Korean church as a way of indicating the significant points of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closely related to the Korean church history. The historical explication of the Korean church helps us to see the significance of its spiritual and moral renewal for the growth of social welfare system in Korea. After addressing all the period of the Korean church, I will present a conclusion that all social matters, like social welfare issue, give us a complicate fabric of human relationships into which the individual inner reality of sin and the social outward reality of structural system are synthetically interwoven, and thus that they anticipate a certain form of divine grace sweeping away the sinful reality of human life. Hence I would argue, in this thesis project, that the development of Korean social welfare system and policy waits for a good Christian way of life through which we continuously form and embody Christian virtues as a spiritual foundation of Korean social welfare. I hope this research project on the social welfare program, especially based upon the data of the social welfare service center in the city of Kangnung, can make a contribution to the active engagement of the Christian churches in the vicinity of Kangnung, that is, the Youngdong region.

      •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 강릉 남대천을 중심으로

        남은진 가톨릭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impact of the Gangneung Namdaecheon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Gangneung’s environment, where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live, along with the analysis of the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education awareness and needs in the geography subject. In this study, a mixed methods research design was used to analyze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high school students. The researcher conducted surveys o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needs in geography subjects,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program satisfaction and produced Jamboard worksheets using graphic organizers. In addition,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high school students, instructors, and college student mentor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The collected quantitative data were analyzed by descriptive statistics and paired sample t-test using SPSS 28.0. Also, environmental sensitivity shown in the results of qualitative data such as interview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were categorized using Atlas.ti 22.0 and visualized with network view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that environmental education was important in school curriculum and that it played an important role in social studies and volunteer activities. In particular, when asked about their previous experiences with environmental activities, students reported that their environmental awareness had changed positively after participating in the environmental activities. However, this did not translate into the practice of conservation behaviors. Most students recognized the need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students wanted was outdoor survey activities. Second, the average scores of post-test improved compared to pre-test in all seven subdomains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particular,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areas such as sense of places, environmental skills, interest in ecosystems, awareness of water quality, and awareness of environmental conservation. Although there was no statistical difference between pre-test and post-test in the sensitivity to the natural environment, the findings from the qualitative data such as student’s Jamboard worksheets and story maps revealed that themes which were relavant to students’s affective domains emerged. Third, it was confirmed through interviews that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centered on urban rivers had a positive effect on high school students’ environmental sensitivity. The long-term project-based learning experience of Namdaecheon River in Gangneung cultivated students’ competenies and career exploration. Instructors witnessed changes in the students’ environmental awareness. Also, college student mentors who guided high school students showed positive changes in environmental awareness and improved their capabilities as pre-service teachers. Fourth, the Gangneung Namdaecheon River Care Program showed high satisfaction in all areas of Namdaecheon understanding, various activity, interest, and futhrer study. The participating high school students showed improved understanding and interest in the Namdaecheon River. They were satisfied with the experience of observing the ecosystem in the Namdaecheon River and mapping using geographic information technolog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dentifie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demands for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conducted long-term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s centered on urban rivers, and presented educational materials to set the direction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geography subjects.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that it is difficult to generalize due to the small number of participants. Accordingly, this study adopted a mixed methods research approach to gain a rich, detailed, and better understanding of a specific context and phenomenon as the students dived into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program. Future research could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urban river-based environmental education program in a large group of students. Furthermore, expanding empirical research across diverse educational backgrounds can enhance our understanding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its significance in the realm of environmental geography education. To meet 2022 Revised National Curriculum and Geographic Competencies requirements, it's crucial to incorporate activities that foster geographic information literacy, enhance spatial problem-solving and decision-making abilities, and promote global citizenship. Such research could contribute to providing evidence of the effectiveness and feasibility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geography education. 본 연구는 강릉 남대천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한다. 이를 위하여 지리 교과에서 고등학생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분석과 더불어 참여 고등학생들이 거주하는 강릉지역 환경의 특성을 고려한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혼합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 환경 감수성, 프로그램 만족도 설문을 진행하였고 그래픽조직자를 활용한 잼보드 워크시트를 제작하였다. 그리고 프로그램에 참여한 고등학생, 지도교사, 대학생 멘토들의 인터뷰도 진행하였다. 수집한 양적 자료는 SPSS 28.0을 활용하여 문항별 기술통계와 대응표본 t-검정으로 분석하였고, 질적자료인 인터뷰, 잼보드 워크시트, 스토리맵스 결과물에 나타난 환경 감수성 내용은 Atlas.ti 22.0을 활용하여 범주화하고 네트워크 뷰로 시각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교육 인식 및 요구 조사에서 참여 고등학생들은 학교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으며, 사회과 교육과정과 봉사활동과 같은 비교과 교육과정에서 환경교육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고 응답하였다. 특히, 이전의 환경 관련 활동 경험에 대해 묻는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환경 관련 활동 전보다 환경 활동 후 학생들의 환경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고 응답하였다. 그러나 이것이 환경보전 행동의 실천으로까지는 발전하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참여 고등학생의 과반수는 지리 교과에서 환경교육이 필요함을 인식하고 있었으며 학생들이 바라는 환경지리교육의 교수학습방안은 야외조사 활동으로 나타났다. 둘째,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의 환경 감수성은 7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프로그램 참여 전보다 참여 후에 평균 점수가 향상되었다. 대응표본 t검정 결과, 장소에 대한 감수성, 환경기능, 생물에 대한 흥미, 수질에 대한 인식, 환경보전의식 영역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하위영역 중 자연환경에 대한 감수성과 향토를 가꾸고 지키려는 마음은 사전 검사 결과보다 사후 검사에서 향상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그러나, 학생들의 잼보드 워크시트와 스토리맵스 결과물에서 관련 내용이 추출되었다. 셋째, 인터뷰를 통해 도시하천 중심의 환경지리교육이 고등학생의 환경 감수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장기간에 걸친 강릉 남대천 학습경험은 참여 고등학생에게 환경 감수성을 포함한 환경 소양을 함양시켰고 자기 역량과 진로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지도교사는 학생들의 환경 인식변화를 체감하였고, 고등학생을 지도했던 대학생 멘토들의 환경 인식에도 긍정적인 변화가 나타났으며, 예비교사로서의 역량을 함양하는 기회가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프로그램이 끝난 후에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 각 활동에 대한 만족도,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도, 앞으로 다른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 의사에서 모두 높은 만족도를 보였다. 참여 고등학생들은 남대천에 대한 이해와 관심이 향상되었고 특히, 남대천에서의 생태계 관찰 경험과 지리정보기술을 활용한 지도화 학습에서 높은 만족도를 드러냈다. 본 연구는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회과 지리 과목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환경교육에 대한 인식과 요구를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도시하천을 중심으로 한 장기간의 환경지리 교육프로그램인 남대천 리버케어 프로그램에 대한 참여관찰을 통해 지리 교과에서의 환경교육 방향 설정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의 수가 적기 때문에 일반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혼합연구 방법을 적용하여 양적 자료만으로는 확인하기 힘든 맥락과 배경을 이해하기 위해 질적자료를 함께 수집 및 분석하였다. 후속 연구로는 표본의 크기를 늘려 연구참여자의 다양성과 연구의 타당성을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 한편, 2022 개정 교육과정의 지리과 핵심역량인 지리 정보 리터러시, 공간적 문제해결력과 의사결정력, 글로컬 시민역량을 환경지리교육 프로그램과 연계하고 이를 함양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연구도 필요하다. 또한, 예비 지리교원의 환경 소양 함양을 위한 실증적인 연구도 의미가 있을 것이다. 지리교육에서의 환경 감수성과 관련된 다양한 실증적인 연구와 논의가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