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다문화가정 여성결혼이민자의 결혼의 질과 안정: 결혼경로 유형과 지원서비스 이용기간 효과를 중심으로

        현경자 ( Kyoung Ja Hyun )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12 서석사회과학논총 Vol.5 No.2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결혼경로 유형과 지원서비스 이용기간이 이 여성들이 지각하는 결혼의 성과, 즉 결혼의 질과 안정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알아보았다. 구체적으로 결혼초기에 잘못된 결혼정보로 어려움을 겪는 것으로 알려진 결혼중개업체를 통해 결혼한 유형과 종교단체를 통해 결혼한 유형이 친지의 소개나 연애 등 보다 일반적인 경로를 통해 결혼한 유형에 비해 결혼만족과 결혼의 안정이 상대적으로 높거나 낮은지를 살펴보았고, 그러한 결혼경로 유형과 지원서비스 이용기간이 인구사회학적 특성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결혼만족과 결혼의 안정 각각에 어떻게 연관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에 분포되어 있는 36개 복지관 또는 시민단체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결혼이민여성 558명의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인구사회학적 변인들을 통제했을 때 결혼경로 유형과 지원서비스 이용기간은 결혼만족과 유의미한 연관성을 보였고, 결혼안정과는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혼중개업체를 통한 결혼경로 유형의 결혼만족이 경계적 유의도 수준에서 일반적인 결혼경로 유형보다 낮았고, 지원서비스를 이용한 기간이 길수록 결혼만족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통제변인으로 포함된 변인들 중 지난 1년간 지출에 필요한 돈이 충분하고 한국어 능력이 양호할수록 결혼만족이 높았고, 한국에서 사는 동안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정도가 클수록 결혼만족이 낮았다. 이중 경제적 어려움을 겪은 정도만 결혼의 안정을 저해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낮은 교육 수준도 결혼의 안정에 기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끝으로 이러한 결과들을 토대로 다문화가족복지실천을 위한 임상 및 정책적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ways in which type of marriage path and period of support service utilization are related to marital outcome, as manifested in marital quality and stability, among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South Korea. Specifically it investigated whether marital satisfaction and stability were relatively higher or lower among those women through the marriage broker path or through the religious organization path as compared to those through the more general marriage path. Also, it examined the effects of type of marriage path and support service utilization period on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respectively,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through the 36 centers for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distributed nationwide.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controlling for socioeconomic variables, type of marriage path and period of support service utiliz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but were not associated with marital stability.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ose through the marriage broker path was lower than those though the more general marriage path, and longer utilization of support service was related to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 socioeconomic variables, enough money for life expenses, less experience of financial hardship since coming to Korea, and good command of Korean were related to greater marital satisfaction. Among these, only more experience of financial hardship was related to less marital stability, and less education was related to greater marital stability.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multicultural family policies were discussed.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두문화정체성과 결혼의 안녕

        현경자(Hyun, Kyoung-J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사회복지학 Vol.64 No.2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강점이 될 수 있는 두문화정체성이 관점의 다각화에 기반한 자기긍정성을 도와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대변되는 결혼의 안녕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및 광역시에 거주하는 중국과 베트남 출신 결혼이민여성 총 281명을 대상으로 구조방정식모형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문화정체성과 모국문화정체성으로 구성된 두문화정체성은 예측대로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로 구성된 자기긍정성을 도우며 이를 통한 경로와 직접 경로로 결혼의 안녕에 기여하였다. 측정변수들을 이용한 탐색적인 경로분석에서 각각의 문화정체성은 관점다각화를 통해 자기수용 및 자기조절과 연관되었고, 자기수용은 예측대로 결혼만족을 도와 결혼안정에 간접적으로 기여하였지만 결혼안정에 대한 자기조절의 예측된 정적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관점의 다각화는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을 직접 돕기 보다는 응답자들의 자기수용과 배우자와의 의견일치를 돕는 경로로 그러한 측면을 강화하였다. 한국문화정체성이 결혼의 안녕에 미치는 정적효과는 관점다각화에 따른 자기수용과 배우자와의 의견일치에 의해 매개되었고, 모국문화정체성은 그러한 매개경로와 함께 직접 결혼만족을 돕는 한편 결혼안정을 낮추어 결혼의 안녕에 미치는 효과가 단순하지 않음을 시사하였으나 효과분해에서 각 문화정체성이 결혼의 안녕을 돕는 총효과는 정적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들은 두문화정체성이 결혼이민여성들의 긍정적 태도와 결혼의 안녕을 도울 수 있는 심리적 자원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가 논의되었다. This questionnaire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linking bicultural identity to self-positivity derived from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that, in turn, affects marital well-being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Data were drawn from 281 marriage immigrant women residing in large cities in Korea including Seoul metropolitan area. Results of covariance structural analyses supported most study hypotheses: As predicted, bicultural identity contributed to self-positivity composed of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and the self-positivity, in turn, promoted marital well-being, conceptualized as marital satisfaction and marital stability. Bicultural identity also showd a significant direct positive effect on marital well-being. In path analyses conducted with observed variables, Korean cultural identity and home cultural identity both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multiple perspective taking, through which these identity variabl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While self-acceptance was, as expected, positively related to marital satisfaction, thus indirectly promoting marital stability, the positive effect of self-regulation on marital stability was not signifiant.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was found to promote marital well-being through encouraging both self-acceptance and consensus with a spouse. The effect of Korean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well-being was found to be completely mediated by self-acceptance and consensus with a spouse fostered by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In contrast, the effect of home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well-being was partly mediated by such paths, and home cultural identity also had a positive direct effect on marital satisfaction and a negative direct effect on marital stability, suggesting its effect on marital well-being is complicated. Yet total effects of both types of cultural identity on marital well-being turned out to be positive. These results suggest that bicultural identity, supposed to be a psychological strength among marriage immigrant women, may indeed function as psychological resources that promote positive attitude as well as marital well-being. Finally, implications for multicultural social work practice are discussed.

      • KCI등재

        중도장애,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 경험자의 자기해석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현경자(Hyun Kyoung-J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사회복지학 Vol.62 No.4

        성인기에 발생하는 중도장애나 이혼과 같은 생애위기는 당사자의 독립성이나 상호의존성에 대한 도전을 수반하여 그러한 자기인식과 해석에 변화를 초래할 수 있다. 이 연구는 생애위기 경험자의 그와 같은 자기해석이 복합적일수록 긍정적인 자기특성이 양성되어 심리적 안녕이 높을 것으로 보고, 자기해석의 복합성과 심리적 안녕 간의 관계가 자기긍정성을 구성하는 세 요인, 즉 관점의 다각화, 자기수용, 자기조절에 의해 매개되는 경로를 조사하였다. 편의표집에 의해 서울과 수도권 지역에 거주하는 중도장애인, 이혼인, 일반인 비교집단 총 359명을 조사한 결과, 생애위기 경험집단이 평균적으로 일반인 비교집단에 비해 독립적 자기해석이 높았고, 상호의존적 자기해석이 낮았다. 복합적인 자기해석은 예측대로 의미 발견과 의미 부여를 돕는 관점의 다각화와 밀접하게 연관되었고 이를 통해 자기수용, 자기조절과 같은 긍정적 태도에 기여하였으며, 이 중 관점의 다각화와 자기수용을 통한 경로로 생애위기의 경험여부와 상관없이 응답자들의 심리적 안녕, 즉 긍정적 정서의 경험과 우울과 같은 부정적 정서의 감소를 도왔다. 관점의 다각화가 우울을 직접 낮추는 효과는 예측대로 생애위기 경험집단에서만 나타났고, 긍정적 정서를 양성하는 직접효과는 모든 집단에서 발견되었다. 따라서 관점의 다각화가 생애위기의 경험자들 사이에서는 의미 발견과 긍정적 태도 양쪽에 탄력을 주어 적응과 심리적 안녕을 돕는 반면 일반인들 사이에서는 우선적으로 긍정적 태도, 긍정적 정서 등 긍정성을 키워 심리적 안녕에 기여함을 추론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관점의 다각화와 복합적인 자기해석이 역경극복에 동력이 되는 의미 찾기를 도우며 긍정적 태도를 양성하여 생애위기 경험자의 심리적 안녕에 기여하는 기제와 심리적 자원으로 각각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하여, 이를 토대로 사회복지실천을 위한 함의를 논의하였다. This questionnaire study examined the processes linking complexity of self-construal to self-positivity conceptualized as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that, in turn, affect psychological well-being among people with an experience of life-crisis during adulthood due to physical disability or divorce. Data were drawn from 359 adult Koreans residing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cluding the physically disabled, the divorced, and their counterparts without a life-crisis experience during adulthood for comparison. On average, the life-crisis experience group(LEG) had a higher independent selfconstrual and a lower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than the comparison group(CG). As predicted, complexity of self-construal contributed to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that helps searching for meaning, and this, in turn, was found to foster self-acceptance and self-regulation. Through these variables except self-regulation, complex self-construal contributed to psychological well-being as manifested by a higher level of positive emotion and a lower level of depression. As expected, while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fostered positive emo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rough self-acceptance among LEG and CG, only in LEG it directly reduced depression. The comparative approach employed in this study enabled to discern that taking multiple perspectives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LEG by contributing to both meaning making and positive attitude, whereas it promotes psychological well-being in CG primarily by fostering positive attitude. Finally implications for this study were discussed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suggested.

      • KCI등재

        기혼남녀의 자기관과 결혼만족의 관계 - 독립 및 상호의존적 자기관을 중심으로-

        현경자(Hyun Kyoung-Ja) 한국사회복지학회 2004 한국사회복지학 Vol.56 No.4

        본 연구는 기혼남녀의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경로와 그 역할을 밝히기 위해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만 25세 이상 75세 미만의 기혼자 489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독립적 자기관과 상호의존적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접효과와 매개변인들을 통해 결혼만족에 기여하는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경로분석을 하였으며, 공변량구조분석을 통해 경로모형의 부합도를 평가하였다. 예측대로, 전체집단의 자료에서 독립적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는 자기존중감과 의사소통의 명확성에 의해 중재되었으며, 상호의존적 자기관의 그러한 효과는 심리적 안정과 관계적 안녕감에 의해 중재되었다. 또한, 이 두 유형의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접 효과는 상반되었으며, 독립적 자기관은 결혼만족을 감소시키나, 상호의존적 자기관은 결혼만족의 증가에 기여하였다. 자기관이 결혼만족에 미치는 직.간접효과에 대한 연구가설은 심리적 안정을 통한 간접효과를 제외하고 전체집단에 의해 지지를 받았으며, 경로모형의 부합도도 수용 가능한 수준을 보였다. 그러나, 남녀집단의 경로분석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경로나 간접효과들 간에 성차를 보여, 결혼만족에 있어 자기관의 역할이 남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근거로 임<br/> 상사회사업적 함의와 후속연구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role of self-construals in marital satisfaction among men and women, and explored how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 construals contribute to or undermine marital satisfaction.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489 married people (aged 25-75)<br/> residing in Seoul participated. Path analyses were conducted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rogram, and a goodness of fit of the proposed path model was evaluated. As expected, the positive impact of independent self-construal on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self-esteem and clarity of communication, and that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on marital satisfaction was mediated by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 sense of relational well-being. The direct effects of these two types of self-construal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opposite. As predicted, independent self-construal decreased marital satisfaction, wherea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increased it. All of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independent and interdependent self-construals on marital satisfaction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except the indirect<br/> effect of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as mediated by psychological stability. The goodness of fit indexes of the path model indicated that the model was acceptable. <br/> However, the results of separate path analyses for men and women showed that some of the effects of self-construals on marital satisfaction differed by gender.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for clinical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측정도구 개발연구

        현경자 ( Hyun Kyoung Ja ),김연수 ( Kim Yoen 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1 保健社會硏究 Vol.31 No.4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 개 발을 진행하였다. 측정도구 제작을 위해 여성결혼이민자의 생활실태 및 적응과 관련한 기존의 선행연구 결과들을 토대로 이들의 한국생활적응과 관련한 주요 영역별로 측정 문항들이 개발되었다. 이 문항들은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를 수행하는 전국의 36개 기관을 이용하는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에 대한 조사연구에 포함되어 조사가 이루어졌으며, 이 자료를 이용하여 척도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와 타당도에 대한 평가가 이루어졌다. 제작된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생활적응 척도는 총 23개 문항, 5개 요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척도의 신뢰도는 .89로 양호하였다. 척도를 구성하는 요인은 1요인 `가족 및 한국 문화이해`, 2요인 `지역사회이용 및 이해`, 3요인 `한국어 이해 및 사용`, 4요인 `대인관 계 및 사회활동참여`, 5요인 `한국음식적응`으로 구성되었으며, 전체 요인들은 56.87% 의 설명력을 보였다. 제작된 측정도구를 통해 산출된 한국생활적응 및 하위영역들의 값 은 예측대로 연구대상자의 연령, 교육수준, 거주기간에 따라 차이를 보여 척도의 변별력이 양호함을 알 수 있었다. 아울러 기준관련 변인들과의 상관관계 및 회귀분석 결과 는 동시타당도, 예측타당도 및 증분타당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 탕으로 연구의 함의 및 한계점을 논의하였으며, 개발된 척도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 생활적응 수준을 측정하는 도구로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Korean life adaptation measur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in multicultural families. To construct scale items, critical issues and difficulties associated with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identified and categoriz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s a result, 26 scale items were constructed, and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 for the adaptation to Korean life was attempted, using data drawn from a questionnaire surve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Results of exploratory factor analyses revealed 5 factors: factor 1 `understanding of family & Korean culture`; factor 2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local community`; factor 3 `understanding & utilization of the Korean language`; factor 4 `interpersonal relation and social activities`; and factor 5 `adaptation to Korean foods.` The final 5 factor scale consisted of a total of 23 items, and these factors accounted for 56.87% of variance. This scale was found to be reliable in terms of internal consistency, as suggested by Cronbach`s alpha .89. In terms of validity, the scale showed a proper discriminant power, criterion and incremental validit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scale`s applicability in multicultural family studies was discussed.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 이용과 결혼의 안녕 및 희망의 관계

        현경자(Hyun, Kyoung-Ja) 한국사회복지학회 2014 한국사회복지학 Vol.66 No.2

        이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한국사회 정착과 결혼생활 적응을 돕기 위해 실시되고 있는 다문화가족 지원사업의 이용이 실제로 이 여성들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부부갈등인식 감소와 결혼의 안녕 및 희망 에 기여하는지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문화상대주의와 강점 관점에 기반 한 지원사업을 수행해 온 전국의 36개 기관들을 통해 수집된 여성결혼이민자 558명의 설문조사 자료가 이용되었다. 구조방정 식모형 분석결과, 예측대로, 지원사업 이용기간, 서비스 이용 빈도 및 이용서비스의 수로 측정된 지원 사업 이용은 여성결혼이민자들이 보고한 긍정적 변화와 정적으로 연관되었고, 그런 변화는 이어서 부 부갈등인식과 부적인 관계를 보였으며 결혼만족과 결혼안정으로 측정된 결혼의 안녕 및 희망에 정적인 기여를 하였다. 또 긍정적 변화는 결혼의 안녕을 저해하는 부부갈등인식을 낮추어 결혼안녕을 강화하 고, 이어 결혼안녕은 희망에 기여하여 이러한 간접경로로 희망을 도왔다. 이 변인들 간의 관계구조는 국내거주기간 및 한국어 능력이 지원사업 이용과 긍정적 변화에 미치는 효과를 통제했을 때 지지되었 지만, 아울러 지원사업 이용이 부부갈등에 미치는 직접효과가 정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 결과들 은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의 이용이 여성결혼이민자의 긍정적 변화를 도와 희망을 키우며 성공적인 결혼 생활을 촉진할 수 있지만 한편으로 부부갈등을 야기할 수 있는 요소들을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지원사업 이용의 순기능을 강화하면서 부부갈등을 초래할 수 있는 역기능적 요소들에 대처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안들이 끝으로 논의되었다. Th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project provides support services to female marriage immigrants to promote their settlement in Korea and their adaptation to marital life. This study thus investigated whether utilization of such support services is indeed related to positive changes perceived among these female marriage immigrants, and these changes, in turn, contribute to less marital conflict, marital well-being, and hope. Data were drawn from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study in which 558 female marriage immigrants participated through the 36 centers across the nation that provided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s based on cultural relativism and a strengths perspective. Results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nalyses revealed that utilization of support services, as predicted, contributed to positive changes, and such changes, in turn, were directly related to less marital conflict, higher marital well-being, and hope. As expected, marital conflict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marital well-being, which, in turn, promoted hope. Thus, through these paths positive changes also contributed positively to both marital well-being and hope. However, when the effects of length of residence in Korea and an ability to command Korean language were controlled for, a positive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ervice utilization and marital conflict was revealed. Therefore this paper discussed the ways in which positive functions of such service utilization can be strengthened while at the same time actively addressing the dysfunctional components of such support services.

      • KCI등재

        다문화부부의 스트레스와 우울 및 갈등반응행동 간의 관계에서 희망과 부부친밀성 및 지원서비스 이용의 조절효과

        현경자 ( Hyun Kyoung Ja ),김정화 ( Kim Jeong-hwa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7 保健社會硏究 Vol.37 No.1

        이 연구는 경제곤란과 문화도전으로 다문화부부가 경험하는 스트레스가 우울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자가 인지하는 내외적 자원들, 즉 희망, 부부친밀성,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 이용경험과의 관계 속에서 살펴보았다. 전국단위의 다문화가족지원사업을 이용한 여성결혼이민자 부부표본 415쌍(n=830)의 자료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경제곤란과 문화도전 스트레스는 결혼이민자 부인의 우울과 한국인남편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에 기여하였다. 자원변인들 중 심리자원인 희망의 효과는 양면성을 보였다. 한국인 남편들의 높은 희망은 우울을 낮추었으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과도 정적으로 연관되었다. 부인들 사이에서 희망은 우울과 무관했고 평균적으로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을 낮추었으며 경제곤란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 간의 관계를 조절함이 시사되었다. 관계자원인 부부친밀성은 남편과 부인의 우울과 남편의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을 낮추는 긍정적인 주효과만 보였다. 사회자원인 지원서비스 이용경험의 경우, 이용서비스 수는 예상과 달리 부부 각자의 우울에 기여했고, 남편의 서비스 이용은 공격적인 갈등반응행동과 정적으로 연관되었다. 부인집단에서 경제곤란이 우울에 미치는 효과가 서비스 이용기간에 의해 조절되어 이용 기간이 길수록 우울수준이 높아졌다. 그러나 높은 문화도전으로 인한 남편의 우울과 공격적 갈등반응행동의 수준은 서비스 이용자들이 비이용자들보다 낮아 지원서비스와 같은 사회자원의 기여가 일부 확인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economic hardship and cultural challenge that multicultural couples experience as stress on their mental health and conflict response behavior (CRB), and explored moderating effects on such stress factors of hope, couple intimacy, and utilization of family support service. Data were drawn from a questionnaire study of 415 female marriage immigrant couples (n=830). Result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revealed that economic hardship and cultural challenge contributed to depression among immigrant wives and to an aggressive CRB among Korean husbands, after controlling for age, health, and a length of marriage. For husbands, hope as a psychological resource was associated with both less depression and a more aggressive CRB. Among wives, it was not associated with depression, and, on average, contributed to a less aggressive CRB. Couple intimacy as a relational resource showed overall positive direct effects among the couples. In contrast, the positive effect of economic hardship on depression was moderated by the duration of service utilization among wives. The longer the duration was, the higher the level of depression became. However, levels of both depression and an aggressive CRB among husbands due to cultural challenge were significantly lower among the users of support service, partially confirming the contribution of a social resource like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service.

      • 미국 거주 아시안 이민자의 의료서비스 욕구: 의료서비스 전달을 위한 함의

        현경자 ( Kyoung Ja Hyun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아시안계 미국인은 미국에서 가장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소수민족 중의 하나이나 이들의 건강보호 및 의료서비스 욕구는 제대로 충족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문헌조사를 통해 근래 미국에 도착한 아시안 이민자들의 건강문제 및 의료보호 욕구를 살펴보고 이들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질적인 대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아시안계 미국인들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건강과 관련된 통계치를 살펴보고 이들이 다양한 건강 문제와 욕구를 갖고 있음을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발견된 건강문제는 결핵, 간염, 고혈압 등의 신체적 질환과 스트레스로 인한 기능장애 및 우울증을 포함한 정신건강 문제로 이에 대한 예방과 치료가 가능하나, 기존의 문헌들은 실제로 아시안 이민자들의 의료서비스 이용률이 대단히 낮음을 보고하고 있다. 이들의 의료보호 이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는 의료보험의 결여, 경제적인 어려움, 언어 장애, 의료보호체계 접근의 어려움, 심리적, 문화적, 종교적 요인들이 제시되고 있다. 따라서, 아시안 이민자들이 밀집하여 거주하는 지역사회에 문화적으로 보다 민감하고 비용 면에서 효과적인 일차예방적 건강보호개입을 통해 이들의 건강문제와 욕구를 해결할 것을 제안하였다. This paper examined health care needs and problems of recent Asian immigrants, including Southeast Asian refugees, who are one of the smallest but fastest growing minority populations in the U.S. To suggest how their health care needs can be best met under the current American health care system, it reviewed som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health statistics on Asian immigrants that have special health implications, and identified specific health problems that include tuberculosis, hepatitis, hypertension, stress-related illnesses, and depression. Although many of these health problems are preventable and controllable, the review of the literature suggested that health care utilization of recent Asian immigrants are low because of such barriers as lack of health care insurance, language barrier, location of services, psychological, cultural and religious barriers. Thus, this paper suggested an ethnic community-based culturally sensitive and cost-effective intervention approach, aimed at primary prevention as a viable option to address these people`s health care nee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