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대교회부터 17세기까지 침례신학의 변천 과정 연구

        김안나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95

        The first Baptist church was started in Amsterdam in the Netherlands in early 1609 by John Smyth. The Baptist Church pursued a community of believers with the model of the New Testament church, and attempted to reform baptismal theology under the belief that only the practice of biblical baptism could establish a biblical church. However, changes in biblical baptismal theology are being detected in the 21st century Baptist Church. As history proves, changes in baptismal theology witness the loss of the New Testament meaning of baptism. For this reason, this paper is meaningful in reconfirming the biblical baptismal theology by re-examining the history of baptism in the 17th century Baptist Church, which emerged from the early church calling for the restoration of biblical baptism.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meaning of baptism in each era by examining the Bible and the writings on baptism by central theologians in each era. In each era, the theological and philosophical thoughts of that era influenced their understanding and practice of baptism, so the ideological basis for the theologians of each era was presented, and how each idea influenced their understanding of baptism was also presented. Based on the analysis, the meaning of baptism as understood by each era was revealed. The research method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larify what the Bible says about baptism, the verses of baptism recorded in the New Testament were examined hermeneutically. In addition, when necessary, researcher tried to convey the meaning of the text accurately by clarifying the meaning of the original text used in baptism.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baptism in each era, researcher analyzed the primary data written by representative theologians of each era and revealed the definition of their theology of baptism. Then, by comparing their baptismal theology with the biblical Baptist theology, researcher examined the errors of the baptismal theology of each era. In particular, in the baptismal theology of the religious reformers who attempted to reform the sacraments, the limits of their sacramental reform were revealed through comparison with the biblical baptismal theology. Lastly, while describing the meaning of baptism in each era, researcher looked at how the understanding of baptism in each era was affected and how it affected the era before and after. Along with this, the attempt at baptismal reform and its results were described. Through this, the history of baptism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17c Baptists was recorded.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affirm the biblical meaning of baptismal theology by studying the process of transition of baptismal theology from the early church to the 17th century, to prevent the reoccurrence of misinterpretation of baptismal theology, It is proposing a restoration of biblical baptismal theology.

      • 기독교형제단 출현의 역사적·신학적 배경에 관한 연구

        방기만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연구는 기독교형제단 출현의 배경을 고찰하여 어떤 인과관계 가운데 형제단이 출현하게 되었는지 밝히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연구자는 형제단의 역사적 정체성과 신학적 정체성을 확인하였다. 전 세계에 분포된 기독교형제단은 매우 다양한 반면 한국의 형제단은 다양성이 적다. 따라서 형제단의 정체성 규명이 필요하다. 본연구에서 행한 형제단의 신학적 뿌리에 대한 고찰은 형제단의 정체성을 규명하는 데 일조함으로써 한국의 형제단이 고수해야 할 것과 배제할 것을 구분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형제단의 신학적 정체성은 신자의 침례와 신자의 모임으로서의 교회로 대변할 수 있는 자유교회 전통과 그 맥을 같이한다. 자유교회 전통의 한 그룹인 형제단에 대한 학문적 성찰은 한국 교회에 교회 본질에 대한 제언의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형제단의 기원에 대한 연구는 관련 자료가 많지 않은 점이 가장 큰 어려움이다. 형제단 역사신학자인 로이 코드(Roy Coad)와 해롤드 로우던(Harold Rawdon)의 연구는 형제단 출현에 대한 좋은 학문적 접근으로서 가치가 있으며, 한국 형제단 목회자인 정인택의 박사학위 논문은 영국에서 시작된 형제운동이 한국으로까지 전개된 과정을 확인할 수 있는 유용한 자료다. 형제단 역사에 대한 1차 자료는 초기 형제단 지도자들의 활동 내역과 당시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귀한 바탕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습득하고 사용한 1차 자료는 조지 뮐러(George Müller)의 일기(A Narrative of the Lord’s Dealing with George Muller, The Life of Trust, Boston: Gould and Lincolon, 1861, & London: James Nisbet & Co., 1895), 그로브스의 글(Journal of Mr. Anthoy N. Groves, during a Journey from London to Bagdad, 1831), 앤드류 밀러의 글(「그리스도와의 연합의 진리를 교회론으로 삼았던 플리머스 형제단 이야기」)가 있다. 형제단이 속한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 중 가장 먼저 출현한 이들은 종교개혁기의 아나뱁티스트들이었다. 그들은 주류 종교개혁자들이 국가교회 체제를 유지한 가운데 개혁을 진행하는 것에 만족하지 못하고 신약성서에 나타난 신자들의 교회를 이루고자 하였다. 종교개혁의 세기 직후인 17세기 초 영국에서 출현한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들은 침례교회와 퀘이커였다. 침례교회와 퀘이커는 자유교회 전통의 무리이기도 하지만, 형제단 출현에 있어서 주요한 배경이 되는 그룹들이었다. 19세기 영국국교회와 비국교도의 신학과 당시 유럽과 영국의 사회 문화적 배경은 형제단 출현의 직접 배경이 되었다. 초기 지도자들은 영국국교회, 침례교회, 퀘이커의 세 부류에서 기인하였으며 그들은 당시의 유럽인들이자 영국인들이었기 때문이다. 형제단이 출현한 후 20년이 채 되지 않아 형제단은 개방과 비개방형제단으로 분열하여 발전하였다. 형제단 분열에 있어서는 교회론에 대한 이견이 있었고, 인간적 연약과 갈등이 그 분열에 촉매가 되었다. 개방형제단은 다른 입장을 가진 그리스도인들과도 복음 안에서 연합할 수 있다는 입장을 취했으며, 지역교회의 독립성을 신약성서적 교회의 본질 중 하나로 믿었고, 그렇게 실천하고자 하였다. 비개방형제단은 자신들이 성경에서 발견한 진리를 따르지 않는 이들과 분리하는 것이 하나님의 뜻으로 여겼고, 한 몸으로서의 교회를 지켜가야 하기 때문에 지역교회의 독립을 주장하는 것은 몸을 나누는 시도라고 비판하며 하나로 통합된 교회를 지향하였다. 형제단의 기원에 대해서 다양한 주장이 있다. 형제단의 기원론은 크게 세 가지인데, ‘초대교회 계승설’(The Succession of the Primitive Church), ‘신약성경적 교회들의 영적 계승설’(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19세기 형제운동 기원설’(The Origin of the 19th-century Brethren Movement)이다. 앞의 두 기원론은 역사적·학문적으로 객관성을 담보할 수 없다. ‘19세기 형제운동 기원설’이 역사적·학문적으로 타당한 기원론이라 할 수 있다. 형제단이 당시 이미 존재하던 침례교회와 같은 교회론를 가지고 있음에도 그들은 별도로 분립하여 다른 교단을 이루게 되었다. 그것은 아마도 초기 침례교회 행습에 대한 향수와 맞물려 침례교회의 본질을 추구하는 욕구가 가시화된 것으로 보인다. 조지 뮐러(George Müller)나 헨리 크레이크(Henry Craik), 그리고 로버트 채프먼(Rboert C. Chapman)과 같은 이들은 침례교회 목사들로서 이미 형제운동이 지향하는 가치와 행습을 실행하고 있었고 그러한 것들은 초기 침례교회의 행습과 유사한 것들이었다. 그런 그들이 형제운동을 접하게 되자 자연스럽게 그 운동에 합류하게 되었다. 형제단은 자유교회 전통을 추구하는 무리로서 명목상의 그리스도인을 양산하는 체제나 방식에 경종 울리고 대안 제시하였다. 형제단의 추구와 실행을 오늘날의 교회에서 적용한다면, 교회에 나오는 사람들에게 분명히 회심할 수 있도록 안내하며, 그들의 신앙을 확인하고 교회 일원으로 영접함으로써 교회 본질을 회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교회 본질 회복은 자연스럽게 세속주의 문제에 대한 대안이 될 것이다. 그 이유는 이신칭의 복음이 지적 동의에 머물지 않고 삶을 변화시키는 회심으로 이어지게 하기 때문이다. 형제단은 매우 선교적인 공동체를 이루었다. 그 실례가 허드슨 테일러(James Hudson Taylor)이다. 테일러는 개신교 선교에 있어서 괄목할 만한 인물이다. 그간 테일러에 대한 연구들은 그의 영성이나 선교 업적에 대해서 밝혀냈으나 그의 출신에 대해서 관심을 두거나 제대로 밝혀내지 않았다. 테일러는 형제단 교회인 앤드류 쥭스의 헐교회에서 침례 받고 선교사로 파송되었다. 따라서 테일러는 형제단의 일원이었으며, 그의 믿음 선교 개념의 근원이 조지 뮐러로 대표되는 형제단의 사역방식에 있었다. 초기 형제단은 신약성서적 교회 가치, 즉 신자들의 교회라는 기준으로 연합하고 복음을 위하여 형제단 외부의 다양한 그리스도인들이나 그룹들과 협력하고자 하였다. 한국 형제단은 그들의 역사적·신학적 정체성을 확인하고 그 정체성의 유지 및 발전을 위해 형제단 자체의 체계적 교육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아울러 형제단은 복음 안에서 타 교단에 대한 열린 자세를 유지한 가운데 기독교계에 대안 제시하는 교단으로 자기 역할에 충실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background of the emergence of the Christian Brethren and tried to reveal which causal relationship led to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and through this, this researcher confirmed the historical and theological identities of the Brethren. The Christian Brethren distributed around the world is very diverse, while the Korean Brethren has little diversity, 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Brethren. The review of the theological roots of the Brethren conducted in this study will help to clarify the identity of the Brethren, helping to distinguish between what the Korean Brethren should adhere to and what to exclude. The theological identity of the Brethren is in line with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which can represent believers' baptism and the church as a gathering of believers. Academic reflection on the Brethren, a group in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can serve as a suggestion for the essence of the church in Korea. The biggest difficulty in researching the origins of the Brethren is that there are not many related materials. The study of Brethren historical theologians Roy Coad and Harold Rawdon is valuable as a good academic approach to the emergence of Brethren, and Jeong In-taek's doctoral thesis, a Korean Brethren pastor, is a useful material to confirm the process of the Brethren movement that began in England to Korea. The primary data on the history of the Brethren is a valuable basis for understanding the activities of the early Brethren leaders and the situation at that time. The primary data acquired and used for this study include George Müller's diary(A Narrative of the Lord’s Dealing with George Muller, The Life of Trust, Boston: Gould and Lincolon, 1861, & London: James Nisbet & Co., 1895), Grove's article(Journal of Mr. Anthoy N. Groves, during a Journey from London to Bagdad, 1831), and Andrew Miller's article(The Brethren: Their Origin, Progress and Testimony). Among the groups of free church traditions to which the Brethren belongs, the first to appear were Anabaptists during the Reformation period.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mainstream religious reformers carrying out reform while maintaining the state church system, and tried to form a church of believers in the New Testament. The groups of Free Church traditions that emerged in England in the early 17th century, right after the Reformation century, were Baptists and Quakers. Baptists and Quakers are also a group of Free Church traditions, but they were the main background groups in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The theology of Anglicans and Dissenters in the 19th century and th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of Europe and England at the time were the direct background for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Not only did the early leaders come from three categories: the Church of England, the Baptist Church, and the Quaker, but they were also Europeans and British at the time. Less than 20 years after the emergence of the Brethren, the Brethren split into open and exclusive Brethrens and developed. In the division of the Brethren, there was a difference of opinion on ecclesiology, and human weakness and conflicts were the catalyst for the division. The open Brethren took the position that Christians with other positions could unite in the gospel, believed in the independence of the local church as one of the essence of the New Testament church, and tried to practice it. The exclusive Brethren saw it as God's will to separate themselves from those who did not follow the truths they found in the Bible. Also, they considered that asserting the independence of local churches was an attempt to divide the body because they had to keep the church as one body of Christ. So they aimed for a unified church. There are various arguments about the origin of the Brethren. There are three main origins of the Brethren: ‘The Succession of the Primate Church,’ ‘The Spiritual Succession of the New Testament Church,’ and ‘The Origin of the 19th-central movement.’ The previous two origin theories can not guarantee objectivity historically and academically. ‘The Origin of the 19th-central movement’ can be said to be a historically and academically valid origin theory. Even though the Brethren had the same ecclesiology as the Baptist Church that already existed at the time, they separated and formed another denomination. It seems that the desire to pursue the essence of the Baptist Church became visible, perhaps in line with the nostalgia for the practice of the early Baptist Church. As Baptist ministers, such as George Müller, Henry Craig, and Robert Chapman, they were already practicing the values and practices of the Brethren movement, which were similar to those of the early Baptist churches. When they came into contact with the Brethren movement, they naturally joined the movement. The Brethren, as a group pursuing the tradition of the Free Church, sounded an alarm and suggested an alternative to the system or method of mass-producing nominal Christians. If we apply their pursuit and practice to the churches today, we will be able to greatly contribute to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by guiding people who come to church to be truly converted, confirming their faith, and accepting them as members of the church. Restoring the essence of the church will naturally be an alternative to the problem of secularism. The reason is that the gospel of justification by faith does not remain in intellectual assent, but leads to life-changing conversion. The Brethren has formed a very missionary community. An example of this is James Hudson Taylor. Taylor is a remarkable figure in Protestant missions. In the meantime, in the research on Taylor, people have revealed his spirituality and missionary achievements, but they have not paid attention to or properly revealed his origin. Taylor was baptized and sent as a missionary at Hull Church, where Andrew Jukes was pastoring, a Brethren church. Therefore, Taylor was a member of the Brethren, and the source of his concept of missionary faith was in the ministry method of the Brethren, represented by George Müller. The early Brethren united on the basis of New Testament church values, the church of believers, and sought to cooperate with various Christians and groups outside the Brethren for the sake of the gospel. The Korean Brethren should confirm their historical and theological identity and prepare systematic educational plans for the maintenance and development of that identity. In addition, the Brethren should be faithful to its role as a denomination that presents an alternative to the Christian world while maintaining an open attitude toward other denominations within the gospel.

      • 성경적 설교의 관점에서 평가한 100년의 한국침례교 설교(1889-1989)

        이영범 한국침례신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9679

        The pru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Korean Baptist preaching practices over a hundred years (1889-1989) from the perspective of biblical preaching, based on three criteria: textuality, theologicality, and communication. The evaluation is aimed at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Baptist sermons and propose guiding principles for preaching practices for the Korean Baptist Church in the future. The three criteria represent three qualities of ‘biblical preaching.’ It should be ‘textual’ in the sense that the main ideas and structures of the biblical texts are reflected in the sermon (close to the traditional ‘expository preaching,’ which focuses on the etymological and formative meaning of the texts). It should be ‘theological’ in the sense that it reflects God’s thinking, that is, the biblical concepts from the texts as confirmed by theological studies. It should be ‘communicative’ in the sense that it promotes communication between the preacher and the audience. This way, the texts are properly applicable to the preacher and the audience alike. The researcher used these criterias to evaluate Korean Baptist sermons from a biblical preaching perspective. As for ‘textuality,’ firstly, while the majority of early Korean Baptist sermons were thematic, the number of expository preachings grew in later years. Second, many sermons relied on allegories or arbitrary interpretations of the texts. Third, many sermons were directly quoted from the bible. Fourth, many sermons were aimed at spiritual maturation (sanctification) than spreading the gospel. Early sermons were mainly focused on maturation with emphasis on evangelism, whereas many sermons in the middle and later years stressed the doctrines and encouragement, respectively. Fifthly, more sermons were based on the New Testament rather than the Old Testament. In terms of ‘theologicality,’ first, the majority of Korean Baptits sermons preached about sanctification. Second, Baptist preachers focused on the role of the Holy Spirit and the people concurrently. Third, they preached about the traditional bibliology. Fourth, they preached about the Holy Trinity. Fifth, they preached about the traditional concept of salvation through Jesus Christ. Sixth, they preached about the Pre-Millennial Advent theory. Seventh, they preached about a somewhat incomplete version of the Baptist ecclesiology. With regard to ‘communication,’ first, Korean Baptist preachers communicated with the audience through questions and resolutions. Second, they made use of a wide range of narratives, expressions, and audio/visual effects. Third, they used various components for communication. Fourth, they structured their sermons in three parts: introduction, main body, and conclusion. Based on these findings, the researcher proposes six guiding principles for the Korean Baptist preaching: first, text driven preaching; second, kerygma preaching; third, Christ-centered preaching; fourth, preaching with the Baptist identity; fifth, preaching with applications; and sixth, spirit-led preaching. As for suggestions for further studies, the researcher stresses the need for studies on Korean Baptist preaching materials, as well as continuous studies on sermons aligned with the proposed principles: text driven preaching; kerygma preaching; Christ-centered preaching; preaching with the Baptist identity; preaching with applications; and spirit-led preaching.

      • 한국침례교회 건강성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유제호 침례신학대학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침례교회의 건강성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도구를 개발하기 위해서 진행된 신학석사학위 연구논문이다. 침례교회의 건강성 측정 진단도구 개발을 위해 건강한 침례교회의 정의와 침례교회의 건강성을 구성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먼저 이루어졌다. 이를 바탕으로 건강성 요인별로 가중치를 도출하고, 요인별로 수준을 진단할 수 있는 진단문항을 개발했다. 건강성 향상을 위해 노력해야 할 우선순위 식별을 위해 건강성 증진 요구분석이 함께 이루어졌다. 문헌 연구, 개방형 질문 그리고 전문가 심층면접을 통해 건강한 침례교회의 조작적 정의를 내리고 삼각검증방식(Data-Triangulation)으로 침례교회의 건강성 요인 초안을 도출했다. 건강성 요인의 타당성을 제고하고 건강성 요인별로 수준을 측정할 수 있는 진단문항을 개발하기 위해서 신학교수, 사역자, 신학생, 목회자 사모 등을 대상으로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했다. 수치화된 침례교회 건강성 수준 제시가 가능하도록 침례교회 건강성 요인들의 가중치를 도출하기 위한 계층분석절차(AHP: Analystic Hierarchy Process)가 이루어졌다.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해 확정된 건강성 요인별 진단문항을 가지고 예비검사를 하여 진단지 질문 문항의 적합성 확인을 했다. 쿼터 샘플링방식으로 표본을 추출한 서울과 경기, 대전과 세종, 충청지역의 침례교회 청․장년 성도 390여 명을 대상으로 본검사가 이루어졌고, 이를 기초로 요인분석과 요구분석이 실시됐다. 요인분석은 탐색적 요인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이 실시됐다. 탐색적 요인분석은 변수를 줄여가는 R-type 주성분 분석이 직교회전(Varimax rotation) 방식으로 진행됐다. 확인적 요인분석은 진단도구가 논리적으로 얼마나 타당한가를 검증하기 위해서 개념 타당성 중에서 집중 타당성과 판별 타당성 지표가 활용되었다. 집중 타당성은 표준화 값이 .5 이상, 평균분산추출(AVE: Average Variance Extracted) 값이 .5 이상, 개념 신뢰도(C.R.) 값이 .7 이상이 적합도 판단 기준이 되었다. 판별 타당성 검증은 두 가지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평균분산추출(AVE) 값이 상관계수 제곱 보다 크고 상관계수-2표준오차(S.E)와 상관계수+2표준오차(S.E). 사이에 1이 포함되지 않은 경우 적합한 것으로 판단했다. 모델의 적합도 검사는 절대 적합도, 증분 적합도, 간명 적합도 확인을 통해서 이루어졌는데 RMR(root mean square residual), NFI(normed fit index), AGFI(adjusted goodness-of-fit-index) 등을 기준치와 비교하여 모델의 적합도에 대한 검사가 이루어졌다. 건강성 증진을 위한 노력을 통합하고 건강성 증진 노력의 효율성을 제고하기 위한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가 요구분석을 통해 제시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을 위한 요인별 우선순위 도출은 t검정, Borich 요구도 공식 그리고 The Locus for Focus 모델을 통하여 분석되었다. 최종적인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 결정은 우선 The Locus for Focus 모델 분석에서 Ⅰ분면에 속한 요인 수에 해당하는 요인을 Borich 요구도 우선순위로 선정하고, 이어서 2가지 방식 모두에 포함된 요인이 침례교회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 요인으로 결정되었다. 연구결과 건강한 침례교회에 대한 개념화와 정의가 내려지고 침례교회의 건강성 1, 2차 요인이 도출되었다. 건강한 침례교회는 전문가 델파이 조사를 통하여 그리스도의 몸 된 지체로서 침례교회의 본질적 특성과 정체성을 지니고 교회의 기능을 충실히 수행하여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신자들의 공동체로 정의 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을 결정하는 요인은 크게 4가지로 구속적 공동체성, 교회 기능의 충실성, 침례교회 정체성, 침례교회의 본질적 특성이다. 이들의 하위 요인으로 믿음의 공동체, 예배, 전 신자 제사장, 사도성 등 17가지 요인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2차 요인의 가중치는 침례교회의 공동체성이 .25, 침례교회 기능의 충실성이 .20, 침례교회 정체성이 .25, 교회의 본질적 특성이 .30으로 결정되었다. 침례교회 건강성 1차 요인으로 분류된 17개 요인의 건강성 측정은 119개 진단문항으로 측정이 가능하며, 이는 요인분석을 통하여 53개 또는 23개 진단문항으로 축소될 수 있다. 119개 진단문항으로 구성된 완전한 형태의 진단도구는 중장기적인 교회진단 및 비전 설계 차원에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17개 요인 53개 진단문항 구성된 진단도구는 2년 내지 3년 단위로 교회를 정기적으로 진단하여 교회의 건강성을 관리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7개 요인 23개 진단문항으로 구성된 진단도구는 가장 축약된 형태로 담임목회자나 교회의 리더들이 늘 거울을 보듯이 교회의 건강수준을 진단하는 도구가 될 수 있다. 17개 건강성 1차 요인의 건강성 증진 요구분석 결과 교육(양육), 사랑의 공동체성, 선교에 건강성 증진 우선순위가 있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연구결과는 한국 침례교회의 건강성 증진 활동이 교인을 주님의 제자로 훈련시키고, 교회가 주님과 세상을 향해 사랑이 넘치는 사랑의 공동체로 분명한 자리 매김을 하고, 성령과 함께 역동적 선교를 하는데 주안점이 주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 한국 침례교회 예배갱신 방안 연구

        정춘오 침례신학대학교 2014 국내박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investigate the actual worship conditions of the Korea Baptist Church and to propose the principles for worship renewal and the specific plans for renewal worship forms of the Korea Baptist Church. The researcher kept in mind that the worship can become liturgical or non-liturgical depending on which elements of worship are being emphasized. The worship in the Korea Baptist Church is affiliated to not liturgical forms of service. It belongs in non-litergical types which engage in free preaching, praising, expressing gifts of the Holy Spirit rather than certain forms of worship or Lord's supper. In accordance with the current method of the Korea Baptist Church's form of service, the research became interested in the subject that the structure of worship, elements of worship, expression of worship and order of worship need to be supplemented as those leave untouched. In addition to compensating the liturgical nature, the researcher also studied focusing liturgical including ecclesiastical year, biblical lectionary and ways to build Lord's Supper into our church worship processes. The study on the research background come in three reasons. First, There is much less researched in progress on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Second, There is an awareness that the Korea Baptist Church is losing biblical attributes of community. Third, the Korea Baptist Church is not performing well in Lord's Supper which is emphasizing on the worship renewal movement. The researcher, for this dissertation's purpose, conducted a document research and a survey. He compared and analyzed the data related to this subject, carried out a survey targeting divinity students attending Korea Baptist Theological University/Seminary and pastors belonging to The Baptist Korea Convention about the environment of worship, worship and praise, worship and pray, worship and preaching, worship and offering, worship and baptism, worship and Lord' Supper, worship and friendship, worship and ecclesiastic year, plan of worship. He, on basis of the survey, analyzed and evaluated the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This dissertation is composed of four chapters, except for introduction. Chapter 2 dealt with the principal of the basic principle of worship. This is the primary basis for an attempt to analyze and refresh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In chapter 2, the definition of worship and the analysis of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are included. Chapter 3 dealt with the present conditions about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Through the insight of Pioneer worship, the researcher analyzed the worship of early Korea Baptist Church focused on Kanggyeng Church, Gongju Church, and Chilsan Church, as they have a long history and a deep-rooted tradition. And He grasped and proposed the problems of the structure and expressions of worship based on the M. H. Lee and J. H. Lee' books written about the worship of the Korea Baptist Church. Chapter 4 dealt with contents of theology in order to resolve the issues suggested in chapter 3. These are the elements that are necessary for the worship renewal of Korea Baptist Church. And These are Christ-centered, liturgical nature, contextualization, recovery of communal character, lay theology and so on, included intergenerational corporate worship for recovery of communal character. Chapter 5 dealt with suggestions for worship renewal of the Korea Baptist Church. In these, there are establishment of the worship structure by fourfold structure, appropriate arrangement of worship elements to a well-balanced worship, plans for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plans to use the ecclesiastical year and biblical lectionary, and the new order of worship which included the above contents. There are four reasons on why he suggested through this dissertation, especially chapter 5. First, Korea Baptist Church must solve such frivolities of worships by firming up the four worship structures. Second, Korea Baptist Church must understand the elements of worship for a well balanced worship. Third, Korea Baptist Church must accommodate the ecclesiastical year and biblical letionary to a certain extent. Fourth, Korea Baptist Church must make up the worship committee for active participation of the congregation and try to be harmonious with spiritual needs of the leaders and participants of the worship. In addition, he expected the order of worship proposed by him to help Korea Baptist Church to operate the flexible worship, at least a little.

      • 동아기독교의 신사참배 거부에 기초한 기독교인 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

        김대응 침례신학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본 논문은 “동아기독교의 신사참배 거부에 기초한 기독교인 정체성 함양을 위한 교육교재 개발”로서, 일제의 종교정책과 신사참배 강요에 저항한 역사적 사건을 중심으로 기술하고 있다. 이는 일제가 동아기독교에 대하여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을 때 그것을 우상 숭배라고 여기며 신앙을 지키기 위해 그것을 거부한 동아기독교의 신앙을 널리 알리고 기독교인(침례교인)으로서의 정체성을 각성 및 함양시키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른 내용 구성은 다음과 같다. 일제의 통치 정책에 대한 배경과 시대구분을 통사적(通事的, 모든 시대와 모든 지역에 걸쳐 역사의 줄거리를 서술하는 역사 기술의 양식)으로 하고, 일제의 통치 정책 속에서 일관되게 추진된 종교 정책을 살피며, 한국교회가 신사참배 강요에 대하여 어떻게 대응 했는지를 개관적으로 정리함과 더불어 동아기독교는 이에 어떻게 대응하였는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일제강점기에 국가 정책으로 시행된 신사참배 강요 앞에 저항하였던 동아기독교 선조들의 모습을 조명해 보는 것은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동아기독교의 신사참배 거부가 가지는 의미가 독립운동과 어떤 상관관계를 가지는지도 함께 상고하고자 한다. 2019년은 한국침례교 역사가 130주년을 맞이하는 의미 있는 시점이지만, 안타깝게도 한국침례교의 역사에 대한 의식은 미흡하다. 이것은 자신이 속한 교회에 대한 역사의식의 부족함과 연관되어 있다. 또한 한국침례교사의 역사라 할 수 있는 신앙의 정신과도 연결되는 부분으로, 역사적 상황 속에서 신앙을 지킬 수 없도록 강요당하였을 때 어떻게 그 신앙을 지켰는지 살펴보는 것은 오늘을 사는 그리스도인들에게 귀중한 교훈을 줄 것이다. 일제의 신사참배 강요 및 종교적 탄압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이루어졌는데, 처음에는 전 교단을 향하던 것이 서서히 동아기독교에 대한 박해로 좁혀져 갔다. 이에 본 논문은 일제 식민 지배 하에서 있었던 신사참배에 대한 저항이 신앙의 문제를 넘어 독립운동과도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더불어 동아기독교의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신앙을 재 각성시키는 운동을 일으키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 하에 제Ⅰ장 목회적 필요에서는 지역 교회와 교단 그리고 지방회에 동아기독교의 신앙 정신을 전수하는 것의 그 필요성을 논하고자 한다. 제Ⅱ장 문헌 연구에서는 논문의 주제를 뒷받침 해줄 수 있는 근거와 주제에 대한 통찰력을 제공해주는 단행본을 선정하여 소개하였다. 또한 제시된 단행본들과 비교해 본 논문이 어떤 차별성과 독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였다. 제Ⅲ장 성경적, 신학적 토대에서는 우상 숭배란 무엇인가, 기독교인의 정체성 확립과 함양의 중요성 그리고 구약과 신약에 나타난 신사참배 거부에 대한 성경적 기초를 제시하며, 신사참배 거부에 대한 신학적 기초로 신사참배와 우상숭배, 신사참배와 종교의 자유의 문제, 신사참배와 교회와 국가의 분리 문제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에 더하여 신사참배에 대한 초기 한국교회의 대응에 관해서는 장로교단, 감리교단, 동아기독교단에 대한 것을 살피며, 이 중에서도 신사참배를 교단적 차원에서 거부한 동아기독교단에 대한 평가를 하고자 한다. 제Ⅳ장 출판 제안에서는 출판의 목적과 출판사 선정 이유 그리고 옥중 순교자 전치규를 소개한다. 참고자료 목록에는 본 논문을 연구하는데 있어서 사용하거나 참고한 단행본, 논문, 학술지, 인터넷 자료 등의 모든 자료들을 기록하였다. 일제가 신사참배를 강요하며 이를 거부하는 동아기독교를 탄압하였음에도 동아기독교가 끝까지 수난과 순교를 두려워하지 않고 신사참배를 거부한 숭고한 신앙 정신은 오늘날의 기독교인들에게도 전수되어야 한다. 이러한 오직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는 정신을 오늘날에 적용할 수 있도록 연구자는 역사교육 대중화의 필요성을 제안하며, 나아가 동아기독교의 신사참배 거부가 국가적인 차원에서 독립운동으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추진하고자 한다.

      • 설교사역 증진을 위한 교회력과 성서일과 활용

        주재경 침례신학대학교 2019 국내박사

        RANK : 249663

        설교란 하나님의 택함을 입은 자가 예수 그리스도의 복음을 선포하는 것이며, 하나님의 구속의 역사를 수행하기 위한 고귀한 사역이다. 설교는 하나님의 거룩한 명령으로써 설교의 주제는 전적으로 하나님 나라의 메시지여야 하며, 인간의 죄에 대한 하나님의 용서의 선포임과 동시에 인간의 필요에 대한 하나님의 도우심의 선포이다. 많은 설교자들은 설교의 주제를 선택함에 있어서 개인이 선호하는 성경본문을 선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이는 설교의 주제가 성경전체의 균형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게 하여 본문선택의 편향성을 가지게 한다. 교회력은 “예수 그리스도의 탄생과 죽음, 부활, 그리고 재림 안에서 완성되어진 하나님의 인간을 향한 구원의 역사를 매년 재현하는 것”이다. 이러한 교회력에 따른 성서일과의 설교사역에 적용은 설교 본문선택의 편향성과 예수 그리스도 중심의 복음적 예배와 설교 계획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자는 본문 중심의 복음적 설교의 정체성 확립과 설교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써 교회력과 성서일과를 통한 설교 증진 방안을 연구하게 되었다. 연구자는 “설교사역 증진을 위한 교회력과 성서일과 활용”을 책으로 출판하기 위한 연구계획을 세웠으며, 연구는 문헌자료 및 비 문헌자료 분석, 성산교회의 교회력과 성서일과를 적용, 분석하였다. 첫째, 문헌 및 비 문헌자료 연구는 그동안 출판되었던 자료들을 중심으로 관련된 부분을 찾아 비교 분석하여 교회력과 성서일과에 대한 신학적 이해와 성경적, 역사적 배경의 이론을 정립하였다. 둘째, 성산교회의 목회현장에서 교회가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개정 공동 성서일과를 토대로 성산교회의 목회상황과 시대적 요청에 적합한 독창적인 교회력과 성서일과를 비교 분석 연구하였다. 성산교회자료 연구자는 교회력과 성서일과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을 교정하고, 믿음의 선조들이 지켜온 소중한 유산을 현대 목회현장에 적용하여, 예배와 설교의 회복을 도모하였다. 교회력과 성서일과의 활용이 설교자의 설교 본문 선택의 자유를 제한하고, 예배의 자율성을 제한하며, 본문과 상황의 부조화라는 문제가 발생한다는 시각을 극복하고, 설교의 장기 계획 수립과 설교 본문을 깊이 묵상하여, 성령의 조명하심에 따라 청중의 필요를 영적으로 채워주는 효과적인 설교 대안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하면서 본 논문을 기술하였다. 교회력과 성서일과의 활용을 통하여 한국 교회의 강단이 설교를 위한 신학, 신학 있는 설교가 선포되어 이론과 실제, 설교와 현장이 균형과 조화를 이루는 살아있는 현장이 되길 바라며, 본 논문이 변화와 도전 앞에 직면해 있는 목회현장에서 설교를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정착되기를 바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