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국내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의 인식 및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조사 연구

        홍새미,박성종,유민영 한국언어치료학회 2018 言語治療硏究 Vol.27 No.2

        Purpose: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MOHW) notified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and the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SLPs) in charge of assessing language disorders have to recognize and consider them in clinical practice. This study investigated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the language disorders to establish proper guidelines of diagnosis for language disorders. Methods: We conducted a nationwide online survey with 23 questions across 3 domains (responders’ characteristics,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by MOHW and current assessment approach of language disorders) on SLPs registered with the Korean Association of Speech Language Pathologists. We analyzed the results of completed questionnaire received from 362 responders. Chi-squared test or Fischer's exact test were used to compare difference in perception level according to the certification level, working institution and period of clinical experience. Results: Overall, SLPs’ perception level of the diagnostic criteria by MOHW was low. However, SLPs with the first - level certification, those in a tertiary medical center and those with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showed significantly higher perception level than the other groups. The assessment tools used in the diagnosis of language disorders and method of interpreting results varied widely. Conclusion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erception level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by MOHW should be improved.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the basis for establishing guidelines of diagnostic criteria for language disorders. 목적: 보건복지부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해 고시하였으며, 언어장애 진단평가를 담당하고 있는 언어재활사들은 이에 대해 인지하고 임상에서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보다 공정한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해 현재 고시되어 있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를 파악하고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한국언어재활사협회에 등록되어 있는 언어재활사에게 구글 설문지 주소를 포함한 문자를 발송하였고, 설문에 응답한 362명의 응답 내용을 분석하였다. 설문문항은 응답자의 배경정보에 관한 문항 9개, 장애 판정기준 인식에 관한 문항 5개, 장애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9개로 총 2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으며, 진단평가 실태에 관한 문항 응답은 장애 유형별 진단 경험 유무에 따라 참여를 제한하였다. 자료의 분석을 위해서는 각 문항의 응답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참여자의 자격증 급수, 근무기관, 임상경험에 따른 인식도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해 카이제곱검정 및 피셔의 정확검정을 실시하였다. 결과: 보건복지부가 고시한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는 모든 언어장애 유형에서 전반적으로 낮았다. 1급 자격증 소지 집단, 3차 의료기관 종사 집단, 임상경험 10년 이상 집단은 상대적으로 다른 집단에 비해 인식도가 유의미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장애 진단 시 사용되는 검사 도구 및 검사 결과 산출 방법은 다양한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장애 판정기준에 대한 언어재활사들의 인식도 향상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루어진 국내 의료기관의 언어장애 진단평가 실태 조사 결과는 추후 언어장애 판정을 위한 진단평가 지침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다.

      • KCI등재후보

        지역사회 거주 노인의 심뇌혈관질환 예측 모형

        홍새미,변해원,김정순,문순희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5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5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s the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Data were from the A Study on the Seoul Welfare Panel Study 2010. Subjects were 2,111 people aged 60 and older living in the community. A prediction model was developed by the use of a CART algorithm of data-mining approach. In the 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algorithm analysis, subjective health status, age, regular physical activities, depression, marital status, and smoking were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cardiovascular disease among community-dwelling elderly. 본 연구는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의 심뇌혈관질환(고혈압, 뇌졸중, 고지혈증, 심근경색, 협심증 등)의 통계학적 예측 모형을 개발하고 노년기 심뇌혈관 질환의 예방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 연구대상은 2010년 서울복지패널조사에 참여한 60세 이상 지역사회 노인 2,111명(남성 879명, 여성 1,232명)이다. 결과변수는 심뇌혈관질환 유병으로 정의하였고, 설명변수는 연령, 최종학력, 소득수준(가구 월 평균 총 소득), 배우자 유무, 음주, 주관적 건강상태, 정기적인 운동, 지난 1달 간 우울증상 여부로 설정하였다. 분석방법은 데이터마이닝의 CART(Classification And Regression Tree) 알고리즘을 이용하였다. 우리나라 지역사회 노인의 심뇌혈관질환 예측 모형을 구축한 결과, 유의미한 요인은 주관적 건강 상태, 연령, 정기적인 운동 여부, 우울증상, 배우자 유무, 흡연이었다. 이 결과를 기초로 우리나라 여성 흡연자의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금연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KCI등재

        한국어판 마비말장애인의 삶의 질 척도의 신뢰도 및 타당도 검증에 대한 예비연구

        홍새미,심현섭 한국언어치료학회 2016 言語治療硏究 Vol.25 No.2

        Purpose: People with dysarthria experience communication difficulties due to the nature of their impairment. For this reason, understanding the psychosocial aspect of dysarthria is required. This study is a preliminary study for developing a Korean version of the Quality of Life in the Dysarthric Speaker (K-QOL-Dy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QOL-DyS. Methods: The QOL-DyS, which contains 40 items subdivided into four areas with 10 questions ea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1) speech characteristics of the word (SD), (2) situational difficulty (SD), (3) compensatory strategies (CS), (4) perceived reactions of others (PR). The study was performed on 50 dysarthric speakers and 50 normal speakers. The internal consistency was assessed and the test-retest reliability was assessed for five people in each group. The scores obtained from the two groups were compared. A 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curve was employed to assess the sensitivity and specificity of the K-QOL-DyS. A comparison of scores was made scores between mild dysarthria and moderate dysarthria. Results: An excellent internal consistency (Cronbach’s α=.981) and test-retest reliability (r=.962) were found. The scor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was significant in the overall score and all categories (p<.01). The sensitivity of the K-QOL-DyS for four categories varied between 100% and 82%. The specificity varied between 100% and 96%. Significant score differences between mild dysarthria and moderate dysarthria were found only in the overall score, SC and PR (p<.01). Conclusions: The K-QOL-DyS was found to be an acceptable tool to assess quality of life in Korean dysarthric speakers. We expect that the K-QOL-DyS will be utilized widely to identify the psychosocial impact of dysarthria. 목적: 마비말장애인은 말명료도 저하로 인한 의사소통의 제한으로 사회심리학적 측면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한다. 따라서 마비말장애인의 사회심리학적 측면을 이해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는 한국어판 마비말장애인의 삶의 질 척도(K-QOL-DyS)를 개발하기 위한 예비연구로 K-QOL-DyS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QOL-DyS는 4개 범주(말 특성, 상황적 어려움, 보상전략 사용, 타인의 지각반응)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범주별 10문항씩 총 40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연구에서는 QOL-DyS를 한국어로 번안하여 마비말장애군 50명과 정상군 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신뢰도 검증을 위해 문항 내적일관성 신뢰도를 측정하였고, 각 집단별 5명을 대상으로 검사-재검사 신뢰도를 측정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해 두 집단 간삶의 질 점수 차이를 비교하였고, 수신자 조작 특성(receiver operating characteristic: ROC) 곡선을 분석하여민감도와 타당도를 측정하였다. 마비말장애 중증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도 살펴보았다. 결과: K-QOL-DyS의 문항 내적일관성 신뢰도는 .981, 검사-재검사 신뢰도는 .962로 높게 나타났다. 마비말장애군과 정상군의 삶의 질 점수는 총점 및 모든 하위범주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1). 총 검사및 각 범주별 민감도와 특이도는 모두 80% 이상으로 높게 나타났다. 마비말장애 중증도에 따른 삶의 질 점수의 총점은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지만, 하위범주 내에서는 말 특성과 타인의 지각반응 범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1). 결론: K-QOL-DyS는 국내 마비말장애인의 삶의 질을 측정하는데 적절한 수준에서의신뢰성과 타당성이 제시된 도구임이 검증되었다. 이 척도가 향후 임상에서 마비말장애인의 사회심리학적 측면을 이해하는데 적극적으로 활용되기를 기대해본다.

      • KCI등재

        언어장애아동 어머니의 양육스트레스 연구

        홍새미(Sae Mi Hong),유영진(Young Jin Yu),박성종(Sung Jong Park),김아현(Ah Hyun Kim) 한국언어치료학회 2012 言語治療硏究 Vol.21 No.1

        Understanding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language disorders is important in order to encourage parents to participate in speech therapy and to offer more effective consult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pare parenting stress in mothers of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with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and to investigate whether children's age, sex, birth order, treatment history, mother's age, education level, religion, employment status, and parenting efficacy have any influences. The participants were 64 mot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and 62 mothers who take care of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The children's ages were from three to five year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have more parenting stress tha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Parenting stress of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functional language disorders increased in accordance with the children's age. Similarly, elevated parenting stress was found in mothers who have children with organic language disorders as the education level of mothers increase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 that different approaches need to be considered depending on the causes of language disorder when having parents take part in speech therapy for their children and consulting with them.

      • KCI등재

        실어증 환자들을 위한 CILT 중재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홍새미(SaeMi Hong),강진경(JinKyung Kang),엄보라(Bora Eom),김영태(YoungTae Kim),성지은(JeeEun Sung),심현섭(HyunSub Sim),정필연(PilYeon Jeo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6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1 No.1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CILT) 중재는 집중적인 일정 동안 구어를 극대화하여 사용할 수 있게 구조화한 실어증 중재방법이다. 여러 연구들이 CILT 중재의 효과를 검증하였지만 상이한 연구결과가 혼재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메타 분석을 통해 실어증 환자 대상으로 CILT 중재의 효과성을 보고한 개별 연구들의 결과를 종합하여 증거기반 실제를 구축하고자 하였다. 방법: 총 5개의 국내외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실어증 환자를 대상으로 CILT 중재를 실시한 연구들 중 선정기준에 부합한 총 9편의 문헌을 수집하였다. 그리고 중재에 따른 언어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언어의 하위 영역 및 실어증 발병기간에 따른 효과크기를 각각 살펴보았다. 결과: CILT 중재는 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을 비롯하여 청각적 이해력, 따라 말하기, 이름대기 능력 향상에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ILT 중재는 급성실어증과 만성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 및 모든 언어 하위 영역 향상에서도 유의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는 CILT 중재의 종합적인 효과 검증을 통해 CILT 중재가 발병기간과 무관하게 실어증 환자의 전반적인 언어능력과 언어의 각 하위 영역을 향상시키는 데 효과적이라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CILT 중재에 대한 기존 연구들의 상반된 결과들을 통일하여 임상적 유용성을 제고하는 근거를 마련하였다. Objectives: Constraint-Induced Language Therapy (CILT) is an aphasia treatment program which comprises forced use of verbal language and massed practice. There are many stud¬ies about the efficacy of CILT on aphasia, but the results are controversial. Thus, the pur¬pose of the present meta-analys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valuate the effects of CILT for aphasia and to establish the evidence-based practice of CILT. Methods: Data collection was performed from 5 databases (DBPIA, EBSCOhost, ProQuest, PubMed, RISS) which were about CILT for aphasia. Nine studies which met the inclusive criteria were entered into the meta-analysis. Effect sizes for each study outcome (standardized language test outcome) were calculated. Results: There were two main findings from the current study. First, the meta-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CILT is an effective treatment method for improving both overall language ability and each sub-language area. Second, CILT was effective for both chronic aphasia and acute aphasia—overall and in each sub-language area. Conclu¬sion: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e comprehensive effectiveness of CILT for aphasia in each sub-language area including auditory comprehension, repetition, and naming, and its treatment effectiveness for both chronic aphasia and acute aphasia regardless of post onset time. This research unifies the complicated results of previous studies and lays the foundation for clinical implications.

      • KCI등재

        Comparison of Perceptual Assessment for Dysarthric Speech: The Detailed and General Assessments

        홍새미(Sae Mi Hong),정필연(Pil Yeon Jeong),심현섭(Hyun 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8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3 No.1

        배경 및 목적: 미국 메이요 클리닉(Mayo Clinic)에서 제안한 마비말장애 청지각적 평가요소는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소요시간이 길고 신뢰도가 낮다는 제한 때문에 평가 항목의 수를 조정하고 신뢰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세부요소를 평가하는 방법과 요소들의 범주만을 평가하는 방법 간의 차이를 살펴보고, 청지각적 평가요소들과 말의 전반적 인상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28명의 준전문가 집단에게 다양한 유형의 마비말장애 화자 15명의 표준화 문단 읽기 샘플을 일주일 간격으로 2회 들려주고 세부평가와 범주평가를 실시하도록 하여 평가자 간 신뢰도, 검사-재검사 신뢰도, 평정치 차이를 각각 비교하였다. 각 평가 내 요소들과 전반적 인상을 나타내는 요소 간의 상관관계도 살펴보았다. 결과: 평가자 간 신뢰도와 검사-재검사 신뢰도 모두 범주평가가 각각 .967, .620으로 세부평가보다 높았다. 두 평가 방법을 통해 측정된 평균 평정치는 유사하였으나, 평정점수별 분포비율에서는 차이를 보였다. 두 평가 모두에서 조음과 관련된 요소들이 전반적 인상과 높은 상관을 나타냈고, 공명과 관련된 요소들은 낮은 상관을 나타냈다. 논의 및 결론: 범주평가는 소요시간이 짧으며, 세부평가보다 높은 신뢰도를 갖추고 있지만, 마비말장애의 말 특성을 세밀하게 평가하는 것은 제한적이므로 세부평가 내 일부 요소들에 대한 평가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말의 전반적 인상을 결정하는 데 관련이 높고 낮은 평가요소들을 살펴본 결과는 추후 효율적인 청지각적 평가요소를 선정하는 근거 자료로 사용될 것이다. Objectives: The Mayo Clinic rating of dysarthria is widely used in the clinical practice. However, because of its low reliability and extensive time requiremen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number of components and improve its reliability. The present study was designed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a general and detailed assessment protocol and the association of perceptual dimensions with overall impression of speech. Methods: Twenty-eight inexperienced clinicians were asked to perform both protocols twice, separated by a one week interval, with samples of standardized paragraph readings of 15 patients with various degrees and types of dysarthria. The inter-rater reliability, test-retest reliability, and different of rating values were compared between both protocols. The correlation between perceptual dimensions and overall impression of speech was also examined. Results: The general assessment protocol showed higher inter-rater reliability (=.967) and test-retest reliability (=.620) than the detailed assessment protocol. The mean rating values were similar between the two protocols, but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distribution ratio of rating values. For both protocols, dimensions related to articulation were highly correlated with overall impression of speech, and those related to resonance had low correlation. Conclusion: The general assessment protocol takes less time and has higher reliability than the detailed assessment protocol. However, since it is limited to evaluating speech characteristics of dysarthria in detail, it should be accompanied by other assessment protocols.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are expected to be the basis for further studies.

      • KCI등재

        이완형 마비말장애 화자의 말속도와 쉼 특성

        홍새미(Hong, Saemi),변해원(Byeon, Hae-Won)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5

        본 연구는 이완형 마비말장애군 15명과 정상군 15명을 대상으로 표준화된 문단 읽기 과제인 「가을」(김향희,1996) 검사를 통해 말속도와 쉼 특성을 측정하여 집단 간 비교 분석하였다.그 결과,이완형 마비말장애군의 전체 속도 및 조음 속도는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느렸으며,전체 쉼 시간 및 문장 내 쉼 시간 또한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길었고,전체 쉼 빈도 및 문장 내 쉼 빈도 역시 정상군보다 유의미하게 높았다(p<0.05).그러나 문장 간 쉼 구간과 쉼 빈도는 두 집단 간 유의 한 차이가 없었다.이러한 결과는 이완형 마비말장애인의 말속도 지표를 제공하고,말속도를 정상 범주로 조절하기 위해서는 조음 속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문장 내 쉼 구간 및 쉼 빈도를 감소시키는 중재가 함께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speech rate and pause in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For this purpose, 15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and 15 normal speakers matched in gender and age participated as subjects. The overall speech rate, the articulation rate, the inter-sentence and the intra-sentence pause duration and pause frequency were measured during reading the standardized passage 「Autumn」(Kim, 1996). As a result, the overall speech rate and articulation rate of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were significantly slower than normal speakers and intra-sentence pause duration and frequency of patients with flaccid dysarthria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normal speakers, but those of inter-sentence were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provides the speech rate index of flaccid dysarthria and indicates that to control the speech rate of flaccid dysarthria have regard to not only the overall speech rate and the articulation rate but also the intra-sentence pause duration and the frequency.

      • KCI등재

        4세 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속도와 문장길이에 따른 조음능력 비교

        홍새미(Sae-Mi Hong),심현섭(Hyun-Sub S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3

        배경 및 목적: 기능적 조음장애아동의 조음기관 운동을 다양한 방법으로 측정한 선행연구에 의하면 조음장애아동의 말운동통제능력이 일반아동보다 취약하다고 보고되고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은 비언어적인 운동능력을 측정하였기 때문에 구어행동이 아니라는 점에서 제한이 따른다. 본 연구는 4세 조음장애아동의 말속도와 문장길이에 따른 조음능력이 일반아동과 차이가 있는가를 통해 이 아동들의 말운동통제능력과 구문영역과 음운영역 간의 교환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4세(4;0-4;11) 조음장애아동 20명과 생활연령 및 성비를 일치시킨 일반아동 20명, 총 40명이 본 연구대상으로 참여하였다. 실험과제는 대상연령의 언어 및 조음발달을 고려하여 연구자가 직접 제작한 것으로 세 가지 문장길이(9음절, 12음절, 15음절)당 5개씩의 문장, 총 15개의 문장을 기준속도 및 기준속도에서 50% 더 빠르게, 그리고 더 느리게 변화시켜 총 45회 따라말하도록 하여 조음오류율을 비교하였다. 결과: 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의 말속도가 기준속도보다 빠르게 혹은 느리게 변할수록 조음오류율이 증가하였으나 두 집단 간 증가율은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조음장애아동과 일반아동 모두 문장길이가 길어질수록 조음오류율이 증가하였고, 특히 문장길이가 길어질수록 일반아동에 비해 조음장애아동의 조음오류율 증가가 더 컸으며, 두 집단 간 문장길이에 따른 조음오류율은 유의미하였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는 4세 정도에는 말운동통제능력이 아직 발달시기로 안정되지 않았으며, 또한 조음장애아동은 정확한 말소리를 산출하기 위해 처리해야 하는 용량이 일반아동보다 더 제한되어 있음을 시사한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how the speech rate and sentence length influence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our-year-old children, 20 with articulation disorders and 20 age-matched children without articulation disorders. Children were asked to repeat 15 sentences with three different sentence length. Each sentence was controlled at one of the three different rates: baseline rate, 50% faster than baseline, and 50% slower than baseline.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was calculated for each condition. The results were analyzed with three-way ANOVA. Significant ANOVA results were followed up with one-way ANOVA and post-hoc measures. Results: Both groups showed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when the speech rate was faster or slower than the baseline rate. However,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in the degree of error rate. Additionally,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number of articulation errors as the sentences were longer. There wa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sentence length and group. Discussion & Conclusions: The results from this study indicates that the speech motor control ability of four-year-olds is still in the development stage. This study also supports the hypothesis that there are trade-off effects between syntax and phonology which is discussed within a limited capacity framework.

      • KCI등재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격조사 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및 발화길이에 미치는 영향

        장경은,홍새미,심현섭,김영태 한국언어치료학회 2019 言語治療硏究 Vol.28 No.4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case marker intervention on the case marker expression accuracy if preschoolers with specific language impairment by using Iot smartphone applications. Methods: This study applied a multi probe design across subjects to three preschool-age children with SLI and conducted on intervention of case-marker expression. The case marker intervention program was provided through an IoT Smartphone application. Results: The intervention results showed that all three preschool children with SLI improved the accuracy of case marker expression, and the stimuli generalization effect was also shown in untrained stimuli. The effect was also maintained for four weeks after the intervention. All study participants showed increased length of utterance by MLU-m after the intervention. Conclusions: The intervention using Malnori classroom, an IoT Smartphone application, has been shown to be effective in improving the accuracy of case marker expressions and the length of utterance for children with specific language disorders. The possibility of using media such as smartphones as language therapy tools was also shown. 목적 : 본 연구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격조사 표현 중재가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들의 격조사 표현 및 발화길이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3명을 대상으로 대상자 간 중다간헐기초선 설계를 적용하여격조사 표현 중재를 실시하였다. 격조사 중재 프로그램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 폰을 통해이루어졌다. 결과 : 중재 결과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 3명 모두 격조사 표현 정확도가향상되었으며, 훈련하지 않은 자극에서도 일반화 효과가 나타났다. 또한 중재 종료 4주 이후에도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발화길이의 경우 연구 참여자 모두 중재 전에 비해 중재 후 MLU-m이증가하였다. 결론 : 사물인터넷 기반의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인 말놀이교실을 이용한 격조사 표현중재가 학령전기 단순언어장애 아동의 격조사 표현 정확도 및 발화길이 향상에 효과적임을검증하였으며, 이를 통해 스마트폰과 같은 미디어 매체를 언어치료 도구로 활용할 수 있는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