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논문 : 다차원 분석에 의한 한국어 논문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 연구 -전공 분야별 비교를 통하여-

        홍혜란 ( Hye Ran Ho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11 한국어 교육 Vol.22 No.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generic features of Korean research articles based on multidimensional analysis and qualitative interpretation. It is meaningful that the result of this study is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multidimensional analysis as a methodology for text analysis to apply to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The first step of this study is to collect each 10 samples of texts from the research articles of the discipline of teach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Korean linguistics, business administration and electronic engineering. Secondly, all frequencies of the linguistic features in Kang(1998)`s dimension 1 and dimension 4 were identified in the 40 samples of texts. Thirdly, counts of each of the features in each text were analyzed by the statistic procedures to make comparison between Korean research articles and different kind of generic texts, and among 4 different disciplinary texts. Finally, samples of texts were reviewed to determine how the linguistic features functioned in the texts. The methodology of this study was followed Conrad(1996) and Kang(1998). The finding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linguistic differences exist between Korean research articles and different kind of generic texts, and among different disciplinary texts. From that result, this study concludes that multidimensional analysis as a methodology to examine the generic features of texts and develop contents for teaching and learning Korean as a second language is very effective and useful.

      • KCI등재후보
      • KCI등재

        한국어 교육을 위한 텍스트 장르별 메타 담화 표지 연구

        홍혜란 ( Hong Hye-ran ),박지순 ( Park Ji-soon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0 국제어문 Vol.0 No.84

        본 연구는 일반 교양, 신문, 학술 논문, 전공서의 네 가지 장르로 구성된 말뭉치를 분석하여 텍스트의 장르에 따라 변별적으로 사용되는 메타 담화 표지의 목록을 선정하고 메타 담화 표지의 기능별 사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메타 담화 표지 목록은 Hyland(2005a)의 유형 분류를 참고하여 선정하였으며, 전체 말뭉치에서 담화의 구조를 나타내는 기능을 담당하는 접속 표지 191종, 구조 표지 86종, 지시 표지 55종, 출처 표지 48종, 환언 표지 65종과 명제에 대한 필자의 태도를 나타내는 기능을 담당하는 완곡 표지 233종, 강조표지 102종, 태도 표지 119종,독자 참여 표지 16종, 필자 지시 표지 30종이 사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아울러 장르에 따라 변별적으로 나타나는 메타 담화 표지의 기능별 사용 양상 살펴봄으로써 각 장르마다 고빈도로 쓰이는 표지의 종류와 형태에서 큰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메타 담화 표지는 학술 논문, 신문과 같이 텍스트의 장르적 특성이 뚜렷하고 텍스트의 구조가 전형성을 띠는 경우는 메타 담화 표지의 유형이 상대적으로 적고 사용 빈도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달리 주로 지식 정보를 전달하는 일반 교양, 전공서의 경우 다양한 유형의 메타 담화 표지를 반복적으로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 결과는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쓰기 또는 읽기 교육에서 텍스트의 장르별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유형의 메타 담화 표지를 기능별로 세분화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해 주었다. This study analyzed a corpus comprised of four genres, including books of general interest, newspapers, academic articles, and books on various disciplines in order to make compile a list of genre-specific meta-discourse markers, and to investigate the use of meta-discourse by based on function. The results showed that if the genr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ext are distinct and the structure of the text is typical, such as in academic papers and newspapers, the type of meta-discourse marker is relatively small and the frequency of use is low.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e results show that in books of general interest and specific disciplines which that mainly primarily convey knowledge information, various meta-discourse markers were used. The use of meta-discourse markers, which are differentiated by genre, was once again confirmed by the analysis of the sub-category patterns of meta-discourse markers, through based on differences in the types and forms of markers used in each genre at high frequency. And Moreover, these differences were largely primarily explained through based on the genre-specific characteristics of text.

      • KCI등재

        한국어 교사용 지도서 개발의 쟁점과 실제 적용에 관한 연구 -제3국 출생 탈북 아동을 위한 한국어 교재 『돋움한국어』의 교사용 지도서를 중심으로-

        홍혜란 ( Hong Hye-ran ),유소영 ( Yoo So-young ),최수정 ( Choi Su-jeong ),김령 ( Jin Ling ) 국제어문학회(구 국제어문학연구회) 2021 국제어문 Vol.- No.89

        본고는 교사용 지도서 개발에 관한 연구로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그간 이루어진 한국어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이 중 요구분석 연구의 성과를 집중 분석하여 그 결과를 실제 지도서 개발의 기초 자료로 삼을 수 있도록 하였다. 아울러 다문화 가정 아동, 재외동포 아동, KSL 초, 중, 고등학생 등 다양한 변인을 대상으로 한 지도서의 개발 사례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지도서의 구성 체제와 내용으로 나누어 살펴보고, 교사용 지도서의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 원리를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제3국 출생 탈북 아동 대상 한국어 교재의 교사용 지도서 개발 원리를 첫째, 수업 준비와 운영의 흐름을 고려한 구성 체제, 둘째, 아동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수업 활동 구성, 셋째, 효율적인 수업 준비를 돕기 위한 내용의 이원화, 넷째, 대조분석을 바탕으로 한 학습자 오류 클리닉 제공, 다섯째, 수업 운영의 편의성과 활용도 제고를 위한 수업 보조 자료 개발의 다섯 가지로 설정하였다. 나아가 실제 지도서에서의 적용 예시를 보였다. 이 연구는 교사의 요구분석 내용을 지도서에 반영하고 지도서 개발과 관련한 쟁점을 검토함으로써 교사, 학습자 변인을 고려한 지도서 체계와 내용을 마련한 교사용 지도서의 실제를 보여줬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는 한국어 교재의 활용도를 높이고 교사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teacher’s guidebook to improve the utilization of Korean textbooks for children of North Korean defectors. This guidebook is also intended to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efore developing an actual teacher’s guidebook, this paper reviewed previous relevant studies to collect results applicable to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In addition, the various factors that a teacher’s guidebook must address were analyzed, including multicultural children; overseas Korean children; and elementary,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KSL stud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development of a teacher’s guidebook was examined from the perspective of composition, and the contents and principles necessary for teachers’ guidebooks were established. The following are five principles for developing a teacher’s guidebook for children born in third countries to North Korean defectors based on this study: 1) a system of composition considering the flow of class preparation and management; 2) class activities that consider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child learners; 3) dualization of contents to help efficient class preparation; 4) providing learner error clinics based on contrast analysis; and 5) development of class materials for the enhancement of convenience and utilization in classroom operation. Furthermore, this paper shows examples of applications in the teacher’s guidebook. The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it show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a teacher’s guidebook based on a system and contents that consider both teachers and learners’ variables. It is hoped that this study and the guidebook that it created will enhance Korean textbooks and strengthen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 KCI등재

        논문 :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학습용 워크북 개발 모형 연구 -그림 어휘사전 워크북 개발 사례를 중심으로-

        강현화 ( Hyoun Hwa Kang ),홍혜란 ( Hye Ran Hong ) 국제한국어교육학회 2009 한국어 교육 Vol.20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specified vocabulary learning method by demonstrating development models of the workbook of vocabulary studying for Korean language learners. We pursues the skills-separated, technical vocabulary textbook and fundamentally a self-learning textbook. However, depending on its use, the textbook can be utilized in classroom teaching, so it is designed for learning the practical vocabulary learning activity through interactive communicative language activities. As for the first step of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 this study reviewed the theory and literatures on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and analysed the workbooks for English learners. From the result of analysis, we established 10 principles based on the communicative language teaching approach, and illustrated examples of chapters that are organized in order of language recognition, consolidation, and its use.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aims to conduct research on the theory of vocabulary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ctual teaching materials, and that this research is ultimately for the practical vocabulary learning for learners of Korean.

      • KCI등재

        한국 문화 교육 항목 선정에 관한 기초 연구 -선행연구, 교재, 기관 현황 조사 자료의 비교를 통하여-

        강현화 ( Hyuun Hwa Kang ),홍혜란 ( Hye Ran Hong ) 연세대학교 언어연구교육원 한국어학당 2011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Vol.36 No.-

        This article is a foundational research on selecting the items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t aims to examine how the theory and practice of Korean culture education differ to grope for its further directions. To attain this goal, this paper conducted comparative analysis on 144 advanced studies, total 6-type, 36 textbooks and 18 culture-specialized textbooks of chief universities` annex Korean education institutes having published all of the beginning, intermediate, and advanced-level textbooks, and the current status of operating culture education programs in local education organization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 about the items for culture education in Korean textbooks and advanced studies, they commonly suggest behavioral culture by culture types and modern culture by periods in general. However, although the category is the same, the detailed items differ in some way. The culture programs of local education organizations suggest the culture items not dealt with in literatures or textbooks through field trips. It was chiefly the achievement culture by culture type and traditional culture by period. Based on this, it was found that the items of culture education to be provided to Korean learners should be presented in various ways regarding various types of culture according to the features. Meanwhile, in the result of analyzing the difference in the items of culture education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such as their Korean mastery level, targeted learners (goal for learning), language area, or age, too, behavioral culture and modern culture are intensively being provided and there is significant difference by the features of variables. This implies that Korean culture education should follow the prototype course of study for all learners to receive it commonly but it is desirable to correct and complement it further according to learner variables.

      • KCI등재

        한국어 종결표현의 화행 기능과 한국어 모어 화자의 인식에 관한 연구

        강현화(Kang, Hyoun Hwa),홍혜란(Hong, Hye Ran) 한국외국어교육학회 2010 Foreign languages education Vol.17 No.2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agmatic functions of Korean sentence-ending expressions and Korean speakers’ actual use of language based on their intuition and corpus analysis.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ntence-ending expressions and the corpus, and compared the results with a survey of native speakers’ intuition.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in three respects. First, a variety of pragmatic functions were observed in a single expression in the language use patterns and the cognition of Korean native-speakers. Second, one to multiple relations were observed in a variety of sentence-ending expressions with a specific pragmatic function. Third, the Korean speakers’ choice of sentence- expressions were influenced by given situations. This means that Korean native speakers who are cognizant of pragmatic functions selectively use sentence expressions, leading to the correlation between sentence expressions and pragmatic functions. Lastly, some differences were found in responses about pragmatic functions such as ‘imperatives’, ‘recommendations’, and ‘request’ depending on the profession or age.

      • KCI등재
      • 제3분과 : 야생동물 ; 여자만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종다양성

        정지섭 ( Ji Seop Jeong ),김상철 ( Sang Cheol Kim ),오준영 ( Jun Yeong Oh ),차준성 ( Jun Seong Cha ),홍혜란 ( Hye Ran Hong ),김지건 ( Ji Gun Kim ),강형일 ( Hyeong Il Kang ),김재민 ( Jae Min Kim ),허준욱 ( Jun Wook Hur ),강경호 ( Ky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한국의 남해안은 서해안에 비하여 조석 간만의 차가 작아 갯벌이 발달할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갯벌에 대한 조사나 연구 결과도 서해안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남해안 갯벌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여자만은 전라남도 여수, 순천 및 고흥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연안갯벌이 발달되어 패류양식이 많은 곳이다. 그러나 최근 갯벌은 내부로 유입되는 몇몇 소하천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인근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다량의 유기물과 영양염류 및 오염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에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부 및 외부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갯벌의 계절별 저서 생물상에 관한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자 추진하였다. 조사 대상지인 여자만에 대한 문헌 및 사전 현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전라남도 여자만에 위치한 궁항마을 앞 갯벌(34°47′02,93″, 127°34′19,35″)을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으며, 모든 조사는 간조시 상자형 코어(30 cm2) 및 주입식 코어(깊이 50 cm)를 사용하여 약 30~50 cm 깊이까지 정점당 4회씩 채집하였다. 저서 동물은 채집된 퇴적물을 현장에서 해수로 망목크기 0.5 mm인 체에 걸러 분리한 후 해수로 중화된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실험실에서는 주요동물군 별로 선별하여 습중량과 개체수를 측정하였고,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종별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정점의 종 다양성 및 균등도 지수를 구하였다. 또한 정점간 출현종의 유사정도를 보기 위해 현존량 자료를 이용하여 Bray-Curtis 유사도 지수를 사용하여 조사 정점의 수지도를 작성하여 집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외 서식 환경중 수온 및 pH 등은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궁항 갯벌에 출현한 대형 저서 동물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2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133개체출현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tillaria cumingii는 22개체로 아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3종이 출현하였다. 3월과 4월에는 우점종과 아우점종이 Batillaria multiformis와 Cerithidea cingulata로 나타났다. 2월과 비교하여 3월은 Macrophthalmus sp., 4월에는 Monodontalabio가 새로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종 수에서는 2월과 3월에 총 7종, 4월에는 5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는 Nephtys sp.가 48%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9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겨울철인 12월에 Batillaria multiformis와 Heteromastus filiformis 종이 우점종과 아우점종으로 각각 70% 및 20%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궁항 갯벌의 대형 저서 동물은 적은 조차와 하천수의 영향으로 대조차 갯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상분포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크게 하나의 동물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