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컴퓨팅 사고 기반 과학 관련 사회쟁점(CT-SSI)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나타나는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역량과 그 변화 분석

        황요한 ( Hwang Yohan ),문공주 ( Mun Kongju ),최윤희 ( Choi Y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2

        우리 나라의 2015 개정 교육과정 및 미국의 차세대 과학 표준에는 과학 관련 문제의 실천적 해결을 위해 컴퓨팅 사고, 증거 기반 사고, 정보의 수집, 평가 및 교환 등 새로운 역량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최근 과학 교육에서 중요시되고 있는 과학 관련 사회 쟁점 (Socioscientific issues: SSI) 교육 프로그램들은 증거 기반의 논리적 추론보다 비형식적 추론에 초점이 맞추어져, 실천적인 문제해결이 잘 나타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컴퓨팅 사고의 요소를 기반으로 SSI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하고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 역량이 어떻게 드러나며 그 변화는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컴퓨팅 사고의 대표 요소인 자료 표상, 추상화, 시뮬레이션 등을 사용하는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지진, 적정기술, 미세먼지 세 가지 주제로 S 중학교 영재학급 학생 20명을 대상으로 적용하였다. 교육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컴퓨팅 사고에 관한 리커트 설문을 개발하여 프로그램 적용 전후에 조사하였으며, 교육 경험에 대한 학생 그룹 면담을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의 컴퓨팅 사고에 대한 인식이 평균 4.19에서 4.32로 향상되었으며, 이 중 추상화 요소, 특히 자료를 선별하여 사용하는 능력이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면담 결과 학생들의 정보 분별 능력과 추상화 과정에서의 선별 능력, 구상 능력, 근거 기반 추론을 활용한 설계 능력, 자료를 분석하여 선별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추론하는 능력 등이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컴퓨팅 사고를 기반으로 한 SSI 교육은 학생들이 정보를 선별적으로 사용하는 능력을 길러주어 SSI 주제에 대해 근거를 기반으로 하는 추론을 가능하게 하였다. 또한, 추상화 과정을 통해 문제해결 방법을 적절하게 구성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줄 수 있었다. 2015 revised curriculum in Republic of Korea and Next Generation Science Standards(NGSS) in the United States included new competencies such as computational thinking, evidence-based thinking, and the collection, evaluation and exchange of information for practical solving of science-related problem. However, Most of the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programs, which are recently emphasized in science education, were focused on informal reasoning rather than evidence-based logical reasoning, and practical problem-solving was not appeared well. To improve this, we constructed the computational thinking-based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program and applied to students, and how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competencies were revealed and how the changes were analyzed. For this we developed an educational programs those used data representation, abstraction, and simulation, which are representative elements of computational thinking. And we applied three subjects of earthquake, appropriate technology and fine dust to 20 students in the S middle school's gifted clas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education, a Likert questionnaire about computational thinking was developed and investigated before and after education program application And we interviewed student groups about educational program experience. As a result of the study, students' perception of computational thinking was improved from 4.19 to 4.32, and among them, abstraction that especially the competency to selectively use data was significantly improved.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it was found that the students competencies to discern information, to select data in the abstraction process, to formulate, to design using evidence-based reasoning, and to analyze and select data and make inferences based on this were improved. In conclusion, computational thinking-based socioscientific issues education cultivated students' competencies to selectively use information to enable evidence-based reasoning on SSI education. And through the process of abstraction, it was improved in the competency to construct methods to solve the problem appropriately.

      • KCI등재

        메타버스를 활용한 원격교육 인식 및 만족도 사전조사: 이프랜드(ifland) 앱 사용을 중심으로

        황요한(Yohan Hwang) 한국콘텐츠학회 2022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22 No.3

        최근 들어 원격교육의 하나의 플랫폼으로 메타버스(Metaverse)가 각광을 받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새로운 교육공간의 일환으로서 메타버스의 장점을 살펴보고 교육적 가능성과 활용도에 관해서 조사한다. 이를 위해 대학 전공 수업에서 SNS 기반형의 메타버스 플랫폼 중 하나인 이프랜드(ifland)를 활용하여 수업을 진행하고 32명 학생들의 경험과 기술에 대한 인식과 만족도를 사전 설문조사로 분석하였다. 그 결과에 따르면 대부분의 학생들은 메타버스 수업 경험에 전반적으로 만족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새로운 플랫폼에 대한 흥미와 재미도, 아바타를 통한 3D 기반의 의사소통과 상호작용에 높은 만족감을 드러냈다. 한편으로는 현재까지는 다른 실시간 화상강의 플랫폼처럼 화면공유가 안 되는 점, PC버전이 없고 모바일에서만 구현이 되는 점 등의 기술적인 한계점도 발견되었다. 이러한 단점에도 불구하고 대다수의 학생들은 실시간 화상강의와 메타버스 수업 중 메타버스 수업을 듣는 것을 더 선호한다고 응답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메타버스 플랫폼을 활용하여 원격 수업을 제공할 경우 어떠한 교육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에 대한 가능성을 제안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efficacy and future potential of a newly-emerging concept of a metaverse in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this paper showcases various scenes that happened in the metaverse classes using the ifland app.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theoretical grounds and preliminary survey findings of 32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suggests that as students in a metaverse space are engaged in the interactive learning process and environment with an avatar that projects oneself, it can be an effective educational platform coming from the benefits of gamification and edutainment. In addition, a metaverse space provides existential encounters and hands-on experiences, which in turn increases the level of 3D learning immersion. It may overcome the shortcomings of online live streaming platforms such as Zoom or Webex that provide 2D experiences.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further suggests a blueprint for online education suitable for the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 KCI등재

        플립러닝을 활용한 학습자중심수업 실현

        황요한(Hwang Yoha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는 플립러닝의 구성주의적 특징과 교육적 함의에 대한 고찰을 바탕으로 기존의 강의 위주와 문제풀이 활동에 집중된 대학 토익 교육 환경에서 벗어나, 창의적인 역량 강화 및 팀 협력 기반의 새로운 학습자중심 수업 모델을 제시하는 것에 그 목표를 둔다. 이를 위해 35명의 대학생들은 15주에 걸쳐 토익 출제 유형에 대한 비판적인 사고를 통해 직접 토익 문제를 출제하며, 토익 문제집을 만드는 과업 중심 수업에 참여 하였다. 연구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토익 사전-사후테스트와 결과와 토 익 성적 변화에 미치는 다양한 요인에 대해서 SPS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해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더 나아가 설문조사와 심층면담을 통해 학생들의 협동학습과 수업 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양적연구로 조사 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 르면, 온라인 사전 학습을 기반으로 다양한 읽기 지문을 활용한 토익 문제 만들기 수업을 받은 후, 학생들의 토익 읽기 영역의 성취도에는 유의미한 향상이 있었고, 기존의 읽기 실력과 상관없이 상위그룹과 하위그룹 모든 학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끼 쳤으며, 영어 읽기 능력 향상에는 어휘력보다 문장구조분석과 해석 능력이 더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 밝혀졌다. 또한 토익 읽기 영역의 각 파트별 중요도와 문제풀이 순서가 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본 논문은 시험영어의 제도적 구조적 한계점을 극복하고, 학습자중심의 창의적인 대학영어 교육환경을 만들기 위한 초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Recently, flipped learning has been a leading model for student-oriented education. Based on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ducational constructivism and pedagogical im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how team and task-based learning environment influences the improvement of 35 university EFL students’ TOEIC scores.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dopts a new learning method with more focus on creativity and team-collaboration, called Creative Learning by Doing(CLD). After accomplishing a prerequisite online program that studies various reading passages, students merge an extensive amount of reading and TOEIC-making information with their peers and a teacher, then make TOEIC questions and answers by themselves. Through an in-depth analysis of students’ pre-post test score and various factors that affect their learning process both quantitatively and qualitatively,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s that CLD-based learning has a positive influence on increasing students’ TOEIC score regardless of their previous proficiency level. Specifically, the analysis of a sentence structure and reading ability is more crucial for achievement than merely memorizing the meaning of vocabulary. Furthermore, in a transition from the traditional approach that mostly dwells in lecture-based instruction, participants transform learning into student-centered and active learning process and create synergies based on diverse characteristics and different perspectives of other peers. Based on the findings, this paper further highlights how to create active and meaningful learning environments where students can be navigators of their own education, which serves as the corner stone for successful leaner-centered education.

      • KCI등재

        Poetry in TESOL Teacher Preparation and Practice

        Hwang, Yohan(황요한) 국제언어문학회 2017 國際言語文學 Vol.- No.37

        최근 들어 제 2외국어 교육은 문법과 시험에 초점을 맞춘 교수법에서 벗어나 사회 문화적 맥락을 보여 줄 수 있는 다양한 문학작품을 이용한 수업이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추세이다. 시를 이용한 영어 수업 또한 예외는 아닌데 많은 선행 연구들은 영어 학습자들의 시, 즉 결과물만 분석하는 것에만 집중되어 진행되어 졌다. 그로 인해 영어 수업에 시를 사용하기 원하는 교수자들에게 시를 왜 사용해야 하는지, 어떤 식으로 이용해야 하는지, 어떠한 과정을 통해서 시의 효과를 극대화 시킬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현실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영어를 제2외국어로 배우고 훗날 직접 영어를 가르치게 될 예비 교사들이 시를 기반으로 한 시 수업에서 영어 교수자로서의 정체성이 어떠한 식으로 변화하는지를 조사 하였다. 15명의 외국인 영어 예비 교사들이 15주 동안 시를 쓰는 방법에 대해서 배우고, 직접 쓰고, 워크샵을 통해 수정, 시 최종본 낭송, 시와 영어 교육의 연관성 토론 등 모든 과정을 질적 연구를 기반으로 체계적으로 분석하였는데 그 결과에 따르면 시 기반 학습을 통해 창의적이고, 예측 가능하지 않고, 간결하며, 의사소통에 초점을 둔 언어 교육 교실을 만들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학생들에게 단순히 문법적이고 과학적인 언어적 정보를 일방적으로 주는 전달자의 역할이 아니라 창의적이고 양방향 의사소통이 가능한 영어 교실을 만들기 위한 초석을 제시한다. Recently, second language (L2) researchers have shown an increased interest in the use of poetry that can apply to many learning situations (Hanauer, 2010; Zhao, 2015); however, poetry writing is often marginalized in L2 classrooms. This paper documents and showcases the interactions and experiences of fifteen pre-service TESOL (Teaching English to Speakers of Other Languages) educators in a poetry writing course where they actively engaged in studying, writing, critiquing, and revising poetry. The main purpose of the course was to immerse them in poetry-based learning, helping them grow as artists to create more creative and meaningful L2 instruction in their own classrooms. The experience of poetry writing illuminated the possibility of constructing TESOL teachers’ identities through the metaphor of “poet-teachers,” seeing L2 instruction as creative, unscripted, concise, and communicative teaching. Based on this finding,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pedagogical implication of poetry-based learning to see L2 acquisition as both art and science as well as L2 learning as process, product, and performance.

      • KCI등재

        창의력에 대한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고찰: ‘중재 창의성’ 잠재력에 대한 새로운 접근을 기반으로

        황요한(Yohan Hwang)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8 창의력교육연구 Vol.18 No.3

        인간은 사회문화적인 동물로서 다른 사람과의 상호작용의 과정을 제외하고는 인간의 발달에 대해서 온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이것은 단순한 일반적인 진리로 보이지만 배움과 가르침의 학교 환경에서는 상당한 교육적 함의를 가지고 있다. 이는 창의력 교육 분야에서도 예외는 아닌데 본 논문은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이론을 기반으로 개인의 창의력의 발달 과정이 어떻게 이해되어야 하는지, 또한 교실 안에서 어떻게 학습되고 장려되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심도 깊은 고찰을 한다. 이를 위해 본 논문은 첫째, 기존의 창의성에 대한 실험실 위주의 연구 들이 창의력을 개인적인 특징과 결과물로만 인식하는 것에 따른 한계점들에 대해 언급하고 둘째,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이론을 바탕으로 창의력에 대한 이해와 발달이 협력을 기반으로한 과정 중심의 사회문화적인 상호작용으로 이해되어야 하는 근거에 대해서 설명한다. 셋째, 비고스키의 사회문화적 이론 중 가장 대표적인 근접발달지대에 대한 여러 학자들의 의견을 바탕으로 창의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어떠한 모방, 비계, 협력의 단계가 있어야 하는지에 대해서 연구한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기존의 창의력에 대한 큰 “C”와 작은 “c”의 구조에서 벗어나 비고스키가 어떠한 방식으로 창의성의 잠재력을 설명했는지를 중재하는 ‘C’라는 새로운 용어로 접근하여 교육현장에서 창의적인 과정 중심의 학습과 놀이가 장려되어 질수 있는 방안에 대해 함께 제시한다. As a human creature, we are living in the world as a sociocultural being. This is a simple truth, but it offers a deep and profound proposition when it comes to learning, teaching, and schooling. Through the lens of Vygotsky’s sociocultural theory, which spotlights the importance of social interaction and cultural intervention in individual development and learning, this paper sheds new light on the sociocultural understanding of creativity development. Specifically, in a move away from a dichotomous understanding of creativity in terms of Little ‘c’ and Big ‘C,’ this paper adopts an idea of Mediating ‘C’ which falls in-between laid out by the individual creative development and its relation to sociocultural and cooperative learning and intervention. This approach sharply contrasts with the traditional view of creativity as an individual trait and a final produc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this paper firstly fills in the research gap with the current literature in studies and theories of creativity from a Vygotskian perspective on creative processes. Especially, it focuses on how the creative development is mediated and facilitated in the sequence of imitative, instructed, and collaborative learning, which results in one of the most important Vygotskain themes: the Zone of Proximal Development (ZPD). Furthermore, as the focus of the sociocultural theory is often associated with children’s practices as a form of play, the discussion of the pedagogical implications will be also situated on the importance of playful instruction and collaboration that help develop learners’ mediating ‘C’ creativity.

      • KCI등재후보

        연구논문 : MBL 연수에 참석한 초,중등교사 및 예비교사의 연수 프로그램에 관한 만족도와 MBL 활용에 관한 인식 조사

        황요한 ( Yo Han Hwang ),윤은정 ( Eun Jeong Yun ),박윤배 ( Yune Bae Park ) 경북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2 科學敎育硏究誌 Vol.36 No.2

        본 연구는 2009 교육과정이 탐구활동을 강조함과 동시에 MBL의 사용에 대해 직접적으로 권장하고 있음을 기반으로 하여 학교 현장에서의 MBL활용도를 높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초중등 교사 및 예비교사를 대상으로 MBL 활용 연수를 실시하고 연수에 대한 만족도 및 MBL에 활용대한 인식을 조사한 결과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비의 활용가능성 및 학생들의 기대되는 변화 및 교사의 적용의지 모두 높았다. 그 중 학생들의 호기심 및 과학에 대한 흥미가 높아질 것이라고 기대한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는데, 이것은 MBL이 학생들의 과학에 대한 흥미부족에 대한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으로 사용될 수 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전반적으로 중등이나 예비교사 보다는 초등교사가, 낮은 경력의 교사보다는 높은 경력의 교사가, MBL을 사용해본 경험이 없는 교사보다는 경험이 있는 교사가 연수에 대한 높은 만족도와 적용 의지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MBL 고급 연수 개설시 초등교사나 예비교사들은 STEAM 교육에서의 MBL 활용에 대한 연수를 많이 희망하였고, 중등교사들은 창의성 신장을 위한 MBL 활용 연수를 희망하였다. MBL 수업을 적용하는데 장애 요소로는 가격의 문제를 가장 많이 지적하였으며, 실험 안내서와 교사 교육의 부족이라는 응답이 다음으로 많았다. 결론적으로 현장에 장비가 충분히 갖추어 지고, 활용 방법에 대한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된다면 과학 교육 현장에서 MBL 활용도를 높일 수 있을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으로 MBL 활용 연수 프로그램을 구성할 때 본 연구의 결과가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making the better utilization of MBL in class, based on 2009 curriculum which emphasizes research activities and recommends the direct use of the MBL. We investigated primary, secondary and pre-service teachers` satisfaction and perception level after conducting training about making good use of MBL. The satisfaction level of the training turned out to be high, level of applicability of MBL, expected improvement in learning skills of students and the will to apply it in class was high. The answer that they expect MBL to increase students` curiosity and interest in science was the highest among the survey results, which means that MBL could be used as a solution to lack of students` interest in science. Besides, primary teachers than secondary and pre-teachers, long careered teachers than short careered teachers and MBL-experienced teachers than inexperienced teachers showed more satisfaction and the will to adapt MBL overall. Primary and pre-teachers hoped MBL training to be more related to STEAM education, whereas secondary teachers wanted the training to have more to do with increasing creativity If advanced MBL training program is opened. The price was chosen as the best obstacle to MBL class` application, and the lack of manual for experiment and education to teacher was also pointed out secondly. In conclusion, if MBL is fully equipped in school and training on how to take advantage of it is provided continually, It is expected that MBL could increase the utilization in the field of science education. The results of this paper can be used when you configure the MBL utilization training program.

      • KCI등재

        산업연관분석을 활용한 가축질병재난의 경제적 파급효과 분석

        황요한(Hwang, Yo han),윤동근(Yoon, Dong Keun) 한국방재학회 2019 한국방재학회논문집 Vol.19 No.7

        2011년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이 개정되어 국가재난유형에 가축전염병이 포함된 이후, 가축질병 발생을 예방하고 발생시 조기에 차단하기 위한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하지만 최근 5년 간 구제역과 조류인플루엔자로 인해 7,200여만 두의 가축이 살처분되고, 약 4,611억 원의 살처분보상금이 지원되는 등 가축질병의 발병으로 인한 피해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가축질병으로 인한 축산업 피해가 우리나라 전 산업부문에 미치는 경제적 영향을 분석하는 것은 재난 피해의 경감차원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가축질병으로 인해 축산물의 생산이 지장을 받는 경우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산업연관분석 중 공급유도형 투입산출모형과 수요유도형 투입산출모형을 변형한 리츠-스폴딩(Ritz-Spaulding) 모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를 비교하였다. 연구 결과, 가축질병으로 인해 축산물 생산이 1,153억 원 감소할 경우(최근 5년 간 살처분 보상금의 평균값) 다른 33개 산업 전체의 생산은 공급유도형 투입산출모형의 경우 약 2,023억 원, 리츠-스폴딩(Ritz-Spaulding) 모형의 경우 약 1,382억 원이 각각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축질병으로 인한 축산업의 생산 차질보다 축산업으로 인한 타 산업 전체의 생산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축산업으로 인한 음식료품의 파급 피해는 두 모형 모두에서 가장 크게 나타나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 Since 2011, when the Framework Act on the Management of Disasters and Safety was revised, in which livestock epidemic was included as a type of national disaster, the endeavor to prevent livestock diseases, and intercept them in case of occurrence, has been on. However, over the past five years, sustained damage has been incurred due to outbreaks of livestock diseases, including disposal of over 72 million livestock because of foot-and-mouth disease and avian influenza, and payment of about 461.1 billion won as stamping-out compensation. Consequently, analyzing the economic impact of damage to the livestock industry due to livestock diseases on all industries in Korea holds critical meaning in terms of mitigation of disaster damage. Thus, this study compare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using the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and Ritz-Spaulding model (modified from the demand-driven input-output model) of inter-industry analysis to analyze economic spillover effects when output of livestock produce is disrupted by livestock diseases. It is found that if this output decreased by 115.3 billion won (the average value of stamping-out compensation over the past five years), the production of 33 other industries as a whole appeared to decrease by about 202.3 billion won for the supply-driven input-output model and about 138.2 billion won for the Ritz-Spaulding model. This means that the impact is greater on the production decrease of other industries as a whole due to the livestock industry than on the production setback of the livestock industry due to livestock diseases. In particular, as the ripple effect of damage to food, beverages, and tobacco products caused by the livestock industry appears to be the biggest in both models, it is necessary to take measures for the same.

      • KCI등재

        실시간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

        황요한 ( Yohan Hwang ),문공주 ( Kongju Mun ),김재근 ( Jae Geun Kim ),전상학 ( Sang-hak Jeon ),박혜경 ( Hyekyung Park ),이성재 ( Seongjae Lee ),정대홍 ( Dae Hong Jeong ) 한국현장과학교육학회 2021 현장과학교육 Vol.15 No.1

        이 자료는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대학 연구실의 접근이 제한되는 상황에서 효과적인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의 운영 방안을 제안한다. 본 교육 자료에서는 녹화된 비디오를 통해 연구 내용 및 장비를 소개하는 일반적인 온라인 랩투어 방법의 일방향적인 정보전달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첫 번째는 홍보용 사전영상보기, 두 번째는 실시간 양방항 랩투어 행사, 세 번째는 행사 후 리뷰영상이다. 지금까지 운영한 8가지 프로그램 운영으로부터 이 같은 실시간 비대면 실험실 탐방 프로그램은 현재와 같은 팬데믹 상황에서 효과적인 연구현장 탐방 교육의 방안이 될 수 있으며, 코로나 이후에도 대학 연구실에 접근성이 낮은 지역 학생들의 참여를 돕는 방안으로 이용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This educational material illustrates an effective method of non-face-to-face real-time lab tour program operational under restricted access of university labs caused by COVID-19. In order to figure out one-directional content provision of typical on-line lab tour programs, this program provides 3 step material. The first is pre-view video before the real-time event, the second is real-time bi-directional on-line lab tour, and the third is review video posted on-line after the real-time event. Based on six programs operated to date, it is confirmed that this method can be an effective alternative of lab inquiry under COVID-19 pandermic and even after the pandermic this can widen opportunities of students who are less accessible to university labs.

      • KCI등재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온-오프라인 혼합형 학습이 학습 환경에 대한 인식과 과학 관련 태도에 미치는 영향

        황요한 ( Yo Han Hwang ),김진숙 ( Jin Sook Kim ),이무상 ( Mu Sang Lee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5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5 No.1

        학교 교육은 디지털 시대로의 교육환경의 변화 및 학습자 중심의 교육에 대한 강조와 그에 따른 교사 역할의 변화 등을 받아들이면서 변화하고 있다. 이런 변화에서 e-learning은 적절한 학습 환경으로 각광받아왔으나, 학습에서 중요한 요소인 상호작용의 부재로 인한 문제점이 드러났다. 그리하여 이 연구에서는 학생들에게 학교 홈페이지를활용한 학습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토대로,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을 강조한 수업 환경 조성을 위해 가상 공간과 물리적 공간을 오가며 학습하는 혼합형 학습을 실시하였다. 연구를 위해 G중학교 2학년에서 비교집단 1개 반(40명)과 실험집단 1개 반(40명)을 선정하였다. 비교집단에서는 강의 및 토의식 수업을 실시하였고, 실험집단에서는 교사와 학생의 상호작용이 강조된 혼합형 학습 수업을 실시하였다. 실험처치는 ‘물질의 특성’ 단원 중 8차시에 걸쳐 진행되었다. 혼합형 학습에 대한 인식과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전·사후에 설문조사와 과학관련 태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검사 결과, 실험집단이 비교집단에 비해 과학적 사고와 태도가 자극되어 과학 학습에 대한 흥미와 자신감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검사 결과는 비교집단에 비해 실험집단은 혼합형 학습을 통해 교사의 안내 및 피드백을 더 쉽게 제공 받음으로써 교사와 학생 간 상호작용의 기회를 더욱 부여받을 수 있었기 때문이다. 혼합형 학습은 학생들로 하여금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자신의 경험을 표현할 수 있게 하고, 교사와 학생의 학습 관련 상호작용을 촉진시키므로 학생들의 과학 관련 태도 향상에 도움이 되는 학습 방법으로 제안될 수 있다. General education is changed by accepting the change in education environment to digital generation, emphasis about student-centered education, and change of teacher`s role. E-learning has taken center stage as an effective learning environment but the problems are drawn for the absence of interaction that is important in learning. In this study, on the basis of questionnaire results about learning using website, we operated blended-learning where students come and go in cyberspace and physical space to set up the lesson environment for emphasizing interaction. We selected a control group (N=40) and an experimental group (N=40) from second grade students in a middle school for this research. General instructor-led lessons were implemented in the control group and blended-learning lessons to emphasiz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were implemented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experiments were applied to eight class-hours in ``characteristics of matter`` unit. We implemented Test of Science Related Attitude (TOSRA) to the students before and after the lessons and administered questionnaire for checking attitude changes and perception in students. The results of the test show that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were more encouraged and became more confident and curious about scientific learning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and results of TOSRA show that blended-learning provided guidance and feedback by the teacher to the experimental group students more than the control group students. Blended-learning is suggested as a learning-method that is helpful in improving scientific attitude in students because it enables them to express their experiences without limit of time-space and promote interaction between teacher and students.

      • KCI등재

        메타버스(Metaverse)로의 초대, 새로운 교육공간의 필요성과 미래교육에 관한 고찰

        황요한 ( Hwang Yohan ) 한국현대언어학회 2021 언어연구 Vol.37 No.3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future direction and destination of a metaverse in the online education environment. The term metaverse is a combination of ‘meta’ and ‘universe’ rapidly emerging as a new medium for remote and distance learning in the COVID-19 era. Technically speaking, it refers to a series of techonological breakthroughs that create the shared virtual spaces, as either 3D environments or immersive virtual reality. Based on a review of the exploration stage of what human interaction and exchange may look like in a metaverse, this paper explores the educational potential of a metaverse platform that provides existential encounters and learning immersion. Based on the metaversial exploration and theoretical findings, this paper proposes a blueprint to increase the quality and sense of the reality of distance and online education in the smooth and thoughtful transition to a digital society. (Jeonju Univers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