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제3분과 : 야생동물 ; 여자만 조간대 저서 대형무척추동물의 공간적 종다양성

        정지섭 ( Ji Seop Jeong ),김상철 ( Sang Cheol Kim ),오준영 ( Jun Yeong Oh ),차준성 ( Jun Seong Cha ),홍혜란 ( Hye Ran Hong ),김지건 ( Ji Gun Kim ),강형일 ( Hyeong Il Kang ),김재민 ( Jae Min Kim ),허준욱 ( Jun Wook Hur ),강경호 ( Ky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한국의 남해안은 서해안에 비하여 조석 간만의 차가 작아 갯벌이 발달할 수 있는 면적이 상대적으로 넓지 않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갯벌에 대한 조사나 연구 결과도 서해안을 중심으로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남해안 갯벌에 관한 연구는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여자만은 전라남도 여수, 순천 및 고흥에 걸쳐 위치하고 있으며, 연안갯벌이 발달되어 패류양식이 많은 곳이다. 그러나 최근 갯벌은 내부로 유입되는 몇몇 소하천에 의하여 형성되었으며, 인근 농경지에서 유입되는 다량의 유기물과 영양염류 및 오염 물질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환경에 놓여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내부 및 외부적 환경 요인들에 의해 변화할 수 있는 갯벌의 계절별 저서 생물상에 관한 공간 분포를 파악하고자 추진하였다. 조사 대상지인 여자만에 대한 문헌 및 사전 현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전라남도 여자만에 위치한 궁항마을 앞 갯벌(34°47′02,93″, 127°34′19,35″)을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기간은 2012년 1월부터 12월까지 조사하였으며, 모든 조사는 간조시 상자형 코어(30 cm2) 및 주입식 코어(깊이 50 cm)를 사용하여 약 30~50 cm 깊이까지 정점당 4회씩 채집하였다. 저서 동물은 채집된 퇴적물을 현장에서 해수로 망목크기 0.5 mm인 체에 걸러 분리한 후 해수로 중화된 10% 포르말린으로 고정하였다. 실험실에서는 주요동물군 별로 선별하여 습중량과 개체수를 측정하였고, 가능한 종 수준까지 동정하였다. 종별 개체수 자료를 이용하여 각 정점의 종 다양성 및 균등도 지수를 구하였다. 또한 정점간 출현종의 유사정도를 보기 위해 현존량 자료를 이용하여 Bray-Curtis 유사도 지수를 사용하여 조사 정점의 수지도를 작성하여 집괴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외 서식 환경중 수온 및 pH 등은 현장에서 조사하였다. 조사 기간 동안 궁항 갯벌에 출현한 대형 저서 동물을 월별로 분석한 결과, 2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133개체출현하여 우점종으로 나타났고, Batillaria cumingii는 22개체로 아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그 외 3종이 출현하였다. 3월과 4월에는 우점종과 아우점종이 Batillaria multiformis와 Cerithidea cingulata로 나타났다. 2월과 비교하여 3월은 Macrophthalmus sp., 4월에는 Monodontalabio가 새로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월별 출현종 수에서는 2월과 3월에 총 7종, 4월에는 5종이 출현한 것으로 나타났다. 8월에는 Nephtys sp.가 48% 우점종으로 나타났으며, 9월에는 Batillaria multiformis가 우점종으로 출현하였다. 겨울철인 12월에 Batillaria multiformis와 Heteromastus filiformis 종이 우점종과 아우점종으로 각각 70% 및 20%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궁항 갯벌의 대형 저서 동물은 적은 조차와 하천수의 영향으로 대조차 갯벌에서 일반적으로 나타나는 대상분포가 뚜렷하게 보이지 않았으며, 크게 하나의 동물 군집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제3분과 : 야생동물 ; 연안 갯벌에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Perinereis aibuhiteusis) 이식에 따른 퇴적 환경 변화

        김중근 ( Jung Keun Kim ),박용빈 ( Yong Bin Park ),정지섭 ( Ji Seop Jeong ),김단오 ( Dan Oh Kim ),안태진 ( Tae Jin An ),이준용 ( Jun Yong Lee ),강형일 ( Hyeong Il Kang ),김재민 ( Jae Min Kim ),허준욱 ( Jun Wook Hur ),강경호 ( Kyoun 한국환경생태학회 2013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3 No.1

        갯지렁이류는 연안의 모래와 펄속에서 쉽게 발견되며, 그 종류의 수나 자원량이 풍부한 저서동물군이다. 이들은 저질에 굴을 뚫어 해수를 순환하게 함으로써 유기 성분을 변화시켜 저질을 정화시키기도 하는 등 해양 저서 생태계에서 중요한 위치를 점하고 있다. 또한 갯지렁이류는 해양 오염의 지표 생물로 저서 어류의 주된 먹이 및 낚시 미끼로 이용되고 있다. 최근 연안 갯벌이 국책 사업 등 여러 가지 간척 및 매립 공사로 인하여 갯지렁이와 같은 저서 생물이 생활할 수 있는 서식지 면적이 감소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하천에서 배출되는 각종 유기물에 의한 오염의 정도가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유기물의 성분을 변화 시켜 저질을 정화시키는 작용을 한다고 생각되는 갯지렁이를 이식함으로써 이식에 따른 저질 환경 개선 등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자만의 궁항 갯벌에 갯지렁이를 이식하여, 이식 후의 월별 저질의 입자 구조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조사 대상지인 여자만에 대한 문헌 및 사전 현장 조사를 기초로 하여 전라남도 여자만에 위치한 사곡리 궁항마을 앞 갯벌(34°47′02,93″, 127°34′19,35″)을 실험 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조사 정점은 두토막눈썹참갯지렁이, Perinereis aibuhiteusis를 이식하지 않은 대조구와 갯지렁이를 이식한 실험구로 분리하여, 2012년 매월 1회씩 저질을 채집하여 분석하였다. 실험구로 정한 정점에는 갯지렁이의 이식 밀도를 100개체/m2 (총 2500마리)로 이식하였으며 채집은 간조시 상자형 코어(30 cm2)를 사용하여 약 30 cm 깊이까지 정점당 4회로 하였다. 퇴적물의 입도 분석은 과산화수소와 염산을 넣어 유기물과 탄산염을 제거한 후, 습식 체질에 의해 4φ 이하와 그 이상으로 분리하였다. 이중 4φ 이하 조립질 퇴적물은 건식 체질법, 4φ 이상 세립질 퇴적물은 피펫팅법으로 분석하였다. 퇴적물의 입도 특성을 나타내는 평균입도, 분급도, 왜도 및 첨도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으며, Folk and Ward (1957)의 방법에 따라 퇴적물을 분류하였다. 이외에 수질 환경 및 저질의 감열 감량 및 함수율 등은 상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2011년에 갯지렁이를 이식하고 연구를 계속 진행하여 왔으며, 2012년 1월 궁항 갯벌의 퇴적물 함량은 10.2%가 모래(sand)였으며, Mud(니질)이 89.8%였으나 조사 개시 3개월 후에는 모래가 10.2%, Mud가 89.8%로 비슷하였고, 12개월 후에는 모래가 9.5%, Mud가 90.5%로 모래질은 감소하고 Mud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갯지렁이를 이식한 실험구와 이식하지 않은 대조구의 Mud 함량은 대조구의 경우, 실험 기간 동안 10.0%를 유지하고 있으나, 실험구는 9.5%로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갯지렁이를 퇴적물에 수용하였을 경우, 잡식성인 갯지렁이의 먹이 활동시 퇴적물의 일부를 섭취하여 배설하는 과정에서 퇴적물의 함량이 변화하는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는 갯지렁이와 같은 정착성 저서 생물을 이용하여 연안 갯벌의 오염 환경을 개선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