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환경호르몬에 의해 유도된 인체 유방암세포의 증식에 대한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 억제효과

        박경욱,최사라,양희선,조현욱,강갑석,서권일,Park, Kyung-Wuk,Choi, Sa-Ra,Yang, Hee-Sun,Cho, Hyun-Wook,Kang, Kap-Suk,Seo, Kwon-Il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7

        당귀로부터 분리한 decursin을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을 유도한 인체 유방암세포(MCF-7)에 처리한 후 그 억제효과를 조사하였다. 인체 유방암세포주인 MCF-7은 20, 40, 60, 80 및 100 ${\mu}g/mL$ 농도로 decursin의 처리 시 20 ${\mu}g/mL$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그 증식이 억제되었다.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0, 0.01, 0.1 및 1 ${\mu}M$의 농도로 환경 호르몬 $17{\beta}$-estradiol과 bisphenol을 처리한 결과 호르몬이 제거된 배지로 배양한 세포에 비해 세포의 증식을 유도하였으며, Yamada(21)와 본 실험 결과가 유사한 세포성장을 보여 암세포의 성장억제 효과를 측정하기 위한 환경호르몬의 농도를 0.1 ${\mu}M$로 하였다.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된 MCF-7 세포에 당귀 메탄올추출물 및 decursin을 1, 3, 10 및 30 ${\mu}g/mL$ 농도로 처리한 결과 농도에 비례하여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10 ${\mu}g/mL$의 농도 이상에서는 대조구의 증식보다도 낮은 생존율을 나타내어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hoechst 염색을 통하여 세포 핵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decursin 처리군에서 핵의 응축과 apoptic body가 관찰되어 decursin은 apoptosis를 유도함으로써 환경호르몬이 처리된 MCF-7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들 결과는 decursin이 환경호르몬에 의해 증식이 유도되는 MCF-7 세포의 성장을 apoptosis에 의해 억제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Anti-proliferation effects of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were investigated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environmental hormones. The proliferation was decreased in a dose-dependent manner at the concentration over 20 ${\mu}g/mL$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decursin of various concentrations. The environmental hormones such as $17{\beta}$-estradiol and bisphenol increased the growth of MCF-7 cells in the charcoal-treated FBS (cFBS) medium and the proliferation was the highest at 0.1 ${\mu}M$ among the tested hormone concentration. Decursin was predicted to inhibit the proliferation in a dose-dependent fashion at tested concentrations (1, 3, 10 or 30 ${\mu}g/mL$) in the MCF-7 cells added environmental hormones; however, the survival rate of the cells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ells that were not treated with decursin at 30 ${\mu}g/mL$ concentration. The chromatin condensation and apoptotic body were examined in the decursin treated cells cultured with the cFBS medium added environmental hormon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ursin decreased the proliferation through apoptosis in the MCF-7 cells added environmental hormones.

      • SCOPUSKCI등재

        당귀로부터 정제한 Decursin의 인체암세포주에 대한 세포독성

        박경욱(Kyung-Wuk Park),최사라(Sa Ra Choi),손미예(Mi-Yae Shon),정일윤(Il Yun Jeong),강갑석(Kap Suk Kang),이성태(Sung Tae Lee),심기환(Ki Hwan Shim),서권일(Kwon 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7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6 No.11

        당귀로부터 항암활성을 화합물을 silicagel column chromatography를 이용하여 분리 및 정제한 후, ¹H와 ¹³C NMR, MS, HMQC 및 COSY spectrum(500 ㎒ CDCl₃) 분석을 통하여 분자량 328의 decursin임을 구조 동정하였다. 정제된 decursin을 MCF-7에 24시간 처리한 결과 20 ㎍/㎖ 이상에서 농도 의존적으로 암세포주의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SW480, HepG2, MCF-7 및 293과 같은 인체 암세포주에 대한 decurcin의 IC??값은 각각 31.04, 27.24, 20.45 및 33.60 ㎍/㎖로 나타나, decursin은 인체 정상세포주인 293세포를 포함한 다른 세포에 비하여 MCF-7에 대하여 가장 높은 성장억제 활성을 보여주었다. MCF-7 세포에 decursin을 처리한 결과 대조군에서 균일한 핵의 형태가 관찰된 것에 반해 처리군의 경우는 핵의 응축과 apoptotic body를 보였고, DNA 절편이 관찰되었다. 이 결과는 당귀에서 분리한 decursin은 MCF-7 세포에서 apoptosis를 통하여 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것을 암시한다. Anticarcinogenic-active compound was isolated and purified from Angelica gigas Nakai. The compound was identified as decursin (C₁?H₂?O?; molecular weight 328) by mass, IR spectrophotometry, ¹H-NMR and ¹³C- NMR. The proliferation decreased in a dose dependant fashion in the MCF-7 cells treated with decursin for 24 hours over the concentration of 20 ㎍/㎖. The IC?? value of the decursin treatment for 24 hours were 31.04, 33.60, 27,24, 20.45 ㎍/㎖ in the SW480, 293, HepG2 and MCF-7 cells, respectively. The growth inhibitory effect was stronger in the MCF-7 cells compared to other cells including 293 of human normal cells. The chromatin condensation, apoptotic body formation and DNA fragmentation were examined in the cells treated with decursin. These results suggest that decursin from Angelica gigas Nakai inhibited the growth through apoptosis in MCF-7 cells.

      • KCI등재
      • KCI등재

        부추의 함황화합물이 인체 암세포 증식에 미치는 영향

        박순영(Sun-Young Park),김재용(Jae-Yong Kim),박경욱(Kyung-Wuk Park),강갑석(Kap-Suk Kang),박기훈(Ki-Hun Park),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8

        부추를 암 예방 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부추로부터 주요 생리활성 물질인 함황화합물을 분리하여 인체 암세포성장 억제 및 간암세포의 사멸이 apoptosis에 의해 유도되는지를 조사하였다. 부추 함황화합물을 1, 5, 10, 20 및 30 ㎍/mL 농도로 24, 48 및 72시간별로 간암(HepG2) 및 폐암세포(A549)에 처리하여 암세포 증식억제 효과를 측정한 결과 HepG2 및 A549 세포에서 농도 및 시간 의존적으로 그 성장을 억제하였으며, 20 ㎍/mL 농도 이상에서 암세포 성장이 60% 이상 억제되었다. 또한 부추 함황화합물 30 ㎍/mL 농도로 처리 시 대조군에 비하여 폐암 및 간암 세포수 감소 및 심한 형태학적 변화가 관찰되었다. 이들 암세포의 IC??값을 측정한 결과 부추 함황화합물은 폐암세포(A549)보다 간암세포(HepG2)에 더 효과가 있었다. 한편 부추 함황화합물은 30 ㎍/mL 농도에서 핵 응축 및 apoptotic body를 나타내었으며, 농도 의존적으로 subG1 DNA 함량이 증가함으로써 HepG2 암세포 사멸이 apoptosis에 의해 유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To develop Allium tuberosum L. as a cancer preventive food material, thiosulfinates and biological active components were isolated from Allium tuberosum L. and the apoptotic effects of thiosulfinates in human cancer cells were examined. Thiosulfinates decreased viable cell numbers in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s. Thiosulfinates at the 20 ㎍/mL concentration inhibited more than 60% cell proliferation in HepG2 and A549 human cancer cells, respectively. Also the morphology of cells treated with thiosulfinates of 30 ㎍/mL concentration was distorted with shrunken cell mass while the cell number was lower than that of control cells. The IC?? values in the HepG2 cell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A549 cells. Thiosulfinates at the 30 ㎍/mL concentration showed the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and a nuclear condensation, and an increase in the cell populations of the sub-G1 phase in the HepG2 cell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iosulfinates from Allium tuberosum L. inhibited cell proliferation in HepG2 via apoptosi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대두박 사포닌 보충이 식이성 유도 비만마우스의 체중과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

        김성미(Sung-Mi Kim),서권일(Kwon-Il Seo),박경욱(Kyung-Wuk Park),정영기(Yong-Kee Jeong),조영수(Young-Su Cho),김명주(Myung-Joo Kim),김은정(Eunjung Kim),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0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폐기되는 대두박으로부터 분리한 사포닌이 고지방식이로 유도한 비만마우스의 체중, 지질 함량, 지질대사 및 내당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4주령의 C57BL/6 마우스(n=48)를 1주일간 적응시킨 후 정상식이를 급여한 정상군, 고지방을 급여한 고지방대조군, 고지방식이에 대두박 사포닌을 수준별(0.5%, 1.0%, 1.5%, w/w)로 급여한 군들과 양성대조물질인 가르시니아 캄보지아(1.0%, w/w)를 급여한 군으로 나누어 9주간 사육하였다. 체중증가량과 내장지방(부고환 지방과 신장주변 지방) 무게는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 사포닌 급여 수준에 의존적으로 낮아졌다. 캄보지아는 식이섭취량을 억제시킨 반면, 대두박 사포닌은 비만 유도 마우스의 식이섭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혈장 중의 렙틴 함량은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 사포닌 보충군에서 낮았다. 대두박 사포닌 급여수준에 관계없이 혈장의 중성지질과 총 콜레스테롤 함량은 유의적으로 낮아진 반면, 사포닌 급여 수준에 의존적으로 변으로 중성지질 배설은 유의적으로 높았다. 한편, 캄보지아는 변의 지질함량에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간조직 중의 중성지방과 콜레스테롤 함량 역시 고지방대조군에 비하여 대두박 사포닌 급여군(1.5%)에서 유의적으로 개선되었으나 캄보아지군의 콜레스테롤 함량은 증가되었다. 고지방식이는 정상식이에 비하여 혈당과 내당능을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대두박 사포닌과 캄보지아 급여는 혈당과 식후 혈당 변화를 효과적으로 개선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1.5% 대두박사포닌 급여군의 혈당은 정상군 수준이었다. 9주 동안 고지방식이 급여는 간조직 중의 지방산 합성과 산화효소활성을 모두 증가시켰는데 합성효소의 상승이 훨씬 큰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두박 사포닌은 간조직 중의 지방산 합성과 산화효소활성을 정상화하였다. 이와 같이 대두박 사포닌은 비만유도 마우스에서 변으로의 중성지질 배설을 증가시키고 간조직에서 지질대사 관련 효소활성을 조절함으로써 체중조절과 혈당개선에 효과적이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beneficial effects of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on body weight and glucose tolerance in high-fat (37% calories from fat) diet fed C57BL/6 mice. The mice were supplemented with three doses of saponins (0.5%, 1.0%, and 1.5%, wt/wt) and 1.0% Garcinia cambogia (wt/wt), positive control for 9 weeks. The body weight, visceral fat weight and epididymal adipocyte area we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saponin supplemented groups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high-fat group. Saponins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food intake; however, cambogia significantly lowered food intake compared to the high-fat fed control group. The crude saponins from soybean cake supplement significantly lowered plasma leptin, triglyceride and total cholesterol levels, whereas they significantly elevated the fecal excretion of triglyceide in a dose dependent manner compared to the high-fat group. Cambogia did not affect the fecal excretion of lipid in the diet-induced obese mice. Supplementation of 1.5% saponin reduced the hepatic triglyceride content compared to the high-fat group. High-fat induced glucose intolerance with the elevation of blood glucose level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owever, the saponins supplement significantly improved postprandial glucose levels. After 9 weeks of being fed a high-fat diet, the mice presented with significantly increased activities of hepatic fatty acid synthase and fatty acid β-oxidation; however, saponins and cambogia normalized these activitie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saponins from soybean cake exhibit a potential anti-obesity effect and may prevent glucose intolerance by reducing body weight and plasma lipids, increasing fecal lipid excretion and regulating hepatic lipid metabolism in high-fat fed mice.

      • KCI등재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이 사염화탄소를 투여한 마우스의 간손상에 미치는 영향

        최라영(Ra-Yeong Choi),함주리(Ju Ri Ham),류효선(Hyo-Seon Ryu),박경욱(Kyung-Wuk Park),강경윤(Kyung-Yun Kang),이미경(Mi-Kyung Lee)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9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8 No.5

        본 연구는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이 사염화탄소로 급성 간손상을 유발한 마우스의 혈액, 조직학적 변화 및 항산화 효소 활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발효추출물(500 ㎎/㎏/d), 비발효추출물(500 ㎎/㎏/d) 및 양성물질인 실리마린(200 ㎎/㎏/d)을 3일 동안 일정한 시간에 1회 경구 투여하고 3일째 실험물질 투여 4시간 후 사염화탄소와 올리브 오일을 1:3(v/v)으로 혼합하여 체중 kg당 2 mL씩 복강 내 1회 주사하여 급성 간손상을 유발하였으며, 정상군은 동일한 용량의 올리브오일을 복강 투여하였다. 간독성지표인 혈청 ALT 활성은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발효추출물군에서 대조군과 비발효추출물군보다 각각 27%와 25%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사염화탄소로 인해 혈청 TNF-α와 IL-6 함량이 정상군보다 각각 약 32.5배와 98.7배로 급격히 증가하였으나, 발효추출물군과 실리마린군은 대조군보다 IL-6 함량을 51%와 25% 유의적으로 감소하였다. 간조직의 H&E 염색 결과, 대조군은 정상군보다 중심정맥 주위에 집중된 괴사와 변성이 관찰되었으나 발효추출물, 비발효추출물, 실리마린 급여로 병변 부위가 다소 감소하였다. 혈청 중의 유리지방산은 정상군보다 대조군에서 유의적으로 2배가 증가했지만, 발효추출물군, 비발효추출물군과 실리마린군은 대조군보다 유리지방산 함량을 유의적으로 낮추었다. 중성지질 함량 역시 유의적이지는 않으나 사염화탄소로 증가하였으며, 실험물질들은 정상군과 유사한 수치를 나타내었다. 간조직의 중성지질 함량은 사염화탄소 투여로 높아졌지만 콜레스테롤 함량은 낮았으며, 발효추출물군의 간조직 중성지질 함량은 대조군보다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발효추출물, 비발효추출물 및 실리마린은 사염화탄소로 감소한 SOD활성을 정상군보다 높였으며, 발효추출물은 사염화탄소 대조군보다 GSH-Px와 GST 활성을 증가시켰다. 이처럼 탈지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은 사염화탄소로 인해 낮아진 SOD, GSH-Px 및 GST 항산화 효소를 활성화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탈지 갈색거저리 유충의 발효추출물은 비발효추출물보다 사염화탄소로 인한 급성 간손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defatted Tenebrio molitor larva ferment extract (MWF) on CCl₄-induced acute hepatotoxicity in mice. The ferment extract (500 ㎎/㎏/d), non-ferment extract (500 ㎎/㎏/d), and silymarin (positive control, 200 ㎎/㎏/d) were orally administrated to mice for 3 days; then, CCl4 (2 mL/㎏, 25% v/v in olive oil) was intraperitoneally injected on the third day. After 24 h of CCl4 injection, the mice were sacrificed to collect sera and liver tissue. CCl4 treatment caused an increase in the serum AST, ALT, IL-6, TNF-α, total bilirubin, and free fatty acid levels, and a decrease in the total cholesterol and HDL-cholesterol levels compared to the normal group. However, MWF significantly lowered the levels of serum IL-6 and free fatty acid, and tended to lower the ALT level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istological analysis revealed that MWF attenuated liver injury caused by CCl₄. Hepatic SOD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control group compared with the normal group; however, MWF significantly reversed. Moreover, MWF significantly elevated hepatic GSH-Px and GST activitie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MWF has antioxidative effects against CCl₄-induced liver damage.

      • KCI등재

        땅콩나물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

        강혜인(Hye-In Kang),김재용(Jae-Yong Kim),권순재(Soon-Jae Kwon),박경욱(Kyung-Wuk Park),강점순(Jum-Soon Kang),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7

        땅콩나물을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하기 위하여 충북, 경북, 전북, 중국 및 베트남산 땅콩 및 이들을 9일 동안 발아시킨 땅콩나물 메탄올 추출물의 폴리페놀 함량과 항산화 활성을 측정하였다. 땅콩나물 추출물은 땅콩 추출물에 비하여 폴리페놀 함량이 높았으며, 특히 경북 땅콩나물 추출물에서 20.4 ㎎/g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9일간 발아시킨 땅콩나물 추출물은 모두 땅콩 추출물에 비하여 그 활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특히 경북 땅콩나물 추출물의 활성이 200 ㎕/㎖ 농도에서 37.68%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환원력의 경우도 이와 유사한 경향이었다. 경북 땅콩나물에서 잎, 줄기 및 뿌리의 부위별 추출물에 대한 수소공여능을 측정한 결과 잎 추출물의 활성이 가장 높았으며, 그 활성은 200 ㎕/㎖ 농도에서 90%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ABTS radical 및 β-carotene bleaching 활성 모두 줄기나 뿌리 추출물에서의 활성보다 잎 추출물에서 우수하였다. 경북 땅콩 및 땅콩나물의 resveratrol 함량의 분석한 결과 땅콩나물에서의 그 함량이 15.05 ㎍/g로서 땅콩에서의 1.42 ㎍/g에 비하여 그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를 고려해볼 때 땅콩나물을 항산화 기능을 함유한 기능성식품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or the long-term goal of using peanut sprouts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the total polyphenol content an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m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with use of 9 day-old peanut sprouts and peanuts collected in Chungbuk, Gyeongbuk and Jeonbuk provinces of Korea, China and Vietnam. The polyphenol levels in the sprout extracts were higher than those of the peanut extracts. The phenolic content of the Gyeongbuk peanut sprout extract (20.4 ㎎/g) was the highest of the tested samples. After 9 days of germination the peanut sprout extracts had higher activities than those of the peanut extracts. In particular, the activity of Gyeongbuk peanut sprout extract was the highest (37.67% at a concentration of 200 ㎕/㎖), and its reducing power demonstrated a similar trend. The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ies were measured for methanol extracts of cotyledon, root and stem of Gyeongbuk peanut sprouts; the highest (90.96% at a concentration of 200 ㎕/㎖) was the activity of cotyledon. ABTS radical scavenging and β-carotene bleaching activities also were higher in the cotyledon extract than in those of the root or the stem. The resveratrol content was higher in the Gyeongbuk peanut sprout extract than in the Gyeongbuk peanut extract (15.05 ㎍/g and 1.42 ㎍/g, respectively). These results suggest that peanut sprouts potentially could be used as a functional food material exhibiting antioxidant effects.

      • KCI등재

        Primary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서 Resveratrol의 Apoptosis 유도 효과

        강혜인(Hye-In Kang),김재용(Jae-Yong Kim),조현동(Hyun-Dong Cho),박경욱(Kyung-Wuk Park),강점순(Jum-Soon Kang),서권일(Kwon-Il Seo)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0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39 No.8

        본 연구에서는 resveratrol을 전립선 암 치료제로의 활용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primary 인체 전립선 암세포에 대한 resveratrol의 성장억제 효과 및 그 기전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Resveratrol은 RC-58T/h/SA#4 세포에서 농도 및 시간에 의존적으로 세포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IC50 값은 암세포인 RC-58T/h/SA#4, LNCaP, PC-3에서는 각각 245, 320, 340 μM, 전립선 정상세포인 RWPE-1에서는 982 μM로 나타나 정상세포에서보다는 암세포에서 그 독성이 크게 나타났다. 또한 resveratrol에 의해 유도된 세포 사멸은 핵 응축, sub-G1 함량 증가 및 DNA 분절 현상이 나타나 apoptosis를 유도함을 알 수 있었다. Resveatrol은 caspase-8, -9 및 effector casapse-3 활성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켰으며, caspase 저해제인 z-VAD-fmk로 caspase의 처리 시resveratrol에 의한 apoptosis 유도 현상이 유의적으로 감소되어 resveratrol에 의한 RC-58T/h/SA#4 세포의 apoptosis 유도에 caspase가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Resveratrol에 의해 anti-apoptotic 인자인 Bcl-2 및 Bid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하였으나, pro-apoptotic 인자인 Bax 단백질 발현은 변화가 없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resveratrol이 RC-58T/h/SA#4세포에서 caspase 의존형 미토콘드리아 경로에 의해 유도되며, resveratrol은 전립선암 치료제로서 사용 가능성을 시사한다. To evaluate resveratrol as a prostate cancer preventive material, we investigated its anti-proliferative and apoptotic effects in RC-58T/h/SA#4 primary human prostate cancer cells. Resveratrol significantly decreased the number of viable RC-58T/h/SA#4 cells in a dose- and time-dependent manner. Resveratrol showed cytotoxicity against RC-58T/h/SA#4, LNCaP, PC-3 human prostate cancer cells with IC50 values of 245, 320 and 340 μM, respectively. However the cytotoxic potential of resveratrol against normal RWPE-1 cells was lower (IC50=982 μM). Resveratrol induced cell death as evidenced by the increased formation of apoptotic bodies, nuclear condensation, sub-G1 phase, and DNA fragmentation. Resveratrol activated initiator caspases 8, and 9 as well as effector caspase 3 in a dose-dependent manner. Furthermore, the general caspase inhibitor z-VAD-fmk significantly inhibited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compared to cells without treatment. These results clearly indicate that resveratrol-induced apoptosis was dependent on caspase activation. Further, resveratrol modulated the down regulation of Bcl-2 (anti-apoptotic), and Bid. However, the level of Bax (pro-apoptotic) remained unchanged. These results suggest that resveratrol induced apoptosis in RC-58T/h/SA#4 cells via a mitochondrial-mediated caspase-dependent pathway, suggesting therapeutic potential against prostate cancer.

      • KCI등재

        Bacillus sp. HJ 57에 의한 버섯 병원균주의 생육억제

        Kwon-Il Seo(서권일),Sang-Won Gal(갈상완),Sung-Tae Yee(이성태),Kyung-Wuk Park(박경욱),Sang-Won Lee(이상원) 한국생명과학회 2012 생명과학회지 Vol.22 No.6

        발효된 버섯배지 및 부엽토 등으로부터 80여 종의 균주를 1차 분리하여 CMCase, amylase 및 protease활성이 높고 버섯질병균주에 대한 항균활성이 높으면서 표고버섯 및 팽이버섯의 생육에는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HJ-57 항균미생물을 최종 분리균주로 선정하였다. 최종 선정한 HJ-57 항균미생물을 동정한 결과 Bacillus sp. HJ-57로 밝혀졌으며, 배양을 위한 배지의 초기 pH는 pH 7, 배양온도는 35℃가 최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Bacillus sp. HJ-57균주는 12 hr 배양하였을 때는 약간의 항균활성을 나타내었지만, 배양 36~48 hr 배양하였을 때는 비교적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Bacillus sp. HJ-57 항균미생물은 팽이버섯 재배농가에서 사용하는 콘코프 함유배지상에서도 버섯질병균주인 세균 및 곰팡이에 대하여 매우 높은 항균활성을 나타내었다. Approximately 80 species of bacteria were isolated from the fermented mushroom first and the HJ-57 antibacterial micro-organism was selected to the final isolation bacteria. It has a high degree of CMCase, amylase, and protease activity as well as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ushroom pathogenic bacteria without affec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Flammulina velutipes and Lentinus edodes mushrooms. The finally selected HJ-57 antibacterial micro-organism was identified as Bacillus sp. HJ-57. The initial pH for culture was pH7 and its optimum culture temperature was 35 ℃. The antibacterial material produced by Bacillus sp. HJ-57 showed a little antibacterial activity even in the 12 hr of culture, but showed the highest antibacterial activity in the 36~48 hr of culture. The HJ-57 antibacterial micro-organism also showed a high antibacterial activity against mushroom pathogenic bacteria and molds in the corn cob contained culture medium is used in Flammulina velutipes cultivato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