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조현병 입원 환자에서의 갑상샘 기능이상과 증상 심각도, 치료 반응과의 관계

        정미줄,황현국,서영은,최종혁,Jung, Mee-Jool,Hwang, Hyun-Kuk,Seo, Yung-Eun,Choi, Jong-Hyuk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19 생물정신의학 Vol.26 No.1

        Objectives Thyroid hormone deficiency during the neurodevelopmental period can impair brain development and induce psychiatric symptoms. This study examined the association between thyroid dysfunction and the severity of symptoms in schizophrenia patients, and the treatment response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Methods Three hundred thirty-eight schizophrenia patients, with no prior history of thyroid disease or taking medication associated with it, were studied. We assessed the blood thyroid hormone level, the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scores on the day of admission and discharge, admission period, dose of administered antipsychotics, and the number of antipsychotic combinations. The collected data were subsequently analyzed using the Kruskal-Wallis test and Pearson's chi-square test. Results The percentage of schizophrenia patients who presented with abnormal thyroid hormone level was 24.6%. High total triiodothyronine (TT3) (p = 0.003), low TT3 (p = 0.001), and high free thyroxine (fT4) (p < 0.001) groups showed a higher BPRS score on admission than did the normal thyroid hormone group, while thyroid stimulating hormone (TSH) levels were no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severity of symptoms. Furthermore, thyroid hormone was not associated with the treatment response assessed by the rate of BPRS score reduction, admission days, use of clozapine, and dose of antipsychotics. Conclusions The TT3 and fT4 hormone levels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symptoms in schizophrenia patients. These relations suggested that thyroid dysfunction may be associated with the severity of schizophrenia. And hence, further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thyroid function test, which is commonly used in cases of psychiatric admission, is required.

      • KCI등재후보

        한국 육군 일개 사단에서 군 복무 부적응자들의 정신의학적 평가 : 그린캠프 참가자들을 중심으로

        김주현,강석훈,예병석,황현국,서재원,채공주,이환배,김찬형,Kim, Ju-Hyun,Kang, Suk-Hoon,Ye, Byoung-Seok,Hwang, Hyun-Kuk,Suh, Jae-Won,Chai, Gong-Ju,Lee, Hwan-Bae,Kim, Chan-Hyung 대한불안의학회 2010 대한불안의학회지 Vol.6 No.2

        Objectives : In this study, we aimed to elucidate the demographic and psychological characteristics of maladaptive soldiers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Methods : Study participants included 110 male conscripts who had participated in the Green camp, which was a form of group psychosocial treatment program for maladaptive soldiers. All participants were interviewed and diagnosed by a psychiatrist,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according to whether they left or rejoined the army. We analyzed the differences between these two groups in terms of demographic features, psychiatric diagnosis and the Minnesota Multiphasic Personality Inventory (MMPI) subscores. Results : Compared with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exhibited significantly lower educational level (p=0.041) and a higher rate in psychiatric treatment prior to enlistment (p=0.011). Among the 106 subjects, 63 (59.4%) and 23 (21.7%) were diagnosed with personality disorder and adjustment disorder, respectively. Further, those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diagnosed more frequently with mood disorder (p=0.001) and schizophrenia (p=0.014) than those who rejoined their units. Additionally, the MMPI scores of soldiers who left military service were significantly higher on the psychasthenia (p=0.028) and schizophrenia (p=0.039) scales than those of soldiers who rejoined their units. Conclusion : Most of the maladaptive soldiers were diagnosed with ment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systematic, consistent psychiatric evaluation and intervention for maladaptive male conscripts is crucial in the Republic of Korean army.

      • 조현병 환자에서 장기지속형 항정신병 주사제의 치료 효과와 입원율

        황승환(Seung Hwan Hwang),서영은(Young Eun Seo),황현국(Hyun Kuk Hwang),최종혁(Jong Hyuk Choi)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22 사회정신의학 Vol.27 No.1

        연구목적 : 조현병은 심각한 장애와 높은 개인적 및 사회적 비용 부담을 일으키는 만성 질환이다. 최근 장기 지속형 주사제 항정신병 약물의 종류가 확대되면서 조현병의 만성적인 임상 경과 개선뿐 아니라 사회경제적 비용 부담도 경감시켜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본 연구 에서는 국내 임상 자료를 바탕으로 장기 지속형 주사제인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와 팔리페리돈 장기 지속형 주사제의 임상적 효과뿐 아니라 재입원 횟수 억제 효과 등에 대해서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 법 : 본 연구는 후향적 의무기록을 바탕으로 한 연구이며, 대상자는 2015년 4월 이후부터 2021년 4월까지 일 병원 정신건강의학과 외래 또는 입원 진료를 통해서 아리피프라졸 장기 지속형 주사제 또는 팔리페리돈 장기 지속형 주사제를 처방받은 만성 조현병 환자로, 최소 1년 이상 해당 장기 지속형 주사제를 처방받았다. 임상 척도로 간편 정신상태 평정척도(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이하 BPRS)와 임상 전반적 임상 척도 심각성(Clinical Global Impression Scale-severity, 이하 CGI-S)의 점수를 수집했고, 그 외에 장기 지속형 주사제형 적용 전후 1년간의 입원 일수 및 횟수 등을 확인하였다. 아리피프라졸 투여군과 팔리페리돈 투여군 간의 임상적 효과 및 특징 비교 분석을 위해 Mann-Whitney U 검정과 독립표본 T 검정을 시행하였다. 그리고 각 장기지속형 주사제 투여 전후 임상 효과 및 입원 횟수 등의 비교 분석을 위해 반복측정 분산분석 시행하였다. 결 과 : 총 30명의 조현병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아리피프라졸 투여군은 16명, 팔리페리돈 투여군은 14명이었다. 두 투약군 모두에서 장기 지속형 주사제 적용 이후 유의하게 입원 일수와 횟수가 감소하였으며 간편 정신상태 평정척도와 임상 전반적 임상 척도 심각성의 점수가 감소하였다. 하지만 두 투약군 간의 임상 척도상 변화와 입원 일수 및 횟수 감소 효과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결 론 : 본 연구는 국내에서 아리피프라졸과 팔리페리돈 장기 지속형 주사제의 임상적 효과를 비교한 첫 연구였으며, 두 항정신병 약물 장기 지속형 주사 제형 모두 조현병 환자의 임상 증상을 개선해줬을 뿐 아니라 입원 일수와 횟수를 감소시켰다. 두 약물 제형 간의 총체적인 임상적 효과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각 투약군 간의 병용 약물 개수와 용량 등 임상적 특징의 차이가 있었다. 향후 더오랜 기간 다수의 연구기관에서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하다. Objectives : Schizophrenia is a chronic disease that causes serious disabilities and a great number of social burdens. Since a variety of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are available now, we have more options to improve the clinical course of schizo-phrenia and reduce the associated socioeconomic burden. In this study, we compared not only the clinical effects of long-acting injectable antipsychotics such as aripiprazole and paliperidone but also their impact on rehospitalization rates. Methods : This was a retrospective study using medical records in a single hospital and participants were patients with chronic schizophrenia who were prescribed the long-acting injectable form of aripiprazole or paliperidone from April 2015 to April 2021. The scores of Clinical Global Impression – Severity (CGI-S) and Brief Psychiatric Rating Scale (BPRS) were collected as clinical scales, an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were recorded. The MannWhitney U test and t-test were performed to compare the difference in demographic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between the two groups. In addition, repeated-measures ANOVA was performed for change of clinical effects, the number of rehospitalizations, and admission periods before and after each treatment. Results : A total of 30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included, with 16 patients in the aripiprazole group and 14 in the paliper-idone group.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decreased significantly after the application of long-acting injectables, and clinical symptoms improved in both groups.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two groups. Conclusion : This is the first study that compared the clinical efficacy of aripiprazole and paliperidone in South Korea. Both these long-acting injectables not only improved clinical symptoms but also reduced the number of hospitalizations and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However,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 groups, al-though some clinical characteristics such as the number of drugs combined or adjunctive differed from one another. Fur-ther investigation with more participants from more sites is warranted for this conclusion.

      •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 시행 전후일 지역의 정신병원에서 입원형태, 평균 재원일수, 재입원율, 환자 속성의 변화

        이선환(Sun-hwan Lee),황현국(Hyun-kuk Hwang),강유평(Yu-pyung Kang),박종익(Jong-Ik Park),최종혁(Jong Hyuk Choi),최의정(Eui Jung Choi),이준영(Jun Young Lee)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9 사회정신의학 Vol.24 No.1

        연구목적 : 2017년 5월 30일부터 시행된 ‘정신건강증진 및 정신질환자 복지서비스 지원에 관한 법률’(이하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후 입원형태, 평균 재원일수, 재입원율 및 환자 속성의 변화를 확인하고자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전후 각 1년 동안 춘천 지역의 일 국립정신병원과 일 사립정신병원에 입원후 퇴원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 환자의 개인식별 정보를 제외한 의무기록 1,396건을 후향적으로 검토 하였다. 정신건강복지법 시행에 따른 두 군간의 특성을 비교하기 위해 t 검정, 카이제곱 및 일원변량분석 검정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정신건강복지법 시행 전후 대상군의 환자 속성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자발적 입원의 비율은 32.8%에서 86.7%로 유의한 증가를 보였다. 환자들의 평균 재원일수는 84.9일(±70.8)에서 54.6일(±53.6)로 유의한 감소를 보였다. 환자 속성과 관련하여 여성 환자군, 조현병 환자군, 직업이 없는 환자군, 비자발적 입원 환자군에서 평균 재원일수가 더 큰 폭으로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하지만 재입원 율은 15.5%에서 21.1%로 유의하게 증가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개정된 정신건강복지법이 시행된 이후 환자들의 평균 재원일수 감소와 자발적 입원 형태의 비율 증가와 같은 개정된 법률 취지에 부합된 결과를 보인 반면, 재입원율이 증가되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향후 정신보건정책 및 관련 법률의 적극적인 보완과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Objective :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hange of hospitalization type, length of hospitalization, readmission rates, and patient attributes of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patients before and after the 2017 revision of mental health law. Methods : We retrospectively reviewed medical records of 1,396 cases of psychiatrically hospitalized patients who were hospitalized and discharged in a national mental hospital or a private mental hospital from a period spanning from 1 year before to 1 year after the 2017 revision of the Mental Health Law. We used either the t-test, chi square test, or the one-way analysis of variance to compare characteristics between each group and examined their influence on the 2017 revision of mental health law. Results : The rate of voluntary admission markedly increased from 32.8% to 86.7% with no significant change in patient attributes.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 a mental hospital significantly decreased from 84.9 (±70.8) days to 54.6 (±53.6) days. Individual factors showing a significant decrease with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included female sex, schizophrenia, unemployment, and involuntary admission type. However, the readmission rate significantly increased from 15.5% to 21.1%. Conclusion :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2017 revision of mental health law produced favorable results in the length of hospitalization and admission type, but a unfavorable result in the readmission rate.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mental health policies and laws.

      • 건전한 카지노 문화의 정착을 위한 도박중독과 충동성에 관한 이해

        정지윤(Ji Yun Jung),황현국(Hyun-kuk Hwang)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2016 한국엔터테인먼트산업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16 No.5

        본 연구는 도박 고위험군을 미리 파악하고자 정상적이라 여겨지는 대학생 집단을 대상으로 충동성과 관련된 성격유형의 특징이 도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그리고 도박집착이 조절실패를 거쳐 궁극적으로 중요관계손상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조사하였다. 실증분석에 따른 본 연구의 결론 및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인지충동성, 운동충동성 및 무계획충동성으로 구분된 충동성의 특징들은 도박집착과의 영향관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충동성의 성격특성이 도박집착이라는 도박행위과정에 뚜렷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도박행위과정에서 도박집착이 도박조절실패에 미치는 영향력은 39.4%이었고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박행위가 반복되거나 습관화될 경우, 결과적으로 통제력상실과 같은 도박중독의 경과를 보여줄 수 있음을 시사한다. 셋째, 도박행위과정에서 도박집착 및 도박조절실패가 중요관계손상에 미치는 직접효과는 각각 33.1%, 19.4%로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도박집착이 도박조절실패를 통해 중요관계손상에 미치는 간접효과는 7.6%로 나타나 중요관계손상에 대한 도박집착의 영향력은 총 40.8% 이었다. 이러한 분석결과는 도박집착이 직접적으로, 또는 통제력상실과 같은 도박중독의 과정을 거쳐 중요관계로의 손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한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는 도박중독의 위험성뿐 아니라 도박의 폐해로 고통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은 습관적 또는 장기 카지노 출입고객에 대해서는 캠페인 또는 중독관련 치료프로그램을 통해 도박 문제에 대한 심각성을 일깨우고, 변화를 유도할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 KCI등재

        자살보도에 관한 객관적 평가 척도의 타당성 연구

        박종익(Jong-Ik Park),황현국(Hyun-Kuk Hwang),서영은(Young-Eun Seo) 대한노인정신의학회 2016 노인정신의학 Vol.20 No.2

        Objective: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velop the evaluating scale of adherence to guideline 2.0 for suicide reporting declared by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and the Korea Suicide Prevention Center. Methods:Four hundred and fifty one subjects who work in suicide prevention center or mental health center across the country participated in survey. They responded to 20 items after reading media report regarding suicide episode. Two hundred and twenty six cases of recruited data were analyzed. Reliability and validity were assessed by Chronbach-α and exploratory factor analysis. The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based on another 225 data was conducted. Results:The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is shows three factor structures. The validity of previous three factor structure based o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appropriate and the three factor structure consisted of 10 questionnaires with three subconcepts such as ‘glorification’, ‘lasciviousness’, and ‘providing information’. Conclusion:Three factor structures in the scale on media reports regarding as suicide is appropriate and this scale will contribute to evaluating suicide report on media.

      • KCI등재

        성격특성과 성격장애 증상간의 관계

        이인혜(Yi, In-Hyae),황현국(Hwang, Hyun-Kuk)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5 사회과학연구 Vol.54 No.1

        개정된 강화민감성이론에는 행동활성화체계(BAS), 행동억제체계(BIS), 투쟁/도피/동결체계(FFFS)가 포함되어 있다. 이 세 체계는 인간의 정동과 행동뿐 아니라 성격장애 같은 정신병리도 예측해줄 수 있다. 본 연구는 DSM에 포함되어 있는 세 개 군집, 10개의 성격장애 증상들이 BAS, BIS, FFFS라는 강화민감성의 세 차원들과의 어떤 관련성을 보이는지, 관련성이 성별에 따라 다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398명(남자 215명; 여자 183명)의 대학생들에게 처벌-보상 민감성 척도(SPSRQ, Torruba et al., 2001)와 성격장애진단질문지(PDQ-4+, Hyler et al., 1992)를 실시하였다. 상관관계분석, 상관관계의 차이검증, 그리고 단계적 회귀분석의 결과를 종합하여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BAS는 군집 B(“극적인 행동과 불안정한 정서”가 특징)의 성격증상들과 연결되었고, BIS는 군집 C(“높은 수준의 불안”이 특징)의 성격증상들과 연관이 있었다. 군집 B 중 반사회성/연극성/자기애성 성격장애 증상은 높은 BAS와 관련이 있는 반면, 경계성은 높은 BIS와 관련이 있었다. 군집 C의 회피성/의존성/강박성 성격장애 증상 모두 높은 BIS와 관련이 있었다. 그러나 군집 A(“괴이한 행동”이 특징)의 경우, 성격장애 유형과 성별에서 혼합된 양상을 보여주었다. 편집성과 분열형의 남자는 높은 BIS와 연관된 반면, 여자는 높은 BAS와 관련이 있었다. 분열성 성격장애 증상은 남자든 여자든 낮은 FFFS와 연결되었다. 본 연구에서 의미 있는 발견은 FFFS가 분열성 성격장애 증상을 예측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의 의의는 성격장애진단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차원적으로 접근했다는 점과, 성격장애 연구에서 BAS와 BIS 차원뿐만 아니라 FFFS차원으로까지 확장한 국내 최초의 연구라는 점이다. Revised-Reinforcement Sensitivity theory(r-RST), consisting of the behavioral activation system(BAS), behavioral inhibition system(BIS) and fight/flight/freeze system(FFFS), presupposes individual differences in the sensitivity of basic brain systems that respond to punishing and reinforcing stimuli. These differences are thought to underlie the personality dimensions of impulsivity, anxiety, and fear, to have relevance for personality disorders(PDs). The current investigation aims at studying of associations between personality based on r-RST and PDs of Cluster A/B/C. 398 college students(215 males ; 183 females) completed measures of the Sensitivity to Punishment and Sensitivity to Reward Questionnaire(SPSRQ, Torruba et al., 2001) and the Personality Diagnostic Questionnaire-4+(PDQ-4+, Hyler et al. 1992). Data were analyzed through the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the Fisher’s Z test,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indings of this study confirmed that symptoms of Cluster B PDs (characterized by “erratic”) are indicative of high BAS levels whereas symptoms of Cluster C PDs (characterized by “anxious/fearful”) are characterized by high BIS levels. For Cluster A PDs (characterized by “odd/eccentric”), according to expectation that would be associated with a mix of BIS and BAS specific to each PD, we also found a mixed pattern. But the mixed pattern was found not only in PD types, but also by gender. That is, low FFFS among both males and females with high schizoid PD symptoms was found. And high BAS in females, whereas high BIS in males with high paranoid and schizotypal PDs symptoms were found. Finally, we discuss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 만성정신질환자 보호자가 지각한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과 가족부담 간의 관련성

        김준옥(Jun-ok Kim),박다원(Da-Won Park),서영은(Young-eun Seo),황현국(Hyun-kuk Hwang) 대한사회정신의학회 2018 사회정신의학 Vol.23 No.2

        연구목적 : 만성정신질환 환자 보호자의 가족부담에 영향을 주는 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수준과 증상에 대해 알아보고, 각 요인의 상호과정에 대해 알아보고자 이 연구를 수행하였다. 방 법 : 일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보호자 45명을 대상으로 인구학적 정보, 환자의 정신사회적 기능 및 증상평가 척도, 가족부담 척도를 측정하였다. 환자의 일상생활기능 수준 또는 증상과 가족부담과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t-test, ANOVA, Pearson 상관분석, 단순회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결 과 : 알코올사용장애 환자 보호자의 객관적, 주관적 부담점수가 기분장애 환자 보호자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높았고(p<0.05, p<0.01), 조현병 환자 보호자의 주관적 부담점수가 기분장애 환자 보호자의 점수보다 높았다(p<0.01). 단순회귀분석 결과 지각된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β=0.40, p<0.01)과 우울/불안(β=0.48, p<0.01)은 각각 가족부담을 유의하게 예측하였다. 세 변인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시행한 결과 일상생활수행기술과 가족부담의 관계에서 우울/불안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결 론 : 본 연구에서는 환자의 일상생활수행기술과 가족부담의 관계에서 우울/불안의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근거로 가족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환자의 우울/불안 증상을 효과적으로 다루어야 함을 알 수 있다. Objectives : The aim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symptoms of patient, affecting the family burden of chronic mental illness patient, and reciprocal process of each variable. Methods : Forty-five caregiver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completed the Behavior And Symptom Identification Scale-32 and the Family Burden Scale and provided general inform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simple regression analysis,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ults : Objective and subjective burden scores of the caregivers of alcohol use disorder patients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the mood disorder patients (p<0.05 and p<0.01, respectively), Subjective burden scores of caregivers of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higher than those of patients with mood disorders (p<0.01). Sim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caregiver-perceived performance in daily life (β=0.40, p<0.01) and depression/anxiety (β=0.48, p<0.01) significantly predicted family burde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whereas depression/anxiety had a direct effect on family burden, performance in daily life had an indirect effect on the caregiver burden only mediated by those mood symptoms. Conclusion : In this study, the mediating effect of depression / anxiety was fou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tient’s performance in daily life and family burden. Treatment of depression/anxiety symptoms of patients with chronic mental illnesses, or reduction of caregiver’s perception of those symptoms, is essential in the alleviation of the family burden.

      • KCI등재

        주간졸음을 호소하는 노인에서 수면변인과 신경인지기능 세부영역과의 연관성

        이정현,김성재,황현국,양정희,이정희 大韓神經精神醫學會 2007 신경정신의학 Vol.46 No.6

        Objectives : Excessive daytime sleepiness (EDS) in the elderly is related to cognitive dysfunction. We aimed to analyze the difference in the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the elderly groups with and without EDS and examine the correlation between sleep parameters and the neurocognitive function in the elderly with EDS. Methods : Thirty seven subjects who visited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were recruited. We excluded those who had abnormalities in laboratory examination or chronic systemic diseases. For each subject, a neuropsychological battery in the Korean version of the Consortium to Establish a Registry for Alzheimer's Disease (CERAD-K) Assessment Packet was applied. Noctumal polysomnographies were conducted in 16 subjects with EDS. Results :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neurocognitive function between EDS positive and EDS negativegroups. In the EDS positive grouP, the amount of stage 1 sleep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on Boston naming test, word list memory and Stroop interference, respectively (r=-0.611, -0.583, -0.611). Also, REM sleep amount posi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of word list recognition (r= 0.568), and limb movement index negatively correlated with scores of wordlistmemory (r=-0.523). Conclusion : The poor sleep quality was associated with impaired language, memory and executive functions. Also, increased limb movements were associated with the memory declin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