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경험 연구

        김연수 ( Yoen Soo Kim ),박지영 ( Ji Young Park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0 한국가족복지학 Vol.30 No.-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이 경험하는 문화적 차이와 이러한 차이를 극복해가는 문화적응과정 경험 및 문화적응의 의미에 관한 질적 연구로써 한국생활에 잘 적응하여 살고 있으며, 3년 이상 결혼생활을 지속한 여성결혼 이민자 14명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 인터뷰를 진행하여 이루어졌다. 분석결과 문화적 차이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언어, 식습관, 종교와 같은 일상생활영역, 제례 및 명절문화와 같은 전통성 영역, 그리고 가족내 관계와 역할영역에서 모국과는 다른 성역할 차이를 경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차이로 인해 심리적 부담감 및 당혹스러움 등을 경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화적응과정이 어떠한지에 대한 참여자들의 경험은 `낯선 환경과 관계의 어려움`, `차별과 편견에 직면함`, `익숙해지는 한국문화, 그러나 낮아지는 자존감`, `문화적 차이를 넘어서려고 시도함`, 그리고 `두문화정체성을 갖기 위해 노력함`의 단계로 점차적으로 진행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참여자들이 경험적으로 인식하는 문화적응의 의미는 `일상에 익숙해져가는 것`, `문화적 차이를 이해하려고 노력하는 것`, `한국인들과 공존하는 방법을 알게 되는 것`으로 정의되었으며, 이는 사회교육이나 제도적 지원을 통한 문화적응 이상으로 여성결혼이민자 자신의 주도적이고 적극적인 노력을 통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의미화 되었다. 문화적응에 관한 여성결혼이민자들의 경험을 분석한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적 전략 및 함의에 관해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how female marriage immigrants perceive their acculturation experience in the aspects of cultural difference, the acculturation progress, and the meaning of acculturation using focus group interview method which executed 3 time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have lived more than 3 years in Korea.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qualitative data, we found these things: firstly, the experiences of the cultural difference are the difference of daily living custom, like language difficulties, difference of eating behavior, and disapproval of their religion, the tradition difference of memorial service or national holidays, and the relationship and roles in family. Secondly, the results of exploring of the acculturation progress are like these phase: `the difficulties from unfamiliar environment and relationship`, `facing against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being accustomed to korean culture but getting down one`s own self-esteem`, `set about my life again over cultural differences`, and `building the new identity integrating two different culture`. Lastly, the meaning of acculturation is defined as "getting accustomed to Korean`s daily life", "trying to understand the cultural difference", and "realizing the way of co-existing with Koreans" through not only social education or institutional assistance, but also initiative and active trial of female marriage immigrants. Based on these results,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for multi-cultural families in order to enhance acculturation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were suggested.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에 관한 연구: 가족관계, 사회적 지지 및 문화적응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김연수 ( Yoen Soo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12 한국가족복지학 Vol.38 No.-

        본 연구에서는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에 거주하는 여성결혼이민자 556명을 대상으로 이들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삶의 만족도를 알아보고, 삶의 만족에 차이를 가져오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이 무엇인지, 그리고 가족관계, 사회적지지 및 문화적응 변인을 중심으로 이들 변인과 삶의 만족과의 관계를 위계적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여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삶의 만족 수준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05점으로 약간 만족하는 정도로 산출되었으며, 연령대, 한국거주기간, 거주지역, 그리고 한국인/모국인으로서 갖는 자신에 대한 정체성에 따라 삶의 만족수준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위계적 다중회귀분석결과에서는 삶의 만족에 가장 큰 영향력을 지니는 변인은 가족관계로 나타났으며, 사회적지지 및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의 문화적응 변인도 삶의 만족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이 받을수록, 한국문화에 대한 적응도가 높을수록, 그리고 모국문화를 유지하려는 성향이 낮을수록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삶에 대한 만족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인들의 삶의 만족에 대한 설명력은 45.4%로 산출되었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에 기반을 두고 사회복지실천적 함의 및 여성결혼이민자의 가족관계 증진과 문화적응지원의 중요성 등에 관해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and analyze differences of life satisfaction with sociodemographic variables and the impact of family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nd acculturation on life satisfaction among female immigrants married to Korean men. Data of the study were collected through a purposive sampling method. 556 female marriage immigrants who live in Seoul, Keonggi, and Chungcheong participated in this study. Data were analyzed with a t-test, one-way ANOVA, and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showed that life satisfaction of the female marriage immigrant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age group, residential period in Korea, residential area, and cultural identity. Also, the results of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showed the influence of family relationships, social support,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on life satisfaction was significan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was 45.4%. Indicated was that the better the family members got along with each other, the higher the social support, and the higher the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were, the higher life satisfaction became. On the contrary, the higher the maintenance of the mother culture was, the lower was the life satisfaction achieved. The findings and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were discussed in relation to family support and acculturation-related issues.

      • KCI등재
      • 기혼여성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김연수 ( Yoen Soo Ki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본 연구는 기혼여성들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로서, 변화하고 있는 현대사회에서 가족의 어떠한 요인들이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연구하여 가족관계 증진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을 개발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가족관계는 정서·친밀영역, 인정·책임영역, 수용·존중영역으로 나누어 측정되었으며,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치관(가족주의 가치관과 성평등의식), 의사 소통, 스트레스 및 인구사회학적 배경변인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서울지역에 거주하는 594명의 기혼여성들로서 체계적 층화표집과 할당표집을 병행하여 선정하였다. 분석 결과 기혼여성들의 가족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주의 가치관 가운데 가족중심성, 성평등의식, 의사소통, 그리고 스트레스로 나타났으며, 이들 변수들의 가족관계에 대한 설명력은 52.9%로 높게 나타났다. 즉 기혼여성의 가관관계는 가치관 측면에서 높은 가족중심성과 성평등의식을 가지고 있을수록, 가족 내에서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질수록, 그리고 스트레스가 적을수록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가족을 대상으로 한 임상사회복지 실천에 있어서 가족관계를 향상시키는데 어떠한 측면에 우선적으로 개입하여야 하는지를 알 려주는 것으로서 연구의 의의를 가진다. 결론적으로 가족관계 향상을 위한 의사소통훈련, 스트레스관리훈련, 그리고 가족원이 가지고 있는 가족생활과 관련된 가치관을 탐색하고 이를 가족관계향상에 도움을 주는 방향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가족복지프로그램 개발의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This study is about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an and the study goal is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family intervention model in the practice of social welfare. The family relationship was measured by three dimensions, which are 'love and care', 'recognition and responsibility', and 'acceptance and respect'.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family relationship was composed of 'value'(familism and gender equality)', 'communication', 'stress' and 'demographic informations'. The data were collected by using a systematically stratified and allocation sample method and the total sample which was applied in the analysis was 594 married women in Seoul. At the result of multiple-linear regression analysis, the factors affecting to the relationship of married woman was value(the subcategory that is the thought of considering family the first only in the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communication, and stress. The explanatory power of these variables in family relation was 52.9% and this high explanatory power was proved to be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uggested to develop a communication program which is able to increase good family relationship, a stress management program to decrease the level of various kind of stress in the family, and a program which is helpful to improve a value of equality in the family.

      • KCI등재

        다문화가족을 대상으로 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 적용 연구

        김연수 ( Yoen Soo Kim ) 한국가족사회복지학회 2008 한국가족복지학 Vol.24 No.-

        본 연구는 아동기 자녀를 둔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자녀양육에 대한 자신감과 역량을 강화하고, 가족관계를 증진하는 사회복지실천의 도구로 개발된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 및 다문화가족지원 프로그램으로서의 적용가능성을 검증한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의 회기를 6회기로 단축하여 조정하고, 다문화가족의 특성을 반영하여 자녀양육과 관련된 문화적 차이에 대해 다루는 시간을 추가하여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였다. 유사실험설계방법을 사용하여 실험집단 6명과 통제집단 7명을 구성한 후 프로그램 실시 전, 종료 직후, 그리고 종료 뒤 1개월 후 시점에서 부모역할만족도, 양육효능감 및 가족관계 점수를 각각 비교한 결과 탄력적부모되기 프로그램은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 어머니들의 양육효능감 및 전반적 양육능력을 증진하는데 가장 큰 효과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보다 친밀하고 상호존중적인 가족관계를 형성하도록 하는데도 긍정적으로 기여하는 부분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이에 부모기 다문화가족 여성결혼이민자의 부모역할에 대한 지원프로그램으로서 탄력적부모되기 프로그램이 갖는 실천적 의의와 적용가능성에 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is about the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Resilient Parent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help strengthen parent self-efficacy and develop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for immigrant female spouses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 program was practiced once a week for 6 weeks, and focused on dealing with cultural differences in playing parenting roles.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the study was 13 immigrant female spouses whose children were in childhood. Using a quasi-experimental design, 6 were in the experimental group and 7 were in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from pre-tests, post-tests and follow-up tests were analyzed and compared through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1 month after completing the program. The results of the analyses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area of parent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and adaptability of the Resilient Parenting Program to immigrant female spouses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were confirmed.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Resilient Parenting Program with cultural sensitiveness can be a valuable social work intervention tool for strengthening competence in parenting of immigrant female spouses and healthy family relationships in multicultural familie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 문화적응척도 개발연구

        김연수(Kim Yoen-Soo)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 2011 여성연구 Vol.81 No.-

        본 연구에서는 기존 문화적응 척도분석, 포커스집단인터뷰, 설문조사연구등을 실시하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을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하였다. 문화적응척도는 문화적응을 설명하는 이중차원모델(bi-dimensional model)에 근거를 두고 한국문화적응척도와 모국문화유지척도의 2개 척도로 구성되었으며,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 554명을 대상으로 조사연구를 실시하여 구성된 척도에 대한 검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결과 한국문화적응척도는 한국인과의 교류, 한국어 이해 및 구사, 한국전통 및 관습이해, 한국대중매체선호, 한국정체성, 그리고 한국음식선호의 6개요인, 총 26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한국문화적응 개념에 대한 누적설명량은 66.8%,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일치도 계수는 .93으로 높게 나타났다. 모국 문화유지척도는 모국음식선호, 모국인과의 교류, 모국어 사용, 모국정체성, 모국전통유지, 그리고 모국대중매체선호의 6개 요인, 총 19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모국문화유지 개념에 대한 누적설명량은 67.1%, 신뢰도 분석결과 내적일치도 계수는 .87로 양호한 수준으로 산출되었다. 이 척도는 한국사회에서 생활하는 여성결혼이민자들의 문화적응과 관련한 경험을 반영한 측정도구로서 개발된 척도가 여성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 및 실천의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성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었다.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n acculturation scale for female marriage immigrants living in Korea. Acculturation is defined as a construct which has two independent dimension: ‘adaptation to the mainstream’s culture’ and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in terms of bi-dimensional acculturation model. Based on this conceptualization, literature review, focus group interview with female marriage immigrants, consultation from professionals of multi-cultural study, and a survey using a purposive sampling in Seoul, Kyeonggi, and Chungcheong area were conduct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scale. In total 554 female marriage immigrants data were analysed. As a result of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6 factors were revealed i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scale’ and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scale’ respectively.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scale’ was consisted of 26 items and 6 factors were as follows: social interaction with Koreans, using and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understanding of Korean tradition and custom, preference for Korean mass-media, Korean identity, and preference for Korean food. These factors showed 66.8% explanatory power and the scale had Cronbach’s alpha .93 in a reliability test.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scale’ was consisted of 19 items and 6 factors were as follows: preference for mother country’s food, social interaction with people from mother country, using mother tongue, mother country’s identity, maintenance of mother country’s tradition, and preference for mother country’s mass-media. These factors showed 67.1% explanatory power and Cronbach’s alpha .87 in reliability test. Also, these two scales revealed proper validity in terms of additional validity test. Based on these findings,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연구

        김연수(Kim Yoen-Soo)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3

        본 연구는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을 조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지역사회에서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를 대상으로 돌봄만족감의 수준이 어느 정도이며, 어떤 요인들이 이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해 알아보았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및 경인지역의 지역정신보건센터, 사회복귀시설 및 낮병원을 이용하는 정신장애인을 돌보는 어머니이며, 총 231명이다. 돌봄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는 정신장애 관련 요인으로 정신장애인의 유병기간, 입원횟수 및 사회기능이, 어머니의 개인적 요인으로 연령, 결혼상태, 가족수입, 신체적 건강이, 그리고 관계적 요인으로 정신장애인과 어머니관계의 질과 어머니가 가족, 친구 및 의미 있는 타자와의 관계를 통해 받는 사회적 지지가 포함되었다. 자료분석을 위해 t-test, Oneway-ANOVA,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위계적 다중회귀분석(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등이 사용되었다. 연구결과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은 5점 척도에서 평균 3.06점으로 중간보다 약간 높게 나타났다. 최종 회귀분석모델에서 어머니의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어머니의 결혼상태, 가족수입, 정신장애인과의 관계의 질, 그리고 사회적 지지였으며, 정신장애인의 사회기능 등 정신장애 관련 요인은 돌봄만족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돌봄경험의 긍정적 측면으로 실재하는 돌봄만족감에 대한 실천적 관심이 필요함과 더불어 이를 증진하기 위한 사회복지실천적 개입 방안이 연구의 함의로 제시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of a person with mental disorder and factors influencing to it as a positive aspect of caregiving experience. A survey conducted upon 231 mothers who live together with their adult-children with mental disorder through community mental health centers, social rehabilitation facilities and day hospitals.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t-test, Oneway-ANOVA, hiera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so on.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The mean of 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is 3.06 in 5 point scale. Among the total items of the caregiving satisfaction scale, the means of the items 'finding strength through caregiving' and 'personal growth through caregiving' are higher than any others. 2) In the final regression model, statistically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o the caregiving satisfaction are 'the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mothers and the mentally disordered', 'perceived social support from family, significant others, and friends', 'marital status of mothers', and 'family income'. Better relationship quality between mothers and the adult children with mental disorder and higher social support from family, significant others, and friends explained higher caregiving satisfaction of mothers. The level of a widow or divorced 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is higher than married one. The less family income affected to higher caregiving satisfaction. Variables related to mental disorder of adult-children, such as social function, years of mental disorder and frequency of hospitalization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to mother's caregiving satisfaction. Through this research, the implications of social work practice were suggested in many ways.

      • KCI등재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 영향요인 연구: 서울·경기 및 충청지역을 중심으로

        김연수 ( Kim Yoen Soo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3 保健社會硏究 Vol.33 No.4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관한 연구로서, 문화적응을 한국문화적응과 모국문화유지의 두 차원으로 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들을 인구사회학적 변인, 개인내적변인, 가족변인 및 사회적 변인으로 나누어 연구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서울, 경기 및 충청지역의 여성결혼이민자로, 복지관 및 다문화가족지원센터 등의 사회적 서비스기관을 통해 표집되었다. 총 556명의 여성결혼이민자 자료를 위계적 다중회귀 분석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여성결혼이민자의 연령, 한국거주기간, 거주지역, 한국국적유무, 자아효능감, 가족관계, 사회적지지 및 지각된 차별감이 문화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구체적으로 한국문화적응 수준은 연령이 어릴수록, 거주 기간이 길수록, 도시에 거주할수록, 한국국적이 있는 경우, 그리고 자아효능감이 높고 가족관계가 좋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가족관계와 자아효능감이 이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모국문화유지 수준은 한국거주기간이 짧을수록, 자아효능감이 높을수록, 주변으로부터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을수록, 그리고 주변사람들로부터 받는 차별감에 대한 인식수준이 높을수록 높아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전 체 변인의 문화적응에 대한 설명력은 한국문화적응이 36.2%, 모국문화유지가 16.2%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에 기반을 두고 여성결혼이민자의 문화적응에 대한 지원에서 자아효능감 및 가족관계 증진의 중요성, 다양한 근원으로부터의 사회적 지지의 중요성 및 사회적 차원에서의 여성결혼이민자의 모국문화에 대한 존중의 필요성에 관해 제언하였으며, 이를 위한 사회복지실천 및 정책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analyzed the various factors affecting acculturation level, which is measured by an adaptation to Korean culture and a maintenance of mother culture, amo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556 female marriage immigrants residing in Seoul, Keonggi, and Chungcheong area recruited from various community service agencies to complete a series of self-reported questionnaires. A hierarchical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age, the length of stay in Korea, residence area, Korean nationality,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ffected the adaptation level to Korean culture. Among these variables the most powerful influencing factors were family relation and self-efficacy. Also, the length of stay in Korea, self-efficacy, social support and perceived social discrimination influenced on the maintenance level of mother culture. Based on these results, the importance of enhancing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and increasing social support and social atmosphere respecting female marriage immigrant`s mother culture were discussed. In addition,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policy were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